KR102376639B1 -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 Google Patents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639B1
KR102376639B1 KR1020210160024A KR20210160024A KR102376639B1 KR 102376639 B1 KR102376639 B1 KR 102376639B1 KR 1020210160024 A KR1020210160024 A KR 1020210160024A KR 20210160024 A KR20210160024 A KR 20210160024A KR 102376639 B1 KR102376639 B1 KR 10237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horizontal
vertical
natural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엠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엠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엠글로벌
Priority to KR102021016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01Self adhesive nail coating bl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06Resulting in heat recoverable alloys with a memory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에 있어서, 특히 인조손톱을 손톱 접착부와 손톱 연장부와 구성하되, 상기 손톱 접착부와 손톱 연장부를 방사형 돌기라인으로 상하 좌우로 연결하여 인조손톱이 형상유지됨과 동시에 강성을 극대화시켜 쉽게 파손되지 않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에 관한 것으로,
자연손톱의 큐티클층에 위치되는 큐티클 접착층과, 자연손톱의 중심부에 접착되는 손톱 중심부 접착층과, 자연손톱의 끝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손톱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톱 중심부 접착층은, 자연손톱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과, 자연손톱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과 가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은 상호 교차되면서 망형태로 설치하되, 중심부는 촘촘하고 외각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방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손톱 연장부에는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에 연장되어 손톱의 끝단까지 설치되는 연장 돌기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A Artifical Nail for Adhesion}
본 발명은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조손톱을 손톱 접착부와 손톱 연장부와 구성하되, 상기 손톱 접착부와 손톱 연장부를 방사형 돌기라인으로 상하 좌우로 연결하여 인조손톱이 형상유지됨과 동시에 강성을 극대화시켜 쉽게 파손되지 않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에 관한 것이다.
인조 손톱은 손톱 또는 발톱을 미적 또는 예술적으로 표현하는 네일 아트(nail art)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합성수지 소재 또는 천연 소재로 만들어진다. 인조 손톱은 액상 접착제에 의하여 손톱에 접착되거나, 양면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테이프에 의하여 손톱에 접착될 수 있다. 인조 손톱은 손의 미적 외관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지만 인조 손톱은 합성수지 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접착제에 의하여 손톱에 부착되므로 손톱 주위의 피부에 화학 물질에 의한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인조 손톱과 손톱 사이에 틈이 발생되면 습기가 유입되어 다양한 형태의 균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는 인조 손톱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특허등록번호 10-1919951은 플랙서블 인조 손톱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국제공개번호 WO2009/119963은 다수의 섹션이 있는 인조 손톱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은 손톱의 위쪽 면에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손톱과 인조 손톱 사이에 접착성이 향상되도록 하다는 장점을 가지다.
그러나 손톱이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따른 형상의 불균일성으로 인하여 부착 상태에서 손톱과 인조손톱 사이에 분리되는 영역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밀착 특성 및 형상 유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대부분이 매니큐어와 동일한 원료로 구성되어 건조 전과 건조 후의 내구성이 약하여 지속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으며, 유연성 및 신축성이 자유롭지 못해 착용감과 부착성이 저하되어 손톱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지 못하여 심미성이 떨어지며, 지속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18-0095421((주)위더스아이엔씨코리아, 20180827 공개) 플렉서블 인조손톱
(특허문헌 0002) 선행기술 2: 국제공개번호 WO 2009/119963(정성용, 20091001 공개) 다수의 섹션이 있는 인조손톱 또는 팁 배열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8319호(프렌치 네일 겸용 네일 스티커, 2014년 11월 26일 등록)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622호(네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2014년 04월 28일 등록)
(특허문헌 000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3452호(건식 네일 스티커, 2013년 09월 23일 공개)
(특허문헌 00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2492호(UV 젤층 도포용 네일 스티커 및 그 적용방법, 2013년 12월 11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인조손톱을 손톱 접착부와 손톱 연장부와 구성하되, 상기 손톱 접착부와 손톱 연장부를 방사형 돌기라인으로 상하 좌우로 연결하여 인조손톱이 형상유지됨과 동시에 강성을 극대화시켜 쉽게 파손되지 않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토록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자연손톱의 큐티클층에 위치되는 큐티클 접착층과, 자연손톱의 중심부에 접착되는 손톱 중심부 접착층과, 자연손톱의 끝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손톱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톱 중심부 접착층은, 자연손톱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과, 자연손톱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과 가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은 상호 교차되면서 망형태로 설치하되, 중심부는 촘촘하고 외각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방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손톱 연장부에는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에 연장되어 손톱의 끝단까지 설치되는 연장 돌기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세로방향 수직 구조물은, 수직한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 1 수직 돌기 구조물 및 제 2 수직돌기 구조물과; 상기 제 1, 2 수직 돌기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제 3 수직 돌기 구조물 및 제 4 수직 돌기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은,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을 정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제 1 수평 구조물과; 상기 제 1 수평 구조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수직 돌기 구조물의 중간지점에 망 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수평 구조물 및 제 3 수평 구조물과; 상기 제 2, 3 수평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수직 돌기 구조물의 양끝지점에 망 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 4 수평 돌기 구조물 및 제 5 수평 돌기 구조물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2 수평 돌기 구조물 및 제 3 수평 돌기 구조물은 제 1 수평 돌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양끝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호 형태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4 수평 돌기 구조물 및 제 5 수평 돌기 구조물은 제 2 수평 구조물 및 제 3 수평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양끝단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호 형태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손톱 연장부는, 외부 열공급에 의해서 부피가 변화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저면에 더 부가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큐티클 접착층과 손톱 중심부 접착층의 테두리에 접착액을 담을 수 있는 접착액 삽입홈을 다수개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조손톱을 손톱 접착부와 손톱 연장부와 구성하되, 상기 손톱 접착부와 손톱 연장부를 방사형 돌기라인으로 상하 좌우로 연결하여 인조손톱이 형상유지됨과 동시에 강성을 극대화시켜 쉽게 파손되지 않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손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조손톱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조손톱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손톱에 인조손톱 연장부에 보강라인 설치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조손톱에 인조손톱 연장부에 형상기억 합금을 설치한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돌기 구조물 중에서 반원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돌기 구조물 중에서 직사각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의 돌기 구조물 중에서 삼각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6d는 본 발명의 돌기 구조물 중에서 중앙에 홈을 형성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인조손톱의 테두리에 접착액 삽입홈을 형성한 실시예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조손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조손톱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인조손톱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조손톱에 인조손톱 연장부에 보강라인 설치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인조손톱에 인조손톱 연장부에 형상기억 합금을 설치한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돌기 구조물 중에서 반원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돌기 구조물 중에서 직사각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의 돌기 구조물 중에서 삼각형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6d는 본 발명의 돌기 구조물 중에서 중앙에 홈을 형성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인조손톱(100)은 크게 큐티클 접착층(10)과, 손톱 중심부 접착층(20)과, 손톱 연장부(30)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돌기구조물이 손톱 중심부 접착층(20)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바, 상기 돌기구조물은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A)과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B)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세로방향 수직 구조물(A)은 수직한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 1 수직 돌기 구조물(1) 및 제 2 수직돌기 구조물(2)과, 상기 제 1, 2 수직 돌기 구조물(1, 2)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제 3 수직 돌기 구조물(3) 및 제 4 수직 돌기 구조물(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제 1 수직 돌기 구조물(1)과 제 2 수직 돌기 구조물(2)을 가로지는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B)이 다수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B)은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A)을 정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제 1 수평 구조물(a)과, 상기 제 1 수평 구조물(a)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수직 돌기 구조물의 중간지점에 망 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수평 구조물(b) 및 제 3 수평 구조물(c)과, 상기 제 2, 3 수평 구조물(b, c)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수직 돌기 구조물의 양끝지점에 망 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 4 수평 돌기 구조물(d) 및 제 5 수평 돌기 구조물(e)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2 수평 돌기 구조물(b) 및 제 3 수평 돌기 구조물(c)은 제 1 수평 돌기 구조물(a)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양끝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호 형태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4 수평 돌기 구조물(d) 및 제 5 수평 돌기 구조물(e)은 제 2 수평 구조물(b) 및 제 3 수평 구조물(c)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양끝단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호 형태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다수개의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B)과 다수개의 세로방향 겹쳐지면서 망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정중앙을 중십으로 사방으로 방사형 방향으로 돌기가 펼쳐지는 구조를 이루도록하며, 이때 가장자리로 갈수록 라운드진 형태로 퍼져나가도록하여 인조손톱의 강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즉, 종래의 인조손톱은 텐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강성이 부족한 상태로 출시되기 때문에 외부의 조그마한 충격에도 훼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돌기 구조물이 상호 얽히면서 인조손톱을 지지하여 외부 충격에 따른 훼손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돌기 구조물이 외부로 갈수록 펼쳐지도록 제작하기 때문에 가장자리의 충격이 중심으로 모여든다음 손톱으로 향하도록하여 손톱의 지지력에 의해서 인조손톱이 보호되어 충격에 따른 훼손이 더욱더 보호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인조손톱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은 세로방향 수직 구조물(A)과 가로방향 수평 구조물(B)을 통해 중앙으로 모아지게 되며 중앙으로 모아진 충격은 손톱을 통해 빠져나가기 때문에 파손의 위험이 적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충격감쇄의 원리는 외부 충격을 기둥으로 모아서 전달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외부에서 인조손톱에 충격이 가해지면 세로방향 수직 구조물과 가로방향 수평 구조물이 모아서 중심으로 이동시킨후 손톱으로 빠져나가는 원리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조손톱이 손톱과 밀착되는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돌기 구조물의 단면을 다양화할 수 있다.
즉, 돌기 구조물의 단면을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직사각형의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돌출부와 오목부가 다수개 반복되는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구조물에 진공 압착이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홀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홀은 돌기 구조물의 가장자리에만 형성하여 인조손톱의 가장자리가 손톱의 끝단에 용이하게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돌기 구조물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돌기 구조물의 단면을 삼각형으로 제작할 수 도 있고, 아니면 반구형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손톱의 손톱 연장부에 다수개의 방사형 보강 라인(50)을 더 부가하여 설치할 수 있는바, 상기 방사형 보강라인은 손톱 중심부 접착층에 설치되는 돌기 구조물에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인조손톱(100)의 손톱 연장부(30)에 다수개의 방사형 보강라인(50)을 설치하되, 상기 방사형 보강라인은 돌기 구조물의 끝단부부터 연장부의 끝단까지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방사형 보강라인을 설치하게 되면 손톱 연장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인조손톱의 중앙으로 유도한 다음 손톱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다시말해서 큐티클 접착층과 손톱 중심부 접착층은 하단에 손톱이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덜 민감할 수 있으나, 손톱 연장부는 하단에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대한 흡수가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깨지거나 금이 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손톱 중심부 접착층에 설치되는 돌기 구조물로부터 방사형으로 보강라인을 더 부가하게 되면 손톱 연장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사형 보강라인으로부터 돌기 구조물로 유도하여 손톱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손톱 연장부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조 손톱을 자연 손톱에 접착시킨후에 사용할 때 머리카락이 끼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바, 이는 머리카락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손톱의 가장자리에 머리카락이 위치하게 되면 인조 손톱과 자연손톱 사이를 파고들어 끼이게 되고 이에 따라 머리카락이 뽑히면서 매우 큰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인조 손톱이 자연손톱으로부터 들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머리카락이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일은 머리를 감을때 많이 나타나게 되며, 이는 뜨거운 물에 인조 손톱이 접촉되는 순간 접착액이 미세하게 녹으면서 인조 손톱과 자연손톱 사이를 파고 들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는 인조 손톱과 자연 손톱의 결합부에서 측면 가장자리보다 인조손톱 연장부를 통해 머리카락 끼임 사고가 주로 발생한다.
이는 인조손톱과 자연손톱의 결합되는 부위를 살펴보았을때 가장자리는 자연손톱이 지지하고 있으므로 쉽게 접착액이 녹거나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지만, 인조손톱이 연장부의 하단에는 아무것도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쉽게 침투되면서 인조손톱을 자연손톱으로부터 들어 올리게 되어 머리카락의 끼임 사고가 많이 발생 되는 것이다.
즉, 머리카락을 감기 위해서 뜨거운 물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뜨거운 물이 인조손톱에 맞닿을때 인조손톱과 자연손톱의 접착액을 미세하게 녹이면서 그 사이가 틈새가 발생하면서 들뜨게 되고 상기 틈새로 머리카락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조손톱의 연장부 초입부에 형상기억 합금 라인(40)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형상기억 합금 라인인 외부 열을 받으면 부피가 늘어나도록하여 인조 손톱과 자연손톱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 줌으로서 머리카락이 인조손톱과 자연손톱 사이로 끼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였다.
아울러 한번 틈새가 발생하면 수분이 틈새로 침투하면서 틈새가 계속 확장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최초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여 틈새의 확장 가능성을 막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인조손톱 사용자가 머리를 감기 위해서 따뜻한 물을 사용할 경우 상기 따뜻한 물이 형상기억 합금라인에 열을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형상기억 합금라인의 부피가 늘어나면서 인조손톱과 자연손톱의 사이를 완벽하게 차단하게 되어 틈새 발생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으로서 머리카락이 인조손톱의 연장부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인조손톱 연장부 초입부에 형상기억 합금라인을 부가 설치하되 자연손톱의 끝단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머리를 감을때 부피가 커져서 인조손톱과 자연손톱 사이를 완전하게 매꾸어서 머리카락이 들어갈 틈새가 발생하지 않토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머리카락이 인조손톱과 자연손톱 사이로 들어가서 발생하는 머리카락 끊김과 통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큐티클 접착층과 손톱 중심부 접착층의 테두리에 접착액을 담을 수 있는 접착액 삽입홈(40)을 다수개 더 설치하여 큐티클 접착층과 손톱 중심부 접착층의 테두리에 보다 많은 접착액이 담겨지도록함으로서 인조손톱을 자연손톱에 부착하였을 경우 자연손톱으로부터 테두리 부분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 큐티클 접착층의 테두리와 손톱 중심부 접착층의 테두리부는 외부 충격이나 수분에 의해서 쉽게 탈락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접착액 삽입홈을 더 부가설치하게 되면 인조손톱에 접착액을 도포할때 상기 접착액 삽입홈에 더 많은 접착액이 존재하게 되면서 자연손톱과 접착시 보다 더 단단히 접착될 수 있는 것이다.
10: 큐티클 접착층
20: 손톱 중심부 접착층
30: 손톱 연장부
100: 인조손톱
A: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
B: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

Claims (7)

  1. 자연손톱의 큐티클층에 위치되는 큐티클 접착층과, 자연손톱의 중심부에 접착되는 손톱 중심부 접착층과, 자연손톱의 끝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손톱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톱 중심부 접착층은,
    자연손톱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과,
    자연손톱을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과 가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은 상호 교차되면서 망형태로 설치하되, 중심부는 촘촘하고 외각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방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손톱 연장부에는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에 연장되어 손톱의 끝단까지 설치되는 연장 돌기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은,
    수직한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는 한쌍의 제 1 수직 돌기 구조물 및 제 2 수직돌기 구조물과;
    상기 제 1, 2 수직 돌기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쌍의 제 3 수직 돌기 구조물 및 제 4 수직 돌기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수평 돌기 구조물은,
    세로방향 수직 돌기 구조물을 정 중앙으로 가로지르는 제 1 수평 구조물과;
    상기 제 1 수평 구조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수직 돌기 구조물의 중간지점에 망 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 2 수평 구조물 및 제 3 수평 구조물과;
    상기 제 2, 3 수평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수직 돌기 구조물의 양끝지점에 망 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제 4 수평 돌기 구조물 및 제 5 수평 돌기 구조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 돌기 구조물 및 제 3 수평 돌기 구조물은 제 1 수평 돌기 구조물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양끝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호 형태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수평 돌기 구조물 및 제 5 수평 돌기 구조물은 제 2 수평 구조물 및 제 3 수평 구조물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하되 양끝단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호 형태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톱 연장부는,
    외부 열공급에 의해서 부피가 변화하는 형상기억 합금을 저면에 더 부가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큐티클 접착층과 손톱 중심부 접착층의 테두리에 접착액을 담을 수 있는 접착액 삽입홈을 다수개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KR1020210160024A 2021-11-19 2021-11-19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KR10237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024A KR102376639B1 (ko) 2021-11-19 2021-11-19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024A KR102376639B1 (ko) 2021-11-19 2021-11-19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639B1 true KR102376639B1 (ko) 2022-03-21

Family

ID=8093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024A KR102376639B1 (ko) 2021-11-19 2021-11-19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6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438A (ko) * 2007-12-04 2009-06-09 전석호 착탈이 용이한 인조손톱
KR20180095421A (ko) * 2017-02-17 2018-08-27 (주)위더스아이엔씨코리아 플랙서블 인조손톱
KR20210027881A (ko) * 2019-09-03 2021-03-11 이광권 밀착 특성 및 형상 유지 특성이 향상된 인조 손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438A (ko) * 2007-12-04 2009-06-09 전석호 착탈이 용이한 인조손톱
KR20180095421A (ko) * 2017-02-17 2018-08-27 (주)위더스아이엔씨코리아 플랙서블 인조손톱
KR20210027881A (ko) * 2019-09-03 2021-03-11 이광권 밀착 특성 및 형상 유지 특성이 향상된 인조 손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3992D1 (de) Herzschrittmachersystem mit verbesserter Programmodifizierungsfähigkeit
KR102376639B1 (ko) 자연손톱에 강하게 밀착 결합되는 인조손톱
JPS596004A (ja) バンド
PT1017265E (pt) Esteira de proteccao para plantas tendo nomeadamente a configuracao de um disco perfurado
KR102376632B1 (ko) 밀착 및 형상유지를 위한 강성 기능을 갖는 인조손톱
KR101380960B1 (ko)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JP2009299256A (ja) 弾性舗装体
CN103911932A (zh) 视觉障碍者用诱导板的保护垫
JP2001336231A (ja) 床下防蟻構造及び床下防蟻方法
JP6214175B2 (ja) 土木用シートの施工方法
KR101733359B1 (ko) 토사유실 방지용 산책로
KR101022495B1 (ko) 사면용 시공석 조립체
KR20190092342A (ko) 탄성 섬유와 벨크로 접착포로 구성된 낚싯대 분실 방지용 기구
KR200454068Y1 (ko) 로프 결박이 용이한 김발 간답대
US6951829B2 (en) Nonwoven scouring fabric
FR2718481B1 (fr) Pieu fourreau avec blocage. Pour fixation et ancrage au sol.
KR100886362B1 (ko) 기모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섬유시트와 연결테이프를 이용한방수공법
KR102202683B1 (ko) 가발 및 그 제작방법
CN219727520U (zh) 一种防滑复合无纺布
KR200267068Y1 (ko) 가로수 보호대
JP6511660B2 (ja) テント
CN211268270U (zh) 一种诱蝇球
CN216733249U (zh) 一种再生无纺布
DE69830206D1 (de) Transportband mit aus drei verflochtenen schichten bestehendem verstärkungsgewebe
CN206729702U (zh) 除虫组合地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