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380B1 -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 - Google Patents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380B1
KR102373380B1 KR1020210131455A KR20210131455A KR102373380B1 KR 102373380 B1 KR102373380 B1 KR 102373380B1 KR 1020210131455 A KR1020210131455 A KR 1020210131455A KR 20210131455 A KR20210131455 A KR 20210131455A KR 102373380 B1 KR102373380 B1 KR 10237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
shelf
scratcher
modu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
Original Assignee
이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슬 filed Critical 이슬
Priority to KR1020210131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4Scratching devices, e.g. for c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를 개시한다. 캣 타워는 고양이가 안착 가능한 선반과, 상기 선반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하여 책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 {CAT TOWER INSTALLED ON A DESK}
본 발명은 캣 타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가구와 원룸,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생활이 증가하면서 건강, 환경 관리 등이 용이하고 조용한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선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묘용 식품, 장난감, 하우징 등의 시장 규모가 지난 5년 새 6배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다. 고양이는 좁은 거주공간에서도 잘 적응하지만 여전히 야생성이 강하게 남아있어 고양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캣 타워 또는 캣 트리는 높은 곳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고양이들의 습성을 만족시키며 좁은 거주공간에서도 활동공간을 제공하는 반려동물용 전용 가구로, 고양이들이 오르내릴 수 있는 디딤판들을 포함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46828호(이하, 종래기술)는 조립식 캣 타워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플레이트부재를 이용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와 같은 다면체를 형성하고 이 다면체를 연결봉 부재를 통해 층상구조로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사육요건을 고려해 원하는 모양으로 변경 조립할 수 있고, 플레이트부재 상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어 다면체와 다면체 사이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며 다양한 사육 요건을 고려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변경 및 조립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캣 타워는 굉장히 많은 부품들이 사용되고 큰 부피를 차지할 수 밖에 없으므로, 원룸 등 공간이 매우 협소한 주거환경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캣 타워는 일종의 가구로서 사용자가 사무를 수행하는 책상과는 떨어져 배치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책상에서 사무를 수행하는 동안 캣 타워의 고양이를 관찰하거나 고양이와 정서적 교감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설치에 필요로 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캣 타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책상에서 사무를 수행하는 동안에도 고양이를 관찰하거나 고양이와 정서적 교감이 가능한 캣 타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캣 타워에 대한 고양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캣 타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양이의 욕구 해소 및 발톱 관리가 가능한 캣 타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캣 타워는 고양이가 안착 가능한 선반; 상기 선반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하여 책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선반이 책상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선반을 책상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선반은 고양이가 눕거나 앉도록 마련되는 쿠션이 상면 상에 배치 가능하고, 하면에 상기 스탠드의 상단이 연결되는 디딤판; 및 상기 디딤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쿠션이 상기 디딤판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상기 외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래쳐로서, 고양이가 발톱을 연마하는 스크래칭 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고양이가 발을 딛거나 상기 쿠션이 배치 가능한 디딤면이 타측에 형성되는 스크래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쳐는 상기 디딤판의 상면 및 상기 스크래칭 면이 은폐되고 상기 디딤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스크래쳐가 세워져 상기 디딤판의 상면 및 상기 스크래칭 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쳐를 회동시키는 구동 모듈; 빛을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가리키는 포인팅 모듈; 고양이가 선반에 안착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미리 연동된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 상기 포인팅 모듈,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듈이 상기 스크래쳐를 상기 제2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상기 스크래쳐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기 선반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 천장의 일 지점에 맺힌 상을 이용하여 고양이를 상기 선반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포인팅 모듈이 빛을 출사하게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고양이가 상기 디딤판에 안착하였음이 인식되면 상기 포인팅 모듈에서 출사된 빛이 상기 스크래칭 면에 상을 맺도록 상기 포인팅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고양이가 상기 선반을 떠났음이 인식되면 상기 구동 모듈이 상기 스크래쳐를 상기 제1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캣 타워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책상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캣 타워 설치를 위하여 별도로 실내 공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캣 타워의 선반은 책상으로부터 공중에 떠있을 수 있으므로 선반과 책상 사이의 공간을 낭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캣 타워는 포인팅 모듈에서 출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고양이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고 고양이가 선반에 안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캣 타워는 스크래쳐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스크래칭을 통하여 고양이의 욕구를 해소시키고 고양이의 발톱을 연마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캣 타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캣 타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캣 타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캣 타워의 클램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캣 타워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캣 타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캣 타워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a) 제1 위치 및 (b) 제2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캣 타워의 측단면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캣 타워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캣 타워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좌측",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 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 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캣 타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캣 타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캣 타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캣 타워의 클램프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캣 타워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할 때, 캣 타워(1)는 책상(2)(또는, "데스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책상(2)은 상판(2a)과 복수의 다리(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통상의 책상에 해당될 수 있다.
캣 타워(1)(또는, "반려동물용 놀이 구조물")는 선반(100)과, 스탠드(200)와, 클램프(30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100)에는 고양이(또는, "반려동물")가 안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양이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반려동물 역시 선반(100)에 안착될 수 있다.
선반(100)의 적어도 일부는 책상(2)(예: 상판(2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반(100)은 책상(2)의 상판(2a)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선반(100)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 종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반(100)은 다양한 종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선반(100)은 선반(10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고양이가 발을 디딜 수 있도록 마련되는 디딤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딤판(110)은 대략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딤판(110)의 상면 상에 고양이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딤판(110)의 상면 상에는 고양이가 눕거나 깔고 앉도록 마련되는 쿠션이 배치될 수 있다.
선반(100)은 디딤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외측벽(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120)은 디딤판(110)의 네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외측벽(120)은 디딤판(110)의 상면 상에 배치된 쿠션이 고양이의 움직임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디딤판(110)에서 이탈 및/또는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벽(120)은 디딤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및/또는 돌출될 수 있다. 외측벽(120)과 디딤판(110)은 외측벽(120) 및 디딤판(110)에 둘러싸이고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100a)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100a)에 고양이 및/또는 쿠션이 배치될 수 있다.
디딤판(110)과 외측벽(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딤판(110)과 외측벽(120)은 별개로 형성된 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디딤판(110)과 외측벽(120)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딤판(110)과 외측벽(120)은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200)는 일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200)는 선반(10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200)는 선반(100)(예: 디딤판(11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200)는 디딤판(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탠드(200)의 상단은 디딤판(110)의 하면에 고정 및/또는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200)의 상단은 디딤판(110)의 하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200)는 클램프(300)와 선반(100)을 연결할 수 있다.
캣 타워(1)가 책상(2)(예: 상판(2a))에 설치될 때, 스탠드(200)는 선반(100)이 책상(2)(예: 상판(2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선반(100)을 책상(2)(예: 상판(2a))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캣 타워(1)가 책상(2)에 설치되더라도 스탠드(200)에 의하여 선반(100)이 책상(2)(예: 상판(2a))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사용자는 선반(100)과 책상(2) 사이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판(2a) 상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클램프(300)는 스탠드(200)의 일단(예: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300)는 선반(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캣 타워(1)는 클램프(300)에 의하여 책상(2)에 설치될 수 있다. 캣 타워(1)는 클램프(300)에 의하여 책상(2)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클램프(300)는 책상(2)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300)는 책상(2)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300)는 상판(2a)의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300)는 책상(2)의 일부(예: 상판(2a)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홈(320)을 형성하는 클램프 바디(310)와, 클램프 바디(310)의 일면(예: 하면)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340)와, 스크류(340)의 일단(예: 상단)에 고정되는 가동턱(330)과, 스크류(340)의 타단(예: 하단)에 고정되는 핸들(3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삽입홈(320)을 형성하면서 고정턱(330)을 마주하는 클램프 바디(310)의 일면은 고정턱(310a)에 해당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정턱(310a)은 클램프 바디(310)에 형성될 수 있다.
가동턱(330)은 삽입홈(3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핸들(350)은 삽입홈(32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340)는 클램프 바디(310)의 일면(예: 하면)을 관통함으로써 가동턱(330)이 고정되어 있는 일단은 삽입홈(320)에 배치될 수 있고 핸들(350)이 고정되어 있는 타단은 클램프 바디(3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350)을 파지하여 돌림으로써 스크류(3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크류(3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340)는 회전됨에 따라서 스크류(340)가 관통하고 있는 클램프 바디(310)의 일면(예: 하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크류(340)가 상하로 움직일 때 스크류(340)의 일단(예: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가동턱(330) 역시 스크류(340)와 함께 삽입홈(32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삽입홈(320)에 삽입되는 상판(2a)의 가장자리는 고정턱(310a)과 가동턱(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턱(310a)과 가동턱(330)은 상판(2a)의 가장자리를 물 수 있다. 고정턱(310a)과 가동턱(330)이 상판(2a)의 가장자리를 꽉 물어서 상판(2a)의 가장자리가 삽입홈(320)에서 빠져나가지 않게 됨에 따라 클램프(300)는 책상(2)에 설치 및/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핸들(350)을 잡고 스크류(3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턱(310a)과 가동턱(330) 사이의 간극을 상판(2a)의 두께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상판(2a)을 클램프(300)가 물고 있을 때, 사용자는 핸들(350)을 잡고 스크류(340)를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턱(310a)과 가동턱(330) 사이의 간극을 상판(2a)의 두께보다 크게 조절한 후 삽입홈(320)에서 상판(2a)을 빼냄으로써 클램프(300)를 책상(2)(예: 상판(2a))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캣 타워(1)는 사용자가 사무를 보고 있는 책상(2)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캣 타워(1)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실내 공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책상(2)에 자리하여 사무를 보면서도 반려묘를 가까이 두고 정서적 교감을 나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캣 타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캣 타워의 일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a) 제1 위치 및 (b) 제2 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캣 타워의 측단면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캣 타워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캣 타워(1)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6 내지 9에 도시된 캣 타워(1-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할 때, 캣 타워(1-1)는 선반(100), 스탠드(200), 및 클램프(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100)은 선반(100)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고양이 및/또는 쿠션이 안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디딤판(110)과, 디딤판(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외측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100)은 고양이가 발톱을 연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크래쳐(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쳐(400)는 외측벽(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래쳐(400)는 일단 측이 외측벽(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래쳐(400)의 일면에는 고양이가 발톱을 연마하는 스크래칭 면(420a)이 형성될 수 있고 스크래쳐(400)의 타면에는 고양이 및/또는 쿠션이 배치 가능한 디딤면(410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쳐(400)는 지지플레이트(410)와, 스크래치패드(420)와, 회전축(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10)는 대략 사각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10)는 디딤판(110)과 동일하거나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410)는 디딤판(11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10)의 일면은 디딤면(410a)에 해당될 수 있다.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가 디딤판(110)과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위치(이하, 제1 위치)될 때, 디딤면(410a)은 스크래쳐(400)의 상면으로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고 디딤판(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위치일 때 지지플레이트(410)는 디딤판(11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고 디딤면(410a)은 디딤판(1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크래쳐(400)가 제1 위치일 때, 고양이 및/또는 쿠션은 디딤면(41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스크래쳐(40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위치일 때, 외측벽(120)의 상단은 스크래쳐(400)의 상면(예: 디딤면(410a)) 및/또는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디딤면(410a)에 배치된 쿠션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축(430)은 지지플레이트(41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430)은 지지플레이트(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43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430)이 외측벽(120)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및/또는 결합됨에 따라서 지지플레이트(410)는 외측벽(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430)을 기준으로 지지플레이트(410)는 플레이트부(410b)와 스토퍼부(410c)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지지플레이트(410)는 플레이트부(410b)와 스토퍼부(410c)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410b)와 스토퍼부(410c)는 회전축(4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부(410c)는 지지플레이트(410)의 일 가장자리에 해당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410b)와 스토퍼부(410c)는 회전축(430)과 연결될 수 있고, 플레이트부(410b)와 스토퍼부(410c)와 회전축(4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410b)와 스토퍼부(410c)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딤면(410a)은 플레이트부(410b)의 일면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플레이트부(410b)의 일면 및 스토퍼부(410c)의 일면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스토퍼부(410c)의 기능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스크래치패드(420)는 디딤면(410a)에 해당되는 일면과 반대 측인 지지플레이트(410)(예: 플레이트부(410b))의 타면에 배치 및/또는 부착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10)에 부착되는 스크래치패드(420)의 일면과 반대 측인 스크래치패드(420)의 타면은 스크래칭 면(420a)에 해당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스크래치패드(420)는 스크래칭 면(420a)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래칭 면(420a)과 디딤면(410a)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스크래치패드(420)는 골판지, 편직물, 석재, 목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양이는 스크래치패드(420)(또는, 스크래칭 면(420a))에 손톱을 긁어 연마할 수 있다.
스크래치패드(420)는 지지플레이트(410)와 함께 이동 및/또는 회동될 수 있다.
제1 위치일 때, 스크래치패드(420)(또는, 스크래칭 면(420a))는 지지플레이트(410)와 디딤판(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스크래치패드(420)(또는, 스크래칭 면(420a))는 디딤판(110), 외측벽(120), 지지플레이트(410)에 둘러싸여 은폐될 수 있다. 디딤판(110)의 상면 역시 스크래쳐(400)(예: 지지플레이트(410))에 의해 커버되어 은폐될 수 있다.
스크래쳐(400)는 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스트래쳐(400)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스크래쳐(400)는 디딤판(110)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거나 소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세워질 수 있다.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디딤판(110)의 일면(예: 상면)과 스크래치패드(420)(또는, 스크래칭 면(420a))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지지플레이트(410) 및 스크래치패드(4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반려묘는 디딤판(110)의 상면에 발을 디딘 상태에서 스크래치패드(420)에 발톱(예: 앞발톱)을 긁어 연마할 수 있다. 반려묘를 위한 쿠션 또한 디딤판(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10)는 디딤면(410a)에 형성되는 손잡이(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412)를 잡고 제1 위치의 스크래쳐(400)를 제2 위치로 회동시키거나 제2 위치의 스크래쳐(400)를 제1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선반(100)은 디딤판(11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외측벽(120) 및/또는 디딤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지지턱(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턱(130)은 디딤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턱(130)의 높이는 외측벽(120)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지지턱(130)은 지지플레이트(410)의 가장자리에 대응될 수 있다. 지지턱(130)은 제1 위치의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를 지지하여 디딤판(1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지지턱(130)은 제1 위치의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를 디딤판(110)과 나란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선반(100)은 디딤판(11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디딤판(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정지턱(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지턱(140)은 회전축(4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정지턱(140)의 높이는 지지턱(13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정지턱(140)은 외측벽(120)의 일부를 마주할 수 있다. 정지턱(140)은 마주하는 외측벽(120)의 일부와 이격될 수 있고, 외측벽(120)과 함께 그 사이에 스토퍼부(410c)가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회동공간(140a)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동할 때, 스토퍼부(410c)는 회동공간(140a)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가 제2 위치에 도달할 때, 지지플레이트(410)의 스토퍼부(410c)는 정지턱(140)에 의하여 이동이 방지되고 정지턱(140)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으며, 스토퍼부(410c)와 정지턱(140)의 충돌에 의하여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의 회동이 중지될 수 있고, 스크래쳐(400)의 회동 범위는 제한될 수 있다.
선반(100)은 지지플레이트(11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끈(600)은 일단이 디딤판(110)의 일면(예: 하면)에 고정되는 스트랩(610)과, 스트랩(610)의 타단에 고정되는 후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10)(예: 플레이트부(410b))는 디딤면(410a) 상에 형성되는 제1 후크걸이(4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래쳐(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고정끈(600)의 후크(620)는 제1 후크걸이(411)에 후크결합될 수 있다. 고정끈(600)은 지지플레이트(410)에 결합됨으로써 제2 위치의 스크래쳐(400)가 제1 위치로 의도치 않게 넘어지지 않도록 스크래쳐(400)를 지탱할 수 있다.
한편, 선반(100)은 디딤판(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후크걸이(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쳐(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충돌 방지 및 심미성을 위하여 불필요한 고정끈(600)은 제2 후크걸이(111)에 후크결합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디딤판(110)의 하부에 은폐될 수 있다.
캣 타워(1-1)는 빛을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가리키는 포인팅 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모듈(500)은 레이져 포인터, 레이져 포인터에서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광학부재(예: 거울, 렌즈 등) 및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캣 타워(1-1)는 포인팅 모듈(5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베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모듈(500)은 선반(100)에 배치될 수 있다. 포인팅 모듈(500)은 외측벽(120)의 상면 및/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모듈(500)은 선반(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 천장의 일 지점에 상이 맺히도록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방 천장에 맺힌 상은 고양이의 관심을 끌 수 있고, 방 천장에 맺힌 상을 잡으려는 고양이는 자연스럽게 선반(100)에 안착할 수 있다. 포인팅 모듈(500)은 스크래쳐(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작동할 수 있고, 스크래쳐(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도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래쳐(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포인팅 모듈(500)은 스크래치패드(420)(또는, 스크래칭 면(420a))에 상이 맺히도록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스크래치패드(420)(또는, 스크래칭 면(420a))에 맺힌 상을 잡으려는 고양이는 자연스럽게 스크래치 패드(420)(또는, 스크래칭 면(420a))에 발을 문지를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발톱이 연마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캣 타워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캣 타워(1-2)는 도 6 내지 9에 도시된 캣 타워(1-1)의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할 때, 캣 타워(1-2)는 포인팅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 모듈(800)과, 센서 모듈(700)과, 통신 모듈(900)과, 제어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캣 타워(1-2)는 사용자 단말(3)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 모듈(800)과, 센서 모듈(700)과, 통신 모듈(900)과, 제어부(1000)는 각각 별도의 베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타워 캣(1-2)에 마련되는 하나의 베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센서 모듈(700)은 적어도 하나의 무게 측정 센서(또는, "로드셀")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선반(100)(예: 디딤판(110))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선반(100)에 가해지는 무게(또는, 하중)를 측정할 수 있고, 선반(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통해 고양이가 선반(100)에 안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모듈(700)은 선반(100)에 올라와 있는 고양이를 촬영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동 모듈(800)은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듈(800)은 선반(100) 및/또는 회전축(4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모듈(800)은 스크래쳐(400)(또는, 지지플레이트(41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통신 모듈(900)은 사용자 단말(3)과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900)은 제어부(1000)와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90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수단으로 사용자 단말(3)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을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은 통신 모듈(900)을 매개로 제어부(10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구동 모듈(800), 포인팅 모듈(500), 센서 모듈(700), 통신 모듈(9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반려묘의 발톱 관리를 위해서 사용자 단말(3)을 통하여 캣 타워(1-2)가 발톱 관리 모드로 작동하도록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 및 통신 모듈(900)을 매개로 사용자 명령을 전달받은 제어부(1000)는 구동 모듈(8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0)는 구동 모듈(800)이 제1 위치에 있는 스크래쳐(400)를 제2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구동 모듈(8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스크래쳐(400)가 제2 위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00)는 선반(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 천장의 일 지점에 상을 형성하도록 포인팅 모듈(50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0)는 포인팅 모듈(500)이 선반(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 천장의 일 지점에 상을 형성하여 고양이를 선반(100)으로 유도하도록 포인팅 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000)는 센서 모듈(700)을 통해 획득한 선반(100)의 하중 정보를 통해 고양이가 선반(100)(예: 디딤판(110))에 안착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고, 고양이가 선반(100)(예: 디딤판(110))에 안착하였다고 판단되면 포인팅 모듈(500)에서 출사되는 빛이 스크래치패드(420)(또는, 스크래칭 면(420a))에 상을 맺도록 포인팅 모듈(500)의 광 출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센서 모듈(700)을 통해 고양이가 선반(100)(예: 디딤판(110))에 안착하였음이 인식되면 포인팅 모듈(500)에서 출사된 빛이 스크래칭 면(420a)에 상을 맺도록 포인팅 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고양이는 포인팅 모듈(500)에 의하여 스크래칭 면(420a)에 맺힌 상을 잡기 위하여 발을 스크래치패드(420)에 비빌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고양이의 발톱이 연마되어 발톱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000)는 센서 모듈(700)을 통해 획득한 선반(100)의 하중 정보를 통해 고양이가 선반(100)(예: 디딤판(110))에서 떠났는지 여부를 인식 및/또는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고양이가 선반(100)(예: 디딤판(110))을 떠났다고 인식 및/또는 판단되면 구동 모듈(800)을 작동시켜 제2 위치에 있는 스크래쳐(400)를 제1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0)는 고양이가 선반(100)(예: 디딤판(110))에 남아있다고 인식 및/또는 판단되면 일정 시간(예: 15분) 후에 포인팅 모듈(500)을 오프할 수 있다. 포인팅 모듈(500)이 오프된 후 고양이가 선반(100)(예: 디딤판(110))을 떠났다고 인식 및/또는 판단되면 제어부(1000)는 구동 모듈(800)을 작동시켜 제2 위치에 있는 스크래쳐(400)를 제1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고양이가 선반(100)에 안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000)는 사용자 단말(3)이 센서 모듈(700)을 통해서 획득된 고양이의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도록 통신 모듈(900)을 매개로 사용자 단말(3)에 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캣 타워
100; 선반
200; 스탠드
300; 클램프

Claims (5)

  1. 고양이가 안착 가능한 선반과, 상기 선반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의 하단에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에 의하여 책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캣 타워로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선반이 책상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선반을 책상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선반은
    고양이가 눕거나 앉도록 마련되는 쿠션이 상면 상에 배치 가능하고, 하면에 상기 스탠드의 상단이 연결되는 디딤판;
    상기 디딤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쿠션이 상기 디딤판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외측벽; 및
    상기 외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래쳐로서, 고양이가 발톱을 연마하는 스크래칭 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고양이가 발을 딛거나 상기 쿠션이 배치 가능한 디딤면이 타측에 형성되는 스크래쳐;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쳐는
    상기 디딤판의 상면 및 상기 스크래칭 면이 은폐되고 상기 디딤면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스크래쳐가 세워져 상기 디딤판의 상면 및 상기 스크래칭 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2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며,
    상기 캣 타워는
    상기 스크래쳐를 회동시키는 구동 모듈;
    빛을 이용하여 특정 지점을 가리키는 포인팅 모듈;
    고양이가 선반에 안착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미리 연동된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구동 모듈, 상기 포인팅 모듈, 상기 센서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듈이 상기 스크래쳐를 상기 제2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위치를 향하는 상기 스크래쳐의 회동이 완료되면 상기 선반의 상부에 위치하는 방 천장의 일 지점에 맺힌 상을 이용하여 고양이를 상기 선반으로 유도하도록 상기 포인팅 모듈이 빛을 출사하게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고양이가 상기 디딤판에 안착하였음이 인식되면 상기 포인팅 모듈에서 출사된 빛이 상기 스크래칭 면에 상을 맺도록 상기 포인팅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해 고양이가 상기 선반을 떠났음이 인식되면 상기 구동 모듈이 상기 스크래쳐를 상기 제1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캣 타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1455A 2021-10-05 2021-10-05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 KR10237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455A KR102373380B1 (ko) 2021-10-05 2021-10-05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455A KR102373380B1 (ko) 2021-10-05 2021-10-05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380B1 true KR102373380B1 (ko) 2022-03-11

Family

ID=80814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455A KR102373380B1 (ko) 2021-10-05 2021-10-05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3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5956B2 (en) * 2004-12-23 2010-08-03 Worldwise, Inc. Cat scratching system
KR101246828B1 (ko) * 2012-04-16 2013-04-02 박치환 조립식 캣 타워
KR20160076080A (ko) * 2014-12-22 2016-06-30 서정호 조립식 캣타워
US20180352785A1 (en) * 2017-06-12 2018-12-13 Petsweet Co., Ltd. Environmentally Friendly House Cat scratcher with Simple Folding and Assembling
US10609903B1 (en) * 2016-05-17 2020-04-07 Cosmic Pet LLC Stand up fold away claw scratch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5956B2 (en) * 2004-12-23 2010-08-03 Worldwise, Inc. Cat scratching system
KR101246828B1 (ko) * 2012-04-16 2013-04-02 박치환 조립식 캣 타워
KR20160076080A (ko) * 2014-12-22 2016-06-30 서정호 조립식 캣타워
US10609903B1 (en) * 2016-05-17 2020-04-07 Cosmic Pet LLC Stand up fold away claw scratcher
US20180352785A1 (en) * 2017-06-12 2018-12-13 Petsweet Co., Ltd. Environmentally Friendly House Cat scratcher with Simple Folding and Assembl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urn Any Bookshelf Into a Stylish Cat Tower with CatKick (2019.08.30.)" (Url : www.hauspanther.com/2019/08/30/turn-any-bookshelf-into-a-stylish-cat-tower-with-catkick/?utm_source=pinterest&utm_medium=social) *
인터넷 게시물, "Turn Any Bookshelf Into a Stylish Cat Tower with CatKick (2019.08.30.)" (Url : www.hauspanther.com/2019/08/30/turn-any-bookshelf-into-a-stylish-cat-tower-with-catkick/?utm_source=pinterest&utm_medium=social)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235B2 (en) Acousto-optical baby toy with a remote control monitoring function
TWM515276U (zh) 智慧型雲端互動水族裝置
US9854919B1 (en) Illuminated headboard
US9848578B2 (en)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US10887958B1 (en) Camera wall plate with security camera
US6640750B2 (en) Electric feline play center
CN203634830U (zh) 可转换娱乐悬吊玩具
US11304274B1 (en) Camera wall plate with security camera
KR102373380B1 (ko) 책상에 설치 가능한 캣 타워
US10524452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with add-on features designed for domestic cats
US3581707A (en) Tree house
US20100202146A1 (en) Desk lamps with digital photo frames
TWM397143U (en) Wall-mounted cat house device
US9491928B1 (en) Illuminated scratch post
KR20190045000A (ko) 유아 및 애완동물용 돌침대
KR20170105933A (ko) 침대의 유동장치 및 방법
JP3204981U (ja) 小型掃除機用収納ブラケットの垂直固定台
JP2007309071A (ja) 発光手段を有する機能性畳
KR20120098074A (ko)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화초 로봇
US10208501B2 (en) Lamp-equipped tent shelf
JP3137056U (ja) ヒナ壇構造体
KR102395470B1 (ko) 월 스탠드 타워
KR20200017990A (ko) 무드 조명램프
US20030185401A1 (en) Portable motion-activated electrical device that plays pre-recorded sounds, music, or noise
US6294877B1 (en) Article blinking Christmas tre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