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449B1 -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449B1
KR102375449B1 KR1020150042470A KR20150042470A KR102375449B1 KR 102375449 B1 KR102375449 B1 KR 102375449B1 KR 1020150042470 A KR1020150042470 A KR 1020150042470A KR 20150042470 A KR20150042470 A KR 20150042470A KR 102375449 B1 KR102375449 B1 KR 10237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 sink
wire
hold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226A (ko
Inventor
김진욱
곽영국
전지환
윤여준
Original Assignee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5004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449B1/ko
Priority to JP2016040404A priority patent/JP6781553B2/ja
Priority to EP16158881.9A priority patent/EP3073186B1/en
Priority to US15/079,600 priority patent/US10408398B2/en
Priority to CN201610176712.8A priority patent/CN106016192B/zh
Publication of KR2016011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개구측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세레이션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Housing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출력 및 효율이나 신뢰성 측면에서 광원으로서 유익한 장점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명 장치를 위한 고출력, 고효율 광원으로서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LED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높은 수준의 출력을 제공하면서 광 효율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낮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LED 조명용 광원은 고효율, 고신뢰성이 필요하게 되며, 광학적 신뢰성뿐만 아니라 전기적 및 열적 특성을 발휘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광원에 전류가 전달되면서도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LED 조명용 광원은 전류가 전달되도록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전선(wire) 또는 리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 및 정렬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전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구조상 전선을 정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전선을 정렬함과 맞물려 전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원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을 정렬하면서도,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하는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개구측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세레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세레이션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서 타측 모서리까지 돌출되게 형성된 제1 세레이션;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 모서리 또는 타측 모서리에서 기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세레이션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세레이션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는, 플랜지 본체; 상기 플랜지 본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마운팅 홀 및 트림 홀을 포함하며, 상기 트림 홀 주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트림 단차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 사이에 형성된 결합 공간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는 상기 결합 공간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공간은 너비가 일측이 넓고, 타측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술 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써멀 패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써멀 패드는 상기 광원 모듈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광원 모듈과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영역과 비접촉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비접촉 영역은 상기 홀더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와이어 관통공이 마련된 와이어 부시 본체; 및 상기 와이어 부시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와이어 가이드공이 형성되게 하는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와이어 부시를 더 포함하며, 전선은 상기 와이어 가이드공을 지나 상기 와이어 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트 싱크는, 히트 싱크 본체; 상기 히트 싱크 본체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끝단에 각각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4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는 내부에 배치되는 전선을 정렬하면서도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천장면에 설치되어 다운 라이트에 따른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와 벽체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L1-L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광원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홀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홀더와 전선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L2-L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홀더와 광원 모듈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홀더, 써멀 패드 및 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의 L3-L3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4의 B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와이어 부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와이어 부시와 전선 간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히트 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히트 싱크와 하우징 간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와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운 라이트(Down light; 매립등)는 천장에 홀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입하는 조명 방식으로서, 조명과 건물을 일체화시키는 건축 조명기법 중 하나이다.
이러한 매립등은 천장에 매입되는 구조로서 조명기구의 노출이 거의 없어 천장면이 정돈되어 보이는 장점이 있으며, 더욱이 천장면이 어두워지는 특징이 있어 분위기 있는 실내공간을 연출하기에 적합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립등은 벽체(미도시)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천장면(2)에 설치되어 다운 라이트에 따른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 장치(1)에 트림(3)을 설치하여 천장면(2)과의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마감을 할 수 있다.
도 2 내지 2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광원 모듈(100), 홀더(200), 리플렉터(300), 내부에 수용 공간(S)이 마련되며 일측에 수용 공간(S)과 연통되게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400), 써멀 패드(500), 와이어 부시(600), 커버(700) 및 히트 싱크(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 홀더(200), 리플렉터(300) 및 써멀 패드(500)는 하우징(400)의 수용 공간(S)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부시(600)는 하우징(4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800)는 하우징(400)의 일측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광원 모듈(100)은 광원(110) 및 광원(110)이 배치되는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 모듈(100)로는 기판(120) 위에 패키지 하지 않은 LED 칩(110)을 직접 본딩할 수 있는 COB(Chips On Board) 타입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LED 칩(110)이 패키지 된 LED 패키지가 광원 모듈(100)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 Wire)은 광원 모듈(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광원 모듈(1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W)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바, 두 개의 전선(W) 각각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오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120)에는 양극과 음극을 구분할 수 있는 표시(121)가 각인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전선(W)은 색을 달리하여 구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양극과 음극을 구분할 수 있는 표시(121)와 전선(W)의 색을 매칭(matching)시켜 사용자의 오인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10), 기판(120) 및 전선(W)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1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결합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 결합공(122)은 홀더(200)에 포함된 돌기 형상의 결합부(290)와 형합하여, 광원 모듈(100)이 홀더(2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홀더 결합공(122)이 기판(120)에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120)에 돌기가 형성되고 홀더(200)에 상기 돌기가 결합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홀더(200)는 홀더 본체(210), 홀(220), 경사면(230), 지지부(240), 출구(250), 채널(260) 및 이탈방지 돌기(270, 27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홀더 체결 부재(10)에 의하여 홀더(200)는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홀더(200)는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또는 내열성, 충격 강도 특성이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재질로 만들 수 있다.
홀더 본체(2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홀더 본체(210)의 중앙에는 광원 모듈(100)로부터 조사된 광이 노출되게 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홀(220)은 홀더(200)에 설치되는 광원 모듈(100)의 광원(11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노출될 수 있게 하며, 상기 광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홀(2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3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홀더(200)에 리플렉터(300)를 설치시, 경사면(230)은 리플렉터(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 본체(210)에는 경사면(230)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게 지지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홀더 본체(210)에 형성된 경사면(230) 외에 홀더 본체(420)에는 지지부(24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40)는 리플렉터(300)의 일측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경사 프레임(241)과 경사 프레임(241)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원주 프레임(2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40)는 리플렉터(300)에 대한 균등한 지지를 위해 홀더(2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한쪽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리플렉터(300)는 경사면(230) 및 지지부(240)에 의하여 지지되게 배치된다.
출구(250)는 홀더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본체(210)의 중앙측에 설치된 광원 모듈(100)에 연결된 전선(W)은 출구(250)를 통해 홀더(2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채널(260)은 광원 모듈(100)에 연결된 전선(W)이 출구(250)로 안내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홀더(200)에 있어서, 지지부(240)가 배치되는 방향을 홀더(200)의 상부하고, 지지부(240)가 배치되는 방향의 반대측을 하부라 할 때, 전선(W)의 위치를 고려하여 채널(260)은 홀더(2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로 구분하여 설명을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채널(260)은 광원 모듈(100)의 설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된 그루브(groov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채널(260)은 홀더(200)의 하부측에 홀(110)과 출구(250)가 연통되게 형성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채널(260)은 두 개의 측면(261)과 하나의 수평면(262)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채널(260)은 세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채널(260)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출구에 연결된 제1 채널(263); 광원 모듈(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광원 모듈(100)에 연결되는 두 개의 전선(W)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채널(263)로 안내하게 형성된 제2 채널(264); 및 두 개의 전선(W) 중 다른 하나를 상기 제1 채널(263)로 안내하게 형성된 제3 채널(26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채널(263)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본체(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면서도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1 채널(263)은 전선(W)이 접히거나 굴곡되지 않도록 설치되게 한다.
예컨데, 직선으로 홀(110)과 출구(250)를 잇는 채널(260)을 형성하여 전선(W)을 홀더(200)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출구(250)를 전선(W)의 개수에 따라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출구를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을 통해 생산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적어도 두 개의 출구(250)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선(W)을 정렬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제2 채널(264)과 제3 채널(265) 각각은 홀(110)과 제1 채널(263)을 잇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 채널(263)과 제2 채널(264) 또는 제1 채널(263)과 제3 채널(265)이 만나는 모서리(266)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선(W)의 긴장시, 전선(W)은 모서리(266)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채널(260)의 수평면(262)상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과의 연결 오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를 구분할 수 있는 레터링과 같은 표시(267)가 각인될 수 있다.
이탈방지 돌기(270, 270a)는 채널(260)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이탈방지 돌기(270, 270a)는 채널(260)의 상기 개구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 돌기(270, 270a)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W)이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탈방지 돌기(27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260)의 수평면(262)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전선(W)이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 돌기(270)의 끝단에는 수평면(262)을 향하여 돌출되게 돌기(27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 돌기(270a)는, 수평면(262)을 향하여 경사지게 마련됨으로써 전선(W)이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이탈방지 돌기(270a)는 수평면(262)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전선(W)의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천장면(2)에 상기 조명 장치(1) 설치시, 이탈방지 돌기(270a)는 중력에 의하여 전선(W)이 상기 개구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홀더(200)는 홀더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80)는 하우징(4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홀더(200)가 설치되게 하우징(400)의 가이드부(430)에 의해서 안내된다.
또한, 홀더(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결합공(122)에 형합하는 결합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90)는, 광원 모듈(100)이 홀더(2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게 홀더 결합공(122)과 형합한다. 그리고, 홀더 결합공(122)과 형합한 결합부(290)는 광원 모듈(100)이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홀더 결합공(122)과 결합부(290)는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290)에는 결합부(290)의 길이방향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만곡되게 절개된 절개홈(29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절개홈(291)은 결합부(29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광원 모듈(100)을 홀더(200)로부터 해체시, 사용자는 별도의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절개홈(291)을 통해 광원 모듈(100)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홀더(2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멀 패드(Thermal pad, 500)가 홀더(2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마련된 가이드 리브(2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292)는 홀더 본체(21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292)는 하우징(300)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 결합홈(410)과 결합한다. 그에 따라, 가이드 리브(292)는 가이드 돌기(280)와 함께 하우징(4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홀더(200)가 설치되게 안내한다.
즉, 가이드 리브(292)는 써멀 패드(500)의 설치를 안내하고, 하우징(4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홀더(200)가 설치되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우징(400)은, 가이드 리브 결합홈(410)을 구비하는 하우징 본체(420), 가이드부(430), 와이어 부시 결합공(440), 플랜지부(450) 및 세레이션(4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420)에는 홀더(200), 리플렉터(300) 및 써멀 패드(500)를 배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 공간(S)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본체(4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통,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우징 본체(420)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430)는 제1 가이드부재(431)와 제2 가이드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431)와 제2 가이드부재(432) 각각은 하우징 본체(42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부재(431)와 제2 가이드부재(432) 각각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20)의 하부측 모서리로부터 상부측 모서리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부재(431)와 제2 가이드 부재(432) 사이에 형성된 결합 공간(433)을 통해 가이드 돌기(280)는 안내된다.
여기서, 결합 공간(433)은, 하우징 본체(420)의 중심에서 내측면을 바라볼 때, 위쪽이 넓고 아래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우징 본체(420)의 상부측 사이의 공간(A1)은 하부측 사이의 공간(A2)보다 넓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측 사이의 공간(A2)은 가이드 돌기(280)의 폭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420)의 개구 반대측에 해당하는 결합 공간(433)의 폭 너비는 가이드 돌기(280)의 폭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280)는 가이드부(430)에 안내된 후, 하부측 사이의 공간(A2)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부측 사이의 공간(A2)은 상부측 사이의 공간(A1)보다 좁고 상기 가이드 돌기(280)의 폭 너비보다 좀 더 넓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와이어 부시 결합공(44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20)의 측면에 형성되며, 와이어 부시(600)가 결합된다.
플랜지부(450)는,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20)의 개구측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450)는 트림(3)과의 결합을 위하여 플랜지(flange)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본체(420)와 플랜지부(450)는 열전도를 통한 내부의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본체(420)와 플랜지부(450)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열전도도가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420)와 플랜지부(450)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랜지부(45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랜지 본체(451), 마운팅 홀(452) 및 트림 홀(45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 본체(45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운팅 홀(452) 및 트림 홀(453) 각각은 플랜지 본체(451)를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재(20)는 마운팅 홀(452)을 관통하여 천정면(2)에 결합한다. 그에 따라, 상기 조명 장치(1)는 천정면(2)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 체결부재(20)는 머리를 갖는 볼트 또는 나사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홀(452)의 주변에는 마운팅 단차 홈(45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마운팅 단차 홈(454)은 플랜지 본체(451)의 상부측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며, 마운팅 단차 홈(454)의 일 영역에 마운팅 홀(4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체결부재(20)의 마운팅 홀(452) 체결시, 제1 체결부재(20)의 머리는 마운팅 단차 홈(454)에 위치하여 트림(3)과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재(30)는 트림(3)을 관통하여 트림 홀(453)과 결합한다.
특히,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 홀(453)의 주변에는 트림 단차 홈(45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트림 단차 홈(455)은 플랜지 본체(451)의 상부측 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며, 트림 단차 홈(455)의 일 영역에 트림 홀(453)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체결부재(30)의 트림 홀(453) 체결시, 트림 단차 홈(455)은 트림(3)과의 강한 결착력을 갖게 한다.
즉, 트림 단차 홈(455)에 의하여 트림(3)과 플랜지 본체(45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체결부재(30)의 트림 홀(453) 체결시, 상기 공간에 의하여 트림(3)과 플랜지 본체(451)는 더욱 강한 결착력을 갖도록 제2 체결부재(3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세레이션(460)은 하우징 본체(420)의 외부측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레이션(460)은 하우징 본체(4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레이션(460)은 하우징 본체(420)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방열 효과를 증대시킨다. 그에 따라, 세레이션(460)은 하우징 본체(420)와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세레이션(460)은 하우징 본체(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로 구성되어 하우징 본체(4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세레이션(460)은 하우징 본체(420)의 하부측 모서리로부터 상부측 모서리까지 길게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세레이션(461)과 복수 개의 제2 세레이션(46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세레이션(462)은 상부측 모서리 또는 하부측 모서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세레이션(461) 각각은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세레이션(462) 각각은 소정의 이격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레이션(460)은 하우징 본체(4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레이션(461)만 형성되거나 제2 세레이션(462)만 형성될 수 있고, 제1 세레이션(461)과 제2 세레이션(462)가 교대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세레이션(462)이 하우징 본체(420)의 외주면에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 본체(420)의 외측면에는 제2 세레이션(462)이 형성되지 않는 소정의 라벨 부착 영역(47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라벨 부착 영역(470)에는 제품의 성능, 제조국, 제품 넘버 등이 기재된 라벨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400)은 하우징(400)과 결합하는 커버(7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커버 결합공(4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결부재(40)는 커버 결합공(480)을 관통하여 커버(700)의 일측과 결합한다.
도 19 및 도 2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하우징(400)은 하부면에 형성된 히트 싱크 가이드 부재(490)와 히트 싱크 체결홈(491)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 가이드 부재(490)는 하우징(4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히트 싱크(800)가 배치되도록 히트 싱크(800)를 안내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 가이드 부재(490)에 의해 안내된 히트 싱크(800)는 제4 체결부재(50)에 의하여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즉, 제4 체결부재(50)의 끝단은 히트 싱크 체결홈(491)과 체결되어 히트 싱크(800)를 하우징(400)에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제4 체결부재(50)로는 머리를 갖는 볼트나 나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써멀 패드(5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100)의 일면을 덮도록 홀더(200)와 하우징(400) 사이에 설치되어 광원 모듈(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40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써멀 패드(500)는 광원 모듈(100)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써멀 패드(500)는 광원 모듈(100)의 일면과 접촉되는 접촉 영역(A3)과 광원 모듈(100)의 일면과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 영역(A4)로 구분될 수 있다.
광원 모듈(100)이 설치된 홀더(200)에 써멀 패드(500) 배치될 경우, 비접촉 영역(A4)은 홀더(20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접촉 영역(A4)이 홀더(200)와 이격되어 이격 공간(S1)이 형성된다. 그리고, 광원 모듈(100)에서 발생하여 써멀 패드(500)로 전달된 열은 이격 공간(S1)을 통해 외부로 방열된다.
따라서, 이격 공간(S1)은 써멀 패드(500)를 통해 이동한 열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와이어 부시(600)는 홀더(200)의 출구(250)로부터 노출된 전선(W)을 하우징(400)의 외부로 안내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와이어 부시(600)는 와이어 부시 본체(610)와 와이어 가이드부재(62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부시 본체(610)에는 전선(W)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와이어 관통공(61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 관통공(611)은 와이어 부시 본체(610) 내부에 와이어 부시 본체(610)의 삽입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부재(620)는 와이어 부시 본체(610)의 끝단에서 와이어 부시 본체(610)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와이어 가이드공(62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250)로부터 노출된 전선(W)은 와이어 가이드공(621)을 지나 와이어 관통공(61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와이어 부시(600)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출구(250)로부터 노출된 전선(W)은 와이어 부시 결합공(440)을 통해 하우징(400)의 외부로 노출된 후, 와이어 가이드공(621)을 지나 와이어 관통공(611)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 부시(600)를 와이어 부시 결합공(440)에 결합한다.
따라서, 하우징(400)에 와이어 부시(600)를 결합하더라도 와이어 부시(600)에 의해 전선(W)이 밀려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관통공(611)에서 연장된 가상의 영역(X1)과 와이어 가이드공(621)에서 연장된 가상의 영역(X2)이 서로 교차되게 와이어 관통공(611)과 와이어 가이드공(621)을 배치한다. 그에 따라, 와이어 부시(600)에 전선(W) 설치시 전선(W)은 상기 X1과 상기 X2가 교차하는 영역을 지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전선(W)이 와이어 부시(600)에 밀려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700)는 하우징(400)의 개구를 덮도록 설치되며, 광원 모듈(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커버(700)의 재질로는 유리,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에니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커버(700)는 커버 본체(710)와 커버 레그(7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710)는 하우징(400)의 개구를 덮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커버 본체(710)는 이물질이 하우징(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광원 모듈(1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되게 한다.
커버 본체(710)의 재질은 유리,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커버 본체(71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00)의 개구 형상에 따라 커버 본체(710)의 형상이 달라질 수도 있다.
커버 레그(720)는 커버 본체(710)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레그(720)는 제3 체결부재(40)와 결합할 수 있게 형성된 커버 체결공(72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체결부재(40)는 커버 결합공(480)을 관통하여 커버 체결공(721)과 결합하여 커버(700)를 하우징(40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커버 레그(720)는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히트 싱크(800)는 하우징(400)의 방열을 돕도록 하우징(4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히트 싱크(800)는 설치 구조상 하우징(400)의 하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히트 싱크(800)는 히트 싱크 본체(810), 방열판(820) 및 제4 방열판(830)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 본체(8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면적이 하부의 면적과 다른 원뿔대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히트 싱크 본체(810)의 일측은 하우징(400)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열판(820)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 본체(810)의 외주면(811)에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820)은 제1 방열판(821), 제2 방열판(822) 및 제3 방열판(8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방열판(821)은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판 형상의 방열판이다.
제2 방열판(822)은 판 형상의 방열부(822a)와 제1 곡선 방열부(82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선 방열부(822b)는, 히트 싱크 본체(810)의 반지름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곡선 방열부(822b)는 두 개의 방열부(822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곡선 방열부(822b)의 일측과 타측이 절곡됨에 따라 형성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에는 히트 싱크 가이드 부재(490)가 형합하고, 다른 한 영역에는 제4 체결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체결부재(50)의 끝단은 히트 싱크 체결홈(491)과 체결하고 제4 체결부재(50)의 머리는 제1 곡선 방열부(822b)의 일측을 가압하여, 하우징(400)과 히트 싱크(800)가 체결되게 한다.
도 24 및 도 2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3 방열판(823)은 판 형상의 방열부(823a)와 제2 곡선 방열부(823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곡선 방열부(823b)는, 히트 싱크 본체(810)의 반지름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곡선 방열부(823b)는 두 개의 방열부(823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곡선 방열부(823b)는 소정의 곡률(R1)로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곡률(R1)을 갖는 두 개의 제3 방열판(823)을 이용하여 워크 스페이스(8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곡률(R1)상에 두 개의 제2 곡선 방열부(823b)가 배치되어 워크 스페이스(84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 스페이스(840)를 통해 체결용 공구인 스크류 드라이버(Screw Driver)가 삽입될 수 있다.
제4 방열판(830)은,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열판(821), 제2 방열판(822) 및 제3 방열판(823) 각각의 끝단에 설치된다.
제4 방열판(830)은 소정의 곡률(R2)로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곡률(R2)로 형성된 제4 방열판(830)은 제1 방열판(821), 제2 방열판(822) 및 제3 방열판(823) 각각의 끝단을 마감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해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제1 방열판(821), 제2 방열판(822) 및 제3 방열판(823) 각각의 끝단에 제4 방열판(830)을 설치하여 방열 면적을 넓힘으로써 히트 싱크(800)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판(821), 제2 방열판(822), 제3 방열판(823)의 끝단을 라운드(round) 형태로 마감하여 사용자의 상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트 싱크(800)에 있어서, 히트 싱크(800)의 히트 싱크 본체(810), 방열판(820) 및 제4 방열판(8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 장치(1)의 하우징(400)과 히트 싱크(800) 사이에는 써멀 구리스와 같은 열전도층(90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도층(900)으로 써멀 패드가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프레임(4)에 설치되어 다운 라이트에 따른 조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은 상기 조명 장치(1)와의 결합을 위하여 마운팅 단차 홈(454)과 결합하는 가이드 돌출부(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돌출부(5)는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홈(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에 상기 조명 장치(1) 설치시, 가이드 돌출부홈(6)은 마운팅 홀(452)과 연통되게 배치된다.
그에 따라, 마운팅 홀(452)을 관통하여 가이드 돌출부홈(6)에 결합하는 제5 체결부재(60)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장치(1)는 프레임(4)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워크 스페이스(840)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제5 체결부재(60)를 마운팅 홀(452)과 연통되게 배치된 가이드 돌출부홈(6)에 체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상술 된 하우징(400)을 구비하여 전선(W)을 정렬하면서도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조명 장치 2 : 천장면
3 : 트림 4 : 프레임
100 : 광원 모듈 200 : 홀더
300 : 리플렉터 400 : 하우징
500 : 써멀 패드 600 : 와이어 부시
700 : 커버 800 : 히트 싱크
900 : 열전도층

Claims (9)

  1.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구측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세레이션;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 가이드부재 사이에 형성된 결합 공간을 포함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레이션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서 타측 모서리까지 돌출되게 형성된 제1 세레이션;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측 모서리 또는 타측 모서리에서 기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세레이션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 세레이션 각각의 일측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 모서리를 따라 배치시, 상기 제2 세레이션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타측 모서리와 이격되고,
    상기 결합 공간은 위쪽이 넓고 아래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홀더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는 상기 결합 공간에 의하여 안내되는 하우징.
  2. 제1항에 기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 및
    상기 홀더와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써멀 패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써멀 패드는 상기 광원 모듈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광원 모듈과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 영역과 비접촉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비접촉 영역은 상기 홀더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와이어 관통공이 마련된 와이어 부시 본체; 및
    상기 와이어 부시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와이어 가이드공이 형성되게 하는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와이어 부시를 더 포함하며,
    전선은 상기 와이어 가이드공을 지나 상기 와이어 관통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히트 싱크는,
    히트 싱크 본체;
    상기 히트 싱크 본체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끝단에 각각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제4 방열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판 형상의 제1 방열판; 및
    적어도 두 개의 판 형상의 방열부와 제1 곡선 방열부를 포함하는 제2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 방열부는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각각 절곡된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42470A 2015-03-25 2015-03-26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KR10237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70A KR102375449B1 (ko) 2015-03-26 2015-03-26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JP2016040404A JP6781553B2 (ja) 2015-03-25 2016-03-02 ホルダー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照明装置
EP16158881.9A EP3073186B1 (en) 2015-03-25 2016-03-07 Holder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5/079,600 US10408398B2 (en) 2015-03-25 2016-03-24 Holder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610176712.8A CN106016192B (zh) 2015-03-25 2016-03-25 支架以及包括该支架的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70A KR102375449B1 (ko) 2015-03-26 2015-03-26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226A KR20160115226A (ko) 2016-10-06
KR102375449B1 true KR102375449B1 (ko) 2022-03-17

Family

ID=5716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470A KR102375449B1 (ko) 2015-03-25 2015-03-26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4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56B1 (ko) * 2011-12-23 2012-09-17 이용훈 공냉식 히트싱크
JP2012182192A (ja) * 2011-02-28 2012-09-20 Panasonic Corp Led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2190637A (ja) * 2011-03-10 2012-10-04 Yazaki Corp 電線引き出し部分の防水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530U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디엠코리아 매립형 led 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192A (ja) * 2011-02-28 2012-09-20 Panasonic Corp Led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2190637A (ja) * 2011-03-10 2012-10-04 Yazaki Corp 電線引き出し部分の防水構造
KR101181156B1 (ko) * 2011-12-23 2012-09-17 이용훈 공냉식 히트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226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1553B2 (ja) ホルダー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照明装置
EP2083214B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KR101073927B1 (ko) 조명장치
US10436976B2 (en) Ribs for sealing and aligning an outdoor lightguide luminaire
US20150043216A1 (en) Light emitting diode bulb
KR102375449B1 (ko)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KR102315702B1 (ko) 히트 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모듈
JP5501543B1 (ja) 電球型の照明装置
KR102366294B1 (ko)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KR101929258B1 (ko) 조명 장치
KR101259879B1 (ko)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TW201518644A (zh) 燈管結構
KR101847042B1 (ko) 조명 장치
KR101868441B1 (ko) 조명 장치
KR101412959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1617296B1 (ko) 조명기기
KR101925003B1 (ko) 조명 장치
KR101446613B1 (ko) 엘이디 전구
KR101347392B1 (ko)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JP5501542B2 (ja) 電球型の照明装置
KR20150103440A (ko) 벌브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KR20160016103A (ko) 광 반도체 조명장치
KR20140055235A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130115947A (ko) 조명 장치
JP2014099423A (ja) 電球型の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