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230B1 -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230B1
KR102376230B1 KR1020200051305A KR20200051305A KR102376230B1 KR 102376230 B1 KR102376230 B1 KR 102376230B1 KR 1020200051305 A KR1020200051305 A KR 1020200051305A KR 20200051305 A KR20200051305 A KR 20200051305A KR 102376230 B1 KR102376230 B1 KR 10237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hange
change material
polyurethane foam
layer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4093A (ko
Inventor
최경만
김태현
박재형
백인규
이경준
정환익
윤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조하이텍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조하이텍,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조하이텍
Priority to KR102020005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2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32B27/2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the fillers creating voids or cavities, e.g. by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전이물질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단열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전이물질을 필름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의 불균일한 혼합 및 이송 배관 막힘 현상을 해결할 수 있고, 연속 제조 공정이 가능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POLYURETHANE FOAM INS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전이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단열 효과가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 공정이 용이하여 공정 효율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전이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은 고체상에서 액상으로 용융될 때 열이 흡수되어 물질이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동안 잠열로서 저장되고 고화될 때, 즉 액상에서 고상으로 전환될 때 잠열을 방출하는 것으로서 냉난방분야, 전자제품의 방열판, 의복 등의 생활산업분야, 식품산업분야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전이물질을 고분자 재료의 첨가제용으로 사용하려면 상전이 공간이 필요하다. 상전이물질을 특별한 처리없이 고분자 재료에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전이 물질이 고분자 재료 표면으로 이행(migration)하여 누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분자 재료 내부에서 상전이물질이 상전이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상전이 에너지가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다공성 무기질과 같은 구조체에 상전이물질을 침투시키는 함침법(impregnation method)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단열이란 열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에너지 열손실의 40% 이상을 벽의 열손실이 차지하고 있는데, 건축물의 콘크리트나 벽돌의 미세한 기공을 통해 공기가 건축물의 내·외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된다. 따라서,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추운 현상이 발생하고 에너지 소비가 커 비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이러한 건축물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적정한 단열 설계와 단열재의 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단열재로는 스티로폼과 유리섬유가 있는데, 스티로폼은 가격이 싸고 구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운반 시 패널형태로 이루어져 많은 물량을 운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성에 문제가 있고 두께가 두꺼워 생활공간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불의 전도가 빠르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화재로부터 매우 위험한 단점이 있으며, 유리섬유 같은 경우는 불연 단열재로써 화재 시 화염이 급속하게 확산되는 것은 지연할 수 있으나, 표면에 다른 물질을 부착하지 않는 한 내압성이나 내압축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사용 취급 시 분진에 의한 인체의 호흡기 질환을 야기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우레탄 소재를 활용한 발포 단열재가 주목받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전이물질은 열을 일정량 흡수나 방출하여 상변화에 사용하므로 단열재에 상전이물질을 사용하면 열 전달을 지연시켜 단열재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기존에는 상전이물질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원료인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에 첨가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밀도와 점도 차이로 인하여 탱크 조 내의 원료에서 층 분리가 발생하고 이송 배관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502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째 과제는 상전이물질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전이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됨으로써 단열 효과가 우수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는 상전이물질을 필름 형태로 형성하여 연속 제조 공정이 가능하여 공정 효율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 10 ~ 60 중량부로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이 적층되어 적층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이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일면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이 연속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은 상전이물질이 다공성 담체의 기공에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는 수성 수지 에멀젼이고, 상기 수성 수지 에멀젼은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폴리비닐알코올계 에멀젼 및 아크릴계 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면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면재층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면재층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최외층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20 ≤ TI / TP ≤ 250
(TI :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두께, TP :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
나아가, 본 발명은 (1)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 10 ~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는 4000 ~ 10000 cps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의 도포 및 건조는 이형지 상에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열풍 건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이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상부 및 상기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하부 각각에 면재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전이물질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단열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전이물질을 필름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의 불균일한 혼합 및 이송 배관 막힘 현상을 해결할 수 있고, 연속 제조 공정이 가능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면재층이 적층된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온도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외관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상전이물질을 사용한 단열재 제조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원료인 폴리올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에 상전이물질을 첨가하여 이루어졌고, 이 경우 밀도와 점도 차이로 인하여 탱크 조 내의 원료에서 층 분리가 발생하고 이송 배관이 막히는 한계점이 있었다. 또한, 상전이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못하여 단열 효과가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 20 ~ 50 중량부로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를 제공하여 상술한 한계점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단열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가 두 개의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 10B)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 (11)이 바인더(12) 내에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은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바인더(12) 내에 골고루 분산됨으로써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존재하는 필름층으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전이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s)은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하는 일종의 물리적 변화 과정을 통하여 열을 축적하거나 저장한 열을 방출하는 물질로, 잠열저장물질' 또는 '잠열축열물질'로 호칭될 수 있다. 이러한 상전이물질은 액체 또는 고체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존재하며, 외부로 열을 방출하거나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할 경우에 소정의 온도에서 그 상(phase)이 가역적으로 서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방출되거나 흡수된 열량이 물질의 온도 상승에 기여하지 못하고 상변환에 기여함으로써, 작용한 열량에 비하여 물질의 온도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 따라서, 주위의 온도가 떨어지더라도 상전이 물질의 상전이 과정에서 보유하고 있던 열이 모두 방출되어야 온도 변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짐으로 단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상전이물질은 해당 기술 분야 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직쇄형 포화 탄화수소인 테트라데칸, 옥타데칸, 노나데칸 등의 유기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지방족 또는 방향족의 화합물인 프로피온아미드, 나프탈렌, 아세트아미드, 비페닐,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콜, 파라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에틸리노세레이트, 캄판, 3-헵타데카논, 시안아미드, 라우르산, 카프롤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라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소수 13 내지 28개의 포화탄화수소의 수화물 형태의 무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기물로는 예를 들어 Fe2O3·4SO3·9H20, NaNH4SO4·2H2O, NaNH4HPO4·2H2O, NaNH4HPO4·4H2O, FeCl3·2H2O, Na3PO4·12H2O, Na2SiO3·5H2O, Ca(NO3)2·3H2O, K2HPO4·3H2O, Na2SiO3·9H2O, Fe(NO3)3·9H2O, K3PO4·7H2O, NaHPO4·12H2O, CaCl2·6H2O, Na2SO4·10H2O, Na(CH3COO) 3H2O  등, 폴리에틸렌글리콜, 일부 산 및 산과의 공융혼합물, 예를 들어 n-옥타노산, n-옥타데칸, n-에이코산, 아세트산, 젓산, 클로로아세트산 등을 단독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전이 물질은 순수한 단일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적어도 2종류 이상의 상전이 물질을 혼합하여 공융 혼합물을 형성하거나 수화 정도를 조절하여 넓은 온도 범위에서 높은 열량의 입·출입을 동반한 상전이가 가능한 상전이 물질을 수득할 수 있다.
상전이물질의 상변화 온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15 ~ 30℃일 수 있다.
또한,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란 상전이물질이 코팅되어 캡슐화되거나 다공성 담체의 기공에 함침되어 캡슐화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전이물질이 다공성 담체의 기공에 함침된 하이브리드형일 수 있다.
이 때, 다공성 담체란 상전이물질이 상전이 과정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물질을 말한다.
다공성 담체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활성탄소, 알루미나, 탄화규소, 지르코니아, 플라이애쉬 등이 있으며, 반응성이 약한 다공성 물질이면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공성 담체로서 실리카의 소결체, 제올라이트의 소결체, 벤토나이트의 소결체, 활성탄소의 소결체, 알루미나의 소결체, 탄화규소의 소결체, 지르코니아의 소결체, 플라이애쉬의 소결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들 세라믹 입자를 소결하는 경우, 소결 후의 세라믹 소결체는 입자 간에 틈(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틈을 이용하여 상전이물질의 함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은 바인더(12) 기재 내에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골고루 분포되어 형성된다. 바인더(12)는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되 이들을 바인딩하여 균일한 혼합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12)는 수성 수지 에멀젼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성 수지 에멀젼은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폴리비닐알코올계 에멀젼 및 아크릴계 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에멀젼은 적어도 두가지의 섞이지 않는 액상들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중 한가지 액상은 다른 액상 중에 분산되어 있는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계를 의미한다.
상기 물질을 바인더(12)로 사용하는 경우에 혼합 후에 층 분리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바인더(12) 기재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혼합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이송 배관이 막히는 등의 제조 공정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단열성이 현저히 향상된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은 바인더(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을 10 ~ 60 중량부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인더(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을 20 ~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인더(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을 25 ~ 4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인더(12) 및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바인더(12) 기재 내에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균일하게 분포된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과 함께 사용됨으로써 단열층의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의 단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는 0.1 ~ 1.5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1mm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 1mm일 수 있다.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함량의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단열 효과가 우수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포 및 건조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만일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단위 면적당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의 함유량이 적게 함유되어 열 차단 성능이 저하되어 단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만일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위 면적당 다량의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을 함유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수회 도포 및 건조하여 필름층을 형성하여야 하는 바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은 발포된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져 단열 효과를 발현하는 층(layer)를 의미한다.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은 발포를 위한 가스가 폴리우레탄 내부에 머물러 단열성이 뛰어난 특성이 있다.
기존에는 폴리우레탄 발포폼의 원료인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액상형 상전이물질이 직접 첨가되어 단열재를 제조하였는데, 이 경우 밀도와 점도 차이에 의하여 층 분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상전이물질의 균일한 분포가 어려워 단열 효과가 저하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원료의 층 분리 현상 등에 의하여 이송 배관 막힘 현상 등이 발생하여 제조 공정 상의 어려움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전이물질을 필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을 별도의 층(layer)으로 형성하여 상술한 한계점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라 폴리우레탄 발포폼의 원료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물성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을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별도의 필름층으로 형성된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두께는 20 ~ 25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두께는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계식 1]
20 ≤ TI / TP ≤ 250
(TI :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두께, TP :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두께 대비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가 상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단열층의 두께 대비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어 단열층의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어 단열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는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이 적층되어 적층형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이 적층되어 레이어-바이-레이어(Layer-by-Layer)의 적층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단열 효과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에 의하여 보완되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을 참조하면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이 적층형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나아가 복수의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이 형성됨으로써 샌드위치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B)이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이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B) 사이에 형성되어 적층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상부 및 하부 모두에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이 형성됨으로써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외측에 골고루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게 되어 단열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적층 구조 및 층 배치를 포함하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B)을 하나의 반복 단위로 하여 수회 반복 적층된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적층 반복 횟수는 1 ~ 5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회일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일면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이 연속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이 연속하여 적층되는 경우에는 해당 방면으로의 열 전달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어 단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는 적어도 하나의 면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면재층에 의하여 단열 효과 및 방습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재층은 부직포, 종이 및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는 의미는 하나의 면재층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부직포, 종이 및 알루미늄 호일 중 어느 하나이되, 둘 이상의 면재층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부직포, 종이 및 알루미늄 호일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는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 10B),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 면재층(30)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면재층(30)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면재층(30)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의 최외층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이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 10B)의 사이에 형성되고, 면재층(30)도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의 면재층(30A)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면재층(30B)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B)의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면재층들(30A, 30B)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의 최외층을 이룰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재층(30)이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의 최외층을 이루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의 가운데 위치하게 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단열 효과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면재층(30)에 의하여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보온 및 방습 효과도 우수하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면재층(30)의 두께는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 5mm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2m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1mm일 수 있다.
면재층(3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면재층(30)에 의하여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의 단열 효과 및 방습 효과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면재층(30)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일면에 적층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면재층(3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40)을 형성함으로써 면재층(30)이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일면에 접착되어 적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면재층(30)이 적층된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면재층(30)이 접착층(40)에 의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에 접착되어 적층됨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한계점의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1) 바인더(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 20 ~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3)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원료 및 상전이물질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이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어 단열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전이물질을 필름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의 불균일한 혼합 및 이송 배관 막힘 현상을 해결할 수 있고, 연속 제조 공정이 가능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공정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 제조방법은 (1) 바인더(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 10 ~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S10), (2)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3)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을 적층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존재하는 필름층을 형성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의 불균일한 혼합 및 이송 배관 막힘 현상을 해결할 수 있고, 필름의 적층은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연속 제조 공정이 가능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먼저, (1) 바인더(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 10 ~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S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1) 단계는 바인더(12) 기재 내에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교반을 수행함으로써 혼합 조성물을 형성함으로써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는 4000 ~ 10000 cps 일 수 있다. 혼합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혼합 조성물의 도포 단계에서 도포가 적절한 두께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건조 단계에서 건조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일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도포 단계에서 도포 두께가 약 100㎛ 이하로 얇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수회 반복하여 도포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 단계에서 수분을 제거하기가 어렵고, 건조되면서 수축이 발생하여 필름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필름의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필름을 롤(roll) 형태로 감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1) 단계에서 증점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증점제는 점도를 향상시켜 점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제제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으로 적절하게 첨가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바인더(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인더(12)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 1.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증점제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혼합 조성물의 점도가 상술한 바와 같이 4000 ~ 10000 cps로 보다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단열 효과, 물성 등의 특성을 해하지 않는 한에서 각종 첨가제를 더 포함하도록 혼합 조성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2)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형성하는 단계(S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2) 단계는 바인더(12) 및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11)을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형성한 후 이를 도포 및 건조하여 필름 형태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를 수행함으로써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의 도포 및 건조는 이형지 상에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열풍 건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이형지 상에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필름 형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포 및 건조는 수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포-건조를 하나의 반복 단위로 하여 상기 반복 단위를 수회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건조-도포-건조'와 같이 도포 및 건조를 반복 수행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포를 수회 반복 수행한 이후에 건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포-도포-도포-건조'와 같이 도포 및 건조를 수행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3)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을 적층하는 단계(S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3) 단계를 통해 상기 (2) 단계에서 형성한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과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을 적층하여 적층 구조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적층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이 레이어-바이-레이어(Layer-by-Layer) 형태를 이루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B)이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B) 사이에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이 형성됨으로써 단열층의 외면에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들(10A, 10B)이 골고루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전이물질에 의하여 단열층의 열 전달이 지연되어 단열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적층 구조 및 층 배치를 포함하면 족하나, 바람직하게는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B)을 하나의 반복 단위로 하여 수회 반복 적층된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적층 반복 횟수는 1 ~ 5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단계에서 상기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A)의 상부 및 상기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20)의 하부 각각에 면재층(30)을 더 적층할 수도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재층(30)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의 최외층을 이루도록 적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재층(30)이 적층되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1)의 가운데 위치하게 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단열 효과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면재층(30)에 의하여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보온 및 방습 효과도 우수하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면재층(30)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일면에 적층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 및 면재층(3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40)을 형성함으로써 면재층(30)이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일면에 접착되어 적층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상전이물질을 필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전이물질의 불균일한 혼합 및 이송 배관 막힘 현상을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열 효과가 향상됨과 동시에 공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따른 조성으로 혼합 조성물을 형성하고, 이를 이형지 상에 도포하였다. 도포-건조-도포-건조의 순서로 도포 및 건조를 수행하여 0.5mm 두께의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이형지를 제거하고, 이를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적층하여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따른 조성으로 혼합 조성물을 형성하고, 이를 이형지 상에 도포하였다. 도포-건조-도포-건조의 순서로 도포 및 건조를 수행하여 0.5mm 두께의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0.6mm 두께의 면재층을 적층하였다. 이형지를 제거하고, 이를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적층하여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하기 표 1에 따른 조성으로 혼합 조성물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폴리우레탄 폼 원료 혼합단계에서 상전이물질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0.6mm 두께의 면재층을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면 및 하면에 적층하여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를 제조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바인더 (중량부) 100 100 100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
(중량부)
캡슐형 30 40 -
하이브리드형 - - 40
증점제 (중량부) 1.5 0.3 1.0
혼합물 점도 cps 5,000 7,000 6,500
상전이 에너지 J/g 53 54 46
바인더: PU 바인더 메이커 (삼영폴리테크, 고형분 40%) 또는 PVA 수성 바인더
캡슐형 상전이물질: 에네트( 상전이 온도 24℃, 107~115J/g)
하이브리드형 상전이물질: 한국신발피혁연구원(상전이온도 28℃, 85~90J/g)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 ㈜우조하이텍 (열전도율 0.018 W/mK)
실험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를 50cm X 50cm X 50cm의 정육면체 형태로 절단한 후 축방열 시험기를 통해 하기 표 2와 같은 온도 조건 하에서 내부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측정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축방열시험기 온도 조건 승온 (15→35℃) 등온 (35℃) 냉각 (35→15℃) 등온 (15℃)
20 분 3 시간 20 분 3 시간
시간(분) 축방열 시험기 온도
(℃)
실시예 2
(℃)
비교예
(℃)
0 15.0 19.1 16.3
200 34.7 31.0 33.3
400 34.7 18.7 16.2
600 34.7 31.0 33.3
800 15.0 18.7 16.3
1000 34.7 30.9 33.3
1200 15.0 18.6 16.3
1400 34.7 31.0 33.4
1600 15.1 18.7 16.2
1800 34.7 30.9 33.3
2000 15.0 18.6 16.2
2200 34.7 31.0 33.4
2400 15.0 18.6 16.2
2600 34.7 30.9 33.4
2800 15.1 18.7 16.1
3000 34.7 31.0 33.4
상기 표 1 및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온도 변화가 현저히 작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온도 측정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 2의 경우가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하여 온도 변화가 현저히 작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외관 이미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외관은 갈라짐이나 크랙 등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열 효과가 우수한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및
    적어도 하나의 면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이 적층되며, 상기 면재층은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고,
    상기 면재층은 부직포, 종이,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은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 10 ~ 60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은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이 바인더 내에 분산되어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인더는 수성 수지 에멀젼이며, 상기 수성 수지 에멀젼은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폴리비닐알코올계 에멀젼 및 아크릴계 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은 상전이물질이 다공성 담체의 기공에 함침된 것이며,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관계식 1]
    20 ≤ TI / TP ≤ 250
    (TI :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두께, TP :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두께는 0.1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두께는 20 ~ 2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일면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이 연속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재층은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면재층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의 최외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9. 삭제
  10. (1) 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 10 ~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기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이 상기 바인더 내에 분산되어 균일하게 분포된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및
    (3)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바인더는 수성 수지 에멀젼이며, 상기 수성 수지 에멀젼은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폴리비닐알코올계 에멀젼 및 아크릴계 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1) 단계에서 상전이물질 마이크로캡슐은 상전이물질이 다공성 담체의 기공에 함침된 것이며,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는 4000 ~ 10000 cps이고,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이 적층되며, 상기 제1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상부 및 상기 제2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의 하부 각각에 면재층이 더 적층되고, 상기 면재층은 부직포, 종이,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 및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의 두께는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제조방법.
    [관계식 1]
    20 ≤ TI / TP ≤ 250
    (TI :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층(20)의 두께, TP : 상전이물질 함유 필름층(10)의 두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도포 및 건조는 이형지 상에 상기 혼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열풍 건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051305A 2020-04-28 2020-04-28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6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05A KR102376230B1 (ko) 2020-04-28 2020-04-28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05A KR102376230B1 (ko) 2020-04-28 2020-04-28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093A KR20210134093A (ko) 2021-11-09
KR102376230B1 true KR102376230B1 (ko) 2022-03-22

Family

ID=7861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305A KR102376230B1 (ko) 2020-04-28 2020-04-28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61968B (zh) * 2023-03-10 2024-02-20 西安理工大学 一种具有智能开关可切换的透波材料的制备方法及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050A1 (ja) * 2012-05-23 2013-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潜熱蓄熱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建材、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を用いた蓄熱材
KR101367420B1 (ko) 2013-03-10 2014-02-28 주식회사 탭스인터내셔널 상변화물질이 충전된 복합패널
KR101624334B1 (ko) 2014-03-26 2016-05-25 황창연 단열재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58598A (en) * 1998-02-13 1999-08-30 Triangle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Thermal insulating coating employing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andmethod
KR100481282B1 (ko) * 2002-04-30 2005-04-07 주식회사 에네트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도료조성물
KR101078687B1 (ko) * 2008-10-27 2011-11-01 주식회사 비 에스 지 지능성 냉각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3740B1 (ko) 2011-04-08 2017-11-03 주식회사 케이씨씨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cm용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050A1 (ja) * 2012-05-23 2013-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潜熱蓄熱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建材、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マイクロカプセルを用いた蓄熱材
KR101367420B1 (ko) 2013-03-10 2014-02-28 주식회사 탭스인터내셔널 상변화물질이 충전된 복합패널
KR101624334B1 (ko) 2014-03-26 2016-05-25 황창연 단열재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093A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075B2 (en) Phase change material-containing composition and related products and methods
US4572864A (en) Composite materials for thermal energy storage
US20130298991A1 (en) Phase change aggregates including particulate phase change material
JP5923623B2 (ja) 強化フェノールフォームボード
EP1472078B1 (en) Thermal barriers with reversible enhanced thermal properties
KR102058804B1 (ko) 열 관리를 위한 복합 재료
US20110108241A1 (en) Method for making phase change products from an 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US20030124278A1 (en) Thermal barriers with solid/solid phase change materials
EP3365506B1 (en) Insulation material arrangement and method for forming an insulation material
EP2310335B1 (en) A concrete mix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AU2017257395B2 (en) Insulation material arrangement
KR102376230B1 (ko)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3423B1 (ko) 팽창 퍼라이트·실리카 성형 구조체를 갖는 저밀도 무기질 파우더 진공단열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성형기
DE102008004485A1 (de) Verkapselung von organischen und anorganischen Latentwärmespeichermaterialien
CN113400739A (zh) 一种含气凝胶的相变储能保温板材、其制备方法及应用
WO2017043983A1 (en) Insulating and accumulation construction partition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KR100732625B1 (ko)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17250B1 (ko) 난연 및 내화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KR20180128815A (ko)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20140096756A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CN108977106A (zh) 一种一体化隔热膜及其制备方法
KR20170055437A (ko) 발포 폴리스티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폴리스티렌 폼의 제조방법
KR102534704B1 (ko) 난연 및 내구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KR101451178B1 (ko) 불연성 탄소섬유 하드 패널의 제조방법
KR102132923B1 (ko)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기능 및 축열성을 갖는 조립식 온돌바닥용 축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