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410B1 -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410B1
KR102374410B1 KR1020200092318A KR20200092318A KR102374410B1 KR 102374410 B1 KR102374410 B1 KR 102374410B1 KR 1020200092318 A KR1020200092318 A KR 1020200092318A KR 20200092318 A KR20200092318 A KR 20200092318A KR 102374410 B1 KR102374410 B1 KR 102374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covering yarn
manufactur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968A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1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8Scaffolding threads, i.e. threads removed after weav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감량(=용출) 공정 후에도 볼륨감을 감량 전 대비 90% 이상 유지할 수 있는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covered yarn, fabric contain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감량(=용출) 공정 후에도 볼륨감을 감량 전 대비 90% 이상 유지할 수 있는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섬유는, 그 우수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에 의해, 의류용 뿐만 아니라, 산업용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고, 공업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합성섬유는 보온성에서 마, 면 등의 천연섬유와 차이가 큰 결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합성섬유를 중공화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공률이 높은 중공섬유는 많은 공기층을 함유하므로 비중이 작고, 보온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가벼우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주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단열옷, 이불, 보온용 이불, 침낭 등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개발되어온 중공섬유는 방사시 방사공 상부의 압력 불균형이나, 방사된 고분자 용융체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공기와류에 의해 원사가 개환되거나 반복 사용시 중공사가 개환되어 공기층을 잃게 되므로 반발성, 숭고성, 보온성 및 염색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사가공 및 원단 제/편직시 외력에 의해 중공부가 찌그러지는 현상, 즉 합착(중공부의 소멸)으로 원하는 보온성 및 원단의 볼륨감을 얻지 못하는 현실이므로 대부분 필라멘트 상태로 사용되거나 스테이플로 커팅 후에 방적을 통해서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원단 상에서 100% 용해사를 커버링용 심사 및 복합사로 사용하여 원단을 제직 후 용출 공정을 통해 중공원단을 개발하는 시도되어 왔다.
한국출원특허 제2014-0195197 호는 보온성 및 흡한속건성이 우수한 직물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으로 화섬사를 권취사로 사용하여 이루어진 용해사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 어느 하나 또는 모두 사용하여 원단 염가공시 용출(감량)공정을 통해 원단의 중공을 형성하면서 보온성을 발현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실제로 용해사가 용출된 후에는 심부를 지지해주는 섬유가 제거됨에 따라 원단의 형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최종 원단의 밀도가 느슨해지며 볼륨감이 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목표로 하는 원단의 폭, 두께를 달성할 수 없으며, 특히 보온성이 발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편물조직이나 직물조직으로 구현되더라도 최종 원단의 형태와 조직을 유지하면서도 용출 후 원활한 용출에 따라서 원단을 형성하는 섬유들의 감량공정에 따른 품질저하가 방지되는 동시에 목적하는 보온성이 부여되는 원단을 용이하게 구현시킬 수 있는 원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단의 보온성, 흡한속건성, 형태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알칼리성 용액에 대한 용출성능이 우수한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량(=용출) 공정에서, 용출성 수지를 제외한 원단을 구성하는 섬유에 대한 알칼리 침해를 최소화하여 품질이 우수하며, 감량 공정 후에도 원단의 형태안정성이 유지되는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버링사는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꼬아 감은 커버링사로서, 제1섬유는 알칼리 용해성 복합섬유를 포함하고, 강력이 30g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섬유는 용출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를 둘러싼 섬유부를 포함하고, 용출 후의 제1섬유의 횡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섬유부는 고유점도가 0.45 ~ 0.85 dl/g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상대점도가 2.5 ~ 3.3인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용출부는 고유점도가 0.75 ~ 1.15 dl/g인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섬유부와 용출부의 중량비는 3 : 7 ~ 7 : 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링사는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 300 ~ 1,000으로 꼬아 감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섬유는 10 ~ 40 데니어의 섬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섬유 및 제2섬유는 1 : 1.5 ~ 5의 섬도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단은 본 발명의 커버링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생지를 제조하고, 상기 생지를 전처리 가공하여 가공지를 제조한 후, 감량 가공하여 제조한 원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원단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1.0 < W0/W1 ≤ 1.5
[관계식 2]
1.0 ≤ T0/T1 ≤ 1.2
상기 관계식 1에 있어서, W0은 가공지의 무게를 나타내고, W1은 원단의 무게를 나타내며,
상기 관계식 2에 있어서, T0은 가공지의 두께를 나타내고, T1은 원단의 두께를 나타낸다.
나아가, 본 발명의 커버링사의 제조방법은 용출성 수지와 비용출성 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1섬유를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섬유는 강력이 30g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출성 수지는 고유점도가 0.75 ~ 1.15 dl/g인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용출성 수지는 고유점도가 0.45 ~ 0.86 dl/g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상대점도가 2.5 ~ 3.3인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단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커버링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커버링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생지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조된 생지에 전처리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가공지를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조된 가공지에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용출성 수지를 용출시켜 원단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단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1.0 < W0/W1 ≤ 1.5
[관계식 2]
1.0 ≤ T0/T1 ≤ 1.2
상기 관계식 1에 있어서, W0은 가공지의 무게를 나타내고, W1은 원단의 무게를 나타내며,
상기 관계식 2에 있어서, T0은 가공지의 두께를 나타내고, T1은 원단의 두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은 원단의 보온성, 흡한속건성, 형태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알칼리성 용액에 대한 용출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은 용출성 수지를 제외한 원단을 구성하는 섬유에 대한 알칼리 침해를 최소화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은 감량 공정 후에도 원단의 형태안정성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은 우수한방사 작업성과 사가공성을 얻을 수 있으며 원단의 제/편직시 우수한 공정 통과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커버링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횡단면에 1개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된 제1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횡단면에 4개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된 제1섬유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섬유’는 '사(絲, Yarn)' 또는 '실'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다양한 종류의 사 및 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복합섬유’는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원사 그 자체, 또는 이를 연신 및/또는 부분연신을 수행한 섬유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버링사는 제1섬유(10)의 표면에 제2섬유(20)를 꼬아 감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커버링사는 제1섬유(10)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미터당 꼬임 수) 300 ~ 1,000, 바람직하게는 400 ~ 8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600으로 꼬아 감은 것일 수 있고, 만일 T/M이 300 미만이면 제1섬유(10)가 외부로 노출되어 염색 불량을 야기할 수 있고, 1,000을 초과하면 제1섬유(10)의 표면에 제2섬유(20)를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공정시 사터짐 등의 공정 불량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도가 너무 높아짐에 따라 감량(=용출) 가공공정을 수행할 시, 불균일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링사는 제1섬유를 1가닥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10가닥,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가닥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커버링사를 구성하는 제1섬유(10)는 알칼리 용해성 복합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출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를 둘러싼 섬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섬유(10)는 용출 후의 제1섬유의 횡단면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섬유(10)는 용출부(2)가 용출되어 섬유부(1)만이 남아, 횡단면에 1개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된 C형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면에 4개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된
Figure 112020077628994-pat00001
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섬유(10)는 강력이 30g 이상, 바람직하게는 31 ~ 40g, 더욱 바람직하게는 31 ~ 38g일 수 있으며, 만일 강력이 30g 미만이면 감량(=용출) 가공공정을 수행할 시, 알칼리 침해가 가속화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용출에 의해 용출부가 용출되면, 낮은 강력에 의해서 제1섬유(10)의 횡단면이 깨지거나 섬유부의 중공구조가 붕괴되면서 형태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강력이 40g를 초과하게 된다면 높은 배향 결정으로 인하여 용출성능이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 공정을 진행할 때 사절로 인한 방사 가동성 저하의 문제가 있어 방사작업성이 현저히 나빠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섬유(10)는 10 ~ 40 데니어의 섬도, 바람직하게는 15 ~ 25 데니어의 섬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섬유(10)의 섬유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부에 포함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알칼리성 용액에 대해 용해성이 매우 낮거나 없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일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 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섬유부에 포함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고유점도가 0.45 ~ 0.85 dl/g, 바람직하게는 0.65 ~ 0.75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0.7 dl/g일 수 있다.
섬유부에 포함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알칼리성 용액에 대해 용해성이 매우 낮거나 없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일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및 나일론 6.10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섬유부에 포함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상대점도가 2.5 ~ 3.3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섬유(10)의 용출부는 알칼리 용액에 용해성이 있다고 공지된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예로서 탄소수 4 ~ 12의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설폰산 금속염과 같은 산성분이나 디폴리에틀렌글리콜과 같은 공지된 디올성분으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출부에 포함할 수 있는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고유점도가 0.75 ~ 1.15 dl/g, 바람직하게는 0.8 ~ 1.0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 1.0 dl/g일 수 있으며, 만일 고유점도가 0.75 dl/g 미만이면, 복합 방사시 기계적 강도가 낮아 사절의 빈번한 발생에 따른 방사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뿐만 아니라, 용출성이 과도하여 균일한 용출이 어렵거나, 복합 방사시 섬유부의 알칼리 침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15 dl/g를 초과하면 용출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감량 가공공정의 소요시간 상승 및 불균일 용출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섬유(10)의 섬유부와 용출부의 중량비는 3 : 7 ~ 7 : 3, 바람직하게는 3.5 : 6.5 ~ 6.5 : 3.6일 수 있으며, 만일 중량비가 7 : 3을 초과한다면 용출부의 용출 후 생성되는 중공부가 작아져 효과적인 보온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 : 7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부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원단의 중공부를 붕괴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섬유(10)는 2.0 ~ 4.0, 바람직하게는 2.7 ~ 4.0의 연신비로 연신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커버링사를 구성하는 제2섬유(20)는 제1섬유와 이형의 소재로서, 알칼리성 용액에 대해 용해성이 매우 낮거나 없는 섬유일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일 수 있으며, 합성섬유일 경우 다양한 사가공으로 제조된 섬유일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가공사, 연신사, 가연사, 방적사 또는 연신가공사(DTY ; Draw Textured Yarn)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섬유(10)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링사의 제1섬유(10) 및 제2섬유(20)는 1 : 1.5 ~ 5의 섬도비, 바람직하게는 1 : 1.5 ~ 4.0의 섬도비를 가질 수 있으며, 만일 섬도비가 1 : 1.5 미만이면 제1섬유(10)가 외부로 노출되어 원단의 염색 결점이 나타나는 문제뿐만 아니라, 원단의 인열강도가 저하되어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 : 5를 초과하면 제1섬유(10)의 섬도가 낮음으로 인해 원단의 중공효과가 충분히 발현될 수 없는 문제뿐만 아니라, 제2섬유(20)의 밀도가 너무 높아져서 제1섬유(10)의 용출에 악영향을 미칠수도 있고, 원단의 경량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섬유(20)는 16 ~ 44, 바람직하게는 20 ~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 36의 필라멘트수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원단은 본 발명의 커버링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한 원단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원단은 본 발명의 커버링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생지를 제조하고, 상기 생지를 전처리 가공하여 가공지를 제조한 후, 감량 가공하여 제조한 원단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원단은 직물 또는 편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원단은 본 발명의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사용하여 제직(weaving)된 직물일 수 있다.
상기 제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및 이중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조직이라 할 때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방법은 통상적인 제직방법에 의하며, 삼원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직물조직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직에서의 경위사 밀도의 경우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원단은 본 발명의 커버링사를 원사로 포함하여 편성(knitting)된 편물일 수 있다. 상기 편성은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위편성과 경편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편성방법에 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단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1.0 < W0/W1 ≤ 1.5, 바람직하게는 1.1 ≤ W0/W1 ≤ 1.4,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W0/W1 ≤ 1.3
상기 관계식 1에 있어서, W0은 가공지의 무게를 나타내고, W1은 원단의 무게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원단은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할 때, 제1섬유를 구성하는 용출부가 용출되어 원단의 무게가 변화할 수 있는데, 용출은 가공지를 알칼리성 용액에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알칼리성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용액 및 수산화칼륨 용액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2]
1.0 ≤ T0/T1 ≤ 1.2, 바람직하게는 1.0 ≤ T0/T1 ≤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T0/T1 ≤ 1.05
상기 관계식 2에 있어서, T0은 가공지의 두께를 나타내고, T1은 원단의 두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원단은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할 때, 제1섬유를 구성하는 용출부가 용출되어 원단의 두께가 변화할 수 있는데, 용출은 가공지를 알칼리성 용액에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알칼리성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용액 및 수산화칼륨 용액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링사의 제조방법은 제1단계 및 제2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커버링사의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용출성 수지와 비용출성 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1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섬유는 알칼리 용해성 복합섬유일 수 있으며, 용출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를 둘러싼 섬유부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출성 수지는 용출부를 구성할 수 있고, 비용출성 수지는 섬유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의 복합방사는 다양한 형태의 구금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구금의 형태에 따라 제조되는 복합섬유는 시스-코어(Sheath-Core)형, 해도(Island in the Sea)형,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 분할된 파이(segmented pie)형, 평행형, 방사형, 다심형, 모자이크형, 매트릭스-분산형, 성운형 또는 C중공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된 시스-코어(Sheath-Core)형 구금을 통해 본 발명의 고유점도가 0.75 ~ 1.15 dl/g인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출성 수지를 시스로, 고유점도(I.V.)가 0.45 ~ 0.85 dl/g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상대점도가 2.5 ~ 3.3인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비용출성 수지를 코어로 하며, 비용출성 수지와 용출성 수지를 3 : 7 ~ 7 : 3 중량비로 복합방사하여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된 시스-코어(Sheath-Core)형 복합섬유(도 2 및 도 3 참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는 용출성 수지와 비용출성 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제1섬유를 연신할 수 있는데, 연신은 제조된 제1섬유의 강력이 30g 이상, 바람직하게는 31 ~ 40g, 더욱 바람직하게는 31 ~ 38g이 되도록 연신비를 2.0 ~ 4.0, 바람직하게는 2.7 ~ 4.0로 설정하여 연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버링사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제조된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단계는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미터당 꼬임 수) 300 ~ 1,000, 바람직하게는 400 ~ 8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 600으로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2단계는 제1섬유가 1가닥 이상, 바람직하게는 1 ~ 10가닥,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가닥을 포함하여,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할 수 있다.
제2단계에서 사용하는 제2섬유는 제1섬유와 이형의 소재로서, 알칼리성 용액에 대해 용해성이 매우 낮거나 없는 섬유일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일 수 있으며, 합성섬유일 경우 다양한 사가공으로 제조된 섬유일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가공사, 연신사, 가연사, 방적사 또는 연신가공사(DTY ; Draw Textured Yarn)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섬유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원단의 제조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4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원단의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앞서 본 발명의 커버링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커버링사를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단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는 준비한 커버링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생지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원단의 제조방법의 제3단계는 제2단계에서 제조된 생지에 전처리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가공지를 제조할 수 있다. 전처리 가공공정 중 하나인 프리셋팅 공정에서 생지는 수축 및 형태 안정성이 부여되면서 제조된 가공지의 두께는 생지의 두께보다 두꺼워질 수 있다.
전처리 가공공정은 통상적인 직물의 가공공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련 공정, 표백 공정, 수세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프리셋팅 공정을 통해 원단의 형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프리셋팅 공정은 120 ~ 200℃에서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원단의 제조방법의 제4단계는 제3단계에서 제조된 가공지에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용출성 수지를 용출시켜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감량 가공공정은 원단의 촉감을 개선하고, 용출성 수지를 용출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가공지를 알칼리성 용액에 투입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알칼리성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수산화칼륨 수용액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단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원단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1.0 < W0/W1 ≤ 1.5, 바람직하게는 1.1 ≤ W0/W1 ≤ 1.4,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W0/W1 ≤ 1.3
상기 관계식 1에 있어서, W0은 제4단계의 제조공정을 거치기 전, 달리 말하면 감량 가공 공정을 통해, 용출성 수지의 용출 전인 가공지의 무게를 나타내고, W1은 제4단계의 제조공정을 거친 후, 달리 말하면 감량 가공 공정을 통해, 용출성 수지의 용출 후인 원단의 무게를 나타낸다.
[관계식 2]
1.0 ≤ T0/T1 ≤ 1.2, 바람직하게는 1.0 ≤ T0/T1 ≤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T0/T1 ≤ 1.05
상기 관계식 2에 있어서, T0은 제4단계의 제조공정을 거치기 전, 달리 말하면 감량 가공 공정을 통해, 용출성 수지의 용출 전인 가공지의 두께를 나타내고, T1은 4단계의 제조공정을 거친 후, 달리 말하면 감량 가공 공정을 통해, 용출성 수지의 용출 후인 원단의 두께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 원단의 제조
(1) 하나의 개방된 슬릿이 형성된 시스-코어형 구금을 통해 비용출성 수지를 시스로, 용출성 수지를 코어로 하여 섬도가 20 데니어가 되도록 4 : 6 중량비로 복합방사를 수행하고, 강력이 32g이 되도록 연신하여, 도 2에 도시된 단면을 갖는 제1섬유를 제조하였다.
이 때, 비용출성 수지로서 고유점도가 0.65 dl/g인 PET 수지(도레이첨단소재, Semidull)를 사용하였고, 용출성 수지로서 고유점도가 0.95 dl/g인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도레이첨단소재, ESP)를 사용하였다.
또한, 강력은 자동 인장 시험기(Textechno 사)를 사용하여 200 cm/min의 속도, 50cm의 파지 거리를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강력은 제1섬유에 0.5cN/tex을 주어 절단될 때까지 연신 시켰을 때 걸린 하중으로 정의하였다.
(2) 제조한 제1섬유 2가닥을 준비하고, 준비한 2가닥의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 550으로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2섬유로서 섬도가 75 데니어, 필라멘트수가 36인 PET 연신가공사(DTY)를 사용하였다.
(3) 제조한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에 모두 적용하고, 고속레피어직기(rapire weaving machine)를 사용하여 제직하여 생지를 제조하였다.
(4) 제조된 생지에 전처리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가공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처리 가공공정으로 정련 공정, 표백 공정, 수세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한 후, 160℃에서 프리셋팅 공정을 수행하였다.
(5) 제조된 가공지에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감량 가공공정은 가공지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투입하여, 120℃의 온도에서 90분동안 수행하였다.
실시예 2 :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제1섬유는 강력이 32g이 되도록 연신하지 않고, 강력이 23g이 되도록 연신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제1섬유는 강력이 32g이 되도록 연신하지 않고, 강력이 28g이 되도록 연신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제1섬유는 강력이 32g이 되도록 연신하지 않고, 강력이 36g이 되도록 연신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제1섬유는 강력이 32g이 되도록 연신하지 않고, 강력이 45g이 되도록 연신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커버링사를 제조시 제조한 제1섬유를 2가닥 준비하지 않고, 1가닥만 준비하여, 준비한 1가닥의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 450으로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2섬유로서 섬도가 45 데니어, 필라멘트수가 24인 PET 연신가공사(DTY)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7 : 원단의 제조
실시예 2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커버링사를 제조시 제조한 제1섬유를 2가닥 준비하지 않고, 1가닥만 준비하여, 준비한 1가닥의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 450으로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2섬유로서 섬도가 45 데니어, 필라멘트수가 24인 PET 연신가공사(DTY)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 원단의 제조
(1) 용출성 수지로서 섬도가 20 데니어이고, 고유점도가 0.95 dl/g인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도레이첨단소재, ESP)를 강력이 35g이 되도록 연신하여, 제1섬유를 제조하였다.
강력은 자동 인장 시험기(Textechno 사)를 사용하여 200 cm/min의 속도, 50cm의 파지 거리를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강력은 제1섬유에 0.5cN/tex 을 주어 절단될 때까지 연신 시켰을 때 걸린 하중으로 정의하였다.
(2) 제조한 제1섬유 2가닥을 준비하고, 준비한 2가닥의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 550으로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하였다.
이 때, 제2섬유로서 섬도가 75 데니어, 필라멘트수가 36인 PET 연신가공사(DTY)를 사용하였다.
(3) 제조한 커버링사를 경사 및 위사에 모두 적용하고, 고속레피어직기(rapire weaving machine)를 사용하여 제직하여 생지를 제조하였다.
(4) 제조된 생지에 전처리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가공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처리 가공공정으로 정련 공정, 표백 공정, 수세 공정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한 후, 160℃에서 프리셋팅 공정을 수행하였다.
(5) 제조된 가공지에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원단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감량 가공공정은 가공지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투입하여, 100℃의 온도에서 60분동안 수행하였다.
비교예 2 : 원단의 제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커버링사를 제조시 제조한 제1섬유를 2가닥 준비하지 않고, 1가닥만 준비하여, 준비한 1가닥의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 450으로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2섬유로서 섬도가 45 데니어, 필라멘트수가 24인 PET 연신가공사(DTY)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원단의 무게 측정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원단에 대하여, 각각 가로×세로 1×1의 크기로 절단하고, 생지, 가공지 및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무게를 각각 측정하여 표 1 내지 3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2 : 원단의 두께 측정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원단에 대하여, 각각 생지, 가공지 및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두께를 비교하여 원단의 중공부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원단의 두께는 Mitutomo 사의 두께측정기(no.2046S model) 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하였으며, 두께의 단위는 T로 나타내며, 1T = 0.01mm 를 나타낸다.
실험예 3 : 원단의 이론 감량율 및 실제 감량율 측정
표 1 내지 3에 기재된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원단의 이론 감량율은 원단의 경사/위사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총 함량을 계산하여,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한 후에 100% 제거되었을 때의 감량율이다.
또한, 실제 감량율은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원단에 대하여, 각각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하기 전/후의 원단의 무게를 측정하여 계산된 감량율이다.
실험예 4 : 방사 작업성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2에서 제1섬유를 제조시에 방사 작업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24시간 가동시의 사절 횟수가 0~1회이면 ◎, 3회 이하이면 ○, 3회 초과이면 X로 하기 표 1 내지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20077628994-pat00002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단에 있어서, 생지에서 가공지로 제조될 때 약 20%의 수축이 발생하여 두께가 증가하고, 가공지의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 후에도, 두께는 유지되는 원단이 제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단과 비교하여,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원단은 생지에서 가공지로 제조될 때 수축이 과하게 발생하였고, 제1섬유의 연신 배향성이 낮아 이로 인한 비용출성 수지의 침해로 인해, 원단의 두께가 가공지의 두께보다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20077628994-pat00003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원단과 비교하여,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원단은 제1섬유를 제조시에 방사 작업성이 현저히 나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1섬유가 뻣뻣해(stiff)지면서 생지의 두께는 높아지고, 수축이 적게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제1섬유의 강력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용출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용출성 수지가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원단의 두께는 유지되었지만 커버링사 제조 및 제직 시의 공정통과성이 악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제조된 원단의 드레이프성이 불량해지는 현상과 원단의 염색 시 용출성 수지가 잔존함에 따른 염색 불량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112020077628994-pat00004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원단과 비교하여,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원단은 제1섬유의 연신 배향성이 낮아 이로 인한 비용출성 수지의 침해로 인해, 실제 감량율이 높게 나왔고 원단의 두께가 가공지의 두께보다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 7에서 제조된 원단과 대비하여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원단은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하면서, 원단의 형태를 잡아주는 섬유가 없어져, 원단의 두께가 현저히 얇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감량가공공정 전후의 무게 및 두께를 통해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원단은 밀도가 낮아졌으며, 원단의 힘이 전혀 없이 느슨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용출성 수지가 용출 후 원단의 형태를 잡아줄 수 있는 커버링사의 제1섬유가 완전히 제거되면서 원단의 중공이 붕괴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비하여, 실시예 1 ~ 7에서 제조된 원단은 용출성 수지가 용출 후에도 원단을 형태를 유지해줄 수 있는 제1섬유가 잔존함으로 인해 감량가공공정을 수행한 원단은 용출에 의한 무게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축소공정을 통해 중공부를 가지는 원단이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5에서 제조된 원단을 통해 제1섬유의 최적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2 ~ 3에서 제조된 원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이론 감량율보다 무게 감소가 더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원단의 두께는 실시예 1 및 4에서 제조된 원단과 대비하여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1섬유의 강도가 낮아 감량가공공정에서 알칼리에 의한 침해가 발생함을 추정할 수 있으며, 실제로 잔존하는 제1섬유의 중공 깨짐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꼬아 감은 커버링사로서,
    상기 제1섬유는 용출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용출부; 및 상기 용출부를 둘러싼 섬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부는 고유점도가 0.45 ~ 0.85 dl/g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상대점도가 2.5 ~ 3.3인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용출부는 고유점도가 0.75 ~ 1.15 dl/g인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섬유는 강력이 3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부와 용출부의 중량비는 3 : 7 ~ 7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사는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T/M 300 ~ 1,000으로 꼬아 감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는 10 ~ 40 데니어의 섬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섬유 및 제2섬유는 1 : 1.5 ~ 5의 섬도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사.
  8.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꼬아 감은 커버링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생지를 제조하고, 상기 생지를 전처리 가공하여 가공지를 제조한 후, 상기 가공지를 감량 가공하여 제조한 원단으로,
    상기 제1섬유는 알칼리 용해성 복합섬유를 포함하고, 강력이 30g 이상이며,
    상기 원단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관계식 1]
    1.0 < W0/W1 ≤ 1.5
    [관계식 2]
    1.0 ≤ T0/T1 ≤ 1.2
    상기 관계식 1에 있어서, W0은 가공지의 무게를 나타내고, W1은 원단의 무게를 나타내며,
    상기 관계식 2에 있어서, T0은 가공지의 두께를 나타내고, T1은 원단의 두께를 나타낸다.
  9. 용출성 수지와 비용출성 수지를 복합방사하여 제1섬유를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섬유의 표면에 제2섬유를 꼬아 감아 커버링사를 제조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용출성 수지는 고유점도가 0.75 ~ 1.15 dl/g인 알칼리 용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비용출성 수지는 고유점도가 0.45 ~ 0.86 dl/g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상대점도가 2.5 ~ 3.3인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섬유는 강력이 3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링사의 제조방법.
  10. 제9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커버링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커버링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생지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제조된 생지에 전처리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가공지를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조된 가공지에 감량 가공공정을 수행하여 용출성 수지를 용출시켜 원단을 제조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은 하기 관계식 1 및 2를 모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제조방법.
    [관계식 1]
    1.0 < W0/W1 ≤ 1.5
    [관계식 2]
    1.0 ≤ T0/T1 ≤ 1.2
    상기 관계식 1에 있어서, W0은 가공지의 무게를 나타내고, W1은 원단의 무게를 나타내며,
    상기 관계식 2에 있어서, T0은 가공지의 두께를 나타내고, T1은 원단의 두께를 나타낸다.
KR1020200092318A 2019-07-26 2020-07-24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4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027 2019-07-26
KR20190091027 2019-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968A KR20210012968A (ko) 2021-02-03
KR102374410B1 true KR102374410B1 (ko) 2022-03-15

Family

ID=7457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318A KR102374410B1 (ko) 2019-07-26 2020-07-24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206B1 (ko) 2013-11-08 2014-07-1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C형 중공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44256B1 (ko) 2015-05-29 2017-06-12 주식회사 휴비스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10A (ko) * 2014-12-31 2016-07-08 다이텍연구원 용해사를 이용한 중공사 및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206B1 (ko) 2013-11-08 2014-07-18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C형 중공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744256B1 (ko) 2015-05-29 2017-06-12 주식회사 휴비스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968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498B2 (ja) 複合撚糸
EP2562299B1 (en) Production method for a bulking yarn for production of woven or knit fabric
US20110146832A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ultra-soft yarn and fabric thereof
CN106087183B (zh) 一种蓄热发热包芯双层结构纱线保暖机织面料的生产方法
JP2007009395A (ja)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極細仮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90390B1 (ko) 폴리에스테르계 혼섬사 및 이를 통해 구현된 비침방지성 통풍원단
KR102374410B1 (ko) 커버링사,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5599686B2 (ja) ポリエステル潜在捲縮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1781A (ja) 中空状撚糸とその製造方法及び布帛
JP2021183732A (ja) ポリエステル仮撚糸および編織物
JP6085799B2 (ja) 紙糸を含む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8654B2 (ja) 複合撚糸
JP4393357B2 (ja) 複合撚糸を用いて製造した織編物
KR101590231B1 (ko)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05344234A (ja) 中空二層構造紡績糸織編物
JP2007023442A (ja) ポリエステル先染め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02942A (ko) 폴리아미드계 혼섬사 및 이를 통해 구현된 비침방지성 통풍원단
JP6190657B2 (ja) 芯鞘構造複合紡績糸を含む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642981B2 (ja) オーガンジー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JP5843561B2 (ja) 軽量加工紡績糸および織編物の製造方法
JP2584703B2 (ja) 吸水性ポリエステル仮撚糸を用いた織編物の製造法
JP4123646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糸条および布帛
JP4815280B2 (ja) 複合撚糸
KR102238626B1 (ko) 통기성 및 제전성이 우수한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4800B1 (ko) 원단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