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101B1 -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101B1
KR102375101B1 KR1020190142597A KR20190142597A KR102375101B1 KR 102375101 B1 KR102375101 B1 KR 102375101B1 KR 1020190142597 A KR1020190142597 A KR 1020190142597A KR 20190142597 A KR20190142597 A KR 20190142597A KR 102375101 B1 KR102375101 B1 KR 102375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fluid
amoun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030A (ko
Inventor
윤여동
Original Assignee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스타헬스케어(주) filed Critical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to KR1020190142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1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1Remote controllers for specific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측정기기가 전송하는 수액량 정보의 진위를 사물인터넷 인증센터와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해서 판별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물인터넷 인증센터와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측정기기가 전송하는 의료정보의 진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inger Injection Monitoring Based on Internet of Medical Thing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측정기기가 전송하는 수액량 정보의 진위를 사물인터넷(IoT) 인증센터와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코드를 이용해서 판별하고, 축적된 자료에 대한 보안체계를 블록체인 방식으로 수행하는 의료 사물인터넷(IoMT)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링거를 이용한 정맥주사 등을 통해 필요한 의료제를 투여하게 된다. 이처럼 링거를 통한 의료제의 투여는 투여 시간 동안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하거나 의료제가 모두 투여된 후 적절한 시간에 링거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짧은 단위시간 당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의료제가 투여되는 경우, 또는 의료제가 모두 투여된 후 빈 링거호스를 통해 공기가 환자에게 주입되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의료제 투여량의 조절이나 의료제의 투여 상황을 체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처럼 링거를 통한 의료제의 투여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되기 마련이며, 종래에는 이처럼 링거를 통한 의료제의 투여가 일일이 사람의 육안을 통해 체크되는 실정이어서 링거를 통해 의료제가 투여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의료진이나 간병인, 또는 환자 자신이 제 때 이를 체크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 환자를 보살피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액 모니터링 장치가 개발되고 있지만 수액량의 정보의 진위가 문제되므로 병원 등에서의 사용이 지연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번호 제 10-2018-0043648호
수액량측정기기를 가지고 환자에게 투여되는 수액량을 측정하고 그 수액량 정보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IoT 기반의 수액량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러한 시스템이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집되는 정보의 진위가 특히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의 진위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인터넷 인증센터와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측정기기가 전송하는 의료정보의 진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환자의 수액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간호사단말기;
식별번호를 가지며,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수액 투여에 대응하여 상기 수액의 수액량 정보를 수집 전송하는 수액량측정기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로부터 수집한 상기 수액량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전송받은 상기 수액량 정보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상기 식별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인증하는 인증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액량 정보를 참정보로 판정하고, 상기 수액량 정보를 상기 간호사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가 기 저장되는 수액량측정기테이블을 가지되,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상기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를 상기 수액량측정기테이블과 비교하여 상호 매칭되면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인증하는 상기 인증신호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인증센터;
를 포함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는,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통하여 수액을 투여받는 상기 환자의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와 상기 환자의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와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수액량 정보와, 상기 식별번호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병실정보와, 상기 병상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식별번호만을 상기 인증센터로 전송하여 인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는, 상기 환자가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와 함께 이동시, 상기 환자의 이동여부 및 상기 환자의 낙상여부를 확인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상기 환자의 낙상여부가 확인된 경우, 상기 환자가 위급상태임을 알리는 위급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로부터 수액량 정보를 전송받는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가속도센서와 연동하는 이상정보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정보 감시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상기 환자가 이동 중임을 인지한 경우 동작하며, 상기 환자의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력에 의하여 수액량측정기기가 수액량 정보 수집을 잘못하는 경우를 패턴화하여 해당 패턴이 발생하면 보정값을 가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는 상기 환자 주변의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되, 수집한 상기 온습도 정보가 설정 범위를 벋어나는 경우,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상기 환자의 이동상황이 확인된 경우는 상기 환자의 낙상 가능성을 알리는 주의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의 이동상황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는, 주변 환경의 이상상황을 알리는 환경이상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는 상기 환자 주변의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되, 수집한 상기 온습도 정보가 설정 범위를 벋어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간호사단말기로 주의신호 또는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상기 인증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인증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액량 정보를 블록체인의 기술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와 매칭된 상기 수액량 정보를 블록데이터화하고 제1 노드서버 및 제2 노드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노드서버 및 상기 제2 노드서버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되, 상기 수액량 정보의 위변조 확인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메인서버 자신이 보유하는 정보와 상기 제1 노드서버 및 상기 제2 노드서버가 각각 보유하는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환자가 입원하면 상기 환자의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와 상기 환자의 병실정보, 병상정보를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와 매칭시켜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환자정보 저장단계;
간호사가 상기 환자에게 수액을 투여하면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수액량측정기기가 상기 환자가 투여받는 수액의 수액량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고유번호와 함께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의료정보 전송단계;
상기 메인서버가 전송받은 상기 고유정보 중에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를 인증센터로 전송하여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인증하는 수액량측정기기 인증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인증받은 경우, 상기 인증받은 수액량측정기기와 대응하는 수액량 정보를 상기 간호사의 단말기로 전송하는는 수액량정보 전송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액량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인증받은 경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와 대응하는 상기 수액량 정보를 저장하고, 블록체인 기술에 의하여 보안설정한 뒤에 외부로 전송하는 외부전송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사물인터넷 인증센터와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측정기기가 전송하는 의료정보의 진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정보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이라 한다)은 환자의 수액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전의 간호사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던 것을 대신해 간호사에게 수액량 정보를 전송하여 수액백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은, 간호사단말기(200);
식별번호를 가지며,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수액 투여에 대응하여 상기 수액의 수액량 정보를 수집 전송하는 수액량측정기기(100);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로부터 수집한 상기 수액량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전송받은 상기 수액량 정보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상기 식별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인증하는 인증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액량 정보를 참정보로 판정하고, 상기 수액량 정보를 상기 간호사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메인서버(300); 및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가 기 저장되는 수액량측정기테이블을 가지되, 상기 메인서버(300)로부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상기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를 상기 수액량측정기테이블과 비교하여 상호 매칭되면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인증하는 상기 인증신호를 상기 메인서버(300)로 전송하는 인증센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액량측정기기(100)와, 간호사단말기(200)와, 메인서버(300)와, 인증센터(400)는 모두 인터넷 통신망(50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액량 정보는 수액의 투여량 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수액량 정보라고 하면 이는 수액의 투여량 정보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간호사단말기(200)는 인터넷통신망과 연결되며, 간호사가 환자에 투여되는 수액의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수액량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간호사단말기(200)는 반드시 간호사가 사용하는 단말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환자를 케어할 수 있는 보호자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호사단말기(200)는 간호사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도 1의 201), 스마트폰(도 1의 202), 노트북(도 1의 203),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간호사단말기(2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이러한 간호사단말기(2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수액량측정기기(100)는 실시예에 따라서 로드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로드셀 센서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부고리와 타측에 연결되는 하부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액량측정기기(100)에 있어서 로드셀 센서의 일측에 연결되는 상부고리는 링거거치대에 걸림될 수 있고, 로드셀 센서의 타측에 연결되는 하부고리에는 수액백이 걸림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각지는 수액량측정기기(1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수액백에서 수액이 환자에게 투여됨에 따라서 줄어드는 수액백의 중량을 센싱하여 수액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액량 정보를 기초로 환자에게 투여되는 수액량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수액량측정기기(100)는 수집한 수액량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액량측정기기(100)는 환자에게 투여되는 수액의 수액량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모듈에 의하여 수집한 수액량 정보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액량측정기기(100)와 메인서버(300)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터넷 통신망(5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메인서버(300)는 수액량 정보를 관리하는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에서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서버(300)를 관리하는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는 여러 병원과 의료정보 관리 계약을 맺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의 메인서버(300)는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사용하는 여러 병원의 로컬서버(350)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와 계약한 병원들은 각각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 또는 수액량측정기기(100) 제조사로부터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의 메인서버(300)는 계약된 각각의 병원이 제공받아서 사용하는 수액량측정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수액량 정보를 수집하여 인증하고 이를 다시 각각의 해당 병원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병원의 로컬서버(350)는 전자의무기록(EMR)을 수집 보관하는 병원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병원의 의료와 관련된 기록을 수집할 수 있는 서버라면 어떠한 서버라도 로컬서버(350)가 될 수 있다.
병원의 로컬서버(350)는 환자가 내원하면 병원에서 기록하게 되는 환자의 이름, 성별, 나이 등 개인정보를 수집 저장할 수 있고, 환자가 입원하는 경우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를 수집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환자의 개인정보와, 환자가 입원하는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를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의 메인서버(300)는 환자의 개인정보,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를 해당 병원의 로컬서버(35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수액량측정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수액량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병원의 로컬서버(350)가 수액량측정기기(100)로부터 수신한 수액량 정보를 환자의 개인정보,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메인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인증센터(400)는 메인서버(300)가 인증을 요청하면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센터(400) 역시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액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액량측정기기(100) 제조업체의 서버일 수도 있다.
인증센터(400)에는 수액량측정기기(100)에 대한 식별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수액량측정기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번호라 함은 특정 제조사에서 만든 수액량측정기기(100) 자체의 기기 고유의 식별코드를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식별코드뿐만 아니라 해당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사용하고 있는 특정 병원의 정보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A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에서 수액량측정기기(100)를 B병원에 인도한 경우, 해당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는 수액량측정기기(100) 고유의 식별코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수액량측정기기(100)를 B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다는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인증센터(400)의 수액량측정기테이블은 해당 병원이 복수의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제공받은 경우 복수의 수액량측정기기(100) 각각의 식별번호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는, 상기 환자가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와 함께 이동시, 상기 환자의 이동여부를 확인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가 입원한 경우 반드시 병상에만 있는 것은 아니며, 산책을 하거나 화장실에 갈 수도 있다. 따라서 환자가 수액을 투여하는 동안에는 수액백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수액백이 흔들리는 등의 원인으로 수액량측정기기(100)가 수액량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수액량 정보에 오차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액량측정기기(100)는 환자가 수액백과 함께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액량 정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수집되는 측정값에 보정치를 가중하여 정확한 수액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가속도센서가 환자의 이동여부를 확인하고 이동중임이 인지된 경우 수액량측정기기(100)가 수집 전송하는 수액량 정보에 보정치를 가중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액량측정기기(100)로부터 수액량 정보를 전송받는 메인서버(300)는 수액량측정기기(100)의 가속도센서와 연동하는 이상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상정보 감지부는 일종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환자 이동중임을 인지한 경우 동작할 수 있으며,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하여 로드셀 센서가 수액백의 중량정보 수집을 잘못하는 경우를 패턴화하여 해당 패턴이 발생하면 보정값을 가중할 수 있다.
예컨대 충격에 의하여 수액량측정기기(100)에 외력이 강하게 인가되거나 수액량측정기기(100)가 인식하는 수액백의 중량이 급격히 사라진 후 다시 제자리로 되돌아오는 등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일정 시간 간격에 의해 계속적으로 전송되는 수액량 정보에 오버슈트 또는 언더슈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컨대 내삽법, 외삽법 등의 수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구간을 보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정된 영역이 체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수액량측정기기(100)는, 환자가 수액량측정기기(100)와 함께 이동시, 환자의 이동여부 및 환자의 낙상여부를 확인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환자의 낙상여부가 확인된 경우, 환자가 위급상태임을 알리는 위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체가 변화가 있고, 이 것이 경미한 변화인 경우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에 급격히 변화가 있는 경우는 낙상 추락으로 봐서 위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는 상기 환자 주변의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되, 수집한 상기 온습도 정보가 설정 범위를 벋어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간호사단말기(200)로 위급신호 또는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는 상기 환자 주변의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상기 환자의 이동상황이 확인되고, 수집한 상기 온습도 정보가 기준 설정 범위를 벋어나는 경우, 상기 환자가 위급상태임을 알리는 위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온습도의 기준 설정 범위는 예컨대 온도의 경우 26(℃) 내지 27(℃) 사이에 있으면 기준 설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범위를 벋어나는 경우는 환자가 화장실 등 습도가 높은 장소에 머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가 기준 설정 범위를 벋어난 상태로 일정 시간 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는 환자가 화장실 등에서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주의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신호는 간호사단말기(200)뿐만 아니라 다른 경고 수단을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는 상기 환자 주변의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상기 환자의 이동상황이 확인되지 않고, 수집한 상기 온습도 정보가 설정 범위를 벋어나는 경우, 주변 환경의 이상을 알리는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환자의 이동상황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집되는 온습도 정보가 설정 범위를 벋어나는 경우에는 환자의 병상이 있는 병실 등의 환경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주변 환경의 이상을 경고하는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서버(300)는, 상기 인증센터(400)로부터 상기 인증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인증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액량 정보를 블록체인의 기술에 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메인서버(300)는 제1 노드서버 및 제2 노드서버와 인터넷 통신망(500)으로 연결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서버(300)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와 매칭된 상기 수액량 정보를 블록 데이터화하고 제1 노드서버 및 제2 노드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노드서버 및 상기 제2 노드서버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되, 상기 수액량 정보의 위변조 확인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메인서버(300) 자신이 보유하는 정보와 상기 제1 노드서버 및 상기 제2 노드서버가 각각 보유하는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메인서버(300)와 제1 노드서버와 제2 노드서버를 동기화하여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 저장하고,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 Chain)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노드서버는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업체에게 서비스를 제공받는 병원의 로컬서버(350)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2 노드서버는 블록체인을 구성하기 위한 보조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메인서버(300)는 제1 노드서버 및 제2 노드서버와 함께 블록체인 보안체계를 구성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담보할 수 있다.
메인서버(300)는 환자의 개인정보, 의료정보 등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정보를 수집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환자가 상위병원으로 이전하게 되면 해당 환자의 의료정보도 함께 상위병원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인터넷 통신망(500)을 통하여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데이터 오류나 위변조 등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체계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정보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2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정보 관리 방법은 환자가 입원하면 상기 환자의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와 상기 환자의 병실정보, 병상정보를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와 매칭시켜 고유번호를 생성하는 환자정보 저장단계(S200);
간호사가 상기 환자에게 수액을 투여하면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작동시키면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가 상기 환자가 투여받는 수액의 수액량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고유번호와 함께 상기 메인서버(300)로 전송하는 의료정보 전송단계(S210);
상기 메인서버(300)가 전송받은 상기 고유정보 중에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를 인증센터(400)로 전송하여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인증하는 수액량측정기기 인증단계(S220); 및
상기 메인서버(300)가 상기 인증센터(400)로부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인증받은 경우, 상기 인증받은 수액량측정기기(100)와 대응하는 수액량 정보를 상기 간호사의 단말기로 전송하는는 수액량정보 전송단계(S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액량정보 전송단계(S230)는 상기 메인서버(300)가 상기 인증센터(400)로부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인증받은 경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100)와 대응하는 상기 수액량 정보및 상기 수액량 정보와 대응하는 상기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수액량 정보와 상기 고유번호를블록체인 기술에 의하여 보안설정한 뒤에 외부로 전송하는 외부전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과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살펴본다.
예컨대 B병원에서 A 수액량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복수의 수액량측정기기(100)를 렌트 또는 구매한 경우를 설명한다.
A서비스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수액량측정기기(100)는 각각 고유한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번호'는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의 제조된 기기에 유일한 번호로 할당되는 주소 예컨대 'MAC 주소'를 의미할 수 있다.
A서비스 제공업체는 B병원에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를 A서비스 제공업체가 운영하는 IoT인증센터(400, 이는 일종의 '인증서버'를 의미한다)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A서비스 제공업체는 자사가 제공한 수액량측정기기(100)가 어느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IoT인증센터(400)에 보관하게 된다.
환자가 입원하면 우선 환자의 성명, 성별, 나이 등 환자의 개인정보를 EMR에 기록하는데 이러한 개인정보는 B병원의 로컬서버(3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환자가 입원하게 되는 병실과 병상이 정해지면 해당 병실과 병상과 매칭되는 수액량측정기기(100)가 결정되고, 해당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와 이와 대응하는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가 매칭되어 해당 환자의 개인정보와 함께 메인서버(3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환자의 개인정보와, 해당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와, 이와 대응하는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는 병원의 로컬서버(350)에서 매칭된 뒤에 메인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정보는 메인서버(300)로 전송된 뒤에 메인서버(300)에서 매칭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액량 정보가 메인서버(300)로 전송될 때 수액량 정보를 전송하는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도 함께 전송되며, 수액량측정기기(100)와 매칭되는 환자의 개인정보, 병상정보 및 병실정보도 역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의 개인정보, 병실정보, 병상정보 및 매칭되는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가 모두 맵핑되어 메인서버(300)에 저장된다.
이어서 간호사가 환자에게 수액을 투약하면서 환자의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와 매칭하는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스위치 온(On)하면 수액량측정기기(100)는 환자에게 투약되는 수액백의 수액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메인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수액량 정보는 암호화되어 메인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수액량 정보는 환자에게 수액이 투여되는 투여량 정보와 대응하므로 수액량 정보를 기초로 환자가 수액을 얼마나 투약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도 메인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간호사가 PC나 휴대폰과 같은 간호사단말기(200)로 메인서버(300)에 접속하여 메인서버(300)부터 수액량 정보를 전송받으려면 인증과정이 필요하다.
즉, 간호사가 수액량측정기기(100)를 스위치 온(On)하면, 수액량측정기기(100)로부터 수액량 정보가 메인서버로 실시간 전송된다. 이때 간호사단말기(200)가 메인서버(300)에게 해당 환자의 수액량 정보를 요청하면, 메인서버(300)는 수액량측정기기(100)로부터 전송받은 수액량 정보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해서 IoT인증센터(400)에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인증을 요청한다. 즉, 메인서버(300)는 인증요청의 방식으로 수액량측정기기(100)의 식별번호를 IoT인증센터(400)로 전송한다. 그러면 IoT인증센터(400)는 메인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식별번호를 IoT인증센터(400)의 수액량측정기테이블에 미리 저장된 식별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인증신호를 메인서버(30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300)는 IoT인증센터(400)로부터 인증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액량측정기기가 B병원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임을 확인하고, 수액량측정기기로부터 전송된 수액량 정보를 참정보로 인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정보와 가짜 정보의 의미의 예컨대 서류가 위변조가 되지 않은 진정한 정보인지 아니면 위변조된 정보인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수액량측정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수액량 정보를 참정보로 인정된 경우 비로서 간호사단말기(200)에 수액량 정보가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IoT인증센터(400)를 경유하여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를 통하여 해당 수액량측정기기가 전송하는 수액량 정보의 진위여부를 판정하고 진정한 정보임이 판정된 경우에 해당 수액량 정보를 간호사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메인서버(300)에는 이렇게 인증된 수액량 정보가 축적되어 저당된다. 수액량 정보는 수액의 투여량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는 의료정보로서 보안을 요한다.
따라서 메인서버(300)와는 별도로 존재하고, 메인서버(300)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제1 노드서버와 제2 노드서버를 마련하여 최소 3개의 서버를 이용하여 블록화된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정보의 위변조를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노드서버와 제2 노드서버는 반드시 단일의 서버는 아니며 각각 복수의 제1 노드서버와 복수의 제2 노드서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병원에 입원한 환자 갑이 언제 어떠한 치료를 위하여 어떠한 수액을 투여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는 의료정보로서 정보를 반출할 때 보안을 요한다.
이 경우 A 병원의 로컬서버(제1 노드서버를 의미함)와 서비스 제공업체의 메인서버와 보조서버(제2 노드서버를 의미함)는 의료정보를 인출할 때 해당 정보가 어느 기관 또는 개인에게 인출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의 군을 블록화하고 이를 복사하여 메인서버와 제1 노드서버와 제2 노드서버가 각각 동일한 정보를 보관할 수 있으며, 추후 해당 정보를 외부로 반출하는 경우 언제 누구에게 어떠한 정보를 반출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메인서버와 제1 노드서버와 제2 노드서버 각각이 보관하고 있는 기존의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정보의 진위를 판정하고, 참정보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를 블록화하여 각각의 서버가 보관하는 방식으로 정보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에 병원 또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외부로 환자의 의료정보를 유출하는 경우에는 블록체인의 원리에 의하여 외부 유출 정보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수액량측정기기
200: 간호사단말기
300: 메인서버
350: 로컬서버
400: 인증센터
500: 인터넷 통신망
S200: 환자정보 저장단계
S210: 의료정보 전송단계
S220: 수액량측정기기 인증단계
S230: 수액량정보 전송단계

Claims (8)

  1. 환자의 수액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간호사단말기;
    식별번호를 가지며, 환자에 대한 간호사의 수액 투여에 대응하여 상기 수액의 수액량 정보를 수집 전송하는 수액량측정기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로부터 수집한 상기 수액량 정보를 전송받은 경우, 전송받은 상기 수액량 정보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상기 식별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인증하는 인증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액량 정보를 참정보로 판정하고, 상기 수액량 정보를 상기 간호사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가 기 저장되는 수액량측정기테이블을 가지되,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상기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를 상기 수액량측정기테이블과 비교하여 상호 매칭되면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인증하는 상기 인증신호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인증센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는, 상기 환자가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와 함께 이동시, 상기 환자의 이동여부를 확인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상기 가속도센서와 연동하는 이상정보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센서가 상기 환자의 이동여부를 확인하고 이동중임이 인지된 경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는 수집 전송하는 수액량 정보에 보정치를 가중할 준비를 하며,
    상기 수액량측정기기가 상기 환자가 수액백과 함께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액량 정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수집되는 측정값에 보정치를 가중하여 정확한 수액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이상정보 감지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에 의하여 상기 환자가 이동중임을 인지한 경우 동작할 수 있으며,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포함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수액량측정기기가 수액백의 중량정보 수집을 잘못하는 경우를 패턴화하여 해당 패턴이 발생하면 보정값을 가중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의 식별번호는,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를 통하여 수액을 투여받는 상기 환자의 인적사항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와 상기 환자의 병실정보 및 병상정보와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수액량 정보와, 상기 식별번호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병실정보와, 상기 병상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식별번호만을 상기 인증센터로 전송하여 인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는, 상기 환자가 상기 수액량측정기기와 함께 이동시, 상기 환자의 낙상여부를 확인하는 상기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환자의 낙상여부가 확인된 경우, 상기 환자가 위급상태임을 알리는 위급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량측정기기는 상기 환자 주변의 온습도 정보를 수집하는 온습도센서를 포함하되, 수집한 상기 온습도 정보가 설정 범위를 벋어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간호사단말기로 주의신호 또는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인증센터로부터 상기 인증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상기 인증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수액량 정보를 블록체인의 기술로서 저장하고,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환자의 개인정보와 매칭된 상기 수액량 정보를 블록데이터화하고 제1 노드서버 및 제2 노드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1 노드서버 및 상기 제2 노드서버와 함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되, 상기 수액량 정보의 위변조 확인을 요청받은 경우, 상기 메인서버 자신이 보유하는 정보와 상기 제1 노드서버 및 상기 제2 노드서버가 각각 보유하는 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42597A 2019-11-08 2019-11-08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7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597A KR102375101B1 (ko) 2019-11-08 2019-11-08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597A KR102375101B1 (ko) 2019-11-08 2019-11-08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030A KR20210056030A (ko) 2021-05-18
KR102375101B1 true KR102375101B1 (ko) 2022-03-16

Family

ID=7615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597A KR102375101B1 (ko) 2019-11-08 2019-11-08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014B1 (ko) * 2022-06-10 2023-11-29 국민건강보험공단 코드 인식을 연계한 측정 정보 전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28519B1 (ko) * 2018-01-29 2018-12-12 수상에스티(주)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655B1 (ko) * 2016-01-26 2018-01-18 강남대학교 산학협력단 Lpwan을 이용하는 수액관리 시스템 및 수액감시 단말기 및 수액관리방법
KR101897000B1 (ko) * 2016-10-20 2018-09-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30086A (ko) * 2017-03-06 2017-03-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링거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5B1 (ko) * 2017-11-15 2018-07-23 주식회사 가온시스템 블록체인에 기반한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28519B1 (ko) * 2018-01-29 2018-12-12 수상에스티(주)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030A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34823A1 (en)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JP6698178B2 (ja) 社会保険詐欺行為を識別する方法、装置、設備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Sethia et al. NFC based secure mobile healthcare system
KR102162613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시스템
Najera et al. Real-time location and inpatient care systems based on passive RFID
CA3027909C (en) Authentic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US9265450B1 (en)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and automatic application initialization
US20180247346A1 (en) Procedure for the global unified registration and universal identification of donors
US10026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care service
EP38129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cealing transaction written to blockchain
CN105659646A (zh) 移动设备验证
JP2015024040A (ja) 薬服用支援システム及び薬箱
CN109002733A (zh) 一种对设备进行可信性评价的方法及装置
KR102375101B1 (ko) 의료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948287A (zh) 基于物联网的医疗服务真实性验证方法
KR20140029012A (ko) 건강 데이터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3132366B1 (en) Controlling actions performed on de-identified patient data of a cloud 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
JP2016091419A (ja) 端末装置、服薬支援方法、プログラム
US20140101234A1 (en) Multi-cloud communication system
BR112016006195B1 (pt) Sistema de autenticação para um dispositivo de terminal de dados
KR102434802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비정상적인 가상 자산의 이동을 차단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5069227A (ja) 認証サーバ、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JP2017191577A (ja) サーバ装置及び不正判定方法
Tounsi et al. Fine-grained privacy control for the RFID middleware of EPCglobal networks
US20130160096A1 (en) System and method of portable secure ac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