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382B1 -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382B1
KR102375382B1 KR1020190173626A KR20190173626A KR102375382B1 KR 102375382 B1 KR102375382 B1 KR 102375382B1 KR 1020190173626 A KR1020190173626 A KR 1020190173626A KR 20190173626 A KR20190173626 A KR 20190173626A KR 102375382 B1 KR102375382 B1 KR 10237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ata
participant
healthcare
symp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545A (ko
Inventor
이도헌
박준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 사업단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 사업단,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 사업단
Priority to KR102019017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3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구 개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연구에 참여한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복수의 헬스케어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저장된 신뢰도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실시 예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ance Evaluating of Healthcare Applications}
본 발명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도를 판단하고, 데이터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과 같은 무선 장치가 보편화되면서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은 의료 산업에서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다. 특히, 약 200개의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매일 업로드되고 있으며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투자가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최근에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도움을 받아 금연, 다이어트, 불면증 해소 등과 같이 생활습관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목적을 가진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이라 하더라도 종류가 매우 많기 때문에, 사용자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은 객관적인 효능을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효능에 대한 평가 및 검증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객관적인 효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동일한 목적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객관적인 효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저장된 데이터 공유 시에 데이터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데이터 제공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고, 소셜 네트워크 등을 통해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인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공유할 수 있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은, 연구 개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상기 연구에 참여한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헬스케어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신뢰도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뢰도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각각 수집된 참여자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주기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헬스케어 데이터로 수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증상에 대한 IER(insufficient effort responding) 및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을 기반으로 DRW(data reliability weight)를 산출하는 단계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RT(response time), LSA(long-string analysis), IR(individual reliability) 및 SR(self-report)를 기반으로 상기 증상에 대한 IER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RT 및 LSA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참여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참여자 단말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DRW 및 참여자 각각에 대한 DRW을 기반으로 상기 참여자 각각에 대한 보상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증상과 연관된 연관증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증상 및 연관증상과 관련된 증례기록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증상 및 연관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증상 및 연관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상기 연구와 관련된 설문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는, 복수의 참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연구 개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상기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 단말로부터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신뢰도를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참여자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신뢰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헬스케어 데이터는, 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주기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증상에 대한 IER(insufficient effort responding) 및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을 기반으로 DRW(data reliability weight)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RT(response time), LSA(long-string analysis), IR(individual reliability) 및 SR(self-report)를 기반으로 상기 증상에 대한 IER을 산출하고, 상기 RT 및 LSA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전체 DRW 및 참여자 각각에 대한 DRW를 기반으로 상기 참여자 각각에 대한 보상정보를 산출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전체 DRW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증상과 연관된 연관증상을 확인하고, 상기 증상 및 연관증상과 관련된 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상기 확인된 증상 및 연관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증상 및 연관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상기 연구와 관련된 설문을 생성하여 상기 참여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객관적인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동일한 목적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객관적인 효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위조방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하여 별도의 임상시험 없이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는, 저장된 데이터 공유 시에 데이터의 신뢰도를 기반으로 데이터 제공자에게 보상을 제공하고, 소셜 네트워크 등을 통해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공유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홍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데이터 수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데이터 분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 중 결과 공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예컨대, 금연 어플리케이션, 수면유도 어플리케이션, 다이어트 어플리케이션 등 사용자의 생활습관을 변화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은 앱, 헬스케어 앱, 어플리케이션과 통칭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증례기록서는 case report form을 의미하며, 증례기록서는 전자 증례기록서와 동일한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 시스템(10)은 참여자 단말(100), 전자장치(200) 및 블록체인서버(300)를 포함한다.
참여자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의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참여자 단말(100)은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참여자 단말(100)은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 LTE,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참여자 단말(100)은 참여자가 착용하는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참여자 단말(100)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참여자 단말(100)은 연구를 생성하는 제1 참여자 단말(110)과 연구에 참여하는 제2 참여자 단말(120) 및 제3 참여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 참여자 단말(110) 내지 제3 참여자 단말(130)의 동작은 변경 적용이 가능하며, 제1 참여자 단말(110) 내지 제3 참여자 단말(130) 이외의 복수의 참여자 단말이 연구의 개설 및 연구로의 참여가 가능하다.
제1 참여자 단말(110)은 전자장치(2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에 접속하여 연구를 개설한다. 제1 참여자 단말(110)은 신뢰도를 확인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연구를 개설할 수 있다. 이때, 제1 참여자 단말(110)은 연구 제목, 연구를 위한 참여자의 모집 시작일, 모집 마감일, 연구 시작일, 연구 종료일, 최소인원 및 최대인원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참여자 단말(110)은 설정된 연구를 위한 설문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참여자 단말(120) 및 제3 참여자 단말(130)은 플랫폼에 접속하여 참여하고자 하는 연구를 선택하여 참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참여자 단말(120)은 연구를 선택하여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설문을 작성하고, 작성된 답변을 헬스케어 데이터로 전자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제1 참여자 단말(110) 내지 제3 참여자 단말(130)은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된 센싱데이터를 헬스케어 데이터의 일부로써 전송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데이터를 헬스케어 데이터의 일부로써 전송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평가장치를 의미하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전자장치(200)는 제1 참여자 단말(110)에 의해 연구가 개설되면, 해당 연구와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설문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제2 참여자 단말(120)과 제3 참여자 단말(130)이 개설된 연구로의 참여자로 모집이 완료되면, 제2 참여자 단말(120) 및 제3 참여자 단말(130)로부터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200)는 연구 개설자인 제1 참여자 단말(110)도 참여자로 모집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수신된 헬스케어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서버(300)로 전송한다. 전자장치(200)는 수신된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헬스케어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인한다. 전자장치(200)는 확인된 헬스케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참여자 단말(100)로부터의 공유 신호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신뢰도는 공유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장치(200)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제공한 참여자 단말(100)에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서버(300)는 전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헬스케어 데이터 및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자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확인할 수 있는 설문을 작성하여 개설된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참여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헬스케어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예컨대, 일종의 임상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에서 운영한 컴퓨터 등의 장치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참여자 단말(100) 및 블록체인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5G(5th genera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 LTE, Wi-Fi(wireless fidelity), BLE(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등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210)는 선행된 임상시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서버(미도시)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외부 서버는 임상시험 센터 등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입력부(22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응답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220)는 키보드, 터치 키, 터치패널, 버튼, 키패드, 돔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입력부(2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참여자 단말(100)에 의해 개설된 연구와 관련된 연구정보 예컨대, 연구 제목, 연구를 위한 참여자의 모집 시작일, 모집 마감일, 연구 시작일, 연구 종료일, 최소인원 및 최대인원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참여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개인정보 및 헬스케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개인정보와 헬스케어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240)는 참여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고,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들에게 제공할 보상을 분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연구 개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를 참여자 단말(100) 예컨대, 제1 참여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하고,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연구를 개설한다. 제어부(250)는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 단말(100) 예컨대, 제1 참여자 단말(110) 내지 제3 참여자 단말(130)로부터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어부(250)는 수집된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신뢰도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효과 즉, 신뢰도를 산출한다.
제어부(250)는 산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공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참여자 단말(110)이 연구를 개설하고, 개설된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참여자 단말(110)은 연구 개설 후 연구에는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5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의 도 3 내지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01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선행된 선행 임상시험과 관련된 복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구축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301단계에서 제어부(250)는 구축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구축신호의 수신을 대기하고, 구축신호가 수신되면 303단계를 수행한다.
303단계에서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외부 서버로 복수의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된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분석한다. 305단계에서 제어부(250)는 복수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결과, 각각의 데이터에 설정된 프로토콜 요소를 확인한다. 이때, 프로토콜 요소는 디자인, 주제, 변수 및 통계적 이슈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자인은, 평가 결과를 위한 임상시험에서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된 테스트 타입, 임상시험의 목적,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모델링 방법 등과 관련된 요소이다. 주제는, 임상시험에 참여 가능한 조건, 임상시험에 참여 가능한 성별, 건강 상태 등과 관련된 요소이다. 변수는, 임상시험의 유효성이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측정의 종류 등과 관련된 요소이다. 통계적 문제는, 임상시험이 어떻게 분석되는지 그리도 변수에 의한 샘플링 절차 또는 통계적 유의성이 무엇인지와 관련된 요소이다.
307단계에서 제어부(250)는 복수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각각의 데이터에 표준 코드를 할당한다. 제어부(250)는 프로토콜 요소와 표준 코드를 매핑한다. 이때, 표준 코드는 증상(symptom)에 대한 단어들일 수 있다. 309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311단계를 수행하고, 구축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구축완료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311단계에서 제어부(25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240)에 저장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제1 참여자 단말(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401단계의 확인결과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403단계를 수행하고, 선택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250)는 선택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를 위해, 전자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참여자 단말(110)은 플랫폼에 접속하여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다.
403단계에서 제어부(250)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한다.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은 하기의 도 5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데이터 수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어부(250)는 401단계에서 수신된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개설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제1 참여자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증상, 연구 제목, 연구를 위한 참여자의 모집 시작일, 모집 마감일, 연구 시작일, 연구 종료일, 최소인원 및 최대인원 등과 관련된 설정사항을 기반으로 연구를 개설한다. 이때, 제1 참여자 단말(110)이 연구 개설 시에 설정하는 증상은 도 3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프로토콜 요소와 매핑된 표준 코드와 동일하다. 예컨대, 제1 참여자 단말(110)은 자신이 사용하는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업로드되어 있는 “블루라이트 필터 앱”이 수면장애를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블루라이트 필터 앱의 효과”라는 제목의 연구를 개설할 수 있고, 증상을 “수면장애”로 설정할 수 있다.
503단계에서 제어부(250)는 개설된 연구와 관련된 증례기록서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설정된 증상 예컨대, “수면장애”를 벡터화하고, 수면장애와 가장 유사한 연관증상을 갖는 임상시험 프로토콜들을 검색한다. 제어부(250)는 검색된 임상시험 프로토콜 중에서 벡터화된 수면장애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연관증상을 선택한다. 예컨대, 검색된 임상시험 프로토콜들은 “숙면”, “불면증”, “수면” 등일 수 있다. 제어부(250)는 검색된 임상시험 프로토콜 중에서 “수면장애”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연관증상 예컨대, “불면증”을 연관증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설정된 증상 및 선택된 연관증상과 관련된 증례기록서(이하, 증상 증례기록서라 함)를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제어부(250)는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이하, 적격성 증례기록서라 함),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이하, 동의여부 증례기록서라 함) 및 참여자가 주기적으로 입력하는 효능에 대한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이하, 응답 데이터 증례기록서라 함)를 확인할 수 있다. 505단계에서 제어부(250)는 확인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연구에 필요한 설문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확인된 복수의 항목에 대한 증례기록서로 최종 설문항목을 생성할 수 있다.
507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연구를 개설한 제1 참여자 단말(110)로부터 개설된 연구에 대한 편집신호가 수신되면 509단계를 수행하고, 편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511단계를 수행한다. 509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제1 참여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편집신호에 따라 연구 개설 시의 설정한 설정사항을 편집할 수 있고, 최종 설문항목을 편집할 수 있다.
511단계에서 제어부(250)는 복수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참여자 단말(120) 및 제3 참여자 단말(130)이 참여자로 모집된 것을 예로 설명할 수 있다. 513단계에서 제어부(250)는 모집된 참여자에 대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연구를 개설한 제1 참여자 단말(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에 따라 획득된 헬스케어 데이터, 연구에 참여한 제2 참여자 단말(120) 및 제3 참여자 단말(13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에 따라 획득된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헬스케어 데이터는 최종 설문항목에 포함된 증례기록서에 따라 제2 참여자 단말(120) 및 제3 참여자 단말(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응답 데이터 증례기록서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예컨대, “블루라이트 필터 앱”을 이용한 날과 이용하지 않은 날 수면시간, 수면 질 등에 대한 데이터이며, 어플리케이션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제공되는 응답 데이터 증례기록서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아울러, 참여자는 보다 정확한 수면시간, 수면 질 등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할 수 있고, 수면 시에 웨어러블 기기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가 응답 데이터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1 참여자 단말(110) 내지 제3 참여자 단말(130)로부터 적격성 증례기록서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참여자에 대한 개인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515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연구 개설 시에 설정된 모집 마감일이 도래하면 517단계를 수행하고, 모집 마감일이 도래하지 않으면 511단계로 회귀하여 참여자를 지속적으로 모집할 수 있다. 517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제1 참여자 단말(110) 내지 제3 참여자 단말(130)에서 획득된 헬스케어 데이터를 취합한다. 517단계에서와 같이 연구 참여자와 관련된 헬스케어 데이터의 취합이 완료되면 제어부(250)는 도 4의 405단계로 리턴한다.
405단계에서 제어부(250)는 도 5에서 수집된 헬스케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헬스케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은 하기의 도 6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를 위한 데이터 분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제어부(250)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서버(300)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전자장치(200)는 참여자의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603단계에서 제어부(250)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고 605단계를 수행한다. 605단계에서 제어부(250)는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증상 증례기록서, 주기별로 입력해야 하는 응답 데이터 증례기록서에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신뢰도 평가를 수행한다. 제어부(250)는 증상에 대한 신뢰도 평가를 위해서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RT(response time), LSA(long-strings analysis), IR(individual reliability) 및 SR(self-report)의 항목을 고려하여 증상에 대한 IER(insufficient effort responding)을 산출한다. 아울러, 제어부(250)는 응답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 평가를 위해 RT와 LSA에 대한 응답 데이터 IER을 산출한다. 제어부(250)는 증상과 응답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 지수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 즉, DRW(data reliability weight)를 산출한다.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1
이때, RT는 참여자가 헬스케어 데이터의 입력을 시작한 시작시각과 입력을 종료한 종료시각의 차이를 나타낸다. LSA는 입력한 문자열의 글자수를 나타낸다. IR은 입력항목의 개별 신뢰도, SR은 하나의 자기보고 항목을 나타낸다.
아울러, 제어부(250)는 하기의 수학식 2를 통해 SR값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참여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헬스케어 데이터가 컷 스코어 값보다 작으면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2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3
를 0으로 반환하고, 헬스케어 데이터가 컷 스코어 값보다 크면 1로 반환한다. 제어부(250)는 헬스케어 데이터 즉, 증상과 응답 데이터 각각에 대한 컷 스코어 값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증상과 응답 데이터 각각에 대한 IER값의 평균 값과 표준 편차를 이용하여 정규 분포를 계산하고, 정규 분포 값에서 컷 스코어 값을 제거한다.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4
제어부(250)는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헬스케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참여자에 대한 신뢰도 예컨대, DRW를 산출한다. 이때, DRW는 참여자에 대한 신뢰도일 수 있으며, 참여자가 입력한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일 수 있다.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5
이때, N은 참여자에게 할당된 증례기록서의 수,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6
는 IER의 항목 수를 나타낸다. 예컨대, 증상에 대한 IER은 RT, LSA, IR 및 SR의 항목을 고려하므로, 증상에 대한 IER항목 수는 4,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은 RT와 LSA의 항목을 고려하므로,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항목 수는 2가 될 수 있다.
605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참여자에 대한 신뢰도 산출이 완료되면, 예컨대, DRW의 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250)는 도 4의 407단계로 리턴한다. 407단계에서 제어부(250)는 결과를 공유한다. 이때, 결과 공유는 하기의 도 7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 중 결과 공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제어부(250)는 DRW을 기반으로 보상분배정도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하기의 수학식 4 및 수학식 5를 이용한다.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7
이때, R은 보상,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8
Figure 112019133330670-pat00009
,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0
,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1
을 포함한다.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2
는 연구를 개설한 참여자에게 제공할 보상으로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의 보상비율과 연구의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3
즉, DRW평균값을 기반으로 산출된 금액이다.
아울러, 제어부(250)는 하기의 수학식 5 및 수학식 6을 이용하여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4
를 산출한다. 이때,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5
는 참여자에게 제공할 보상금액을 의미하며,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6
는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들이 갖게 되는 보상 비율을 의미한다.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7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8
이때, K는 총 참여자의 수,
Figure 112019133330670-pat00019
는 k번째 참여자에 대한 DRW를 의미한다. 아울러,
Figure 112019133330670-pat00020
은 신뢰할 수 없는 헬스케어 데이터가 제공된 경우에 해당 참여자에게 보상을 제공하지 않고, 전자장치(200)의 운영비로 이용하기 위해 전자장치(200)에 보상하는 보상금액을 의미한다.
701단계에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제공할 보상이 산출되면 703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산출된 보상금액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한다. 이때, 보상은 암호화 화폐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705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연구에 참여한 제1 참여자 단말(110) 내지 제3 참여자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신뢰도에 대한 공유신호가 수신되면 707단계를 수행하고, 공유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도 4의 409단계로 리턴한다. 707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연구결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에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는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공유신호를 입력한 참여자 단말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공유하고자 하는 계정 등의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409단계에서 제어부(250)는 종료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409단계의 확인결과, 제어부(250)는 참여자 단말(100)로부터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플랫폼과의 접속을 종료하고, 종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종료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에 있어서,
    연구 개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상기 연구에 참여한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증상 및 상기 증상과 관련된 응답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증상에 대한 IER(insufficient effort responding) 및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헬스케어 데이터 각각에 대한 신뢰도인 DRW(data reliability weight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DRW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W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각각 수집된 참여자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DRW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주기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헬스케어 데이터로 수집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W를 산출하는 단계는,
    RT(response time), LSA(long-string analysis), IR(individual reliability) 및 SR(self-report)를 기반으로 상기 증상에 대한 IER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RW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RT 및 LSA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참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신뢰도에 대한 공유신호를 수신한 것을 기반으로 산출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참여자 단말에 대응되는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DRW 및 참여자 각각에 대한 DRW을 기반으로 상기 참여자 각각에 대한 보상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증상과 연관된 연관증상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증상 및 연관증상과 관련된 증례기록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증상 및 연관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증상 및 연관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상기 연구와 관련된 설문을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참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10. 복수의 참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연구 개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상기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 단말로부터 증상 및 상기 증상과 관련된 응답데이터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증상에 대한 IER(insufficient effort responding) 및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을 기반으로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도인 DRW(data reliability weight)를 산출하고, 상기 DRW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참여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참여자의 헬스케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서버에 저장하고,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DRW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데이터는,
    상기 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주기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T(response time), LSA(long-string analysis), IR(individual reliability) 및 SR(self-report)를 기반으로 상기 증상에 대한 IER을 산출하고, 상기 RT 및 LSA를 기반으로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IER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전체 DRW 및 참여자 각각에 대한 DRW를 기반으로 상기 참여자 각각에 대한 보상정보를 산출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참여자에 대한 전체 DRW를 기반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도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증상과 연관된 연관증상을 확인하고, 상기 증상 및 연관증상과 관련된 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상기 확인된 증상 및 연관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반복 입력되는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 참여자의 적격성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참여자의 동의여부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상 및 연관증상에 대한 증례기록서 및 상기 응답 데이터에 대한 증례기록서를 기반으로 상기 연구와 관련된 설문을 생성하여 상기 참여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장치.
KR1020190173626A 2019-12-24 2019-12-24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 KR10237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26A KR102375382B1 (ko) 2019-12-24 2019-12-24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626A KR102375382B1 (ko) 2019-12-24 2019-12-24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545A KR20210081545A (ko) 2021-07-02
KR102375382B1 true KR102375382B1 (ko) 2022-03-17

Family

ID=7689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626A KR102375382B1 (ko) 2019-12-24 2019-12-24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3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510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블록 체인 및 가상 화폐를 이용한 과제 매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교차검증 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7015B1 (en) * 2000-01-31 2006-08-08 Panmedix, Inc. Neurological pathology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s
KR20110012947A (ko) * 2009-07-31 2011-02-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U-헬스케어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013457A (ko) * 2016-07-29 2018-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헬스케어 게이트웨이, 헬스케어 데이터의 신뢰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510B1 (ko) * 2019-01-15 2019-02-18 (주)엔터랩 블록 체인 및 가상 화폐를 이용한 과제 매칭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교차검증 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545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5470B2 (en) Tele-health networking, interaction, and care matching tool and methods of use
US11844626B2 (en) Fitness systems and methods
Ghose et al. Empowering patients using smart mobile health platforms: Evidence from a randomized field experiment
US20190159677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enhancing patient health
Aardoom et al. E-health interventions for eating disorders: emerging findings, issues, and opportunities
WO2017181278A1 (en) Apparatus and methodologies for personal health analysis
US103110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ing experiences for recommendation profiles
CN107924711A (zh) 健康护理服务器、健康护理服务器控制方法和健康护理程序
Soh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sciplinary mobile care system for patients with advanced gastrointestinal cancer: interventional observation study
CN103903413A (zh) 用于心脑血管风险动态监测和管理系统及方法
CN110033867B (zh) 融合多元干预路径的认知障碍干预系统及方法
Wang et al. HOPES: an integrative digital phenotyping platform for data collection, monitoring, and machine learning
CN104392404A (zh) 远程高血压管理平台及实现方法
US20170357770A1 (en) Health risk cloud analysis system capable of integrating gene information and acquired lifestyle
Zhu et al. An empirical study of factor identification in smart health-monitoring wearable device
Vanderpool et al. Cancer information-seeking in an age of COVID-19: findings fro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s Cancer Information Service
CN107315898A (zh) 整合基因信息及后天生活型态的健康风险云端分析系统
US11456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platform employ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earable devices
KR20220069859A (ko) 디지털 피노타이핑 기반 다차원적 정신건강상태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375382B1 (ko)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능 평가방법 및 장치
KR20170075324A (ko) 개인 생활 패턴 정보 기반의 심리 진단을 통한 심리 치유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202086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ocial Health Networks for Population Managers
Emad et al.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health informatics
US110628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biometric parameters using non-invasive techniques
EP40424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ystem compliance with measures to improve system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