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602B1 -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602B1
KR102372602B1 KR1020150168496A KR20150168496A KR102372602B1 KR 102372602 B1 KR102372602 B1 KR 102372602B1 KR 1020150168496 A KR1020150168496 A KR 1020150168496A KR 20150168496 A KR20150168496 A KR 20150168496A KR 102372602 B1 KR102372602 B1 KR 10237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ight source
optic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830A (ko
Inventor
이대식
배수진
김한석
정민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6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3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providing two or more waveleng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illumination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내시경 시스템은, 광원부, 광집속부, 광전달부, 필터부, 및 영상 입력부를 포함한다. 광원부는 백색 광원, 백색 광원과 파장 영역이 중첩되는 협대역 광원, 및 근적외선 광원을 포함하고, 광집속부는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하고, 광전달부는 집속된 광을 피사체로 전달하고, 필터부는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필터링하고, 영상 입력부는 필터부로부터 전달된 광의 영상을 입력하며, 백색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백색광과 협대역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협대역광은 서로 중첩되는 광경로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광집속부로 입사된다.

Description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ENDOSCOPE SYSTEM USING MULTI WAVELENGTH LIGHT SOURCE}
본 발명은 생체 관측을 위한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의 혈관, 패턴 등을 선명하게 촬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시경 시스템에 관한것이다.
내시경 검사에서는 조직의 상태와 병변의 색깔, 형태, 혈관의 분포와 양상, 색조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병변을 진단하게 되는데, 병변의 미세한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특수영상 처리기술이나 특수한 필터를 이용한 신개념의 광학기술 등 여러 개선된 기능 영상을 제공하는 내시경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파장에 따라 생체 조직의 투과 깊이가 다른 광 특성을 이용하여 가시광선의 일부 협대역(narrow band imaging; NBI) 파장을 적용하여 점막의 표면, 중간, 심부 등 서로 다른 층을 선별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일반 내시경에 비해 점막의 표면 구조와 미세혈관들을 더욱 세밀하게 관찰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며, 인도시아닌그린(indocyanine green; ICG)과 같은 실제 색소나 색소의 형광을 이용하여 기존의 내시경 영상들로는 확인이 어려웠던 병변 주변 림프절의 위치를 파악하고 병변에서 배액되는 림프의 흐름을 부위를 관찰하는 기능도 제공되고 있다.
또한, 백색광을 이용한 일반적인 내시경 검사 기능과 함께 협대역광과 같은 특수광을 이용한 내시경 검사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내시경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백색광을 생체 내의 피사체에 조사하고 피사체의 상을 촬상하는 통상관찰모드, 및 통상관찰모드의 조명광보다 좁은 파장 대역을 갖는 협대역 광을 피사체에 조사하여 통상관찰모드보다 점막 표층의 혈관 등을 선명하게 관찰하는 협대역모드를 제공하는 내시경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 경우 통상관찰모드와 협대역모드는 개별 제어되며 통상관찰 후 의심부위에서 보다 선명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협대혁 모드로 전환하여 피사체를 촬상 및 관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술 또는 진단에 있어서 서로 다른 특성의 광을 이용한 내시경 영상을 함께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경우, 서로 다른 영상에서 특이적 차이점이 있는 환부 또는 이상부위와 혈관 정보 등을 직접 확인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대한 조합도 가능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의료현장에서 백색광 영상, 협대역광이나 형광과 같은 특수광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기술을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백생광을 이용한 내시경 검사 기능이나 특수광을 이용한 내시경 검사 기능이 일부 순차적으로 제공되고 있을 뿐 실시간으로 동시에 제공되지는 못하고 있어 그 의학적 활용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삭제
JP 1996-224209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백색광에 의한 내시경 검사 기능이나 협대역광이나 근적외선 형광에 의한 내시경 검사 기능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내시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은, 광원부, 광집속부, 광전달부, 필터부, 및 영상 입력부를 포함한다.
광원부는 백색 광원, 백색 광원과 파장 영역이 중첩되는 협대역 광원, 및 근적외선 광원을 포함하고, 광집속부는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하고, 광전달부는 집속된 광을 피사체로 전달하고, 필터부는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필터링하고, 영상 입력부는 필터부로부터 전달된 광의 영상을 입력하며, 백색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백색광과 협대역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협대역광은 서로 중첩되는 광경로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광집속부로 입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백색 광원과 협대역 광원의 조명광원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서로 선택적으로 피사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백생광 또는 협대역광에 의한 내시경 영상을 선택적으로 근적외선광에 의한 내시경 영상과 실시간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서로 다른 광원으로부터 각각 입사된 광을 파장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함으로써 광의 경로를 중첩시키는 광경로 중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경로 중첩부는 근적외선광과 복수의 협대역광의 광경로를 중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가지는 광들에 대해서는 광경로를 중첩시킴으로써 광원 시스템의 구성을 더욱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경로 중첩부는 근적외선광은 투과하며 백색광은 반사하는 광분리기를 광경로가 중첩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분리기를 광경로상에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백색광과 협대역광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경로 중첩부는 광분리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협대역광의 특정 파장을 펄스 형태로 결합하여 백색광의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근적외선 형광정보와 협대역광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하여 생체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구별 및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부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며,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여 미리 설정된 필터로 전달하는 광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정된 필터를 통과하여 카메라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시경 시스템은 영상 입력부로 입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특성의 광을 이용해 각각 획득한 내시경 영상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사체로 전달되는 광의 특성을 분석하는 광특성 분석부, 및 광특성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광의 특성에 따라 광원부의 광출력을 제어하는 광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광출력 제어부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가지는 복수의 협대역 광원의 상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시경 검사 목적이나 개별 광원의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필요로 하는 내시경 영상에 적합한 광출력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색 광원과 협대역 광원의 조명광원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서로 선택적으로 피사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백생광 또는 협대역광에 의한 내시경 영상을 선택적으로 근적외선광에 의한 내시경 영상과 실시간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가지는 광들에 대해서는 광경로를 중첩시킴으로써 광원 시스템의 구성을 더욱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분리기를 광경로상에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백색광과 협대역광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협대역광의 특정 파장을 펄스 형태로 결합하여 백색광의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근적외선 형광정보와 협대역광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하여 생체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구별 및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정된 필터를 통과하여 카메라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특성의 광을 이용해 각각 획득한 내시경 영상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시경 검사 목적이나 개별 광원의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필요로 하는 내시경 영상에 적합한 광출력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내시경 시스템의 실제 구현예의 개략적인 도면.
도 3a 및 3b는 도 2의 광경로 중첩부에 의해 선택적 투입되는 광분리기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필터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
도 5는 도 1의 내시경 시스템의 촬영 모드 및 각 촬영 모드 수행시 사용되는 광원 및 필터가 기재된 표.
도 6은 백색광과 협대역광을 펄스모드로 이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예가 도시된 도면.
도 7은 LED의 백색광과 RGB 협대역광의 파장 스펙트럼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근적외선광과 백색광을 협대역광과 펄스모드로 이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예가 도시된 도면.
도 9는 광의 파장에 따른 혈관 흡수도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내시경 시스템(100)은 광원부(110), 광집속부(120), 광전달부(130), 필터부(140), 영상 입력부(150), 광경로 중첩부(160), 영상 처리부(170), 영상 출력부(180), 광특성 분석부(190), 및 광출력 제어부(200)를 포함하고 있으며, 광원부(110)는 다시 백색 광원(112) 협대역 광원(114), 및 근적외선 광원(116)을, 필터부(140)는 필터(142), 및 광분리부(144)를, 광경로 중첩부(160)는 광분리기(162)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광원부(110)는 백색 광원(112), 및 백색 광원과 파장 영역이 중첩되는 협대역 광원(114), 및 근적외선 광원(116)을 포함한다.
백색광을 R, G, B 단색광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협대역광을 단일 백색광 광원에 협대역 필터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백색 광원과 협대역(NBI) 광원이 동일해지기 때문에 백생광과 협대역광을 빠른 시간내에 순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백색 광원(112)과 협대역 광원(114)을 별도로 구비하여 백생광과 협대역광에 의한 신속한 순차적 관찰이 가능해진다.
광집속부(120)는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하고, 광전달부(130)는 집속된 광을 피사체로 전달하고, 필터부(140)는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필터링하고, 영상 입력부(150)는 필터부(140)로부터 전달된 광의 영상을 입력한다.
이때, 백색 광원(112)으로부터 발생된 백색광과 협대역 광원(114)으로부터 발생된 협대역광은 서로 중첩되는 광경로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광집속부(120)로 입사된다. 이는, 백색광과 협대역광은 광원 스펙트럼이 가시광선(VIS) 파장에서 중첩되기 때문에 동일 광경로에서 동시에 구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백색 광원과 협대역 광원의 조명광원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고, 서로 선택적으로 피사체로 전달되기 때문에, 백생광 또는 협대역광에 의한 내시경 영상을 근적외선광에 의한 내시경 영상과 실시간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내시경 시스템의 실제 구현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에서 백색 조사 광원(112), 협대역 조사 광원(G, B; 114), 및 근적외선 광원(116)과 동일한 광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백색광과 협대역광이 각각 동일한 광경로에서 선택적으로 광전달부(130)로 전달되는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색 광원(112)과 협대역 광원(114)이 선택적으로 동일한 광경로를 통해 조사되는 경우, 근적외선광과 백색광 또는 협대역광에 의한 동시 관찰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근적외선 광원(116)에서 발생된 근적외선광은 파장 영역이 백색광이나 협대역광과 다르므로, 백색광 또는 협대역광과 동일한 광경로에서 동시에 전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경로 중첩부(160)는 서로 다른 광원으로부터 각각 입사된 광을 파장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함으로써 광의 경로를 중첩시킨다. 이때, 광경로 중첩부(160)는 근적외선광과 복수의 협대역광의 광경로를 중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가지는 광들에 대해서는 광경로를 중첩시킴으로써 광원 시스템의 구성을 더욱 단순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경로 중첩부(160)는 근적외선광은 투과하며 백색광은 반사하는 광분리기(162)를 광경로가 중첩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도 2에서 중첩되는 광경로상에 광분리기(162)를 선택적으로 투입함으로써, 백색광과 협대역광을 선택적으로 광집속부(120)로 입사시키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광분리기A는 모든 파장의 광을 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모든 파장을 투과하는 광분리기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빈 공간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광분리기B는 백색광은 전반사하고 그 외 파장의 광은 모두 투과하는 광분리기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광분리기B가 광경로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백색광과 협대역광이 동시에 광경로상에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협대역 광원(114)은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광분리기(162)를 광경로상에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간단한 구성만으로 백색광과 협대역광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3b는 도 2의 광경로 중첩부에 의해 선택적 투입되는 광분리기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회전형 광분리기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회전형 광분리기의 A영역은 모든 광의 파장을 투과하는 영역으로서 빈 공간으로도 구현할 수 있으며, B 영역은 백색광은 전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하는 영역으로 구현되어 있다.
광경로 중첩부(160)는 백색광 또는 협대역광이 요구되는 경우 회전형 광분리기를 회전시켜 필요한 회전형 광분리기 영역을 광경로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광분리기를 투입시킬 수 있다.
도 3b는 토글형 광분리기의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모든 광의 파장을 투과하는 광분리기A와 백색광은 전반사하고 다른 광 파장은 투과하는 광분리기B를 별도로 구비하고, 내시경 검사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경로상에 투입시키는 방식으로 광경로상에 선택적으로 광분리기(162)를 투입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있어서도 광분리기A는 빈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필터부(140)는 복수의 필터(142)를 포함하며, 광분리부(144)는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여 미리 설정된 필터(142)로 전달한다.
도 4a 및 도 4b는 필터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4a에서 백색광이나 협대역광이 입력되는 카메라1과 근적외선 영상이 입력되는 카메라2 사이에 광분리부가 위치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서는 카메라1으로 입력되는 영상과 카메라2로 입력되는 영상이 광분리부가 없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각각 입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 및 4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하여 백색광 또는 협대역광과 근적외선광(NIR) 영상이 동시에 검출 가능해지며,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설정된 필터를 통과하여 각각의 영상을 적합한 카메라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내시경 시스템의 촬영 모드 및 각 촬영 모드 수행시 사용되는 광원 및 필터가 기재된 표이다. 도 5의 표에서, 백색광(White) 또는 협대역광(NBI)이 독립적 또는 근적외선(NIR)광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각 모드 수행시 사용되는 광원 및 필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표에서와 같이 필터(142)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인 연속 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는, 1. 컬러영상(White ON -> 컬러영역 센서), 2. 컬러 + 근적외선영상(White On + NIR ON -> 컬러영역 센서 + 근적외선 영역 센서), 3. 단색영상(R or G, R+G on -> 컬러 영역센서), 및 4. 단색 + 근적외선영상([R or G, R+G ]+NIR ON -> 컬러 영역 센서 + 근적외선영역 센서)이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시경 장치를 통해 생체의 혈관 등의 정보를 종래보다 더욱 정확하게 동시 또는 개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내시경 검사는 필터(142)가 고정된 상태에서의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방식 이외에 필터(142)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펄스 모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경로 중첩부(160)는 광분리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 투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협대역광의 특정 파장을 펄스 형태로 결합하여 백색광의 색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근적외선 형광정보와 협대역광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하여 생체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구별 및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광분리기(162)의 회전형 또는 토글형을 시간에 따라 제어하며, 관련 광원을 On/OFF 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각 영역의 센서를 통해 획득하고 이를 통해 컬러 재구성 및 병합을 통해 보다 명확한 색표현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펄스 모드의 수행 방식으로는, 1. 컬러영상 (White on(t1), Green on(t2)->컬러영역 센서), 2. 컬러영상 + 근적외선영상(White On(t1), NIR on(t1), Green on(t2) -> 컬러영역 센서 + 근적외선영역 센서), 3. 컬러 영상 + 단색영상 (White on(t1), 단색 On(t2)-> 컬러영역 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6은 백색광과 협대역광을 펄스모드로 이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에서, 백색광과 녹색 및 적색의 협대역광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백생광은 광분리기B, 협대역광은 광분리기A를 통해 광경로상에서 전달되며, 백색광과 협대역광 모두 컬러영역센서를 이용한다. 이후 순차적으로 획득된 영상들은 병합되어 사용되게 된다. 이때, 영상이 획득되는 시간이나 처리 시간은 내시경 시스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LED의 백색광과 RGB 협대역광의 파장 스펙트럼의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에서, 출력에서는 Cold white가 높으나 색온도에서는 Day light White가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시간에 따라 관련 데이터를 각 영역의 센서를 통해 획득하고 이를 통해 컬러 재구성 및 병합을 통해 보다 명확한 색표현 등을 할 수 있으므로, 도 7의 경우, 색온도와 출력을 같이 고려할 수 있는 Cold White와 Green 펄스의 조합을 통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높은 출력값을 갖는 Cold White 적용시 G, R 값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색온도를 높일수 있게 된다.
도 8은 근적외선광과 백색광을 협대역광과 펄스모드로 이용하여 내시경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에서, 근적외선광과 백색광은 동시에 출력되며, 녹색 또는 적색의 협대역광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백생광과 근적외선광은 광분리기B, 협대역광은 광분리기A를 통해 광경로상에서 전달되며, 백색광과 협대역광은 컬러영역 검출센서를 근적외선광은 근적외선 영역 검출 센서를 이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근적외선 형광정보와 협대역광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집하여 혈관 등이 생체 정보를 기존영상보다 명확하게 구별 및 표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백색광과 근적외선 형광을 동시에 검출함에 있어 형광에 의한 퍼짐(블러) 현상으로 인해 잘 보이지 않는 혈관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G, R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 9는 광의 파장에 따른 혈관 흡수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협대역광 R의 경우 흡수도가 낮아 혈관에 대한 정보를 근적외선광(NIR)과 비교 및 병합하여 보다 자세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더욱 정확한 영상 수집을 위해 R 광원 앞에 편광 필터 적용을 통해 내부 반사에 대한 정보만을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컬러 영상 수집부에도 편광 필터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내시경 시스템은 입력부로 입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70), 및 영상 처리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양한 특성의 광을 이용해 각각 획득한 내시경 영상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백색광에 의한 통상적 내시경 영상(백색광 영상)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기능적 데이터를 획득하여 독립적인 영상 또는 영상처리를 통한 복합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이상 병변 부위의 특이적 차이점을 쉽게 관찰할 수 있고 정확한 진단 및 수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광특성 분석부(190)는 피사체로 전달되는 광의 특성을 분석하고, 광출력 제어부(200)는 광특성 분석부(190)에 의해 분석된 광의 특성에 따라 광원부(110)의 광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광출력 제어부(200)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가지는 복수의 협대역 광원의 상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시경 검사 목적이나 개별 광원의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필요로 하는 내시경 영상에 적합한 광출력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내시경 시스템
110: 광원부
112: 백색 광원
114: 협대역 광원
116: 근적외선 광원
120: 광집속부
130: 광전달부
140: 필터부
142: 필터
144: 광분리부
150: 영상 입력부
160: 광경로 중첩부
162: 광분리기
170: 영상 처리부
180: 영상 출력부
190: 광특성 분석부
200: 광출력 제어부

Claims (9)

  1. 백색 광원, 및 상기 백색 광원과 파장 영역이 중복되는 협대역 광원, 및 근적외선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을 집속하는 광집속부;
    상기 집속된 광을 피사체로 전달하는 광전달부;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로부터 전달된 광의 영상을 입력하는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백색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백색광과 상기 협대역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협대역광은 서로 중첩되는 광경로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광집속부로 입사되는 내시경 시스템으로서,
    서로 다른 광원으로부터 각각 입사된 광을 파장에 따라 반사 또는 투과함으로써 광의 경로를 중첩시키는 광경로 중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경로 중첩부는,
    상기 근적외선 광원과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가지는 복수의 상기 협대역 광원의 광경로를 중첩시키고,
    근적외선광은 투과하며 백색광은 반사하는 광분리기를 상기 광경로가 중첩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중첩부는 상기 광분리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피사체로부터 입력된 광을 파장에 따라 분리하여 미리 설정된 필터로 전달하는 광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로 입력된 영상을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로 전달되는 광의 특성을 분석하는 광특성 분석부; 및
    상기 광특성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광의 특성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광출력을 제어하는 광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 제어부는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을 가지는 복수의 협대역 광원의 상대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시스템.

KR1020150168496A 2015-11-30 2015-11-30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KR102372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496A KR102372602B1 (ko) 2015-11-30 2015-11-30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496A KR102372602B1 (ko) 2015-11-30 2015-11-30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30A KR20170062830A (ko) 2017-06-08
KR102372602B1 true KR102372602B1 (ko) 2022-03-08

Family

ID=5922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496A KR102372602B1 (ko) 2015-11-30 2015-11-30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739A1 (ko) * 2017-12-21 2019-06-27 한국전기연구원 다중 영상 내시경 시스템
KR102135105B1 (ko) * 2018-07-26 2020-07-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 내시경용 광학 모듈 및 의료 내시경 시스템
JP2023500754A (ja) * 2019-11-08 2023-01-11 コリア エレクトロテクノロジー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マルチ帯域光学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5598A (ja) * 2009-12-21 2011-06-30 Hoya Corp 内視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0671B2 (ja) 1995-02-23 2004-09-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蛍光観察装置
KR20120114895A (ko) * 2011-04-08 201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시경 장치 및 상기 내시경 장치의 영상 획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5598A (ja) * 2009-12-21 2011-06-30 Hoya Corp 内視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30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1095B2 (en) Methods and means for multispectral imaging
US112069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urrent imaging at visible and infrared wavelengths
CN107072520B (zh) 以可见光波长和红外波长并行成像的内窥镜系统
US9906739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KR101022585B1 (ko) 생체 관측 장치
JP5191090B2 (ja) 内視鏡装置
US9113787B2 (en) Electronic endoscope system
JP6581984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13521900A (ja) 高速マルチスペクトルイメージングの方法および装置と癌検出および局在診断への応用
JP2009039510A (ja) 撮像装置
EP2676596A1 (en) Polarization observation device
KR102372602B1 (ko)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JP5385176B2 (ja) 画像表示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70063046A (ko) 다파장 광원을 이용한 내시경 시스템
US8144411B2 (en) Multimodal optical imaging
JP4225864B2 (ja) 内視鏡装置
CN111568549A (zh) 一种具有实时成像功能的可视化系统
JP2011177532A (ja) 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