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758B1 -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758B1
KR102374758B1 KR1020200094083A KR20200094083A KR102374758B1 KR 102374758 B1 KR102374758 B1 KR 102374758B1 KR 1020200094083 A KR1020200094083 A KR 1020200094083A KR 20200094083 A KR20200094083 A KR 20200094083A KR 102374758 B1 KR102374758 B1 KR 102374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lock
waterproof
cap
seal member
waterproof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476A (ko
Inventor
이태현
신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9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75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는: 정션블럭 내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내부커넥터와, 정션블럭에서 와이어링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어 정션블럭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캡조립체와, 방수캡조립체에서 연결된 다수 가닥의 와이어링을 감싸서 정션블럭 주변의 여유공간부까지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재와, 와이어안내부재에 구비된 와이어링에 연결되어 여유공간부에서 상대커넥터와 연결되는 외부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WATERPROOF CAP CONNECTION DEVICE OF 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고 캡부재와 결합부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정션블럭의 측면에 설치할 때, 전선인출공에 설치된 와이어링과의 기밀성능과 정션블럭의 설치공과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키고, 방수캡부재로 부터 연결되는 와이어안내부를 통해 외부커넥터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대커넥터와 접속하므로 조립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덜체결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신경계통에 비유할 수 있으며,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만 비로소 자동차는 그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 컴퓨터(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ECU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써 정션블럭(Junction Block), 정션박스라고도 함)이 사용된다.
이러한 정션블럭은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블럭본체와, 블럭본체의 상부에서 설치되는 상부커버와, 블럭본체와 상부커버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정션블럭은 최근에는 엔진룸에 설치되면서 수분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형으로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방수형 정션블럭은 블록본체의 내부에서 전기적인 통전을 위해 커넥터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졍션블럭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커넥터와, 내부커넥터에서 연결되는 와이어링과, 와이어링에 기밀하고, 케이스의 측면에 시일링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단자가 구비되어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는 블럭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런데, 기존의 방수형 정션블럭은 블럭본체의 측면에 블럭커넥터를 결합한 후 외부로 부터 상대커넥터를 접속함으로써 전기적인 도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정션블럭의 주변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 블럭커넥터에 상대커넥터를 측방향에서 삽입하여 결합하는 관계로 공간이 협소허여 조립작업이 불가 또는 어려울 뿐만아니라, 경우에 따라 덜체결이 발생하는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저하되거나 그로인한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0053호(2007.03.20,발명의 명칭: 차량용 모듈형 정션박스의 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고, 캡부재와 결합부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정션블럭의 측면에 설치할 때, 전선인출공에 설치된 와이어링과의 기밀성능과 블럭본체의 설치공과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키고, 방수캡부재로 부터 연결되는 와이어안내부를 통해 외부커넥터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대커넥터와 접속하므로 조립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덜체결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는, 정션블럭 내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내부커넥터; 상기 정션블럭에서 상기 와이어링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어 상기 정션블럭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캡조립체; 상기 방수캡조립체에서 연결된 다수 가닥의 상기 와이어링을 감싸서 상기 정션블럭 주변의 여유공간부까지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재; 및 상기 와이어안내부재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링에 연결되어 상기 여유공간부에서 상대커넥터와 연결되는 외부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캡조립체는, 상기 와이어링이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션블럭의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는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 상기 방수씰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션블럭에 설치되는 캡부재; 및 상기 방수씰부재와 상기 캡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방수씰부재와 상기 캡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방수씰부재와 상기 캡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캡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돌출부; 및 상기 걸림돌출부의 양측면에 단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부에 상기 걸림돌출부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홀부는, 상기 걸림돌출부가 수축 상태로 통과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접하여 형성되고, 수축되었던 상기 걸림돌출부가 확장되면서 걸려지는 이탈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방수씰부재의 둘레에서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돌부; 상기 방수씰부재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캡부재에 형성되는 안착테두리부; 및 상기 장착돌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테두리부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씰부재는 기밀부에 의해 상기 설치공 및 상기 관통공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링과 기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는,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고, 캡부재와 결합부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정션블럭의 측면에 설치할 때, 전선인출공에 설치된 와이어링과의 기밀성능과 정션블럭의 설치공과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키고, 방수캡부재로 부터 연결되는 와이어안내부를 통해 외부커넥터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대커넥터와 접속하므로 조립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덜체결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수씰조립체에서, 결합부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구씰조립체에서, 일 예의 결합부를 갖는 방수씰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수씰조립체에서, 결합부의 일 예를 보인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수씰조립체에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구씰조립체에서, 다른 예의 결합부를 갖는 방수씰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수씰조립체에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설치 상태 조립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수씰조립체에서, 결합부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구씰조립체에서, 일 예의 결합부를 갖는 방수씰부재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수씰조립체에서, 결합부의 일 예를 보인 설치 상태 단면도이고,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수씰조립체에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구씰조립체에서, 다른 예의 결합부를 갖는 방수씰부재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의 방수씰조립체에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보인 설치 상태 조립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는, 내부커넥터(100), 방수씰조립체(200), 와이어안내부(700) 및 외부커넥터(800)를 포함한다.
내부커넥터(100)는 정션블럭(10)의 내부에 다수개 설치되어 와이어링(20)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방수씰조립체(200)는 정션블럭(10)에서 와이어링(20)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형성된 설치공(40)에 설치되어 정션블럭(10)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정션블럭(10)은 전자부품이 실장되고, 내부커넥터(100)가 접속되는 블럭본체와, 블럭본체를 덮어주는 상부커버를 포함한다. 방수씰조립체(200)는 정션블럭(10)의 블럭본체의 측면에 결합된다.
와이어안내부(700)는 방수캡조립체(200)에서 연결된 다수 가닥의 와이어링(20)을 감싸서 정션블럭(10) 주변의 여유공간부까지 안내하는 구성이다.
와이어안내부(700)는 정션블럭(10)의 하부 측면의 좁은 공간에서 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와이어링(20)을 설정 길이 연장시켜 여유공간부에서 상대커멕터(30)와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해줌으로써,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덜체결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외부커넥터(800)는 와이어안내부(700)에 구비된 와이어링(10)에 연결되어 여유공간부에서 상대커넥터(30)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방수씰조립체(200)는, 와이어링(20)이 연결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고, 정션블럭(10)의 설치공(40)에 설치되는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300)와, 방수씰부재(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정션블럭(10)에 설치되는 캡부재(400)와, 방수씰부재(300)와 캡부재(40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500)(600)를 포함한다.
방수씰부재(300)는 고무재질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정션블럭(10)의 측면에 설치할 때, 탄성력에 의한 밀칙력을 유지하면서 관통공(310)을 통과하는 와이어링(20)과 밀착력을 발휘함으로써, 설치공(40)과 관통공(410)을 통해 빗물 등의 유체가 정션블럭(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부재(400)는 방수씰부재(300)의 다수개의 관통공(310)과 일치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캡부재(400)에는 체결부재(410)가 정션블럭(10)의 측면과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420)이 형성된다.
체결공(420)에는 부싱부재(430)가 구비되어 체결부재(410)의 체결시 캡부재(4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싱부재(430)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금속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500)는, 방수씰부재(300)와 캡부재(40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510)와, 걸림부(510)가 결합되도록 방수씰부재(300)와 캡부재(400)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홀부(520)를 포함한다.
캡부재(400)의 일면에는 정션블럭(10)의 설치공(40)의 일부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단차돌부(440)가 구비될 수 있다.
단차돌부(440)는 정션블럭(10)의 측면에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300)가 설치공(40)에 설치될 때, 강체로 형성되므로 결합부(500)를 통해 연결된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300)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걸림부(510)는, 캡부재(400)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512)와, 지지부재(512)의 단부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돌출부(514)와, 걸림돌출부(514)의 양측면에 단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어 걸림홀부(520)에 걸림돌출부(514)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면부(516)를 포함한다.
걸림홀부(520)는, 걸림돌출부(514)가 수축 상태로 통과하고, 지지부재(512)가 끼워지는 삽입홀부(522)와, 삽입홀부(522)에 접하여 형성되고, 수축되었던 걸림돌출부(514)가 확장되면서 걸려지는 이탈방지홈부(514)를 포함한다,.
걸림돌출부(514)는 양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걸림돌출부(514)의 너비에 비해 협소한 삽입홀부(522)에 진입시 수축되는 상태로 진입하였다가 이탈방지홈부(524)에 도달하는 순간 팽창되면서 걸림부위가 걸려져 이탈이 방지 된다.
또한, 지지부재(512) 역시 삽입홈부(522)에 정확하게 일치하면서 방수씰부재(300)는 캡부재(400)에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사안내면부(516)의 진입부위의 너비는 삽입홀부(522)의 너비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진입이 더욱더 이루어 질수록 점차 수축되도록 구성된다.
걸림돌출부(514)의 양측면에는 경사안내면부(516)의 후측에 접하여 이탈방지홈부(524)의 내측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밀착되는 밀착면부(518)가 형성된다.
밀착면부(518)의 외경은 이탈벙지홈부(524)의 내경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어 이탈방지홈부(524)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방수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하, 일 예의 결합부(500)의 조립 과정을 살펴 본다.
방수씰부재(300)에 형성된 걸림부(510)를 캡부재(400)의 걸림홀부(520)에 삽입하면, 경사안내면부(516)의 안내를 받으면서 걸림돌출부(514)가 삽입홀부(522)로 진입하고, 진입이 점차 이루어 질수록 걸림돌출부(514)가 수축되면서 진입하다가 이탈방지홈부(524)에 도달하는 순간 확장되면서 걸림부위가 걸려짐과 동시에 밀착면부(518)가 이탈방지홈부(524)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탈방지홈부(524)는 캡부재(400)의 외측으로 개방되므로 결합 상태를 확인하거나 분리시 공구를 조작하여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600)는, 방수씰부재(300)의 둘레에서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돌부(610)와, 방수씰부재(300)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캡부재(400)에 형성되는 안착테두리부(620)와, 장착돌부(610)가 결합되도록 안착테두리부(620)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홈부(630)를 포함한다.
장착돌부(610)는 안착테두리부(620)에 형성된 장착홈부(63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캡부재(400)에 함몰 형성되는 매립홈부(640)에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립홈부(640)는 캡부재(400)의 테두리까지 연장 및 개방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매립홈부(640)에 안착된 장착돌부(610)는 사방으로 유동되는 것이 제한되므로 방수씰부재(300)는 캡부재(400)에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안착테두리부(620)는 정션블럭(10)의 측면에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300)가 설치공(40)에 설치될 때, 강체이므로 결합부(600)를 통해 연결된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300)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다른 예의 결합부(500)의 조립 과정을 살펴 본다.
방수씰부재(300)에 형성된 장착돌부(610)를 캡부재(400)에 형성된 안착테두리부(620)의 장착홈부(630)에 걸어주면서 조립하도록 한다.
이때, 장착돌부(630)는 안착테두리부(620)의 장착홈부(630)의 너비에 보다 더 길게 형성되므로 캡부재(400)에 함몰 형성된 매립홈부(640)에 매립 설치되므로 방수씰부재(300)를 캡부재(400)에 유동을 방지하는 상태로 견고하고 조립할 수 있다.
방수씰부재(300)는 기밀부(900)에 의해 설치공(40) 및 관통공(310)에 설치된 와이어링(20)과 기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밀부(900)는, 방수씰부재(300)의 둘레에 형성되어 설치공(4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블럭기밀부(910)와, 관통공(31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와이어링(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와이어기밀부(920)를 포함한다.
블럭기밀부(910)는 길이방향으로 설정 간격을 갖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정션블럭(10)의 설치공(40)과 방수씰부재(300) 사이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성능을 형상시키도록 한다.
와이어기밀부(920)는 관통공(310)의 내주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와이어링(20)의 둘레면에 다수 번 밀착됨으로서, 와이어링(20)과 와이어링(20) 사이의 틈새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는,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고, 캡부재와 결합부를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 정션블럭의 측면에 설치할 때, 전선인출공에 설치된 와이어링과의 기밀성능과 정션블럭의 설치공과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키고, 방수캡부재로 부터 연결되는 와이어안내부를 통해 외부커넥터를 외부로 인출하여 상대커넥터와 접속하므로 조립공간 활용성을 높이고, 덜체결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정션블럭 20: 와이어링
30: 상대커넥터 40: 설치공
100: 내부커넥터 200: 방수캡조립체
300: 방수씰부재 310: 관통공
400: 캡부재 410: 체결부재
420: 체결공 430: 부싱부재
500,600: 결합부 510: 걸림부
512: 지지부재 514: 걸림돌출부
516" 경사안내면부 520: 걸림홀부
522: 삽입홀부 524: 이탈방지홈부
610: 장착돌부 620: 장착테두리부
630: 장착홈부 640: 매립홈부
700: 와이어안내부재 800: 외부커넥터
900: 기밀부 910: 블럭기밀부
920: 와이어기밀부


Claims (7)

  1. 정션블럭 내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내부커넥터; 상기 정션블럭에서 상기 와이어링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어 상기 정션블럭의 내부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캡조립체; 상기 방수캡조립체에서 연결된 다수 가닥의 상기 와이어링을 감싸서 상기 정션블럭 주변의 여유공간부까지 안내하는 와이어안내부재; 및 상기 와이어안내부재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링에 연결되어 상기 여유공간부에서 상대커넥터와 연결되는 외부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캡조립체는, 상기 와이어링이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션블럭의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는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 상기 방수씰부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션블럭에 설치되는 캡부재; 및 상기 방수씰부재와 상기 캡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정션블럭의 설치공의 일부에 끼워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단차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차돌부는 상기 정션블럭의 측면에 연성재질의 상기 방수씰부재가 상기 설치공에 설치될 때, 강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결합부를 통해 연결된 연성재질의 방수씰부재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방수씰부재와 상기 캡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방수씰부재와 상기 캡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걸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캡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돌출부; 및
    상기 걸림돌출부의 양측면에 단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부에 상기 걸림돌출부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안내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홀부는,
    상기 걸림돌출부가 수축 상태로 통과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끼워지는 삽입홀부; 및
    상기 삽입홀부에 접하여 형성되고, 수축되었던 상기 걸림돌출부가 확장되면서 걸려지는 이탈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방수씰부재의 둘레에서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장착돌부;
    상기 방수씰부재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캡부재에 형성되는 안착테두리부; 및
    상기 장착돌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테두리부에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씰부재는 기밀부에 의해 상기 설치공 및 상기 관통공에 설치된 상기 와이어링과 기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KR1020200094083A 2020-07-28 2020-07-28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KR102374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83A KR102374758B1 (ko) 2020-07-28 2020-07-28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083A KR102374758B1 (ko) 2020-07-28 2020-07-28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76A KR20220014476A (ko) 2022-02-07
KR102374758B1 true KR102374758B1 (ko) 2022-03-15

Family

ID=8025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083A KR102374758B1 (ko) 2020-07-28 2020-07-28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7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3699A (ja) * 2011-05-24 2012-12-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部品セット
US20150118881A1 (en) 2013-10-28 2015-04-30 Advics Co., Lt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0811A (ko) * 2007-03-02 2008-09-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용 램프홀더
KR20080006395U (ko) * 2007-06-15 2008-1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
JP5521777B2 (ja) * 2010-05-26 2014-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引出孔の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3699A (ja) * 2011-05-24 2012-12-1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部品セット
US20150118881A1 (en) 2013-10-28 2015-04-30 Advics Co.,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76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894B1 (en) Grommet for a vehicle door assembly
JP5140414B2 (ja) コルゲートクランプ
US6962504B2 (en) Protecting device for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the same
WO2012023506A1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1198647A (ja) 電気接続箱
US7575473B2 (en) Connector
JP2009541919A (ja) 電気コネクタ
JP6527896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WO2014203954A1 (ja) コネクタ
CN109309362B (zh) 保护装置
JP4761990B2 (ja) 防水コネクタ
KR102374758B1 (ko) 정션블럭의 방수캡 연결장치
CN110137895A (zh) 索环、电子构件和形成索环的方法
JPH1012317A (ja) 防水コネクタ
JP2008029080A (ja) 電気接続箱
JP4412150B2 (ja) グロメットを用いた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US20210175659A1 (en) Dust cov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in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ssembly
JP6873533B2 (ja) 自動車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JP6856329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2585941B1 (ko) 커넥터 커버 구조
JP3454470B2 (ja) 電気接続箱
JP7449783B2 (ja) グロメット、及び保持部材
KR20180102522A (ko) 방수 커넥터
JP6757811B2 (ja) プラグ接触アセンブリ
JP6281893B2 (ja) もつれ易いケーブルの位置を固定する位置決め手段を備えたコンタクト収容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