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352B1 - 근시 제어, 향상된 초점 심도 및 노안 교정을 위한 펄스화된 플러스 렌즈 설계 - Google Patents

근시 제어, 향상된 초점 심도 및 노안 교정을 위한 펄스화된 플러스 렌즈 설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352B1
KR102375352B1 KR1020170035283A KR20170035283A KR102375352B1 KR 102375352 B1 KR102375352 B1 KR 102375352B1 KR 1020170035283 A KR1020170035283 A KR 1020170035283A KR 20170035283 A KR20170035283 A KR 20170035283A KR 102375352 B1 KR102375352 B1 KR 102375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lens
change
lens system
ophthalmic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038A (ko
Inventor
노엘 에이. 브렌난
셀베이터 칼다리스
칼리드 체합
쮸 쳉
미첼 제이. 콜린스
브레트 에이. 데이비스
제클린 허난데즈
아담 토너
판 예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1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61F2/1624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having adjustable focus; power activated variable focus means, e.g.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by the ciliary muscle or from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7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increasing, the depth of field or depth of foc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3Electroopt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5Fluid-filled lenses, e.g. electro-wetting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안과용 렌즈는 근시 발달 또는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제어하거나, 또는 예방하거나, 노안 시력을 교정하거나, 또는 연장된 초점 심도를 허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초점 특성을 포함한다. 렌즈는 전자적으로 제어된 조절가능 초점을 갖는데, 여기서 초점 변화는 이것이 인간의 시력으로 인지불가능하도록 빠르게 변동한다.

Description

근시 제어, 향상된 초점 심도 및 노안 교정을 위한 펄스화된 플러스 렌즈 설계{PULSED PLUS LENS DESIGNS FOR MYOPIA CONTROL, ENHANCED DEPTH OF FOCUS AND PRESBYOPIA CORREC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3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311,485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근시(myopia)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도록, 눈의 초점 심도를 향상시키도록, 또는 노안(presbyopia) 교정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렌즈는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transmissive high speed tunable optics)를 이용하여 짧은 기간(펄스)의 변경된 광학 도수 또는 광학 설계를 인간 눈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스톱 신호(stop signal)를 눈 생장에 제공하거나, 눈의 초점 심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의 예에는 투과형 공간 광 변조기(액정) 또는 가변 정전 액체 광학계(variable electrostatic liquid optics), 예컨대, 오일/물 봉입 렌즈가 포함된다.
저하된 시력을 초래하는 흔한 질환은 근시 및 원시(hyperopia)이며, 이에 대해 안경, 또는 강성 또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 형태의 교정 렌즈가 처방된다. 질환은 일반적으로 눈의 길이와 눈의 광학 요소의 초점 사이의 불균형으로 설명된다. 근시안은 망막면의 전방에 초점이 맞춰지고 원시안은 망막면의 후방에 초점이 맞춰진다. 근시는 전형적으로 눈의 안축장(axial length)이 눈의 광학적 구성요소들의 초점 길이(focal length)보다 더 길게 성장하기 때문에, 즉 눈이 너무 길게 성장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원시는 전형적으로 눈의 안축장이 눈의 광학적 구성요소들의 초점 길이와 비교하여 너무 짧기 때문에, 즉 눈이 충분히 생장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근시는 전형적으로 눈의 과도한 축방향 생장(axial growth) 또는 길어짐(elongation)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제는 축방향 눈 생장이 망막 이미지의 품질 및 초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주로 동물 연구로부터 일반적으로 인정된다. 다수의 상이한 경험적 패러다임들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상이한 동물 종들에 대해 수행된 실험들은 망막 이미지 품질의 변경이 눈 생장에서의 일관되고 예측가능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양의(positive) 렌즈(근시성 탈초점) 또는 음의(negative) 렌즈(원시성 탈초점)를 통해 조류 및 영장류 동물 모델들 둘 모두에서의 망막 이미지를 탈초점화하는 것은, 도입된 탈초점을 보상하기 위해 생장하는 눈과 일관되는 (방향 및 크기 둘 모두의 측면에서의) 예측가능한 눈 생장의 변화로 이어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광학적 블러(blur)와 연관된 눈의 길이 변화는 공막(scleral) 생장 및 맥락막(choroidal) 두께 둘 모두에서의 변화에 의해 바뀌는 것으로 증명되어 왔다 근시성 블러로 이어지고 공막 생장 속도를 감소시키는 양의 렌즈에 의한 블러는 원시성 굴절 오차를 초래한다. 원시성 블러로 이어지고 공막 생장 속도를 증가시키는 음의 렌즈에 의한 블러는 근시성 굴절 오차를 초래한다. 망막 이미지 탈초점에 응답한 이러한 눈 생장 변화들은, 시신경이 손상되었을 때에 눈의 길이 변화가 여전히 발생하기 때문에 국부 망막 메커니즘을 통해 큰 영향을 받는 것이 입증되어 왔으며, 국부 망막 영역 상에 탈초점을 부여하는 것은 그 특정 망막 영역으로 국한되는 변경된 눈 생장을 초래하는 것으로 증명되어 왔다.
사람들에서, 망막 이미지 품질이 눈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을 지지하는 간접적인 증거 및 직접적인 증거 둘 모두가 존재한다. 모두가 안검하수, 선천성 백내장, 각막 혼탁, 초자체 출혈(vitreous hemorrhage) 및 다른 안구 질병과 같은 형태시(form vision)의 붕괴로 이어지는 여러가지 상이한 안구 질환들은 젊은 사람에서의 비정상적인 눈 생장과 연관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는 망막 이미지 품질에서의 비교적 큰 변화가 사람 대상에서의 눈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람에서의 눈 생장에 대한 보다 미묘한 망막 이미지 변화의 영향이 또한, 눈 생장에 대한 자극 및 사람의 근시 발달을 제공할 수 있는 근접 작업 동안의 사람의 초점맞춤 시스템에서의 광학적 오차에 기초하여 제기되어 왔다. 근시는 전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높은 유병률(prevalence rate)을 가진다. 이러한 질환에 있어서 가장 큰 관심사는 예를 들어 5 또는 6 디옵터(diopter) 초과의 고도 근시로의 그의 가능한 계속되는 진행인데, 이는 광학 보조 기구 없이 제대로 기능하는 눈의 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고도 근시는 또한 망막 질병, 백내장 및 녹내장의 증가된 위험과 연관된다.
초점을 각각 근시를 교정하기 위해 망막면의 전방으로부터 또는 원시를 교정하기 위해 망막면의 후방으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망막면에서 더 선명한 이미지로 되게 하도록 눈의 육안 초점(gross focus)을 변경하기 위해 교정 안과용 렌즈가 사용된다. 그러나, 질환에 대한 교정 접근법은 질환의 원인을 해소하기보다는 오히려, 단순히 보철적(prosthetic)이고 단지 증상을 해소하는 것이다. 근시 진행을 늦추기 위한 많은 접근법은 동심 이중초점 및/또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와 같은 렌즈의 일부 영역에서 추가의 양의 도수를 도입하는 것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출원인이 소유하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20160054588호에서, 렌즈는 치료 구역에 의해 둘러싸인 근시 시력 교정을 위한 음의 도수를 갖는 중심 구역을 포함하는데, 치료 구역은 중심 구역의 외부 마진으로부터 치료 구역 내로 최대 플러스 5 디옵터의 도수로 증가하는 도수 프로파일을 갖는다. 치료 구역 내의 이러한 추가의 양의 광학 도수는 눈 생장을 늦추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한편, 음의 도수를 갖는 중심 구역은 근시 시력 교정을 위해 제공된다. 우수한 시력을 위하여, 렌즈는 또한 렌즈의 일부 영역에 원거리 (먼거리) 시력을 위한 최적의 교정을 제공하여야 한다. 단순한 예에서, 2개 구역의 동심 이중초점 설계는 중심 원거리 굴절 교정 및 눈 생장을 늦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추가의 양의 도수의 외측 동심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설계는 시력 및 대비 감도(contrast sensitivity)를 다소 감소시키는데, 이는 착용자의 입사 동공을 통과하는 모든 광이 눈 내의 동일한 초점 거리(또는 평면)에서 초점이 맞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접근법은 광의 스펙트럼 분포에 대한 눈의 응답을 고려한다. 미국 특허 제5,838,419호에서는, 눈에 들어오는 광의 망막에서의 스펙트럼 분포를 이동시키기 위해 광학 필터 또는 색조가 안구 장치에 대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근시 교정은 스펙트럼 분포를 짧은 가시 파장쪽으로 이동시키는 청색 필터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마찬가지로, 적색 필터를 사용하여 원시를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굴절 교정에 유용할 수 있지만, 이는 근시 진행을 다루기에는 부족하다.
착용가능 안구 광-활성제 장치를 설명하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US20090192437호에서와 같이, 치료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광원을 구비한 안경과 같은 안구 장치가 또한 제안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안경 착용 방법과 유사하게 피험자에 의해 착용되며, 장치는 장치를 착용하는 동안 눈을 향하여 지향될 수 있는 광원을 갖는다. 광의 출력 및 파장 둘 모두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광원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활성 치료제와 조합하여 수행된다. (즉, 광선요법이 이 특허 출원의 초점인 것으로 보인다). 이 출원의 발명자들이 광이 치료 목적을 위해 단독으로 부여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지만, 추가적인 설명 또는 치료 방법은 제공되어 있지 않다. 발명자들은 피험자가 가만히 있기에 편리한 것보다 긴 시간 (예컨대, 10초 초과, 20초 초과, ... 2분 초과) 동안 눈의 각막을 특정 파장의 광에 노출시키는 이익을 계속 언급하고 있다. 이는 아마도 피험자가, 광이 눈으로 지향되는 동안 설비에 가만히 앉는 대안보다는 안경을 착용하고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치료되는 것이다. 이들은 또한 광이 "펄스화될(pulsed)"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이러한 것이 펄스화된 피크 출력이 계속적인 노출 동안 평균 출력보다 높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근시 치료에 대한 언급은 개시되어 있지 않고, 변조의 초점은 인공 광원으로 달성되는 파장이고, 이 출원에서의 용어 "파워(power)"의 사용은 디옵터가 아닌 세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자는 광선 요법의 빈도 및 지속시간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광활성 치료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국 특허 제8,764,185호에는, 망막을 향하여 지향되는 광원을 갖는 눈 장착가능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회로와 결합된 광원은 변조되도록 구성된다. 변조는 색상, 밝기, 강도 또는 지속시간의 형태의 것일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착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목적이다. '185 특허의 발명자는 변조의 한 가지 형태가 모스 부호와 같은 일련의 광 펄스를 제공하는 것, 사실상 착용자와 통신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개시하고, 핵심사항이 펄스화인 것은 장치의 착용자에 의해 이해가능하고 인식가능하다. 하나의 그룹으로서 '185 특허 및 유사한 기술의 핵심적인 태양은, 광원이 인공적이고 장치 자체의 일부로서 포함되는 것으로서, 이는 렌즈를 통과하는 입사광을 이용하고 그에 따라서 인공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출원인의 발명과 대비되지만, 인공 광원이 출원인의 발명에서 필요하다면 활용될 수 있다. 더욱이, '185 특허의 목적은 착용자가 펄스를 충분히 인지하고 밑에 놓인 메시지가, 발명자에 의해 개시되는 바와 같은 모스 부호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을 통한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출원인의 발명에 반하고, 그에 따라서 교시가 배제된다. 출원인의 발명에 따르면, 적정 초점/도수를 가지면서 뇌에서 인지되지 않을 만큼 충분히 높지만(임계 플리커 융합 속도(critical flicker fusion rate) 초과) 망막에서 인지되기에는 적절한 주파수로의 광의 펄스화는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며, 출원인의 지식으로는 신규하며, 착용자에게 인지가능한 소통 수단으로서 펄스화된 광을 사용하는 것과는 정반대이다.
출원인이 소유하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9,289,623호에는, 콘택트 렌즈 형태의 동력공급식 안과용 장치가 광원을 이용하여 계절성 정동 장애와 관련된 증상을 치료한다. 프로세서의 존재가 데이터 분석을 허용하고 이어서 이를 이용하여, 몇몇 예를 들자면, 주파수, 지속시간, 파장, 노출 시간, 굴절 도수(dioptic power), 및 세기와 같은 광선 요법 스케줄 또는 기능에 대한 조절을 이룰 수 있음을 의미하는 "지능형 광선 요법"의 사용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279,474호에서, 유리 안경 렌즈는 두 개의 유리 부분들 사이에 액정 층을 사용하여 안경 렌즈를 구성한다. '474 특허의 목적은 특정된 한계를 초과하여 안경 렌즈를 통해 투과된 광의 수준을 제한하는 것이었다. (즉, 액정 선글라스). '474 특허의 발명자는 액정 층의 사용이 광변색 기술 단독보다 더 빠른 응답 시간을 야기하고 그에 따라서 그의 감소된 응답 시간에 대해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내로 되돌아 갔을 때 다시 원래 상태로의 더 빠른 회복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474 특허의 발명자가 그의 발명의 추가 목적이 연속 가변 제어 밀도를 갖는 치료용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라 언급하고 있지만, 그의 명세서에는 추가 정보가 거의 내지 전혀 제공되고 있지 않다. 굴절 도수의 변조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근시의 진행을 제어하는 어떠한 논의도 없다.
콘택트 렌즈에 포함된 액정의 사용은 상당히 최근의 혁신이다. 미국 특허 제8,542,325호에서는, 액정의 공급, 이 경우는 서모그래픽 액정의 공급이 온도의 변화에 의해 활성화되는 콘택트 렌즈의 색상을 바꾸는 데 이용된다. 미국 특허 제9,155,614호에서는, 전기-활성 요소가 가요성 굴절 광학계 내에 매설되어 있다. 가요성인 전도성 재료와 액정을 조합함으로써, 가변 굴절률이 가능하여, 눈의 굴절 이상을 교정하게 한다.
출원인이 소유하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8,906,088호에서는, 액정 요소를 포함하고 에너지원과 조합된 가변 초점 안과용 장치가 굴절 특성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액정 렌즈는 그의 본체에 입사하는 편광된 광에 전기적으로 가변적인 굴절률을 제공할 수 있다. 편광 축이 제1 렌즈에 대해 제2 렌즈 내에서 회전되는 2개의 렌즈의 조합이 주변 비-편광된 광에 대해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 렌즈 요소를 허용한다. 전기적으로 활성인 액정 층을 전극과 조합함으로써, 전극에 걸쳐 전기장을 인가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는 물리적 엔티티(entity)가 달성될 수 있다. 액정 층의 주변부 상에 존재하는 유전체 층이 있는 경우, 유전체 층을 가로지르는 전기장과 액정 층을 가로지르는 전기장이 전극들을 가로지르는 전기장으로 조합될 수 있다. 3차원 형상에서, 층들에 걸친 전기장들의 조합의 특성이 전기역학적 원리 및 유전체 층과 액정 층의 기하학적 형상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유전체 층의 유효 전기적 두께(effective electrical thickness)가 불균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전극들을 가로지른 장의 효과는 유전체의 유효 형상에 의해 "형상화"될 수 있으며 액정 층들 내에서 굴절률의 차원적으로 형상화된 변화들을 생성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러한 형상화는 가변 초점 특성을 채택하는 능력을 갖는 렌즈를 생성할 수 있다. 액정 층을 포함하는 물리적 렌즈 요소가 상이한 초점 특성을 갖도록 그들 자체가 형상화될 때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출될 수 있다. 이때, 액정 층의 전기적으로 가변적인 굴절률은 전극의 사용을 통한 액정 층에 걸친 전기장의 인가에 기초하여 렌즈의 초점 특성의 변화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방 봉쇄 표면(front containment surface)이 액정 층과 이루는 형상과 후방 봉쇄 표면이 액정 층과 이루는 형상은 일차적으로 시스템의 초점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분명히, 액정, 회로 및 에너지원과 같은 구성요소의 정교함 및 이용은, 다양한 작업을 이제 수행할 수 있는 동력공급식 또는 전력공급식 안과용 제품의 잠재적 응용을 최근에 상당히 확장시켰다.
미국 특허 제6,511,175호는 "게으른 눈"으로도 또한 알려진 어린이들의 약시 치료에 관한 것이다. '175 특허에서는, 어린이 착용자가 약한 눈을 강제로 운동하게 하기 위하여, 강한 눈 위의 렌즈에 대해 선택적으로 불투명하게 되는 액정 렌즈가 고글이나 안경에 설치된다. '175 특허는 투명 상태로부터 불투명 상태로의 LCD 렌즈 전이의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 주파수 펄스 발생기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는 또한 그가 대체적으로 약 60 ㎐인 것으로 식별하는 플리커 융합 속도보다 높은 이러한 전이의 주파수를 개시한다. 플리커 융합 임계치가 절대량이 아닌 통계량이며 파장, 밝기 또는 조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또한 개인의 피로에 의해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망막 내에서 조명이 어디에서 발생하는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출원인의 발명이 또한 플리커 융합 속도 초과의 주파수를 활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만, 출원인의 발명은 굴절 도수를 변조하는 것, 즉 근시 진행을 치료하기 위해 플리커 융합 속도 초과의 주파수로 투과된 이미지의 초점 및 탈초점을 바꾸는 것이다. '175 특허의 발명자들은, 약시를 치료하기 위해 투과된 이미지의 폐색 또는 차단과 렌즈를 통한 이미지의 투과 사이의 교번에 의해, 렌즈를 통한 전체 투과된 이미지의 통과를 변조하고 있다. 출원인의 발명은 '175 특허와 상이하고 구별되는데, 이는 출원인의 발명에 따르면, 눈 생장을 조절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탈초점 상태가 존재함에 따라, 이미지가 렌즈를 통해 계속적으로 투과되지만 이미지 또는 이미지 품질이 초점 상태와 탈초점 상태 사이에서 변하기 때문이다.
2016년 9월 15일자로 공개된 최근 연구 문서(문헌[Papadatou et. al. "Temporal Multiplexing with Adaptive Optics for Simultaneous Vision" Biomedical Optics Express Vol. 7, No. 10 (October 2016).])에서, 연구자들은 시간적 다중화에 의한 동시 보기가 고속 광전자 장치에 의해 인위적으로 달성될 수 있지만, 그들은 실제 사용이 제한된다고 계속 얘기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저자는 전원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크기 및 무게에 대한 고려 사항으로 인해 그러한 사용이 시각적 성능을 시험하는 것으로 가장 잘 제한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국 특허 제7,423,801호에서, 발명자는 렌즈 본체 내에 봉지된 액정 셀을 포함하는 투명 광전자 초점 변조 장치를 갖는 다초점 렌즈를 개시하는데, 그의 목적은, 망막 상에 근거리 물체와 원거리 물체에 초점을 동시에 맞추는 많은 종래의 다초점 렌즈와 대조적으로, 둘 이상의 초점 상태들, 즉 근거리 초점 상태와 원거리 초점 상태 사이를 스위칭하는 것이다. '801 특허가 2개의 초점 상태(즉, 근거리 및 원거리)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근시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의도적인 탈초점을 고려하지는 않고 있다.
이전에 논의된 많은 설계들이 극히 정교하지만, 이들은 관찰되는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근시의 진행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투과된 망막 이미지를 일시적으로 변조하도록 제어 시스템 및 액정을 인위적이고 의도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구상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광학 설계와 비교하여 시력 및 대비 감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키지 않는, 근시 진행을 늦출 수 있는 렌즈 설계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앞서 간략히 설명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근시 제어, 향상된 초점 심도, 및 노안 교정을 위한 펄스화된 플러스 렌즈 설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막에 치료상 효과적인 지속시간에 걸쳐 뇌에서 인지불가능한 시간상 일시적인 탈초점을 달성하기 위해 도수/초점의 관점에서, 투과된 망막 이미지 또는 그 일부를 일시적으로 변조함으로써, 눈 생장에 영향을 주어 근시의 추가 진행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과용 렌즈 시스템은 망막 상의 입력 광의 초점을 전자적으로 변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초점은 근 시야 거리 및 원 시야 거리 둘 모두에서의 용인가능한 시력을 제공하면서 렌즈의 착용자에게 인지불가능한 수준으로 일시적으로 변조된다. 안과용 렌즈 시스템은 제1 렌즈, 렌즈 내의, 튜닝될 수 있는 가변 초점 광학계, 선택가능한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갖는 가변 초점 광학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 및 가변 초점 광학계 및 제어기를 위한 전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시스템은 또한 인공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과용 렌즈는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를 이용하여 짧은 기간(펄스)의 변경된 광학 도수 또는 광학 설계를 인간 눈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러한 짧은 기간 또는 펄스는 스톱 신호를 눈 생장에 제공하는 효과(근시 진행 완화) 및/또는 눈의 초점 심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의 예에는 투과형 공간 광 변조기(액정) 또는 가변 정전 액체 광학계, 예컨대, 오일/물 봉입 렌즈가 포함된다.
안과용 렌즈는, 그의 주요 광학 구역 내에, 전자적으로 어드레싱되고 프로그램가능한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를 포함한다. 최적의 원거리 교정을 제공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는 또한 망막 전방에 근시성 탈초점을 일시적으로 생성하도록 인지불가능한 펄스화된 플러스 도수를 유도한다. 근시를 제어하는데 효과적이도록 하기 위해 고려하는 핵심 원리는, 만족스런 시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대체적으로 20/25 이상의 적절한 원거리 시력을 불량한 이미지 아티팩트(artifact)를 최소화하면서 보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더욱이, 근시의 추가 진행을 제어하기 위해, 망막 전방의 이미지의 품질은 임의의 거리에 있는 물체를 모든 동공 크기로 볼 때 망막 후방의 이미지의 품질보다 항상 우수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망막 상의 이미지의 품질은 망막 전방 또는 후방의 이미지의 품질보다 항상 우수하여야 한다.
치료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플러스 도수의 기간 대 최적의 원거리 교정의 기간의 비는 약 5 내지 90 퍼센트의 범위에 있다. 상이한 도수들의 비는 또한 단위 기간에 디스플레이된 플러스 도수의 기간의 비인 듀티 사이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1초의 총 기간 중에서 총 100ms 동안 플러스 도수를 디스플레이하면 듀티 사이클은 10 퍼센트이다. 이는, 100ms 부분이 연속적이며 매초마다 한 번씩 일어나는 경우, 또는 누적 지속시간이 1초 동안 100ms이기만 하면 1초 기간 동안 몇 차례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어느 경우든, 두 상황 모두 10 퍼센트의 동일한 듀티 사이클을 가지며, 둘 모두 치료상 효과적일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출원인은 주어진 듀티 사이클에서, 간헐적인 펄스화에 의해, 관찰된 이미지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대안적으로, 제어기의 존재는 유사한 방식으로 파장 및 세기를 또한 변조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접근법의 각각은 또한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기로부터,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플러스 도수 및 플라노(plano) 도수가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에 의해 교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펄스화된 플러스 디스플레이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0% 듀티 사이클을 야기하는 펄스 디스플레이 방법의 등가이지만 상이한 2가지 듀티 사이클의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시력 성능에 대한 +3 D의 플러스 도수의 펄스화된 디스플레이의 영향의 그래픽 표현으로, 본 발명에 따라, LogMAR 단위의 VA 변화 대 듀티 사이클이 도 3a에 도시되어 있고, 웨버 대비 변화 대 듀티 사이클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 액체 메니스커스 렌즈(arcuate liquid meniscus lens)의 가변 광학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층을 갖는 가변 광학부를 도시한다.
도 6은 굴절 도수의 범위에 대한 눈의 길이 변화를 도시한다.
도 7a는 시력의 손실과 비교하여, 퍼센트*디옵터 단위인 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즉, 유도된 블러)의 곱한 값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b는 대비 감도와 비교하여, 퍼센트*디옵터 단위인 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즉, 유도된 블러)의 곱한 값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전자 장치가 계속하여 소형화됨에 따라, 다양한 용도를 위해 착용가능한 또는 매설가능한 마이크로전자 장치를 생성하기가 점점 더 쉬워지고 있다. 그러한 용도는 신체 화학성상(chemistry)의 양상을 모니터링하는 것, 측정에 응답하거나 외부 제어 신호에 응답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비롯하여,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약물 또는 치료제의 제어된 투입량을 투여하는 것, 및 장기 또는 조직의 수행 능력(performance)을 증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의 예는 포도당 주입 펌프, 심장 박동기(pacemaker), 제세동기(defibrillator), 심실 보조 장치(ventricular assist device) 및 경피신경 자극기(neurostimulator)를 포함한다. 새롭고, 특히 유용한 분야의 응용은 안경 및 콘택트 렌즈와 같은 착용가능 렌즈는 물론 온레이(onlay), 인레이(inlay) 및 안내 렌즈(intraocular lens, IOL)와 같은 이식형 렌즈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에 있다. 예를 들어, 착용가능 렌즈는 눈의 수행 능력을 증대시키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적으로 조절가능한 초점을 갖는 렌즈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가변 초점 렌즈, 예를 들어 액정 또는 액체 메니스커스 기술을 이용하는 전자 가변 초점 렌즈는 광학 도수 변화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활성화 전압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설계 파라미터에 따라, 이러한 렌즈는 고유한 커패시턴스를 또한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충전 및 방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플리커 임계치보다 더 빠르게 초점을 교번시키기 위해, 전자 구동기 회로는 렌즈의 커패시턴스를 고려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 초점과 관련된 전압들 사이에서 렌즈를 토글(toggle)하기에 충분히 빠르게 전류를 인출(sink)하거나 공급(source)하여야 한다. 많은 기술들이 출원인이 소유하고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9,351,827호에서 언급된 것들을 포함하여 이들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전자 구성요소들은 콘택트 렌즈로서 눈의 각막 표면 상에 피팅되도록 구성된 렌즈 본체 내에 봉지/매설될 수 있다. 대안 예에서, 매설된 전자 구성요소를 갖는 렌즈 본체는 렌즈 본체와 일체화된 햅틱스(haptics)의 부가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안내 렌즈로서 이식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조절가능한 초점을 갖거나 갖지 않는 착용가능 콘택트 렌즈는 각막전(precorneal) (누액) 막 내의 특정 화학물질의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자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조립체에서의 매설된 전자기기의 사용은 전자기기와의 통신에 대한, 전력 제어 또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한 전자기기에 전력공급 및/또는 재-에너지 공급하는 방법에 대한, 전자기기를 상호접속시키는 것에 대한, 내부 및 외부 감지 및/또는 모니터링에 대한, 그리고 렌즈의 전반적인 기능 및 전자기기의 제어에 대한 잠재적 요건을 도입시킨다.
종래의 콘택트 렌즈는 위에서 간략하게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시력 문제를 교정하기 위해 눈 상에 배치된 특정 형상을 갖는 중합체 구조물이다. 종래의 안경 렌즈는 전형적으로 위에서 간략하게 기재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시력 문제를 교정하기 위해 특정 형상을 갖는 중합체 구조물을 포함하고 프레임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종래의 안내 렌즈는 인간 수정체의 제거 후에 수정체낭 내측에 렌즈를 고정시키도록 일체화된 햅틱스를 갖는 중합체 구조물이다. 향상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회로 및 구성요소들이 이들 중합체 구조물 및/또는 프레임에 통합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력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물론 시력을 향상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부가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어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통신 장치, 전원, 센서, 액추에이터, 발광 다이오드, 및 소형 안테나가 주문 제작된 광전자 구성요소를 통해 콘택트 렌즈 또는 안내 렌즈에 통합될 수 있다. 더욱이,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간 광 변조기가 안과용 렌즈 내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전자 및/또는 전력공급식 콘택트 렌즈, 안내 렌즈 또는 안경은 줌인 및 줌아웃 능력을 통해 또는 단순히 렌즈의 굴절 능력을 수정하는 것을 통해 향상된 시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전자 및/또는 전력공급식 콘택트 렌즈, 안내 렌즈 및/또는 안경은 색상 및 분해능을 향상시키도록,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음성을 실시간으로 캡션으로 변환하도록,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시각적 큐를 제공하도록, 이미지 처리 및 심지어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렌즈는 착용자가 낮은 조명 조건에서 볼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적절히 설계된 전자기기 및/또는 렌즈 상에서의 전자기기의 배열은, 예를 들어 가변 초점 광학 렌즈 없이 망막 상으로 이미지를 투사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새로운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고, 심지어 기상 경보(wakeup alert)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러한 기능들 또는 유사한 기능들 중 임의의 것에 추가해, 콘택트 렌즈, 안내 렌즈 및/또는 안경은 착용자의 바이오마커(biomarker) 및 건강 표지(health indicator)의 비침습적 모니터링을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에 설치된 센서는 당뇨병 환자가 혈액을 채취할 필요 없이 누액막의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혈당 수준을 감시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적절히 구성된 안과용 렌즈는 콜레스테롤, 나트륨 및 칼륨 수준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학적 지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무선 데이터 송신기와 결합되어 환자가 검사실에 가서 혈액을 채취하는 시간을 낭비할 필요 없이 의사가 환자의 혈액 화학성상에 거의 즉각적으로 접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안과용 렌즈에 설치된 센서는 주변 광 조건을 보상하기 위해, 또는 깜박임 패턴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눈에 입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개수의 많은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가변 초점 렌즈 또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을 작동 및 이행시킬 수 있는 전자 시스템, 예를 들어, 근시 진행을 늦추는 데 사용되는 공간 광 변조기를 포함하는 전력공급식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전자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 또는 다른 전원들, 전력 관리 회로, 하나 이상의 센서들, 클록 생성 회로, 적합한 제어 알고리즘들을 구현하는 제어 회로, 및 렌즈 구동기 회로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의 복잡성은 안과용 렌즈의 요구되는 또는 원하는 기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설계는 임의의 많은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임의의 많은 상이한 안과용 렌즈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본 발명의 렌즈 설계는 매일 착용 소프트 콘택트 렌즈, 강성 기체 투과성 콘택트 렌즈, 이중 초점 콘택트 렌즈, 원환체 콘택트 렌즈 및 하이브리드 콘택트 렌즈를 비롯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콘택트 렌즈들 중 임의의 것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콘택트 렌즈에 관하여 주로 기술되지만, 본 발명의 개념은 안경 렌즈, 안내 렌즈, 각막 인레이 및 온레이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리커 융합 임계치(또는 플리커 융합 속도)는 시각의 정신물리학적 개념이다. 1800년대 후반 및 1900년대 초반에, 페리(Ferry)와 포터(Porter)는 플리커가 관찰될 수 있는 최대 주파수가 휘도의 대수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페리-포터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파수를 임계 플리커 주파수라 한다. 이는 간헐적인 (플리커링) 광 자극이 평균적인 인간 관찰자에게 완전히 정상인 것으로 보이는 주파수로 정의된다. 예로서, 이 원리는 플리커를 완전히 방지하기에 충분한, 컴퓨터 디스플레이의 경우 72 헤르츠의 프레임 속도(frame rate)를 선택하는 데 있다. 변조 주파수가 플리커 융합 임계치 초과로 유지되는 한, 인지되는 세기는 빛과 어둠의 상대적인 기간을 변화시킴으로써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두운 기간들이 길어지는 경우에, 이는 이미지를 어둡게 할 것이다(탤벗-플래토 법칙(Talbot-Plateau law)).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플리커 융합 원리는 또한 광학 도수에 적용될 수 있다.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를 사용함으로써, 렌즈의 광학 도수는 플리커 융합 임계치를 초과하는 주파수로 빠르게 바뀔 수 있다. 안과용 렌즈의 유효 광학 특징은 다양한 광학 도수 또는 설계의 디스플레이의 상대적 주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는 플라노와 +3 디옵터 "D" 사이에서 도수를 빠르게 스위칭함으로써 2개의 단순한 도수(플라노 및 +3 D)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변조 주파수가 플리커 융합 임계치 초과로 유지되면, 예를 들어, 시력에 대한 두 가지 도수의 영향은 플라노 대 +3 D 디스플레이 시간의 비(즉, 듀티 사이클)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는 (이중초점 또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와 유사한) 광을 눈에 동시에 초점맞추는 둘 이상의 광학 도수/설계를 갖는 것의 등가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시력 교정을 위한 것 및 근시 진행 완화를 위한 다른 것에 해당할 것이지만, 근시 진행 완화를 위한 후자가 본 발명에 따라 플리커 융합 임계치 초과의 주파수로 제한된 지속시간 또는 듀티 사이클을 가짐에 따라, 시력 품질의 어떠한 저하도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지 않는 결과를 가져온다.
안과용 렌즈는, 그의 주요 광학 구역 내에, 전자적으로 어드레싱되고 프로그램가능한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를 포함한다. 최적의 원거리 교정을 제공하면서,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는 또한 망막 전방에 근시성 탈초점을 생성하도록 극히 짧은 간헐적인 플러스 도수를 유도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화 방법으로 달성된다. 플러스 도수와 최적의 원거리 교정의 기간의 비는 약 5 내지 90 퍼센트의 범위에 있다. 상이한 도수들의 비는 또한 단위 기간에 디스플레이된 플러스 도수의 기간의 비인 듀티 사이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초마다 100ms의 지속시간이 단 한번 일어나서 달성되든, 매초마다 25ms의 지속시간이 4차례 일어나서 달성되든, 또는 매초마다 10ms의 지속시간이 열 차례 일어나서 달성되든 간에, 임의의 1초의 총 기간 중에서 100ms 동안 플러스 도수를 디스플레이하면 듀티 사이클은 10 퍼센트이다. 사용된 시나리오에 관계없이 이들 시나리오의 각각은 10 퍼센트의 듀티 사이클을 나타낸다.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에 따라, 듀티 사이클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거나 일부 경우에는 변경될 수 있지만, 어떤 변형예는 치료상 효과적이면서 또한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으므로, 착용 기간에 걸쳐 사용되는 시나리오는 중요하다.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적절한 듀티 사이클 및 인지불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짧은 기간의 플러스 도수를 갖는 것은 근시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치료를 제공하면서 시력을 최적으로 교정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대략 5 퍼센트 이상의 듀티 사이클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시력 및 대비 감도 둘 모두에 최소로 지장을 주기 때문에, 5 내지 90 퍼센트의 다른 값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근시 제어를 위한 튜닝가능 광학계에 의해 유도된 플러스 도수는 +1.0 D 내지 +20 D로 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노안 교정을 위한 튜닝가능 광학계에 의해 유도된 도수는 -4 D 내지 +4 D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도된 광학 설계는 단일 구면 도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초점 렌즈, 누진 렌즈 및 다른 광학 설계를 포함한 광학 설계가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광학 설계는 또한 시간의 함수로서, 또는 피험자의 동공에서의 광 수준이나 피험자의 동공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유도된 도수 패턴은 전체 광학 영역을 덮을 필요는 없으며 동공 내의 구역/부분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근시의 경우, 전형적인 동공 크기는 중등도 조명 상태에서 4 내지 8 mm 범위에 있다. 더욱이, 최적의 시력을 위해, 렌즈 광학 구역의 중심의 2 mm에는 유도된 펄스화된 근시성 탈초점이 없이, 고정된 주 원거리 교정을 남길 수 있다. 눈의 입사 동공 크기는 부분 모집단 간에 변화하기 때문에,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렌즈 설계는 환자의 평균 동공 크기에 기초하여 양호한 중심와 시력 교정 및 근시성 치료 효능 둘 모두를 달성하도록 맞춰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동공 크기는 소아 환자들에 대해 굴절 및 연령과 상관되기 때문에,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렌즈는 특정 연령의 소아 부분 모집단의 하위 집단 및/또는 그들의 동공 크기에 기초한 굴절에 대해 추가로 최적화될 수 있다.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에 의한 펄스 플러스 디스플레이
안과용 렌즈의 광학 구역을 덮는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가 사용되어 최적의 원거리 교정의 기간과 함께 플러스 도수의 인지불가능한 짧은 펄스를 눈으로 유도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는 플러스 도수(+3 D) 및 플라노 파면(wavefront) 패턴 둘 모두의 일련의 파면 패턴을 눈에 디스플레이한다. 본 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플러스 도수 파면 패턴은 (용어"플러스 3D 온(on)"으로 표기된) 위치 1, 위치 4 및 위치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투과되고, 한편으로 플라노 파면 패턴은 (용어 "플러스 3D 오프(off)"로 표기된) 위치 2, 위치 3, 위치 5, 위치 6, 위치 8 및 위치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투과된다. 펄스 디스플레이가 플리커 융합 속도보다 더 높은 변조 주파수로 수행되는 한, 눈은 안정된 이미지를 관찰한다. 그 결과, 이는 +3 D의 고정 도수만을 통한 관찰보다 덜 희미하면서, 간헐적이지만 인지불가능한 플러스 도수 이미지의 존재에 의해 달성된 근시 제어 또는 진행 완화의 치료 효과를 여전히 제공한다.
펄스 디스플레이의 듀티 사이클의 방법
목표 이미지가 눈에 어떻게 보이는가는 유도된 플러스 도수의 크기에 좌우되고, 또한 펄스 디스플레이의 듀티 사이클에 좌우된다. 듀티 사이클은 신호가 활성인 기간의 비율로 정의된다. 도 2에 도시된 듀티 사이클의 2개의 예(상태)는 +3 D 도수가 활성화된 경우 둘 모두가 10 퍼센트 듀티 사이클을 갖는 2개의 펄스 플러스 디스플레이 상태이다. 첫 번째는 유도된 플러스 도수의 4개의 개별 25ms 기간을 이용한다. 눈은 두 상태에서 매 1초 기간에 100ms의 동일한 전체 기간의 플러스 도수에 노출된다. 상태 1에서, 변조 주파수는 40 ㎐로, 이는 인간 눈에서 평균적인 플리커 융합 임계치보다 높고, 그에 따라서 플리커 또는 이미지 불안정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눈은 약간 흐리지만 안정된 이미지를 관찰할 것이다. 상태 2에서, (매초 단 하나의 100ms 기간) 변조 주파수는 인간 눈에서 플리커 융합 임계치보다 낮은 10 ㎐이다. 이러한 두 번째 상태에서, 눈은 디스플레이되는 파면 패턴이 +3 D에서 플라노로 스위칭되는 경우 두드러진 지터(jitter)를 관찰할 것이다. 따라서, 두 상황 모두가 근시 진행의 치료 시 효과적일 수 있지만, 상태 1은 일부 개인에 대해 상태 2보다 시각적으로 더 편할 수 있다. 각각이 10%의 듀티 사이클을 갖는 다수의 다른 조합이 존재하고, 일부 추가 예가 하기 표에 나타나 있다:
[표 1]
Figure 112017027900437-pat00001
시력 및 대비 감도 둘 모두는 유도된 플러스 도수 및 듀티 사이클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최상의 구면 교정에 대한 그리고 종래의 +3 D 구면 렌즈와 비교한 상기 펄스화된 플러스 상태들에 대한 시력 및 웨버 대비 감도가 아래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표 2의 결과를 그래픽으로 나타내고 있다. 표 2와 도 3a 및 도 3b의 차트 모두에서의 값은 듀티 사이클의 증가 또는 굴절 도수의 증가가 시력의 손실 및 대비 감도의 손실 둘 모두를 야기하고 이들 둘 모두에 비례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듀티 사이클의 증가 또는 굴절 도수의 증가는 치료 효과에 비례한다는 것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듀티 사이클 또는 굴절 도수를 시력 또는 대비 감도의 손실이 과도한 포인트까지가 아닌 치료상 효과적인 포인트까지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원인은 시력 및 대비 감도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용인가능한 시각적 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듀티 사이클, 굴절 도수 및 변조 주파수의 적절한 균형을 근시 진행 효과의 균형과 함께 결정하였다. 시각적 성능의 이러한 2가지 표지는 환자들 사이에서 다소 주관적이고 그와 같이 환자마다 상이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근시는 전형적으로 눈의 안축장이 너무 길게 성장하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유사하게 안축장 변화의 감소는 근시 진행 치료의 치료 효과에 대한 척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c는 40분의 기간 동안 가변하는 도수의 렌즈를 착용한 후 10명의 피험자에 대한 연구에서 안축장 변화 시 도수의 영향을 도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음의 도수 및 양의 도수 둘 모두의 영향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음의 도수는 원시성 탈초점된 망막 이미지(초점 이미지 평면이 망막의 후방에 있음)를 야기하고, 그에 따라서 눈은 성장하도록 메시지를 수신하고, 안축장의 이후의 변화는 양의 값이다. 이는 근시성 탈초점된 망막 이미지(초점 이미지 평면이 망막의 전방에 있음)를 야기하는 양의 도수와 대비되고, 그에 따라서 눈의 안축장 변화는 음의 값이다. 도 3c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스 도수의 증가는 눈의 안축장의 증가된 감소(즉, 음의 변화)에 정비례한다. 마찬가지로, 도수가 존재하는 지속시간(즉, 듀티 사이클)이 또한 안축장 변화에 비례한다.
[표 2]
Figure 112017027900437-pat00002
제어 회로는, 전술된 바와 같이, 플리커링된 펄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공간 광 변조기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알고리즘은 100, 125 및 250ms의 공간 광 변조기 디스플레이 시간에 대응하는 4, 5 또는 10개 프레임의 공간 광 변조기 파일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어레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이미지 어레이는 통상의 듀티 사이클들, 예를 들면,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10 퍼센트, 20 퍼센트, 50 퍼센트 및 100 퍼센트를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알고리즘은 임의의 비, 예를 들어, 20 퍼센트, 21 퍼센트, 22 퍼센트 등의 듀티 사이클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100개 프레임의 공간 광 변조기 파일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어레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미지 어레이는 디스플레이 전에 시스템 메모리 내에 미리 로딩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만곡된 액체 메니스커스 렌즈(4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식염수(406)와 오일(407) 사이에 액체 메니스커스 경계(401)가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402와 403 사이에 걸치는 아치형 벽의 제1 모난 중단부(angular break)에 의해 전방 곡면 렌즈(404)에 메니스커스 벽(405)이 한정된다. 액체 메니스커스 경계(401)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코팅부 또는 전도성 재료(408)를 따라 전하가 인가되고 제거됨에 따라 메니스커스 벽(405) 위아래로 이동할 것이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전도성 코팅부(403)가 식염수(406) 및 오일(407)을 보유하는 공동(409)에 대해 내부에 있는 영역으로부터 식염수(406) 및 오일(407)을 수용하는 공동(409)에 대해 외부에 있는 영역까지 연장될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전도성 코팅부(403)는 공동(409)에 대해 외부에 있는 지점에서 전도성 코팅부(403)에 인가된 전하의, 공동 내에 있고 식염수(406)와 접촉하는 전도성 코팅부의 영역으로의 도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 메니스커스 렌즈는 전방 곡면 렌즈(404) 및 후방 곡면 렌즈(410) 상에 또는 이들을 통해 존재하는 재료, 경로, 절연체 코팅부, 및 전도성 코팅부 중 하나 이상을 갖는 커패시터(capacitor)로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메니스커스 경계(401)의 형상 및 이에 따라 액체 메니스커스 경계(401)와 전방 곡면 렌즈(404) 사이의 접촉각은, 전방 곡면 렌즈(404)와 후방 곡면 렌즈(41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적어도 일부분의 표면에 인가되는 전하에 응답해 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코팅부 또는 재료를 통해 식염수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는 메니스커스 벽(405)을 따른 액체 메니스커스 경계(401)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안과용 렌즈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가변 광학부(500)가 액정 층(530)과 함께 예시되어 있다. 가변 광학부(500)는 본 명세서의 다른 단락에서 논의되었던 바와 유사한 재료의 다양성 및 구조적 관련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투명 전극(545)이 제1 투명 기재(5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표면(540)은 유전체 필름으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투명 전극(545)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정렬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렌즈 표면(540)의 유전체 층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두께에 있어서 국부적으로 변화되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국부적으로 변화되는 형상은 렌즈 요소의 추가의 초점 도수를 도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형상화된 층은 제1 투명 전극(545) 기재(550) 조합 상에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투명 전극(545)과 제2 투명 전극(520)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형상화는 별개로 동력공급될 수 있는 별개의 개별 영역이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극은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주변부까지 나선과 같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액정 층(530)을 가로질러 가변 전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그러한 전극 형상화는 유전체 층을 전극 상에 형상화하는 것에 더하여 또는 그러한 형상화 대신에 수행될 수 있다. 이들 방식으로의 전극의 형상화는 또한 작동 중인 렌즈 요소의 추가의 초점 도수를 도입할 수 있다. 액정 층(530)은 제1 투명 전극(545)과 제2 투명 전극(52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투명 전극(525)은 상부 기재 층(51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 기재 층(510)으로부터 하부 기재 층(550)까지 형성된 장치는 안과용 렌즈의 가변 광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정렬 층이 또한 540 및 525에서 유전체 층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액정 층(525)을 둘러쌀 수 있다. 540 및 525에 있는 정렬 층들은 안과용 렌즈의 휴지 배향을 한정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극 층(525, 545)은 액정 층(530)과 전기 연통 상태에 있을 수 있고, 휴지 배향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동력공급된 배향으로의 배향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가변 광학부에 액체 메니스커스 접근법이 이용되든 또는 액정 접근법이 이용되든 간에, 어떠한 접근법도 극도로 짧은 간헐적인 펄스화를 생성하기 위하여 극도로 응답성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광을 눈에 초점맞추는 둘 이상의 광학 도수/설계를 생성하는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는 많은 이점을 포함한다. 전체 투과형 렌즈는 둘 이상의 초점 평면을 생성하기 위하여 도수를 변경할 수 있다. 펄스화된 디스플레이가 구면 도수인 경우, 이는 동공에 대한 다초점 콘택트 렌즈의 정밀한 중심화에 대한 필요성을 없앤다. 안경 렌즈에서, 이는 안경 렌즈 다초점 광학 설계에 대한 시선 변화의 문제점을 극복한다. 근시 제어 응용에서, 눈 생장을 늦추는 추가의 양의 도수는 망막의 전체 필드에 제공되고 (망막의 정의된 영역으로 투사된) 렌즈의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노안을 위한 연장된 초점 심도 응용에서, 중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제공하는 추가의 양의 도수는 망막의 전체 필드에 제공되고 렌즈의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를 사용하면, 듀티 사이클은 주관적인 피드백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튜닝"되어 용인가능한 시력 품질을 생성할 수 있다.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를 사용하면, 듀티 사이클은 수행되는 시각적 과제(예를 들어, 근시 제어 또는 노안 교정을 위한 트리거로서 근거리 작업)를 나타내는 바이오마커 피드백에 기초하여 "튜닝"될 수 있다.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는 단순한 탈초점(예컨대, 플라노 및 +3 DS)의 형태로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난시, 구면 수차, 다초점 또는 임의의 다른 광학 수차들의 조합과 같은 많은 복합적인 형태로 있을 수 있다. 가변 초점 광학계는 렌즈에 걸쳐 초점 변화의 상이한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렌즈의 중심부는 듀티 사이클*도수 인자의 변화를 겪지 않도록 또는 렌즈의 많은 주변부보다 더 적게 그러한 변화를 겪도록 튜닝될 수 있다. 렌즈의 더 많은 주변부는 듀티 사이클*도수 인자의 더 큰 변화를 겪을 수 있는데, 이는 주변 망막이 시력에 대한 블러에 덜 민감하고, 주변 망막에서의 탈초점이 눈의 굴절력 발달에 영향을 미칠 때 영향력이 클 수 있다고 또한 상정되었기 때문이다. 광학 설계 상의 제한은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의 유형으로 인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개별 튜닝가능 픽셀을 갖는 투과형 공간 광 변조기는 픽셀들의 크기 및 분포에 기초하여 임의의 복합적인 설계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정전 튜닝가능 액체 렌즈 광학계는 덜 복합적인 광학 설계(예컨대, 구면, 난시, 구면 수차)로 제한될 것이다. 더욱이, 대부분의 개인의 경우에, 굴절력 관리는 전체 양안 시력을 허용할 수 있거나 허용할 수 없는 2개의 기능성 눈(functioning eye)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절력 발달 관리는 두 눈의 상대적 상태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근시의 정도가 더 큰 눈에 제공되는 가변 광학계는 더 큰 듀티 사이클*도수 인자를 갖도록 튜닝되어, 타측 눈(contralateral eye)에서보다 그 눈에서 더 큰 굴절력 제어를 달성할 수 있고, 이어서 이는 시력을 위해 더 많이 필요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플러스 도수의 제공은 눈 앞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되어,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눈에서 중단 없는 선명한 시력을 허용할 수 있어서, 최적의 시력 및 최대의 근시 치료 효과 둘 모두를 가능하게 한다.
전향적 임상 시험은 인간의 근시 진행 속도가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광학 설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임상 시험은 어린이의 망막 이미지에서의 양의 탈초점의 도입이 근시의 진행을 늦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탈초점과 관련된 눈의 길이 변화는 공막 생장 및 맥락막 두께 둘 모두의 변화에 의해 변조되고, 이의 순수 효과는 이미지 면을 향한 망막의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을 야기한다. 탈초점된 망막 이미지, 근시성 탈초점된 이미지(즉, 초점면이 망막의 전방에 있음) 또는 원시성 탈초점된 이미지(즉, 초점면이 망막의 후방에 있음)는 근시 또는 원시의 진행을 완화시킬 수 있다. 출원인은 유도된 근시성 탈초점이 맥락막의 두꺼워짐 및 (망막의 전방 이동을 야기하는) 감소된 공막 생장 속도로 이어지고, 유도된 원시성 탈초점이 맥락막의 얇아짐 및 (망막의 후방 이동을 야기하는) 공막 생장 속도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부가된 탈초점에 응답한 맥락막 두께 변화는 조류 및 영장류 동물 모델 둘 모두에서 관찰되었고, 빠르게 발생하고 눈 크기의 장기간의 공막-매개 변화에 선행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연구는 청소년인 인간 피험자에게서, 맥락막 두께 및 안축장의 단기간의 변화가 광학적 탈초점에 응답하여 다른 동물 종에서 관찰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탈초점에 응답하는 맥락막 두께 변화의 시간 경과를 조사한 연구는 이러한 변화가 노출되고 몇 분 내에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탈초점이 하루 동안 부과되는 경우, 이는 탈초점의 부호에 따라 변화의 예측가능한 패턴을 갖는 맥락막 두께 및 안축장의 정상적인 일주기 리듬에 상당한 지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설계는 유사한 방식으로 평가되었고, 디옵터 단위의 도수에 대한 안축장 변화를 나타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락막 두께 변화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축장 변화는 -3.0 디옵터로부터 플라노("pl")를 거쳐 최대 + 10.0 디옵터로 증가하는 양의 도수에 반비례한다.
플러스 도수의 지속시간(즉, 듀티 사이클) 및 플러스 도수의 수준 둘 모두가 근시 진행 치료의 치료상 효과에 정비례하는 것을 고려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그래프를 재현할 수 있다. 이는 시력(도 7a 참조) 및 대비 감도(도 7b 참조)를 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의 수준(즉, 블러)의 곱한 값과 비교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7a 및 도 7b 둘 모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력 및 대비 감도의 둘 모두의 손실과 이들 둘의 곱한 값 사이의 데이터의 우수한 선형 피팅이 존재한다. 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의 곱의 증가하는 값이 증가된 치료상 효과를 가져오지만, 시력의 증가하는 손실도 또한 효과로 봐야만 한다. 그와 같이, 시력의 손실을 3개 라인 이하(0.3 log MAR 시력) 및 바람직하게는 2개 라인 이하(즉, 0.2 log MAR 시력)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어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라인 이하의 손실을 이용하여, 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의 곱한 값에 대한 상한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3개 라인의 손실의 상한은 100 퍼센트*디옵터의 값(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의 곱)에 대략 해당한다. 시각적 성능이 시력 및 대비 감도 둘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도 7b로 돌아가면, 그리고 100 퍼센트*디옵터의 이러한 값(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의 곱)을 이용하면, 대응하는 대비 감도 값을 또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100 퍼센트*디옵터의 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의 곱한 값을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많은 눈 관리 전문가들 사이에서 용인가능한 대략 0.15의 대비 감도 값에 해당한다. 0.5 디옵터만큼 낮은 플러스 도수 및 10%만큼 낮은 듀티 사이클을 갖는 렌즈가 치료상 효과적인 것을 보여준다는 것을 고려하면, 대략 5 퍼센트*디옵터인 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의 곱의 바람직한 하한을 또한 정의할 수 있다. 하기의 표 3은 듀티 사이클과 플러스 도수의 곱의 상한 및 하한 둘 모두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 바람직한 플러스 도수 및 듀티 사이클의 일부 예시적인 조합을 나타내는데, 이들 상한과 하한 사이에 있는 값들의 조합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인가능한 시각적 성능과 함께 치료상 효과의 조건을 만족시킬 것이라는 점은 이해된다.
[표 3]
Figure 112017027900437-pat00003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여겨지는 것이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기술되고 도시된 특정 설계 및 방법으로부터의 벗어남이 그 자체를 당업자에게 제안할 것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기술되고 도시된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할 수 있는 모든 변경과 일관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Claims (22)

  1. 망막 상의 입력 광의 초점을 전자적으로 변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초점이 근 시야 거리 및 원 시야 거리에서의 교정된 시력을 제공하면서 렌즈의 착용자에게 인지불가능한 수준으로 변조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으로서,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 내의 가변 초점 광학계로서,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의 초점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탈초점 상태를 달성하도록 튜닝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점 상태에서는 착용자의 근시 또는 원시를 교정하도록 입력 광이 상기 착용자의 망막 상에 초점이 맞춰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탈초점 상태에서는 도수 또는 초점의 관점에서 망막 이미지에 양의 탈초점의 도입으로 인하여 눈 생장에 변화를 일으키면서 뇌에 인지불가능한 일시적인 탈초점을 달성하고 동시에 근 시야 거리 및 원 시야 거리에서 교정된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입력 광은 상기 망막의 전방에 초점이 맞춰져서 투과된 망막 이미지 또는 그 일부를 일시적으로 변조함으로써 상기 착용자에 근시 발달 또는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역전시키거나, 예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근시성 블러를 생성하는,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
    선택가능한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갖는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점 상태 및 상기 착용자가 인지불가능한 속도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탈초점 상태 사이를 교번하게 하고,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에 의해 교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플러스 도수 및 플라노 도수 모두의 일련의 파면 패턴을 생성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어기; 및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 및 상기 제어기를 위한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듀티 사이클의 퍼센트의 수치와 초점 변화의 디옵터 단위의 수치의 곱의 하한값은 5 이고,
    상기 듀티 사이클의 퍼센트의 수치와 초점 변화의 디옵터 단위의 수치의 곱의 상한값은 100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은 연장된 초점 심도를 달성하도록 변조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은 노안인 착용자에게서 교정된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을 동시에 허용하도록 변조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초점 변화는 0.50 디옵터 내지 20 디옵터로 변할 수 있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초점의 변동 속도는 인간 임계 플리커 융합 주파수(human critical flicker fusion frequency) 초과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플러스 도수가 상기 착용자에게 제공되는 동안의 시간의 비율은 1 퍼센트 내지 75 퍼센트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는 액정 삽입체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는 액체 메니스커스 삽입체(liquid meniscus insert)를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에서의 초점 변화의 90 퍼센트는 20ms 미만에서 일어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초점 변화의 정도는 상기 제1 렌즈의 하나의 영역에서의 초점 변화의 정도가 상기 제1 렌즈의 다른 하나의 영역에서의 초점 변화의 정도와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제1 렌즈에 걸쳐서 변할 수 있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전자 콘택트 렌즈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전자 안경 렌즈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전자 안내 렌즈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기적으로, 또는 상승작용적으로 중 적어도 하나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독립적인 가변 초점 광학계를 갖는 제2 렌즈를 추가로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16. 근시 진행을 치료하기 위한 안과용 렌즈 시스템으로서,
    눈의 전방에 또는 눈 상에 착용되는, 또는 눈 내에 이식되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 내의 가변 초점 광학계로서,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의 초점 상태 및 적어도 하나의 탈초점 상태를 달성하도록 튜닝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점 상태에서는 착용자의 근시 또는 원시를 교정하도록 입력 광이 상기 착용자의 망막 상에 초점이 맞춰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탈초점 상태에서는 도수 또는 초점의 관점에서 망막 이미지에 양의 탈초점의 도입으로 인하여 눈 생장에 변화를 일으키면서 뇌에 인지불가능한 일시적인 탈초점을 달성하고 동시에 근 시야 거리 및 원 시야 거리에서 교정된 시력을 제공하기 위해 입력 광은 상기 망막의 전방에 초점이 맞춰져서 투과된 망막 이미지 또는 그 일부를 일시적으로 변조함으로써 상기 착용자에 근시 발달 또는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역전시키거나, 예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해 근시성 블러를 생성하는,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와 전기 연통 상태에 있는 제어기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초점 상태 및 상기 착용자가 인지불가능한 속도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탈초점 상태 사이를 교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선택가능한 듀티 사이클을 갖는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를 제어하고, 상기 듀티 사이클은 5 내지 90 퍼센트 범위에 있는 탈초점의 인지불가능한 펄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가 투과형 고속 튜닝가능 광학계에 의해 교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플러스 도수 및 플라노 도수 모두의 일련의 파면 패턴을 생성하게 하는, 상기 제어기; 및
    상기 가변 초점 광학계 및 상기 제어기를 위한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듀티 사이클의 퍼센트의 수치와 초점 변화의 디옵터 단위의 수치의 곱의 하한값은 5 이고,
    상기 듀티 사이클의 퍼센트의 수치와 초점 변화의 디옵터 단위의 수치의 곱의 상한값은 100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사이클은 10 내지 30 퍼센트의 범위에 있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시력 변화는 베이스라인(baseline)과 비교하여 logMAR 단위로 0.4 이하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웨버 대비 감도(Weber contrast sensitivity) 변화는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0.15 이하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시력 변화는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logMAR 단위로 0.4 이하이고, 웨버 대비 감도 변화는 베이스라인과 비교하여 0.15 이하인, 안과용 렌즈 시스템.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에서의 초점 변화의 90 퍼센트는 10ms 미만에서 일어나는, 안과용 렌즈 시스템.
KR1020170035283A 2016-03-22 2017-03-21 근시 제어, 향상된 초점 심도 및 노안 교정을 위한 펄스화된 플러스 렌즈 설계 KR102375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11485P 2016-03-22 2016-03-22
US62/311,485 2016-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038A KR20170110038A (ko) 2017-10-10
KR102375352B1 true KR102375352B1 (ko) 2022-03-18

Family

ID=5839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283A KR102375352B1 (ko) 2016-03-22 2017-03-21 근시 제어, 향상된 초점 심도 및 노안 교정을 위한 펄스화된 플러스 렌즈 설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59857B2 (ko)
EP (1) EP3223066A1 (ko)
JP (1) JP6953153B2 (ko)
KR (1) KR102375352B1 (ko)
CN (1) CN107219641B (ko)
AU (1) AU2017201882B2 (ko)
BR (1) BR102017005743A2 (ko)
CA (1) CA2961485A1 (ko)
RU (1) RU2664193C1 (ko)
SG (1) SG10201702281TA (ko)
TW (1) TWI7052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6040B2 (en) 2012-09-30 2021-09-21 Optica Amuka (A.A.) Ltd. Electrically-tunable lenses and lens systems
WO2015186010A1 (en) 2014-06-05 2015-12-10 Optica Amuka (A.A.) Ltd. Control of dynamic lenses
US10881504B2 (en) 2016-03-09 2021-01-05 Staar Surgical Company Ophthalmic implants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and enhanced distance visual acuity
WO2016040331A1 (en) 2014-09-09 2016-03-17 Staar Surgical Company Ophthalmic implants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and enhanced distance visual acuity
WO2017182906A1 (en) 2016-04-17 2017-10-26 Optica Amuka (A.A.) Ltd. Liquid crystal lens with enhanced electrical drive
US11360330B2 (en) 2016-06-16 2022-06-14 Optica Amuka (A.A.) Ltd. Tunable lenses for spectacles
US10802298B2 (en) * 2016-07-15 2020-10-13 Tectus Corporation Eye mounted device for controlling focusing disorders
TW202244570A (zh) 2016-08-01 2022-11-16 華盛頓大學 用於治療近視的眼用鏡片
CN110914743B (zh) 2017-05-08 2021-08-13 视窗视觉公司 用于降低近视的接触镜片及用于制造该接触镜片的方法
US11119353B2 (en) 2017-06-01 2021-09-14 E-Vision Smart Optics, Inc. Switchable micro-lens array for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US10921613B2 (en) * 2017-06-01 2021-02-16 NewSight Reality, Inc. Near eye display and related computer-implemented software and firmware
US10634921B2 (en) * 2017-06-01 2020-04-28 NewSight Reality, Inc. See-through near eye optical display
US11747619B2 (en) 2017-07-10 2023-09-05 Optica Amuka (A.A.) Ltd.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with dynamic vision correction
US11953764B2 (en) 2017-07-10 2024-04-09 Optica Amuka (A.A.) Ltd. Tunable lenses with enhanced performance features
US10859868B2 (en) 2017-08-11 2020-12-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lexible liquid crystal cells and lenses
WO2019077442A1 (en) 2017-10-16 2019-04-25 Optica Amuka (A.A.) Ltd. ELECTRICALLY ADJUSTABLE GLASS LENSES THAT CAN BE CONTROLLED BY AN EXTERNAL SYSTEM
US10884264B2 (en) 2018-01-30 2021-01-05 Sightglass Vision, Inc. Ophthalmic lenses with light scattering for treating myopia
EP3817808A4 (en) 2018-07-07 2022-04-06 Acucela Inc. RETINAL HYPOXIA PREVENTION DEVICE
US11126055B2 (en) * 2018-07-10 2021-09-21 Verily Life Sciences Llc Switching of liquid crystal device
CA3107824A1 (en) 2018-07-30 2020-02-06 Acucela Inc. Optical designs of electronic contact lens to decrease myopia progression
CN112867944A (zh) 2018-08-17 2021-05-28 斯塔尔外科有限公司 呈现折射率纳米梯度的聚合物组合物
US11003016B2 (en) * 2018-09-21 2021-05-11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Flexible, adjustable lens power liquid crystal cells and lenses
DE102019105247A1 (de) * 2019-03-01 2020-09-03 Carl Zeiss Ag Verfahren zur Anpassung einer Korrekturwirkung einer ophthalmischen Linse, ophthalmische Linse und Verwendung einer ophthalmischen Linse
ES2781794B2 (es) * 2019-03-04 2021-04-14 Consejo Superior Investig Cientificas Aparato y sistema para realizar medidas optometricas y metodo para ajustar la potencia optica de una lente ajustable
CA3139811A1 (en) * 2019-06-02 2020-12-10 Optica Amuka (A.A.) Ltd. Electrically-tunable vision aid for treatment of myopia
KR20220016827A (ko) * 2019-06-05 2022-02-10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착용자의 눈의 비정상적 굴절을 교정하기에 적합한 능동 렌즈
WO2021022193A1 (en) 2019-07-31 2021-02-04 Acucela Inc. Device for projecting images on the retina
US11733545B2 (en) 2019-09-16 2023-08-22 Acucela Inc. Assembly process for an electronic soft contact lens designed to inhibit progression of myopia
TW202203521A (zh) 2020-02-21 2022-01-16 美商艾尤席拉有限公司 電子隱形眼鏡之充電盒
CN115668038A (zh) 2020-05-13 2023-01-31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近视治疗的电可切换眼镜
AU2021287803A1 (en) 2020-06-08 2022-10-27 Acucela Inc. Stick on devices using peripheral defocus to treat progressive refractive error
CN115698832A (zh) 2020-06-08 2023-02-03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治疗散光的非对称投影透镜
KR20230020951A (ko) 2020-06-08 2023-02-13 어큐셀라 인코포레이티드 굴절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주변 망막에 대한 디포커스된 이미지의 투영
TW202200098A (zh) * 2020-06-08 2022-01-01 美商艾尤席拉有限公司 貼在裝置上使用周邊散焦以治療漸進式屈光不正
US11281022B2 (en) 2020-06-10 2022-03-22 Acucel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refractive error using active stimulation
CN111667906B (zh) * 2020-06-15 2024-02-13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仁济医院 一种眼球结构虚拟教学系统及其数字模型建立方法
US11209672B1 (en) 2021-04-06 2021-12-28 Acucela Inc. Supporting pillars for encapsulating a flexible PCB within a soft hydrogel contact lens
US11366341B1 (en) 2021-05-04 2022-06-21 Acucela Inc. Electronic case for electronic spectacles
CN113189788B (zh) * 2021-05-20 2023-07-18 维哲视光科技有限公司 锥形螺纹状排列复合多点微透镜离焦镜片以及其设计方法
US11768375B2 (en) * 2021-09-03 2023-09-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 of variable-focus lenses in a mixed-reality device for presbyopes
WO2023038122A1 (ja) 2021-09-10 2023-03-16 ViXion株式会社 可変焦点レンズ制御装置、眼用レンズ装置、眼鏡、制御方法
CN114568343B (zh) * 2022-03-11 2023-04-07 成都合拓创展生物科技有限公司 制备眼病模型的头具及其应用
KR20230161250A (ko) * 2022-05-18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초점 조절 렌즈에 기초하여 시력을 교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542576A (zh) * 2022-09-20 2022-12-30 陈昕阳 动态视网膜离焦控制方法、系统及眼科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2876A1 (en) * 2003-10-03 2007-03-08 Invisia Ltd. Multifocal lens
JP2007240709A (ja) * 2006-03-07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焦点眼鏡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9474A (en) 1980-03-25 1981-07-21 Belgorod Barry M Spectacle lens having continuously variable controlled density and fast response time
WO1994023334A1 (en) * 1993-04-07 1994-10-13 The Technology Partnership Plc Switchable lens
US5838419A (en) 1996-02-22 1998-11-17 Holland; Steph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refractive eye abnormalities
JP3901277B2 (ja) * 1997-04-07 2007-04-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液晶駆動信号生成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US6511175B2 (en) 2000-01-10 2003-01-28 Sam H. Hay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amblyopia
JP4266006B2 (ja) * 2004-12-01 2009-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7212623A (ja) * 2006-02-08 2007-08-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焦点眼鏡
AR064985A1 (es) 2007-01-22 2009-05-06 E Vision Llc Lente electroactivo flexible
US20090135372A1 (en) * 2007-08-09 2009-05-28 Sarver Edwin J Modular ocular measurement system
WO2009042159A1 (en) 2007-09-24 2009-04-0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Wearable photoactivator for ocular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use thereof
US20100149073A1 (en) * 2008-11-02 2010-06-17 David Chaum Near to Eye Display System and Appliance
US7905595B2 (en) 2008-04-28 2011-03-15 Crt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to treat and prevent loss of visual acuity
CN102939557B (zh) 2010-05-29 2014-07-30 蒋文宇 用于制造和使用具有通过凝视距离和低功率视线跟踪驱动的自适应透镜的眼镜的系统、方法和设备
US8950860B2 (en) * 2010-09-09 2015-02-10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retard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CN202210194U (zh) * 2011-07-11 2012-05-02 浙江亿思达显示科技有限公司 太阳眼镜
RU2578262C2 (ru) * 2011-08-31 2016-03-27 Джонсон Энд Джонсон Вижн Кэа, Инк. Жидкостные менисковые линзы с улучшенным составом на основе физиологического раствора
US8542325B2 (en) 2011-09-29 2013-09-24 Ehren Ray Burton Color changing contact lenses
EP2795394A1 (en) 2011-12-23 2014-10-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Variable optic ophthalmic device including liquid crystal elements
US9351827B2 (en) * 2012-04-03 2016-05-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Lens driver for variable-optic electronic ophthalmic lens
US9052528B2 (en) 2013-02-28 2015-06-0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Electronic ophthalmic lens with multi-input voting scheme
US9468372B2 (en) 2013-02-28 2016-10-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Electronic ophthalmic lens with rear-facing pupil diameter sensor
US9289623B2 (en) 2013-03-15 2016-03-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d treatment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US9389433B2 (en) 2013-03-15 2016-07-12 Johnson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form ophthalmic devices incorporating photonic elements
US9668646B2 (en) 2013-06-28 2017-06-06 Verily Life Science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a contact lens with an inward facing light source
EP3016576A4 (en) * 2013-07-02 2017-01-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n eye prescription
CN103431980A (zh) 2013-08-22 2013-12-1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视力保护成像系统及方法
US9993335B2 (en) * 2014-01-08 2018-06-12 Spy Eye, Llc Variable resolution eye mounted displays
US9638936B2 (en) 2014-08-20 2017-05-0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High plus treatment zone lens design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2876A1 (en) * 2003-10-03 2007-03-08 Invisia Ltd. Multifocal lens
JP2007240709A (ja) * 2006-03-07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焦点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36909A (zh) 2017-10-16
SG10201702281TA (en) 2017-10-30
CN107219641A (zh) 2017-09-29
EP3223066A1 (en) 2017-09-27
KR20170110038A (ko) 2017-10-10
CA2961485A1 (en) 2017-09-22
JP6953153B2 (ja) 2021-10-27
AU2017201882A1 (en) 2017-10-12
BR102017005743A2 (pt) 2017-09-26
AU2017201882B2 (en) 2021-09-16
TWI705280B (zh) 2020-09-21
CN107219641B (zh) 2020-11-06
JP2017173825A (ja) 2017-09-28
US20170276963A1 (en) 2017-09-28
US10859857B2 (en) 2020-12-08
RU2664193C1 (ru)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352B1 (ko) 근시 제어, 향상된 초점 심도 및 노안 교정을 위한 펄스화된 플러스 렌즈 설계
US11536978B1 (en) Light control devices and methods for regional variation of visual information and sampling
KR20230020951A (ko) 굴절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주변 망막에 대한 디포커스된 이미지의 투영
JP2019211772A (ja) 近視の進行を予防及び/又は鈍化するための小型レンズを含む眼用レンズ
US10330939B1 (en) Light control devices and methods for regional variation of visual information and sampling
KR20230020510A (ko) 난시 치료를 위한 비대칭 투사 렌즈
CN108205208A (zh) 高加中心治疗区镜片设计以及用于预防和/或减慢近视发展的方法
US10932902B2 (en) Dynamically tunable apodized multiple-focus opthalmic devices and methods
WO2021252318A1 (en) Lens with asymmetric projection to treat astigmatism
US20210181531A1 (en) Dynamically tunable apodized multiple-focus opthalmic devices and methods
JP6943523B2 (ja) 眼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