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136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136B1
KR102376136B1 KR1020197010851A KR20197010851A KR102376136B1 KR 102376136 B1 KR102376136 B1 KR 102376136B1 KR 1020197010851 A KR1020197010851 A KR 1020197010851A KR 20197010851 A KR20197010851 A KR 20197010851A KR 102376136 B1 KR102376136 B1 KR 10237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s
vibrator
display cell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333A (ko
Inventor
도시히코 마스다
히로시 요시오카
히데유키 다구치
히로키 마츠오카
신페이 곤도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6Loudspeakers using the principle of inert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03Mems transducers or thei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의 표시 셀과, 표시 셀의 이면에 배치되고,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가진기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가진기는, 당해 복수의 가진기에 의해 표시 셀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박형 경량화가 급격한 신장을 거두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스피커에 대해서도 박형 경량화가 진행되어, 콘형 스피커 대신에, 플랫 패널 스피커(FPS)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플랫 패널 스피커에 있어서의 진동판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플랫 패널 스피커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로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301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591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10182호 공보
그러나, 종래에서는, 플랫 패널 스피커에 있어서의 진동판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 경우에, 표시 영상에 색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의 표시 셀과, 표시 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가진기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가진기는, 당해 복수의 가진기에 의해 표시 셀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셀의 이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가진기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에 의해 표시 셀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질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면서, 각 가진기에서 발생한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어느 정도 분산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에 따르면, 음질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면서, 각 가진기에서 발생한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어느 정도 분산되도록 하였으므로,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의 효과는, 여기에 기재된 효과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명세서 내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백 섀시를 분리하였을 때의, 표시 장치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A)는 도 5의 프린트 기판 코일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B)는 도 5의 평탄형 마그네트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A)는 도 5의 프린트 기판 코일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B)는 도 5의 평탄형 마그네트의 평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프린트 기판 코일, 진동 전달 부재 및 방열 시트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측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백 섀시를 분리하였을 때의, 표시 장치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B-B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B-B선에서의 단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1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1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 도 18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 도 18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백 섀시를 분리하였을 때의, 표시 장치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1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1의 표시 장치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도 26, 도 27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6, 도 27의 표시 장치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13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13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도 23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30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31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2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1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도 32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34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는, 도 35의 배면 구성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개시의 일 구체예이며,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제1 실시 형태>
[구성]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장치(1)는, 영상 표시면(10A)에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영상 표시면(10A)으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 장치(1)는, 플랫 패널 스피커를 영상 표시면(10A)에 내장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진동판으로서도 기능하는 패널부(10)와, 패널부(10)의 이면에 배치되고, 패널부(10)를 진동시키는 가진부(2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1)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부(20)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30)와, 패널부(10)를, 회동부(50)를 통하여 지지하는 지지부(40)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부(50)는, 지지부(40)에 의해 패널부(10)의 이면을 지지할 때의 패널부(10)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패널부(10) 및 지지부(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진부(20) 및 신호 처리부(30)는, 패널부(10)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10)는, 패널부(10)의 이면측에, 패널부(10), 가진부(20) 및 신호 처리부(30)를 보호하는 백 섀시(19)를 갖고 있다. 백 섀시(19)는, 예를 들어 판형의 금속판 혹은 수지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백 섀시(19)가 회동부(50)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은, 백 섀시(19)를 분리하였을 때의, 표시 장치(1)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에는, 후술하는 가진기(21)(액추에이터) 부근의 단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 단면 구성은, 다른 가진기(예를 들어 가진기(22)(액추에이터)) 부근의 단면 구성과 마찬가지의 단면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패널부(10)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의 표시 셀(11)과, 공극(15)을 사이에 두고 표시 셀(11)과 대향 배치된 이너 플레이트(12)(대향 플레이트)를 갖고 있다. 표시 셀(11)의 표면(가진부(20)와는 반대측의 표면)이 영상 표시면(10A)으로 되어 있다. 표시 셀(11)은, 예를 들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표시 화소를 갖고 있다. 복수의 표시 화소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에 마련된 유리 기판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표시 셀(11)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패널부(10)는, 추가로, 예를 들어 이너 플레이트(12)의 이면에 접하여 배치된 유리 기판(13)과,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의 사이에 배치된 고정 부재(14)를 갖고 있다.
고정 부재(14)는, 표시 셀(11)과 이너 플레이트(12)를 서로 고정하는 기능과, 공극(15)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고정 부재(14)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외측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14)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이 진동하고 있을 때 표시 셀(11)의 단부 에지가 자유단으로서 행동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도 된다. 고정 부재(14)는, 예를 들어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스펀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너 플레이트(12)는, 후술하는 가진기(21, 22)를 지지하는 기판이다. 이너 플레이트(12)는, 예를 들어 가진기(21, 22)를 설치하는 개소에 개구를 갖고 있다. 유리 기판(13)은, 이너 플레이트(12)보다 높은 강성을 갖고 있으며, 이너 플레이트(12)의 휨 혹은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유리 기판(13)은, 이너 플레이트(12)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고 있다. 유리 기판(13)에 마련된 개구는, 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를 삽입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유리 기판(13) 대신에, 유리 기판(13)과 동등한 강성을 갖는 수지 기판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가진부(20)는, 예를 들어 2개의 가진기(가진기(21, 22))를 갖고 있다. 가진기(21) 및 가진기(22)는, 서로 공통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진기(21, 22)는, 가진기(21, 22)에 의해 표시 셀(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음성 주파수(예를 들어 20Hz 내지 20kHz) 전체에 있어서 가장 진동하기 쉬운 개소를 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 22)는, 또한 가진기(21, 22)에 의해 표시 셀(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음성 주파수 전체에 있어서 가장 진동하기 어려운 개소를 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표시 셀(11)의 진동은, 예를 들어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를 사용하여, 표시 셀(11)의 면 전체의 진동을 음성 주파수 전체에 있어서 계측함으로써 얻어진다. 가진기(21, 22)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비율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비율」의 예로서는, 3:4, 5:7, 3:7, 2:5, 7:11 등을 들 수 있다.
도 6의 (A), 도 6의 (B)는, 가진기(21)의 일 구성예를 전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 도 7의 (B)는, 가진기(21)의 다른 구성예를 전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 도 6의 (B)에는, 가진기(21)가, 후술하는 평면 코일(21a2) 및 후술하는 영구 자석(21b2)을 포함하는 미소의 가진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 7의 (A), 도 7의 (B)에는, 가진기(21)가, 평면 코일(21a2) 및 영구 자석(21b2)을 포함하는 2개의 미소의 가진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가진기(21)는, 도 6의 (A), 도 6의 (B), 도 7의 (A), 도 7의 (B)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평면 코일(21a2) 및 영구 자석(21b2)을 포함하는 복수의 미소의 가진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진기(21)는, 표시 셀(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2)는, 표시 셀(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21, 22)는, 각각, 소정의 간극을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된 프린트 기판 코일(21A) 및 평탄형 마그네트(21B)를 가지며, 진동원으로 되는 스피커용 액추에이터이다.
프린트 기판 코일(21A)은,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평면 코일(21a2)(보이스 코일)이 실장된 프린트 기판(21a1)을 갖고 있다. 프린트 기판(21a1)은, 평면 코일(21a2)에 접속된 배선을 갖고 있다. 평면 코일(21a2)은, 후술하는 진동 전달 부재(23) 및 후술하는 방열 시트(24)를 통하여 표시 셀(11)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진기(21) 및 가진기(22)에 있어서, 평면 코일(21a2)은, 예를 들어 프린트 기판(21a1) 중 표시 셀(11)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평탄형 마그네트(21B)는,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극을 두고 평면 코일(21a2)과 대향하여 배치된 영구 자석(21b2)과, 영구 자석(21b2)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21b1)을 갖는 자기 회로이다.
프린트 기판 코일(21A)은,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평면 코일(21a2)(보이스 코일)이 실장된 프린트 기판(21a1)을 가져도 된다. 프린트 기판(21a1)은, 복수의 평면 코일(21a2)을 서로 직렬로 접속하는 배선을 갖고 있다. 복수의 평면 코일(21a2)은, 후술하는 진동 전달 부재(23) 및 후술하는 방열 시트(24)를 통하여 표시 셀(11)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진기(21) 및 가진기(22)에 있어서, 복수의 평면 코일(21a2)은, 예를 들어 프린트 기판(21a1) 중 표시 셀(11)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평탄형 마그네트(21B)는,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극을 두고 복수의 평면 코일(21a2)과 대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영구 자석(21b2)과, 복수의 영구 자석(21b2)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21b1)을 갖는 자기 회로여도 된다. 지지 기판(21b1) 상의 복수의 영구 자석(21b2)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영구 자석(21b2)의 S극과 N극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가진기(21, 22)는, 각각, 각 평면 코일(21a2)에 전기 신호의 음성 전류가 흐르면, 전자 작용의 원리에 따라 각 평면 코일(21a2)에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구동력이 후술하는 진동 전달 부재(23)를 통하여 표시 셀(11)에 전달되고, 표시 셀(11)에 음성 전류의 변화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켜, 공기가 진동하여 음압이 변화한다.
가진부(20)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기(가진기(21, 22))마다, 진동 전달 부재(23) 및 방열 시트(24)를 갖고 있다.
방열 시트(24)는, 표시 셀(11)과 각 가진기(가진기(21) 및 가진기(22))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방열 시트(24)는, 표시 셀(11)의 이면에 접합되어 있다. 방열 시트(24)는, 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산시키는 기능(고열전도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소리의 진동을 표시 셀(11)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 시트(24)는, 예를 들어 금속제(예를 들어 알루미늄)의 박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방열 시트(24)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의 박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3)는, 예를 들어 방열 시트(24)와, 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의 프린트 기판(21a1)에 접해 있으며, 방열 시트(24)와, 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의 프린트 기판(21a1)에 고정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3)는, 적어도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는 반발하는 특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3)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양면 테이프, 또는 저반발 우레탄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3)가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진동 전달 부재(23)는, 예를 들어 각 평면 코일(21a2)에 통전함으로써 각 평면 코일(21a2)에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진동 전달 부재(23)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진동 전달 부재(23)는, 예를 들어 각 평면 코일(21a2)에 일정한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양면 테이프를 각 평면 코일(21a2)로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방열 시트(24)와, 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의 프린트 기판(21a1)에 고정된다. 진동 전달 부재(23)가 저반발 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저반발 우레탄은,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는 반발하는 특성을 가짐과 함께, 주파수가 낮은 영역(20Hz 미만)에서는 추종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반발 우레탄은, 소리의 진동을 감쇠시키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표시 셀(11)의 변위에 추종시킬 수 있다.
[효과]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의 박형 경량화가 급격한 신장을 거두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스피커에 대해서도 박형 경량화가 진행되어, 콘형 스피커 대신에, 플랫 패널 스피커(FPS)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플랫 패널 스피커에 있어서의 진동판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플랫 패널 스피커에 있어서의 진동판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 경우에, 표시 영상에 색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에서는, 표시 셀(11)의 이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가진기(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 내의 복수의 미소의 가진기)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 내의 복수의 미소의 가진기)에 의해 표시 셀(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 내의 복수의 미소의 가진기)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평면 코일(21a2)이 공통의 프린트 기판(21a1)에 고정되어 있고, 그 프린트 기판(21a1)이 표시 셀(11)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음질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면서, 각 가진기에서 발생한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어느 정도 분산된다. 그 결과,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에서는, 표시 셀(11)과 각 가진기(가진기(21) 및 가진기(22))의 사이에 복수의 방열 시트(24)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각 가진기(가진기(21) 및 가진기(22))에 있어서, 방열 시트(24)를 통하여 표시 셀(11)의 이면에 복수의 평면 코일(21a2)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평면 코일(21a2)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 시트(24)를 통하여 외부로 방산된다. 또한, 복수의 평면 코일(21a2)이 표시 셀(11)의 이면과 평행인 면 내에 배치되므로, 각 평면 코일(21a2)에서 발생한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어느 정도 분산된다. 그 결과,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에서는, 각 가진기(가진기(21) 및 가진기(22))에 있어서, 복수의 평면 코일(21a2)은, 프린트 기판(21a1) 중 표시 셀(11)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방열 시트(24)와, 각 평면 코일(21a2)의 사이에는, 프린트 기판(21a1)에 의해 간극이 형성되므로, 각 평면 코일(21a2)에 전류가 흘렀을 때 형성되는 자계의 통과로가 프린트 기판(21a1)에 의해 확보된다. 그 결과, 음성 출력에 지장을 미치지 않고,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2.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40) 및 회전부(50)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표시 장치(1)를, 벽 등에 마련된 훅에 걸기 위한 오목부(32)가 백 섀시(19)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제2 실시 형태>
[구성]
이어서,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2)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장치(2)는, 영상 표시면(60A)에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영상 표시면(60A)으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 장치(2)는, 플랫 패널 스피커를 영상 표시면(60A)에 내장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표시 장치(2)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진동판으로서도 기능하는 패널부(60)와, 패널부(60)의 이면에 배치되고, 패널부(60)를 진동시키는 가진부(7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2)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부(60)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부(80)와, 패널부(60)를, 회동부(100)를 통하여 지지하는 지지부(90)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부(100)는, 지지부(90)에 의해 패널부(60)의 이면을 지지할 때의 패널부(60)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패널부(60) 및 지지부(9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진부(70) 및 신호 처리부(80)는, 패널부(60)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60)는, 패널부(60)의 이면측에, 패널부(60), 가진부(70) 및 신호 처리부(80)를 보호하는 백 섀시(69)를 갖고 있다. 백 섀시(69)는, 예를 들어 판형의 금속판 혹은 수지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백 섀시(69)가 회동부(100)에 연결되어 있다.
도 13은, 백 섀시(69)를 분리하였을 때의, 표시 장치(2)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3의 B-B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5에는, 후술하는 가진기(71)(액추에이터) 부근의 단면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이 단면 구성은, 다른 가진기(예를 들어 가진기(72)(액추에이터)) 부근의 단면 구성과 마찬가지의 단면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패널부(60)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의 표시 셀(61)과, 공극(65)을 사이에 두고 표시 셀(61)과 대향 배치된 이너 플레이트(62)(대향 플레이트)를 갖고 있다. 표시 셀(61)의 표면(가진부(70)와는 반대측의 표면)이 영상 표시면(60A)으로 되어 있다. 표시 셀(61)은, 예를 들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표시 화소를 갖고 있다. 복수의 표시 화소는, 예를 들어 표시 셀(61)에 마련된 유리 기판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표시 셀(61)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패널부(60)는, 추가로, 예를 들어 이너 플레이트(62)의 이면에 접하여 배치된 유리 기판(63)과, 표시 셀(61)과 이너 플레이트(62)의 사이에 배치된 고정 부재(64)를 갖고 있다.
고정 부재(64)는, 표시 셀(61)과 이너 플레이트(62)를 서로 고정하는 기능과, 공극(65)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고정 부재(64)는, 예를 들어 표시 셀(61)의 외측 에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고정 부재(64)는, 예를 들어 표시 셀(61)이 진동하고 있을 때 표시 셀(61)의 단부 에지가 자유단으로서 행동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도 된다. 고정 부재(64)는, 예를 들어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스펀지 등의 완충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너 플레이트(62)는, 후술하는 가진기(71, 72)(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하우징(71A))를 지지하는 기판이다. 이너 플레이트(62)는, 예를 들어 가진기(71, 72)를 설치하는 개소에 개구를 갖고 있으며, 그 개구의 주위에, 가진기(71, 72)를 지지하기 위한 볼록부(62A)를 갖고 있다. 볼록부(62A)는, 표시 셀(61)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유리 기판(63)은, 이너 플레이트(62)보다 높은 강성을 갖고 있으며, 이너 플레이트(62)의 휨 혹은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갖고 있다. 유리 기판(63)은, 볼록부(62A)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고 있다. 유리 기판(63)에 마련된 개구는, 볼록부(62A) 및 가진기(21) 혹은 가진기(22)를 삽입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유리 기판(63) 대신에, 유리 기판(63)과 동등한 강성을 갖는 수지 기판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가진부(70)는, 예를 들어 2개의 가진기(가진기(71) 및 가진기(72))를 갖고 있다. 가진기(71) 및 가진기(72)는, 서로 공통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진기(71, 72)는, 가진기(71, 72)에 의해 표시 셀(6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음성 주파수(예를 들어 20Hz 내지 20kHz) 전체에 있어서 가장 진동하기 쉬운 개소를 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71, 72)는, 또한 가진기(71, 72)에 의해 표시 셀(6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음성 주파수 전체에 있어서 가장 진동하기 어려운 개소를 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표시 셀(61)의 진동은, 예를 들어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를 사용하여, 표시 셀(61)의 면 전체의 진동을 음성 주파수 전체에 있어서 계측함으로써 얻어진다. 가진기(71, 72)는, 예를 들어 표시 셀(61)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비율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비율」의 예로서는, 3:4, 5:7, 3:7, 2:5, 7:11 등을 들 수 있다.
가진기(71)는, 표시 셀(6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72)는, 표시 셀(6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71, 72)는, 각각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과, 보이스 코일을 감는 보빈과, 자기 회로를 가지며, 진동원으로 되는 스피커용 액추에이터이다. 가진기(71, 72)는, 각각, 추가로 보이스 코일 및 보빈을 진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함과 함께, 자기 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71A)을 갖고 있다. 하우징(71A)은, 다이캐스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로 만들어져 있으며, 방열성이 우수하다. 하우징(71A)은, 예를 들어 하우징(71A)을 볼록부(62A)에 고정할 때 사용하는 나사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나사 구멍(73a)을 갖고 있다. 각 가진기(가진기(71) 및 가진기(72))에 있어서, 하우징(71A)은 이너 플레이트(62)에 고정되어 있다.
가진기(71, 72)는, 각각, 보이스 코일에 전기 신호의 음성 전류가 흐르면, 전자 작용의 원리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구동력이 후술하는 진동 전달 부재(73)를 통하여 표시 셀(61)에 전달되고, 표시 셀(61)에 음성 전류의 변화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켜, 공기가 진동하여 음압이 변화한다.
가진부(70)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기(가진기(71, 72))마다, 진동 전달 부재(73)를 갖고 있다.
진동 전달 부재(23)는, 예를 들어 표시 셀(61)의 이면과, 가진기(71) 혹은 가진기(72)의 보빈에 접해 있고, 표시 셀(61)의 이면과, 가진기(71) 혹은 가진기(72)의 보빈에 고정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73)는, 적어도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는 반발하는 특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73)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양면 테이프, 또는 저반발 우레탄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73)가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진동 전달 부재(73)는,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보이스 코일에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진동 전달 부재(73)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진동 전달 부재(73)는,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에 일정한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양면 테이프를 보이스 코일로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표시 셀(61)의 이면과, 가진기(71) 혹은 가진기(72)의 보빈에 고정된다. 진동 전달 부재(73)가 저반발 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저반발 우레탄은,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는 반발하는 특성을 가짐과 함께, 주파수가 낮은 영역(20Hz 미만)에서는 추종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반발 우레탄은, 소리의 진동을 감쇠시키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표시 셀(61)의 변위에 추종시킬 수 있다.
[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2)에서는, 각 가진기(가진기(71, 72))의 하우징(71A)이, 다이캐스트로 만들어져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가진기(71, 72))에서 발생한 열이 하우징(71A)으로부터 빠르게 외부로 방산된다. 그 결과,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진기(가진기(71, 72))가, 표시 셀(61)과 소정의 간극(65)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이너 플레이트(62)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가진기(71, 72))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표시 셀(61)에 전달할 수 있다.
<4.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변형예 A]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셀(61)과 각 가진기(가진기(71, 72))의 사이에 방열 시트(74)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방열 시트(74)는, 표시 셀(61)의 이면에 접합되어 있다. 방열 시트(74)는, 가진기(71) 혹은 가진기(72)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산시키는 기능(고열전도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소리의 진동을 표시 셀(61)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 시트(74)는, 예를 들어 금속제(예를 들어 알루미늄)의 박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방열 시트(74)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의 박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73)는, 예를 들어 방열 시트(74)와, 가진기(71) 혹은 가진기(72)의 보빈에 접해 있고, 방열 시트(74)와, 가진기(71) 혹은 가진기(72)의 보빈에 고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표시 셀(61)과 각 가진기(가진기(71, 72))의 사이에 복수의 방열 시트(74)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가진기(71, 72))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 시트(74)를 통하여 외부로 방산된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가진기(71, 72))에서 발생한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어느 정도 분산된다. 그 결과,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B]
제2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가진부(70)가, 예를 들어 도 17, 도 18, 도 19,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진기(71)와, 복수의 가진기(72)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17에는, 2개의 가진기(71)와, 2개의 가진기(72)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는, 3개의 가진기(71)와, 3개의 가진기(72)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는, 가진기(71, 72)가 진동 전달 부재(73)를 통하여 표시 셀(6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는, 가진기(71, 72)가 진동 전달 부재(73) 및 방열 시트(74)를 통하여 표시 셀(6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 19, 도 20은, 도 17, 도 18에 기재된 패널부(60)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가진기(71)는, 표시 셀(61)을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표시 셀(61)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진기(71)는, 표시 셀(6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진기(72)는, 표시 셀(61)을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표시 셀(61)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진기(72)는, 표시 셀(6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표시 셀(61)의 이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가진기(71)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71)에 의해 표시 셀(6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71)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가진기(71)는, 서로 독립적으로 표시 셀(61)을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최대폭이 20kHz의 반파장 이하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셀(61)에 포함되는 유리 기판 내의 음속은 4000m 내지 5000m/초 정도이고, 음성 대역의 최댓값(예를 들어 20kHz)에서의 1파장의 길이가 20 내지 25㎝이므로, 복수의 가진기(71) 또는 복수의 가진기(72)가, 최댓값이 20kHz의 반파장 이하의 영역(도 19, 도 20의 영역(71d))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 셀(61)에 포함되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는, 복수의 가진기(71) 또는 복수의 가진기(72)를 1개의 음원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71, 72)에서 발생한 열을 어느 정도 분산시키면서,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제3 실시 형태>
[구성]
이어서,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3)의 측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1의 표시 장치(3)의 배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장치(3)는, 영상 표시면(110A)에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영상 표시면(110A)으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바꾸어 말하면, 표시 장치(3)는, 플랫 패널 스피커를 영상 표시면(110A)에 내장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표시 장치(3)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함과 함께 진동판으로서도 기능하는 패널부(110)와, 패널부(110)의 이면에 배치되고, 패널부(110)를 진동시키는 가진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장치(3)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부(120)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회로(131)가 내장된 지지부(13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130)는, 회동부(140)을 통하여 백 섀시(119)에 고정되어 있다. 회동부(140)는, 지지부(130)에 의해 패널부(110)의 이면을 지지할 때의 패널부(110)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패널부(110) 및 지지부(1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23은, 백 섀시(119)를 분리하였을 때의, 표시 장치(3)의 배면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도 23의 A-A선에서의 단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패널부(110)는, 예를 들어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의 표시 셀(111)을 갖고 있다. 표시 셀(111)의 표면(가진부(120)와는 반대측의 표면)이 영상 표시면(110A)으로 되어 있다. 표시 셀(111)은, 예를 들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표시 화소를 갖고 있다. 복수의 표시 화소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1)에 마련된 유리 기판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표시 셀(111)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진부(120)는, 예를 들어 2개의 가진기(가진기(121)(액추에이터) 및 가진기(122)(액추에이터))를 갖고 있다. 가진기(121) 및 가진기(122)는, 서로 공통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진기(121, 122)는, 가진기(121, 122)에 의해 표시 셀(1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음성 주파수(예를 들어 20Hz 내지 20kHz) 전체에 있어서 가장 진동하기 쉬운 개소를 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121, 122)는, 또한 가진기(121, 122)에 의해 표시 셀(1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음성 주파수 전체에 있어서 가장 진동하기 어려운 개소를 피하여 배치되어 있다. 표시 셀(111)의 진동은, 예를 들어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를 사용하여, 표시 셀(111)의 면 전체의 진동을 음성 주파수 전체에 있어서 계측함으로써 얻어진다. 가진기(121, 122)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1)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비율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비율」의 예로서는, 3:4, 5:7, 3:7, 2:5, 7:11 등을 들 수 있다.
가진기(121)는, 표시 셀(1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기(122)는, 표시 셀(1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가진부(120)는, 추가로 2개의 가진기(가진기(121, 122))와, 신호 처리 회로(1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기판(123)을 갖고 있다. 배선 기판(123)에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이 접속되어 있고, 이 플렉시블 배선 기판을 통하여, 2개의 가진기(가진기(121, 122))와, 신호 처리 회로(1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진기(121, 122)는, 각각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과, 보이스 코일을 감는 보빈과, 자기 회로를 가지며, 진동원으로 되는 스피커용 액추에이터이다. 가진기(121, 122)는, 각각, 추가로 보이스 코일 및 보빈을 진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함과 함께, 자기 회로를 수용하는 하우징(121A)을 갖고 있다. 하우징(121A)은, 다이캐스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로 만들어져 있으며, 방열성이 우수하다.
가진기(121, 122)는, 각각, 보이스 코일에 전기 신호의 음성 전류가 흐르면, 전자 작용의 원리에 따라 보이스 코일에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구동력이 후술하는 진동 전달 부재(125)를 통하여 표시 셀(111)에 전달되고, 표시 셀(111)에 음성 전류의 변화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켜, 공기가 진동하여 음압이 변화한다.
가진부(120)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가진기(가진기(121, 122))마다, 고정 부재(124) 및 진동 전달 부재(125)를 갖고 있다.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는, 예를 들어 고정 부재(124)를 통하여, 표시 셀(111)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는, 고정 부재(124)에 의해, 표시 셀(111)의 이면에 대하여, 당해 가진기(가진기(121, 122))와 대향하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124)는, 표시 셀(111)과 하우징(121A)을 서로 고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고정 부재(124)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1)이 진동하고 있을 때 표시 셀(111)의 진동을 감쇠시키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을 가져도 된다. 고정 부재(124)는, 예를 들어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스펀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125)는, 예를 들어 표시 셀(11)의 이면과, 가진기(121) 혹은 가진기(122)의 보빈에 접해 있고, 표시 셀(111)의 이면과, 가진기(121) 혹은 가진기(122)의 보빈에 고정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125)는, 적어도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는 반발하는 특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125)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양면 테이프, 또는 저반발 우레탄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125)가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진동 전달 부재(125)는,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에 통전함으로써 보이스 코일에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진동 전달 부재(125)가 양면 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진동 전달 부재(125)는,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에 일정한 펄스 신호를 입력하여, 양면 테이프를 보이스 코일로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표시 셀(111)의 이면과, 가진기(121) 혹은 가진기(122)의 보빈에 고정된다. 진동 전달 부재(125)가 저반발 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저반발 우레탄은, 음파 영역(20Hz 이상)에서는 반발하는 특성을 가짐과 함께, 주파수가 낮은 영역(20Hz 미만)에서는 추종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저반발 우레탄은, 소리의 진동을 감쇠시키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표시 셀(111)의 변위에 추종시킬 수 있다.
[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3)에서는,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의 하우징(121A)이, 다이캐스트로 만들어져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에서 발생한 열이 하우징(121A)으로부터 빠르게 외부로 방산된다. 그 결과,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에 있어서, 하우징(121A)은, 표시 셀(111)의 이면에 대하여, 당해 가진기(가진기(121, 122))와 대향하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가 표시 셀(111)과 함께 진동하므로, 공진에 의한 진폭이 커져, 저주파 영역에서의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6.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
[변형예 C]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셀(111)과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의 사이에 방열 시트(126)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방열 시트(126)는, 표시 셀(111)의 이면에 접합되어 있다. 방열 시트(126)는, 가진기(121) 혹은 가진기(122)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산시키는 기능(고열전도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소리의 진동을 표시 셀(111)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 시트(126)는, 예를 들어 금속제(예를 들어 알루미늄)의 박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방열 시트(126)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의 박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125)는, 예를 들어 방열 시트(126)와, 가진기(121) 혹은 가진기(122)의 보빈에 접해 있고, 방열 시트(126)와, 가진기(121) 혹은 가진기(122)의 보빈에 고정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표시 셀(111)과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의 사이에 복수의 방열 시트(126)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에서 발생한 열이 방열 시트(126)를 통하여 외부로 방산된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가진기(121, 122))에서 발생한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어느 정도 분산된다. 그 결과,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D]
제3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가진부(120)가, 예를 들어 도 26, 도 27, 도 28,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진기(121)와, 복수의 가진기(122)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26에는, 2개의 가진기(121)와, 2개의 가진기(122)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27에는, 3개의 가진기(121)와, 3개의 가진기(122)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28에는, 가진기(121, 122)가 진동 전달 부재(125)를 통하여 표시 셀(11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29에는, 가진기(121, 122)가 진동 전달 부재(125) 및 방열 시트(126)를 통하여 표시 셀(111)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 28, 도 29는, 도 26, 도 27에 기재된 패널부(110)의 단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복수의 가진기(121)는, 표시 셀(111)을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표시 셀(111)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진기(121)는, 표시 셀(1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진기(122)는, 표시 셀(111)을 진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표시 셀(111)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진기(122)는, 표시 셀(111)을 이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표시 셀(111)의 이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가진기(121)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121)에 의해 표시 셀(1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121)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가진기(121)는, 서로 독립적으로 표시 셀(111)을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최대폭이 20kHz의 반파장 이하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셀(111)에 포함되는 유리 기판 내의 음속은 4000m 내지 5000m/초 정도이고, 음성 대역의 최댓값(예를 들어 20kHz)에서의 1파장의 길이가 20 내지 25㎝이므로, 복수의 가진기(121) 또는 복수의 가진기(122)가, 최댓값이 20kHz의 반파장 이하의 영역(도 28, 도 29의 영역(121d))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시 셀(111)에 포함되는 유리 기판에 있어서는, 복수의 가진기(121) 또는 복수의 가진기(122)를 1개의 음원으로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가진기(121, 122)에서 발생한 열을 어느 정도 분산시키면서,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각 실시 형태에 공통인 변형예>
[변형예 E]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그들 변형예에 있어서, 가진기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가진기(20)가, 예를 들어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가진기(가진기(21, 22, 25))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3번째 가진기(가진기(25)(액추에이터))는, 가진기(21)와 가진기(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가진기(25)는, 가진기(2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가진기(70)가,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가진기(가진기(71, 72, 76))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3번째 가진기(가진기(76)(액추에이터))는, 가진기(71)와 가진기(7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가진기(76)는, 가진기(7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3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가진기(120)가,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가진기(가진기(121, 122, 128))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3번째 가진기(가진기(128)(액추에이터))는, 가진기(121)와 가진기(1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가진기(128)는, 가진기(12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그들 변형예에 있어서의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F]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그들 변형예에 있어서, 가진기의 수는 1개여도 된다. 예를 들어, 가진기(20)가,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가진기(가진기(25))를 가져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가진기(70)가,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가진기(가진기(76))를 가져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가진기(120)가,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가진기(가진기(128))를 가져도 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그들 변형예에 있어서의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G]
상기 변형예 E에 있어서, 가진기(70)가,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진기(71), 복수의 가진기(72) 및 복수의 가진기(76)를 가져도 된다. 이때, 복수의 가진기(71)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71)에 의해 표시 셀(6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71)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가진기(72)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72)에 의해 표시 셀(6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72)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가진기(76)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76)에 의해 표시 셀(6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76)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형예 H]
상기 변형예 E에 있어서, 가진기(120)가, 예를 들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진기(121), 복수의 가진기(122) 및 복수의 가진기(128)를 가져도 된다. 이때, 복수의 가진기(121)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121)에 의해 표시 셀(1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121)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가진기(122)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122)에 의해 표시 셀(1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122)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가진기(128)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128)에 의해 표시 셀(1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128)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형예 I]
상기 변형예 F에 있어서, 가진기(70)가,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진기(76)를 가져도 된다. 이때, 복수의 가진기(76)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76)에 의해 표시 셀(6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76)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형예 J]
상기 변형예 F에 있어서, 가진기(120)가, 예를 들어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진기(128)를 가져도 된다. 이때, 복수의 가진기(128)가, 당해 복수의 가진기(128)에 의해 표시 셀(111)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128)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내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다. 본 개시의 효과는, 본 명세서 내에 기재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가, 본 명세서 내에 기재된 효과 이외의 효과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가진기(71, 72, 76)의 다이캐스트로 만든 하우징(71A) 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자성 유체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가진기(121, 122, 128)의 다이캐스트로 만든 하우징(121A) 내에, 열전도성이 우수한 자성 유체가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자성 유체에 의해 보이스 코일이 냉각되므로, 열의 국소적인 분포에 기인하는 표시 영상의 색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30, 80) 및 신호 처리 회로(131)는, 표시 셀(11, 61, 111)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적산 전력을 감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신호 처리부(30, 80) 및 신호 처리 회로(131)는, 순간 전력값이 소정의 역치 th를 초과하는 경우라도, 표시 셀(11, 61, 111)에 흘리는 전류에 대하여 제한을 행하지 않으며, 적산 전력값이 소정의 역치 th를 초과한 경우에, 표시 셀(11, 61, 111)에 흘리는 전류에 대하여 제한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과도한 전류 제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표시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발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의 표시 셀과,
상기 표시 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가진기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진기는, 당해 복수의 가진기에 의해 상기 표시 셀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상기 표시 셀이 유리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진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최대폭이 20kHz의 반파장 이하의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각 상기 가진기는, 다이캐스트로 만들어진 하우징을 갖고 있는 (2)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표시 셀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된 대향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각 상기 가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대향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3)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각 상기 가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표시 셀의 이면에 대하여, 당해 가진기와 대향하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3)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각 상기 가진기는,
상기 표시 셀의 이면에 고정된 평면 코일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복수의 상기 평면 코일과 대향하여 배치된 영구 자석
을 갖는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각 상기 가진기는, 상기 평면 코일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표시 셀의 이면에 고정된 프린트 기판을 갖고,
각 상기 가진기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상기 프린트 기판 중 상기 표시 셀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6)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표시 셀과 각 상기 가진기의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방열 시트를 더 구비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방열 시트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8)에 기재된 표시 장치.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있어서 2016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6-253664호와, 2017년 5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7-099629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당업자라면, 설계 상의 요건이나 다른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콤비네이션, 서브 콤비네이션 및 변경을 상도할 수 있지만, 그것들은 첨부의 청구범위나 그의 균등물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이 이해된다.

Claims (10)

  1. 영상을 표시하는 박판형의 표시 셀과,
    상기 표시 셀의 이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복수의 가진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진기는, 당해 복수의 가진기에 의해 상기 표시 셀에 진동을 발생시켰을 때 당해 복수의 가진기가 하나의 가진기로 간주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진기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표시 셀을 진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최대폭이 20kHz의 반파장 이하의 공간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셀이 유리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가진기는, 다이캐스트로 만들어진 하우징을 갖고 있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셀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 배치된 대향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각 상기 가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대향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가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표시 셀의 이면에 대하여, 당해 가진기와 대향하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가진기는,
    상기 표시 셀의 이면에 고정된 평면 코일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복수의 상기 평면 코일과 대향하여 배치된 영구 자석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가진기는, 상기 평면 코일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표시 셀의 이면에 고정된 프린트 기판을 갖고,
    각 상기 가진기에 있어서, 상기 평면 코일은, 상기 프린트 기판 중 상기 표시 셀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셀과 각 상기 가진기의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방열 시트를 더 구비한,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방열 시트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기 각각은 적어도 음파 영역에서 반발하는 특성을 갖는 각각의 진동 전달 부재와 접하는, 표시 장치.
KR1020197010851A 2016-12-27 2017-11-10 표시 장치 KR102376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53664 2016-12-27
JP2016253664 2016-12-27
JP2017099629 2017-05-19
JPJP-P-2017-099629 2017-05-19
PCT/JP2017/040558 WO2018123292A1 (ja) 2016-12-27 2017-11-10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333A KR20190094333A (ko) 2019-08-13
KR102376136B1 true KR102376136B1 (ko) 2022-03-18

Family

ID=6270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851A KR102376136B1 (ko) 2016-12-27 2017-11-1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59309B2 (ko)
EP (1) EP3565275B1 (ko)
JP (2) JP7024732B2 (ko)
KR (1) KR102376136B1 (ko)
CN (2) CN114554356A (ko)
WO (1) WO2018123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105B1 (ko) * 2016-12-30 2018-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고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패널 진동형 음향 발생 표시 장치
EP3528510B1 (en) * 2016-10-13 2022-02-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Flat speaker and display device
KR102625724B1 (ko) * 2018-10-05 2024-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EP3859981A4 (en) * 2018-11-16 2021-11-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DEVICE
KR102652088B1 (ko) * 2019-01-17 2024-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622181B2 (en) * 2019-02-01 2023-04-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2148067B (zh) 2019-06-27 2022-09-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部件和移动终端
JPWO2021020157A1 (ko) * 2019-07-31 2021-02-04
CN110572494B (zh) * 2019-09-16 2021-07-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组件及电子设备
US11638093B2 (en) 2020-06-30 2023-04-25 Waves Audio Ltd. Thermal limiter for a panel speaker
KR20220011424A (ko) * 2020-07-21 2022-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50671A (ko) * 2020-10-16 2022-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81065A1 (ja) * 2021-02-25 2022-09-01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映像音響出力モジュールおよび映像音響提示装置
WO2024006481A1 (en) * 2022-06-29 2024-01-04 Valcom, Inc.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with free motion heat sin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1188A1 (en) 1997-01-09 1998-07-16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s
US20020018578A1 (en) 2000-08-03 2002-02-14 Paul Burton Bending wave loudspeaker
US20040086144A1 (en) 2002-08-15 2004-05-06 Diamond Audio Technology, Inc. Subwoofer
WO2008029083A1 (en) 2006-09-07 2008-03-13 New Transducers Limited Bending wave panel loudspeake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7482A (en) * 1994-07-25 1996-07-16 Jlj, Inc. Magnetic, variable-volume sound producing device
JP4173283B2 (ja) 1998-01-20 2008-10-29 ニュー トランスデューサーズ リミテッド パネル部材を備えた能動音響機器
GB9826164D0 (en) 1998-11-30 1999-01-20 New Transducers Ltd Acoustic devices
JP2004072226A (ja) * 2002-08-02 2004-03-04 Alps Electric Co Ltd 音響装置
JP2004289772A (ja) * 2003-01-30 2004-10-14 Authentic Ltd パネル型スピーカ
JP4075766B2 (ja) * 2003-10-27 2008-04-16 ヤマハ株式会社 アレイスピーカ及びスピーカ装置
WO2007052835A1 (ja) 2005-11-02 2007-05-10 Nec Corporation スピーカ、画像素子保護スクリーン、端末装置の筐体、および端末装置
JP4645423B2 (ja) 2005-11-22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842093B1 (ko) * 2007-03-14 2008-06-30 주식회사 예일전자 감각 신호 출력 장치
JP4333778B2 (ja) * 2007-05-23 2009-09-16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ピーカを内蔵した機器、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5014883B2 (ja) * 2007-06-06 2012-08-29 ミネベア株式会社 スピーカ
JP5192799B2 (ja) 2007-12-25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設置用パネル
CN104469567A (zh) * 2013-09-25 2015-03-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扬声器及显示器
KR102229137B1 (ko) 2014-05-20 2021-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16003962A1 (en) * 2014-07-01 2016-01-07 Corning Incorporated Cross-cancellation of audio signals in a stereo flat panel speaker
EP3041265B1 (en) * 2014-09-08 2019-12-18 Adamson Systems Engineering Inc. Loudspeaker with improved directional behavior and reduction of acoustical interference
CN205847561U (zh) * 2016-06-07 2016-12-28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振动系统和应用该振动系统的扬声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1188A1 (en) 1997-01-09 1998-07-16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s
US20020018578A1 (en) 2000-08-03 2002-02-14 Paul Burton Bending wave loudspeaker
US20040086144A1 (en) 2002-08-15 2004-05-06 Diamond Audio Technology, Inc. Subwoofer
WO2008029083A1 (en) 2006-09-07 2008-03-13 New Transducers Limited Bending wave panel loudspea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333A (ko) 2019-08-13
EP3565275A1 (en) 2019-11-06
US11356759B2 (en) 2022-06-07
EP3565275A4 (en) 2020-01-08
US11659309B2 (en) 2023-05-23
US20190268681A1 (en) 2019-08-29
CN114554356A (zh) 2022-05-27
CN109845291B (zh) 2022-03-08
EP3565275B1 (en) 2023-07-19
US20200260168A1 (en) 2020-08-13
CN109845291A (zh) 2019-06-04
WO2018123292A1 (ja) 2018-07-05
JP7239032B2 (ja) 2023-03-14
JPWO2018123292A1 (ja) 2019-10-31
JP7024732B2 (ja) 2022-02-24
JP2022062222A (ja)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136B1 (ko) 표시 장치
JP6489291B2 (ja)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および表示装置
EP2541972A1 (en) Piezoelectric acoustic transducer
US11516425B2 (en) Display apparatus
WO2020215786A1 (zh) 振动发声装置以及电子产品
EP2887694B1 (en) Sound generator, sound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007374A1 (en) Display apparatus
JP2014127749A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034182B2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230209743A1 (en) Electronic apparatus
CN212231315U (zh) 一种微型超重低音双驱动低频振动器
WO2014091813A1 (ja)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7069938A (ja) 自立型平面スピーカ
JP2017050651A (ja) 平面スピー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