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860B1 -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860B1
KR102374860B1 KR1020200110723A KR20200110723A KR102374860B1 KR 102374860 B1 KR102374860 B1 KR 102374860B1 KR 1020200110723 A KR1020200110723 A KR 1020200110723A KR 20200110723 A KR20200110723 A KR 20200110723A KR 102374860 B1 KR102374860 B1 KR 102374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e
user
educational institution
specific
auth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980A (ko
Inventor
양성기
오경모
Original Assignee
양성기
오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기, 오경모 filed Critical 양성기
Priority to KR102020011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8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서버, 내부 관리자 단말 및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시스템은 교육 기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장비로 구성되어 있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에 대한 현장 조사 정보 및 현황 조사 정보를 비교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한 후 상기 장비 현황을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의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 내용의 확인 요청 메시지를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 후 상기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로부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를 실행하는 통합 관리 서버,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행 관리를 실행하는 내부 관리자 단말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행 관리를 의뢰하는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METHOD OF MANAGING EDUCATIONAL INSTITUTES AND SERVE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육 기관에 설치된 정보 시스템을 통합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은 세계 각지의 수 많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연계된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 축적 매체 및 정보 제공 매체로 각광받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상에서의 각종 광고 및 교육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초고속망의 보급과 함께 인터넷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은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라는 의미에서보다는 기업과 개인, 개인과 개인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뉴미디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사회의 발전속도가 빨라지고 전문화가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학교교육에서 전수받은 지식만으로는 사회생활이 어렵게 되었고,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교육은 점차 평생교육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교육 기관도 평생교육단체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교육 기관이 증대하고 교육과정이 다양해짐에 따라 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한 것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 기관에서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으나, 교육 기관에 형성된 정보 시스템의 운영이 항상 최상의 가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 시스템 관리는 보안, 네트워크, 홈페이지 등 기술적으로 여러 분야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시간, 경비 전문성 등의 한계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1770호(전산 장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9076호(전산 산출물의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2248호(전산산출물의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과 같이 원격으로 전산산출물을 관리하거나, 또한 이러한 원격 관리 방법의 한계성을 극복/개선하기 위해 적용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82863(전산산출물 통합 유지 관리 방법)과 같이 각 수행 단계의 모드별 시스템에 의한 유지 관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교육 기관에 설치된 정보 시스템을 통합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육 기관의 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행 관리, 사업 관리 및 사업 지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그 수행 과정 및 절차를 통계화 또는 문서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서버, 내부 관리자 단말 및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시스템은 교육 기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장비로 구성되어 있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에 대한 현장 조사 정보 및 현황 조사 정보를 비교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한 후 상기 장비 현황을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의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 내용의 확인 요청 메시지를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 후 상기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로부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를 실행하는 통합 관리 서버,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행 관리를 실행하는 내부 관리자 단말 및 상기 통합 관리 서버에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행 관리를 의뢰하는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에서 실행되는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시스템은 교육 기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장비로 구성되어 있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에 대한 현장 조사 정보 및 현황 조사 정보를 비교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한 후 장비 현황을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의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 내용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로부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교육 기관에 설치된 정보 시스템을 통합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육 기관의 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행 관리, 사업 관리 및 사업 지원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그 수행 과정 및 절차를 통계화 또는 문서화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시스템은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 통합 관리 서버(200), 내부 관리자 단말(300) 및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은 교육 기관에 설치되어 있는 정보 시스템이다. 이러한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운영이 항상 최상의 가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400) 및 내부 관리자 단말(300)이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 각각에 대한 수행 관리, 사업 관리 및 지원 관리를 실행하는 서버이다.
먼저,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 각각에 대한 수행 관리를 실행한다. 이때,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수행 관리는 대상 시스템 파악, 유지 관리 세부 절차,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예방 점검 및 이력 관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해서 파악을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현장 조사 정보를 이용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현장 조사 정보 및 현황 조사 정보를 비교하여 현황에는 있는 현장에는 없는 장비를 탐색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서버(200)는 현장 조사 정보 및 현황 조사 정보를 비교하여 현품에는 있으나 현황에는 없는 장비를 탐색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해서 유지 관리 세부 절차를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정기 점검 지원 기준에 의거하여 교육기관과 상호 협의 하에 정기점검 계획 및 일정을 수립하여 점검을 수행한 후,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서는 긴급조차 또는 개선방안을 수립하여 고객에게 보고하고 승인 절차를 통해 추가적인 기술지원 또는 개선작업을 수행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예방 점검을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각 부문에 대한 사전점검 및 예방점검을 정기화하여 시스템 운영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장애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조치하여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유지하고 시스템의 가동 효율을 극대화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해서 이력 관리를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체계적인 장애관리를 위하여 발생한 장애에 대하여 장애의 영향도와 긴급도에 따라 장애등급을 정의한 후, 발생된 장애에 대해서 조치이력을 관리하며 추후 동일 장애 예방 및 장애원인분석 및 복구관리를 통하여 시스템 안정성과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사업 관리를 실행한다. 이때,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사업 관리는 수행 조직 관리, 품질 보증 관리, 산출물 관리 및 보안 관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해서 [표 1]과 같이 수행 조직 관리를 실행한다.
이를 위해,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을 관리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사용자 그룹에 역할을 할당하고, 역할 각각에 권한을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가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역할은 사업 책임자 역할, 기술 총괄자 역할, 품질 관리자 역할, 사업 관리자 역할 및 사업 지원자 역할, 기술 이전 총괄 책임자 역할, 기술 이전 수행자 역할을 포함하고, 권한은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자원에 대한 권한을 의미하며, 자원은 계약, [표 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산출물(즉, 유지 관리 실사 보고서, 유지 관리 계약서, 사업 수행 계획서, 연간 예방 점검 계획서, 투입 인력 비상 연락망, 보안서약서, 보안 관리 계약서 등)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내부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특정 자원에 대한 특정 권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 및 역할에 할당된 권한을 기초로 사용자가 특정 권한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권한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고,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합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A에 의해 계약서에 대한 생성이 요청되면, 사용자 A에 할당된 역할이 기술 총괄자 역할이고, 기술 총괄자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에 계약서에 대한 생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 A는 계약서를 생성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사용자 A에 의한 계약서의 생성 요청을 거절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품질 보증 관리를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교육기관 유지 관리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합 유지 관리 사업에서의 풍부한 품질관리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품질보증전략을 도출하여 고객 요구에 부합하는 최고 수준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품질 보증 관리를 실행한다.
[표 1]
Figure 112020092093234-pat00001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산출물 관리를 실행한다. 이때, 산출물은 [표 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되며, 상기의 산출물은 해당 교육기관에 속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산출물 목록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업무별로 표기한 형태로 산출물 관리체계를 구성하여 기본이 될 수 있는 산출물을 관리 보관하도록 하며, 주관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제시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사항을 반영한다.
이를 위해, 통합 관리 서버(200)는 내부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존재하는 경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실행 요청 메시지에서 변경 및 추가 내용을 추출한 후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400)에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 후, 통합 관리 서버(200)는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실행을 실행하도록 한다.
[표 2]
Figure 112020092093234-pat00002
따라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표 3]와 같은 산출물 관리 방안을 기초로 산출물에 대한 관리를 실행한다.
[표 3]
Figure 112020092093234-pat00003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보안 관리를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유지 관리 및 운영지원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력의 이동이나 보안 및 기밀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항들에 대비하여 업체 자체 보안관리지침을 제정하고 엄격한 정보보호 기준을 적용하여 사업 수행뿐만 아니라 완료 후에도 보안관리가 지속적으로 유지 되도록 한다.
이때, 통합 관리 서버(200)는 인원 및 조직에 대해서 사업 착수부터 종료시점까지 보안업무 시행 규칙뿐 아니라 교육 수요기관에서 요구하는 보안관리 가이드를 준수하고 보안 담당 인력을 선정하여 책임 있는 보안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을 관리하는 복수의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보안 담당자 역할을 할당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가 보안 담당자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예를 들어, 문서 변경, 이력 관리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문서에 대해서 교육 수요 기관 정보자산 보호를 위하여 문서 보관 원칙을 수립하여 모든 산출물의 문서관리 및 이력관리를 수행하여 변경사항에 대한 문서변경 및 이력관리를 철저히 수행하여 완벽한 산출물 보안관리를 실시한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자료에 대해서 사업 수행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여 [표 4]와 같이 관계법령을 준수하여, 개인 정보의 외부유출을 미연에 방지 및 차단한다.
[표 4]
Figure 112020092093234-pat00004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사무실 및 장비 반출입에 대해서 [표 5]와 같이 사업수행에 필요한 사무실 출입, 전산정비 및 저장매체 등의 무단 반출/입을 금지하여 주관기관에서 정한 절차에 의하여 승인된 경우에 한하여 반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표 5]
Figure 112020092093234-pat00005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사업 지원을 실행한다. 이때,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사업 지원은 교육 훈련 관리, 기술 이전 및 지원 관리, 인수 인계 관리 및 전문 업체 협력 관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교육 훈련 관리를 진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 담당자를 대상으로 원활한 시스템 관리를 위한 교육훈련 조직과 역할,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일정을 고려한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영과 우수한 전문인력 양성을 통한 업무능률 향상에 기여한다.
이때, 통합 관리 서버(200)는 교육 수요 기관과 협의하여 [표 6]의 교육대상, [표 7]의 교육내용, 교육일정을 고려한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하여 유지 관리에 적합한 교육을 적기에 실시한다.
[표 6]
Figure 112020092093234-pat00006
[표 7]
Figure 112020092093234-pat00007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기술 이전 및 지원 관리를 진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교육기관 정보 시스템 운영담당자가 자체 유지 관리 업무능력을 확보하고 시스템관리 및 유지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지원받음으로써 안정적 정보 시스템운영을 담보하고 시스템 운영담당자들이 새로운 기술 습득 및 자체운영 능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인수 인계 관리를 진행한다.
먼저, 통합 관리 서버(200)는 교육기관 유지 관리 업무의 인계인수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절차에 따라 기존사업자, 제안사발주기관의 긴밀한 업무협조 기반 하에 성공적으로 인계인수를 수행함으로써 유지 관리의 연속성을 유지한다.
만일, 통합 관리 서버(200)는 유지 관리 사업 종료 후 인계 시 고려해야 할 두 가지는 책임소재와 업무의 연속성인 바, 인계인수사업자 는 책임소재를 명문화하여 상호 합의 하에 인계/인수증를 작성하며 사업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점 이전부터 차기 사업자를 지원하여 유지 관리 업무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200)는 [표 8]과 같이 교육기관 유지 관리 업무의 인계인수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절차에 따라 기존사업자, 제안사 발주기관의 긴밀한 업무협조 기반 하에 성공적으로 인계인수를 수행함으로써 유지 관리의 연속성을 유지한다.
[표 8]
Figure 112020092093234-pat00008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전문업체 협력관리를 실행한다. 즉, 통합 관리 서버(200)는 정보 시스템 유지 관리에 관련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원천기술보유사, 제품공급사 등과 긴말한 협력체계를 확립하고, 협력업체 관리 지침에 의거하여 기술협력에 대한 방안을 제공한다.
내부 관리자 단말(300)은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수행 관리를 실행하는 내부 관리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내부 관리자는 사업 책임자, 기술 총괄자, 품질 관리자, 사업 관리자 및 사업 지원자, 기술 이전 총괄 책임자 , 기술 이전 수행자 및 보안 관리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수행 관리를 실행한다. 이때,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수행 관리는 대상 시스템 파악, 유지 관리 세부 절차,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 예방 점검 및 이력 관리를 포함한다.
내부 관리자 단말(300)은 특정 자원에 대한 특정 권한 실행 요청 메시지를 통합 관리 서버(200)에 제공하며,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 및 역할에 할당된 권한을 기초로 사용자가 특정 권한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권한을 실행한다.
이때,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자원은 계약, [표 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산출물(즉, 유지 관리 실사 보고서, 유지 관리 계약서, 사업 수행 계획서, 연간 예방 점검 계획서, 투입 인력 비상 연락망, 보안서약서, 보안 관리 계약서 등) 등을 포함하여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모든 전자 문서에 대한 권한을 의미한다.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400)은 통합 관리 서버(200)에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 대한 수행 관리를 의뢰하는 기관의 관리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관리부(110), 역할 관리부(115), 권한 관리부(120),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125),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 사용자 별 역할 할당부(135), 역할 별 권한 할당부(140) 및 권한 실행 제어부(145)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부(11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을 관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관리한다. 이때, 사용자는 사업 책임자, 기술 총괄자, 품질 관리자, 사업 관리자 및 사업 지원자 개개인 이거나 [표 1]과 같은 사업 책임 그룹, 기술 총괄 그룹, 품질 관리그룹, 사업 관리 그룹 및 사업 지원 그룹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관리부(11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을 관리하는 복수의 사용자를 특정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사용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를 특정 그룹에 할당함으로써, 추후에 특정 그룹에 역할이 할당되면 특정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는 동일한 역할을 할당받아 해당 역할의 산출물만을 접근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관리부(110)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을 관리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을 개별적으로 관리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관리되는 경우 사용자에 역할이 할당되면 해당 역할의 산출물만을 접근할 수 있다.
역할 관리부(115)는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할당되는 역할을 관리한다. 이때, 역할은 사업 책임자 역할, 기술 총괄자 역할, 품질 관리자 역할, 사업 관리자 역할 및 사업 지원자 역할, 기술 이전 총괄 책임자 역할, 기술 이전 수행자 역할을 포함한다.
또한, 역할 관리부(115)는 역할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상위 레벨의 역할 및 상위 레벨과 상관 관계가 있는 하위 레벨의 역할을 트리로 표현함으로써 상위 레벨의 권한은 하위 레벨의 권한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역할 A가 루트 노드이고 역할 B가 루트 노드의 자식 노드이고 역할 A에 할당된 권한이 a, b 이고, 역할 B에 할당된 권한이 c, d인 경우, 역할 A의 권한은 a, b, c, d이고, 역할 b의 권한은 c, d도록 할 수 있다.
권한 관리부(120)는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에서 생성되는 자원에 대한 권한을 관리한다.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자원은 계약, [표 2]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된 산출물(즉, 유지 관리 실사 보고서, 유지 관리 계약서, 사업 수행 계획서, 연간 예방 점검 계획서, 투입 인력 비상 연락망, 보안서약서, 보안 관리 계약서 등) 등을 포함하여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100_1~100_N)의 모든 전자 문서에 대한 권한을 의미한다.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125)에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 각각의 역할이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즉,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 각각이 사업 책임자 역할, 기술 총괄자 역할, 품질 관리자 역할, 사업 관리자 역할 및 사업 지원자 역할, 기술 이전 총괄 책임자 역할 및 기술 이전 수행자 역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125)에는 사용자 A에 대한 역할, 사용자 B에 대한 역할, 사용자 C에 대한 역할, 그룹 A에 대한 역할이 사업 책임자 역할, 기술 총괄자 역할, 품질 관리자 역할, 사업 관리자 역할 및 사업 지원자 역할, 기술 이전 총괄 책임자 역할 및 기술 이전 수행자 역할 중 어느 역할인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각각의 역할 별 자원에 대한 권한이 저장되어 있다. 즉,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사업 책임자 역할, 기술 총괄자 역할, 품질 관리자 역할, 사업 관리자 역할 및 사업 지원자 역할, 기술 이전 총괄 책임자 역할 및 기술 이전 수행자 역할 각각에 대한 권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사업 책임자 역할에는 사업의 계약, 변경 및 해약에 대한 권한이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기술 총괄자 역할에는 사업 추진 계획, 현황 관리, 수행 내역 보고 등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별 역할 할당부(135)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의 정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역할을 할당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역할을 할당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은 해당 역할과 연관된 자원에 대한 역할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별 역할 할당부(135)는 사용자 A에 사업 책임자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별 역할 할당부(135)는 사용자 A에 품질 관리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별 역할 할당부(135)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의 직위가 변경되거나 퇴사하는 경우 미리 할당된 역할을 삭제처리한 후 다른 역할을 할당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역할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업 책임자 역할이 할당되어 있으나 사용자 A가 퇴사하고 사용자 B가 입사한 경우, 사용자 B에 사업 책임자 역할을 할당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역할을 변경할 수 있다.
역할 별 권한 할당부(140)는 역할 관리부(115)에 의해 관리되는 역할 각각에 권한을 할당한다. 즉, 역할 별 권한 할당부(140)는 사업 책임자 역할, 기술 총괄자 역할, 품질 관리자 역할, 사업 관리자 역할 및 사업 지원자 역할, 기술 이전 총괄 책임자 역할 및 기술 이전 수행자 역할 각각에 권한을 할당한다. 이때, 권한은 [표 1]과 같은 담당업무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권한 실행 제어부(145)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특정 자원에 대한 특정 권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125) 및 상기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특정 권한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권한을 실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권한 실행 제어부(145)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특정 권한의 실행이 요청되면,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125)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을 추출하고,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역할에 할당된 권한을 추출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특정 권한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권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즉, 권한 실행 제어부(145)는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고,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권한 실행 제어부(145)는 사용자 A에 의해 계약서에 대한 생성이 요청되면,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125)에서 추출한 사용자 A에 할당된 역할이 기술 총괄자 역할이면,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기술 총괄자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을 추출하고,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권한에 계약서에 대한 생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A는 계약서를 생성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사용자 A에 의한 계약서의 생성 요청을 거절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권한 실행 제어부(145)는 특정 사용자에 의해 특정 권한의 실행이 요청되면,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125)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을 추출하고,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역할의 권한 및 역할의 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역할의 권한을 추출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가 특정 권한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권한의 실행 여부를 판단한다.
즉, 권한 실행 제어부(145)는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 및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고,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권한 실행 제어부(145)는 사용자 A에 의해 계약서에 대한 생성이 요청되면,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125)에서 추출한 사용자 A에 할당된 역할이 기술 총괄자 역할이면,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기술 총괄자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을 추출하고, 기술 총괄자 역할의 하위 역할이 존재하면 하위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을 추출하고, 추출된 권한에 계약서에 대한 생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A는 계약서를 생성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사용자 A에 의한 계약서의 생성 요청을 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합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 각각에 역할을 할당하여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310).
통합 관리 서버(200)는 역할 각각에 상기 권한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권한을 할당하여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320).
통합 관리 서버(200)는 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특정 자원에 대한 특정 권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단계 S330),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을 추출한다(단계 S340).
통합 관리 서버(200)는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에 할당된 권한을 추출한다(단계 S350).
그 후, 통합 관리 서버(200)는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한다(단계 S360).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관리 서버(200)는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관리 서버(200)는 교육 기관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장비로 구성되어 있는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비에 대한 현장 조사 정보 및 현황 조사 정보를 비교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한 후 장비 현황을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410).
통합 관리 서버(200)는 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의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한다(단계 S420).
통합 관리 서버(200)는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 내용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430).
통합 관리 서버(200)는 상기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로부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에 대한 확인 요청 메시지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산출물에 대한 변경 및 추가를 실행한다(단계 S440).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서버
110: 사용자 관리부
115: 역할 관리부
120: 권한 관리부
125: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
130: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
135: 사용자 별 역할 할당부
140: 역할 별 권한 할당부
145: 역할 별 권한 할당부
200: 통합 관리 서버
300: 내부 관리자 단말
400: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

Claims (2)

  1.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의 현장 조사 정보 및 현황 조사 정보를 비교하여 현황에는 있는 현장에는 없는 장비를 탐색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하거나 상기 현장 조사 정보 및 현황 조사 정보를 비교하여 현품에는 있으나 현황에는 없는 장비를 탐색하여 장비 현황을 생성하여 관리하고,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 대한 사전점검 및 예방점검을 정기적으로 실행하여 미리 결정된 장애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여 처리하고,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의 발생 장애 요소에 대해서 장애 요소의 영향도와 긴급도에 따라 장애 등급을 정의하고, 발생된 장애 요소에 대해서 장애 등급에 따른 조치 이력을 관리하며 동일한 장애 발생 시 상기 조치 이력을 기초로 처리하고,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행 조직 관리, 품질 보증 관리, 산출물 관리 및 보안 관리를 실행하고,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서 생성된 문서에 대해서 교육 수요 기관의 정보 자산 보호를 위하여 문서 보관 원칙을 수립하여 모든 산출물의 문서관리 및 이력관리를 수행하여 변경사항에 대한 문서변경 및 이력관리를 철저히 수행하여 완벽한 산출물 보안관리를 실행하고,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교육 훈련 조직과 역할, 교육대상 교육내용, 교육일정을 고려한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한 후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
    상기 산출물에 대한 특정 권한 실행 요청 메시지를 통합 관리 서버에 제공하며,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 및 역할에 할당된 권한을 기초로 사용자가 특정 권한을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권한을 실행하는 내부 관리자 단말; 및
    상기 대상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 대한 수행 관리를 요청하는 교육 기관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 각각의 역할이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역할 별 자원에 대한 권한이 저장되어 있는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을 관리하는 각각의 복수의 사용자를 관리하거나 상기 복수의 사용자를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사용자 그룹을 생성한 후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에 사업 책임자 역할, 기술 총괄자 역할, 품질 관리자 역할, 사업 관리자 역할 및 사업 지원자 역할, 기술 이전 총괄 책임자 역할 및 기술 이전 수행자 역할 중 적어도 하나의 역할을 할당하고, 역할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상위 레벨의 역할 및 상위 레벨과 상관 관계가 있는 하위 레벨의 역할을 트리로 표현하여 상위 레벨의 권한은 하위 레벨의 권한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 관리부;
    계약, 유지 관리 실사 보고서, 유지 관리 계약서, 사업 수행 계획서, 연간 예방 점검 계획서, 투입 인력 비상 연락망, 보안서약서 및 보안 관리 계약서 각각에 대한 권한을 관리하는 권한 관리부;
    상기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자원에 대한 권한을 관리하는 권한 관리부;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을 관리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을 특정 역할이 할당되어 있는 특정 사용자 그룹에 할당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그룹에 소속된 사용자가 상기 특정 그룹에 할당된 역할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상기 역할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 각각에 역할을 할당하여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의 사용자의 직위가 변경되거나 퇴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을 삭제처리한 후 다른 역할을 할당하여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역할을 변경하여 해당 사용자가 변경된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별 역할 할당부;
    상기 역할이 할당된 사용자 각각 또는 복수의 그룹의 사용자가 상기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역할에 상기 권한 관리부에 의해 관리되는 권한을 할당하여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역할 별 권한 할당부; 및
    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특정 자원에 대한 특정 권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을 추출하고, 상기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역할에 할당된 권한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내부 관리자 단말로부터 특정 자원에 대한 특정 권한 실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을 추출하고, 상기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역할의 권한 및 역할의 하위 레벨에 해당하는 역할의 권한에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고, 사용자가 실행 요청한 권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 의해 권한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권한 실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한 실행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계약서에 대한 생성이 요청되면, 사용자 별 역할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사용자에 할당된 역할이 기술 총괄자 역할이면,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술 총괄자 역할에 해당하는 권한을 추출하고, 역할 별 권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권한에 계약서에 대한 생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계약서를 생성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에 의한 계약서의 생성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기관 유지 관리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10723A 2020-09-01 2020-09-01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2374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23A KR102374860B1 (ko) 2020-09-01 2020-09-01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23A KR102374860B1 (ko) 2020-09-01 2020-09-01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80A KR20220028980A (ko) 2022-03-08
KR102374860B1 true KR102374860B1 (ko) 2022-03-16

Family

ID=8081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723A KR102374860B1 (ko) 2020-09-01 2020-09-01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251B1 (ko) * 2022-09-14 2022-11-03 김형식 위탁업체의 운영관리 평가 정량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2463250B1 (ko) * 2022-09-14 2022-11-03 김형식 운영관리 솔루션 시스템 및 빅데이터 분석 방법
CN116972792B (zh) * 2023-09-22 2023-12-22 山东轴研精密轴承有限公司 一种轴承内外环厚度检测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100B1 (ko) * 2018-10-16 2019-01-30 장봉석 행위패턴인식을 이용한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342A (ko) * 2006-01-18 2007-07-24 학교법인 대전기독학원 한남대학교 그리드 환경에서 사용자 그룹 역할/권한 관리 시스템 및접근 제어 방법
KR100959614B1 (ko) * 2008-05-28 2010-05-27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00009660A (ko) * 2008-07-21 2010-01-29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산업기술 인프라 활용을 위한 장비 공유 관리 시스템
KR101766658B1 (ko) * 2016-01-04 2017-08-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100B1 (ko) * 2018-10-16 2019-01-30 장봉석 행위패턴인식을 이용한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80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860B1 (ko)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Olivera Memory systems in organization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mechanisms for knowledge collection, storage and access
US20110072018A1 (en) Hierarchical administration of resources
Zhen et al. Crowdsourcing usage, task assignment methods, and crowdsourcing platform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N111880890A (zh) 一种城市门户系统
Trigo et al. IT project management critical success factors
Al-Ruithe et 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cloud data governance-driven decision making
Paech et al. Answering a request for proposal–challenges and proposed solutions
Alawadhi et al. Internet of Things (IoT) Security Risks: Challenges for Business
Iyamu Enterprise architecture as information technology strategy
US20160078379A1 (en) Automated Configuration Data Collection for Business Applications Using Feedback
CN111292058A (zh) 基于区块链的企业构建及人力资源管理方法及设备、介质
US8005781B2 (en) Connection of value networks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and data via applications and support personnel
KR102374867B1 (ko) 교육 기관 유지 관리 시스템
Davis Auditing Information and Cyber Security Governance: A Controls-based Approach
Healy et al. The impac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on managerial practices: The use of codes of conduct
Juliantari et al. Analysis of E-Government governance in bangli district’s government using the COBIT 5 framework
Nami et al. Virtual organization: A new approach in IT
JP7440612B2 (ja) メッセージ交換装置、及びメッセージ交換方法
Association for Intelligent Information (AIIM) 14 steps to a successful ECM implementation
Jabeen Knowledge management and society in technological driven era
Jindal et al. Ontology-Based Delegation Enforcement in the Cloud Ecosystem
Usman IoT-enabled B2B Integration
ÖBERG A Study of the Implementation, Maintenance and Continual Improvement of a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Sulaimany et al.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learning systems using extracted web server log file sugges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