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847B1 -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 Google Patents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847B1
KR102371847B1 KR1020190143250A KR20190143250A KR102371847B1 KR 102371847 B1 KR102371847 B1 KR 102371847B1 KR 1020190143250 A KR1020190143250 A KR 1020190143250A KR 20190143250 A KR20190143250 A KR 20190143250A KR 102371847 B1 KR102371847 B1 KR 10237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der
inlet
cultu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6596A (en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19014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847B1/en
Publication of KR2021005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8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지지바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용기를 구비하는 부력부 ;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주입구 마개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개방형 고정공을 갖는 복수개의 개방형 연결관체를 판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연장한 상부 용기홀더 ; 상기 용기의 몸체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용기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복수개의 하부 고정링을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용기홀더 ; 및 상기 지지바에 접해지도록 상기 판체의 양측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는 상부단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탄성튜브를 매개로 상기 지지바와 고정되는 바홀더를 포함한다.
A flotation assembly for aquaculture of seaweeds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tation assembly that provides buoyancy by being connect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bars that support the culture feet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ure feet in which seaweed is cultured, wherein a plurality of buoyancy forces are generated by the gas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Buoyancy unit having a container; an upper container holder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body having a plurality of open connection tubes having an open fixing hole so that the inlet stopper for seal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 lower container holder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ixing rings formed through a container fixing hole into which the body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nd a bar holder having upper ends extending upward from both upper surfaces of the plate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and fixed to the support bar via at least one elastic tube for fixing.

Description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본 발명은 해조류를 양식하는데 사용되는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와 조립되는 구조물을 좌우한쌍의 지지바에 위치고정하는 작업과 더불어 용기 교체작업시 지지바로부터 구조물을 분리분해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부력을 향상시키며 뒤집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tation assembly used for cultivating seaweed, and more particularly, to separate and disassemble the structure from the support bar during the container replacement oper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generating buoyancy and the structure to be assembl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bars It relates to a flotation assembly for algae culture that can perform the operation simply and quickly, improve buoyancy, and facilitate flipping.

일반적으로 해조류는 크게 다시마, 미역, 톳, 실말 등의 갈조류와 김, 우뭇가사리 등의 홍조류, 파래 등의 녹조류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500 여종의 해조류 중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50여 종으로서, 주로 김, 미역, 다시마, 파래, 톳, 마자반, 청각 등의 해조류가 식용으로 소비되고 있다.In general, seaweed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brown algae such as kelp, seaweed, seaweed, and seaweed, red algae such as laver and agaric algae, and green algae such as green algae. As such, seaweeds such as seaweed, seaweed, kelp, green onion, turmeric, mazaban, and chrysanthemum are mainly consumed for food.

이러한 해조류 중 김은 밀물시 해수면 아래로 잠기어 침수되는 반면에 썰물시 해수면 위로 노출되는 조간대 상층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Among these seaweeds, laver is submerged by submerging below the sea level at high tide, whereas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growing well in the upper intertidal zone exposed above the sea level at low tide.

이에 따라, 부류식 김양식을 업으로 하는 어민들은 날마다 바다에 나가 부상체인 부구를 매달아 연결한 김발(해태망)을 뒤집어 김이 해수면 위의 햇볕에 노출되거나 해수면에 침수되도록 김발을 뒤집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해야만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fishermen who are engaged in sidestream laver farming go to the sea every day and turn over the seaweed feet (haitae net) that are connected to the floating chain bugu, so that the seaweed is exposed to the sun or submerged in the sea level. it has to be done

이러한 김발이 해수면 위에서 햇볕에 제대로 노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침수되면 당연히 침수대에서 자라는 잡해조류 및 갯병균이 침수된 김발에 침범하여 김을 폐사시키는 등의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었다.If these gimbals were not properly exposed to the sun on the sea level and were continuously submerged, of course, miscellaneous seaweeds and algae growing in the submerged zone were inevitably damaged by invading the submerged gimbals and killing the laver.

그러므로 김발의 확실한 노출을 위해 김발에 해수면에 부상되는 부구를 안정되게 설치하는 것은 김 양식업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Therefore,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eaweed farming industry to stably install a floating buoy on the sea level in the gimbal for a clear exposure of the seaweed.

일반적으로 김이 양식되는 김발을 해상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서는, 해수면 위에 부상되는 복수의 부구와, 상기 부구들 사이의 간격과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부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바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as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seaweed gimbals in which laver is cultured,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buoys floating above the sea level, and one or more support bars connecting the buoys to maintain the spacing and shape between the buoys.

그러나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구본체가 통상 스티로폼 등으로 구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내구성이 극히 약하여 조그마한 충격 등에도 쉽게 파손되고, 파손시 발생하는 파편 등이 해양을 심하게 오염시킴은 물론 그 사용수명이 극히 짧아 보수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However, the buoyancy body that generates buoyancy is usually made of Styrofoam, etc., but it is very weak in durability and is easily damaged even by a small impact. It was short and the maintenance cost was excessive.

상기 부구와 김발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바를 부구본체에 로프(rope)로 결속해야만 하는데, 작업자가 해상에서 직선재인 지지바를 구체인 부구본체 외부면에 로프로서 결속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t is necessary to bind the support bar connecting the float and the gimbal to the float body with a rop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took too much time.

또한, 작업자가 해상에서 부구와 이에 결속된 지지바와 더불어 김발을 수작업이나 선박으로 뒤집는 작업시 충분한 부력을 갖도록 부피가 큰 부구에 의해서 전체적인 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김발의 반전작업시 작업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weight is increased by the bulky buoy so that the operator has sufficient buoyancy when turning over the gimbal by hand or by a ship together with the buoy and the support bar bound to it at sea, the problem of aggravating the work load during reversing of the gimbal there was.

(특허문헌 1) KR10-1895581 B1 (Patent Document 1) KR10-1895581 B1

특허문헌 1에는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올려져 위치고정되는 제1고정부를 갖추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구를 관통형성한 제2고정부를 갖추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제1본체 ; 상기 제2고정부의 고정구에 상부단 일부가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2고정부의 하부에 고정배치되고,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게시하고 있다. In Patent Document 1, in a floating assembly that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ulture foot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ure foot in which seaweed is cultured to provide buoyancy, the support is raised and the first fixing part is fixed in position; a first body having a second fixing part through which at least one fixing member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support; A part of the upper e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ture of the second fixing part and fixedly disposed under the second fixing part, and posting a floating assembly for seaweed culture including a buoyancy part for generating buoyancy by the gas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are doing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게시된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는 기체가 채워져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와 결합된 제1본체 구조물을 좌우한쌍으로 지지바에 작업자가 와이어로프나 케이블타이와 같은 결속재를 이용하여 결속 고정하거나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의 손상이나 파손시 이를 새로운 용기로 교체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결속재를 해체하여 제1본체 구조물을 지지바로부터 분리분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부하를 가중시키는 한편,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However, in the flotation assembly for seaweed cultu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operator binds the first body structure combined with the container that is filled with gas to generate buoyancy and the left and right pairs to the support bar using a binding material such as a wire rope or cable tie. In order to replace the container with a new container when it is fixed or damaged or damaged, it is very cumbersome to separate and disassemble the first body structure from the support bar by disassembling the binding material, adding to the work load. It acted as a factor to reduce productivity.

또한, 좌우한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바들사아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크기에 맞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의 설치갯수를 늘리거나 줄이도록 용기의 설치갯수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impossible to chang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container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containers that generate buoyanc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formed between the support bars arranged side by side in a pair of left and right.

그리고, 용기의 주입구와 조립되는 제1본체 구조물과 용기의 몸체와 조립되는 제2본체 구조물이 서로 일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1,2본체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구조물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경우 전체 구조물을 새로운 구조물로 교체해야만 하기 때문에 부상 조립체의 관리유지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And, as the first body structure assembled with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the second body structure assembled with the body of the container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structures is damaged or damaged, the entire structure Since it has to be replaced with a new structure,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floating assembly.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와 조립되는 구조물을 좌우한쌍의 지지바에 위치고정하는 작업과 더불어 용기교체작업시 지지바로부터 구조물을 분리분해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separate the structure from the support bar during the container replacement oper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generating buoyancy and the structure assembled to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bar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assembly for algae culture that can easily and quickly perform dis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우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바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크기에 맞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의 설치갯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seaweeds that can easily and quickly increase or decrease the installed number of containers that generate buoyanc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bar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지지바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용기를 구비하는 부력부 ;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주입구 마개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개방형 고정공을 갖는 복수개의 개방형 연결관체를 판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연장한 상부 용기홀더 ; 상기 용기의 몸체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용기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복수개의 하부 고정링을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용기홀더 ; 및 상기 지지바에 접해지도록 상기 판체의 양측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는 상부단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탄성튜브를 매개로 상기 지지바와 고정되는 바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제공한다.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bars that support the culture feet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ure feet in which seaweed is cultured to provide buoyancy. In the buoyancy unit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for generating buoyancy by the gas filled in the inner space; an upper container holder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body having a plurality of open connection tubes having an open fixing hole so that the inlet stopper for seal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 lower container holder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ixing rings formed through a container fixing hole into which the body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nd a bar holder having an upper end extending upward from both upper surfaces of the plate body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to the support bar via at least one elastic tube for fixing. do.

이때, 상기 개방형 고정공의 내부면에는 상기 주입구 마개의 외부면이 밀착되어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네크링이 걸리어 걸림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턱을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fixing ho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stopper to generate a close-fitting force, or a necklac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is hooked to generate a locking force. A chin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지지바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용기를 구비하는 부력부 ; 상기 용기의 주입구가 대응결합되어 밀폐되면서 위치고정되거나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주입구 마개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상부면이 밀폐된 블라인드형 고정공을 갖는 복수개의 블라인드형 연결관체를 판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연장한 상부 용기홀더 ; 상기 용기의 몸체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용기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복수개의 하부 고정링을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용기홀더 ; 및 상기 지지바에 접해지도록 상기 판체의 양측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는 상부단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탄성튜브를 매개로 상기 지지바와 고정되는 바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tation assembly that provides buoyancy by being connect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bars that support the culture feet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ure feet in which seaweed is cultured, the gas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A buoyancy unit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for generating buoyancy by; A plurality of blind-type connecting tube bodies having a blind-type fixing hole whose upper surface is closed so th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coupled and closed and fixed, or the inlet stopper that closes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correspondingly to the lower part of the plate body an upper container hold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ide; a lower container holder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ixing rings formed through a container fixing hole into which the body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nd an upper end extending upward from both upper surfaces of the plate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a floating assembly for seaweed culture comprising a bar holder fixed to the support bar via at least one elastic tube for fixing can do.

이때, 상기 블라인드형 고정공은 상기 주입구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내주면에 형성하는 원형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주입구 마개의 외주면이 내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원형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lind-type fixing hole is provided as a circular hole form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male screw portion screw-coupled to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stopper sealing the inlet is provided as a circular ball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an be

이때, 상기 바홀더는 상기 판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상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바의 외부면과 상부면이 접해지고, 상기 지지바에 삽입배치된 고정용 탄성튜브가 탄력적으로 밀착고정되는 반원단면상의 제2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ar holder includes a first holde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lder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re in contact, and the support It may include a second holder on a semicircular cross-section in which the elastic tube for fixing inserted and disposed on the bar is elastically fixed in close contact.

이때, 상기 바홀더는 상기 제1홀더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수직한 보강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ar holder may include at least one vertical reinforcing rib on one side of the first holder.

이때, 상기 바홀더는 상기 제2홀더에 절개형성되는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ar holder may include a slit that is cut in the second holder.

이때,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바와 대응하는 한쌍의 상부 용기홀더사이에서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쌍의 용기의 각 주입구와 대응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상부 용기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상부 용기홀더는 상기 용기의 주입구가 대응삽입되는 보조 마개고정공을 갖는 보조 상부 고정링들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auxiliary upper container holder corresponding to each inlet of at least one pair of containers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a pair of support bars and a pair of corresponding upper container holders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auxiliary upper container holder. may include a connecting rib integrally connecting between the auxiliary upper fixing rings having auxiliary stopper fixing holes into which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correspondingl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부와 조립되는 상부 용기홀더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바에 열수축형 고정용 탄성튜브를 갖는 바홀더를 구비함으로써 가열후 경화시 수축되는 열수축형 고정용 탄성튜브에 의해서 부상 조립체를 지지바에 설치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By providing a bar holder having a heat-shrinkable fixing elastic tube on a pair of supporting bars that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buoyancy generating unit and the upper container holder to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the heat-shrinkable fixing elastic tube that is contracted during curing after heating is levitated By installing and fixing the assembly on the support bar simply and quickly, work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바와 연결되는 부상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고, 전체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라 양식밭을 반복적으로 180도 반전시켜 양식발을 해수면상으로 노출시키거나 해수면 아래로 침수하는 작업을 작업자의 작업부담없이 간편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작업기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Becaus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loating assembly connected to a pair of support bars supporting the culture feet in which seaweed is cultured is simple and the overall weight is light, the culture field is repeatedly inverted 180 degre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des to raise the culture feet to the sea level. It is possible to increase work productivity and prevent workers from avoiding work by simply performing the work of exposing or submerging below the sea level without the burden of work on the worker.

주입구와 조립되는 상부 용기홀더와 용기의 몸체를 고정하는 하부 용기홀더가 서로 각각 서로 독립적인 구조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기를 고정하는 홀더의 파손시 부분적인 부품교체에 의해서 설비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Since the upper container holder to be assembled with the inlet and the lower container holder for fixing the body of the container are each independent of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acility maintenance cost by partial replacement of parts when the holder for fixing the container is broken.

서로 나란하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바사이에 형성되는 간격크기에 맞추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의 설치갯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해조류 양식 조건에 맞추어 부력부의 설치조건을 다양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Since the number of containers that generate buoyancy can be easily and quick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ap formed between a pair of support bars arranged side by side, the installation conditions of the buoyancy part can be variously satisfied according to the seaweed culture conditions. can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분해 사시도이며,
b)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에 적용되는 상부 용기홀더와 바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상부 용기홀더와 바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a)는 양식발이 해수면에 노출된 상태이다.
(b)는 반전되어 양식발이 해수면 아래에 침수된 상태이다.
1 is a view of a floating assembly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2 is a view of a floating assembly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upper container holder and a bar holder applied to a floating assembly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types of upper container holder and bar holder applied to a floating assembly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ating assembly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ating assembly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floating assembly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culture feet are exposed to the sea level.
(b) is inverted and the culture feet are submerged below the sea lev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al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100)는 도 1a, 도 1b 및 도 2a,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지지바(1,2)와 각각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도록 부력부(110), 상부 용기홀더(120), 하부 용기홀더(130) 및 바홀더(140)를 포함한다. The floating assembly 100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It includes a buoyancy unit 110 , an upper container holder 120 , a lower container holder 130 and a bar holder 14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bars 1 and 2 respectively to provide buoyancy.

상기 부력부(110)는 도 1a, 도 1b 및 도 2a,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용기(111)를 포함하는바, 이러한 부력부(110)의 용기(111)는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좌우한쌍의 지지바(1,2)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따라 설정되는 갯수에 맞추어 상,하부 용기홀더(120,130)에 매트릭스상으로 정렬배치되어 수직하게 고정된다. The buoyancy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iners 111 for generating buoyancy by the gas filled in the inner space, as shown in FIGS. 1A, 1B and 2A and 2B, such buoyancy units The containers 111 of 110 are arranged in a matrix on the upper and lower container holders 120 and 130 according to the number set according to the spacing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bars 1 and 2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placed and fixed vertically.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부력부(110)는 상기 상부 용기홀더(120)와 결합되는 바홀더(140)를 매개로 하여 좌우한쌍의 지지바(1,2)사이에 배치되어 고정설치된다. In this state, the buoyancy unit 110 is arranged and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bars 1 and 2 via the bar holder 140 coupled to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

상기 용기(111)는 상부단에 기체가 주입되는 주입구(112)를 갖추고, 상기 주입구(112)를 밀봉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주입구 마개(113)를 포함한다. The container 111 has an inlet 112 through which gas is inject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n inlet stopper 113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screwed with a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port to seal the inlet 112 . ) is included.

상기 용기(111)의 주입구(112)는 나사결합되는 주입구 마개(113)에 의해서 용기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기체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밀폐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주입구의 내부로 압입되거나 일방향 체크밸브를 갖추어 압입되는 원통형 압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let 112 of the container 111 is shown and described as sealed to prevent the outflow of the gas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by the screw-coupled inlet stopper 1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made of a cylindrical press-fit member press-fitted into a furnace or equipped with a one-way check valve to be press-fitted.

이러한 용기(111)는 기체가 주입되는 입구인 주입구의 외경이 작고, 기체가 주입되어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나머지 원통형 몸체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형태를 갖는 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container 111 may selectively use a container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of an inlet, which is an inlet through which gas is injected, and a relatively large outer diameter of the remaining cylindrical body forming an inner space filled with gas.

여기서, 기체가 채워져 부력을 발생시키는 용기(111)는 1회용으로 버려지는 플라스틱 용기인 PET병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ainer 111 filled with gas to generate buoyancy may be used as it is, without separately processing the PET bottle, which is a plastic container that is discarded for one time.

상기 상부 용기홀더(120)는 도 1a, 도 1b 및 도 3a,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11)의 주입구(112)와 결합되어 밀폐하는 주입구 마개(113)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개방형 고정공(122)을 관통형성하는 복수개의 개방형 연결관체(121)를 하부면에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돌출형성하는 판체(12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A, 1B, and 3A, 3B,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is coupled to the inlet 112 of the container 111 to seal the inlet stopper 113. The corresponding inserted position A plurality of open connection pipe bodies 121 penetrating through the open fixing holes 122 so as to be fixed, and a plate body 12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lower side.

상기 판체(123)는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봉처리하는 주입구 마개(113)의 대응 삽입되어 용기의 밀봉부인 상부가 위치고정되는 개방형 고정공(122)을 갖는 복수개의 개방형 연결관체(121)를 각 모서리부에 구비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late body 123 is a plurality of open connection tube body 121 having an open fixing hole 122 in which the upper part, which is the sealing part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inlet stopper 113 for seal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It may be made of a substantially square plate-shaped plate provided in the corner portion.

상기 개방형 연결관체(121)는 상기 주입구 마개의 형성높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상기 판체(123)의 하부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판체의 중앙부에는 개구부(123a)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 connection pipe body 121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23 to the directly lower portion so as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inlet stopper, and an opening 123a in the center of the plate body. It is preferable to penetrate.

그리고, 상기 개방형 고정공(122)의 내부면에는 상기 주입구 마개(113)의 외부면이 밀착되어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주입구(112)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원형 링형상의 네크링(112a)이 걸리어 걸림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턱(122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stopper 1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fixing hole 122 to generate a close fixing force or a circular ring-shaped neck ring 112a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let 112 . ) an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122a)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to generate a locking force.

이에 따라, 상기 부력부(110)를 구성하는 각 용기는 상기 개방형 고정공(122)의 내부로 진입되는 주입구 마개(113)와 돌출턱(122a)간의 밀착고정력이나 상기 개방형 고정공(122)의 내부로 주입구 마개와 더불어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진입되는 네크링(112a)이 상기 돌출턱을 타고 넘어가 걸리는 걸림고정력에 의해서 상부 용기홀더(120)의 개방형 고정공으로부터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확고히 위치고정된다. Accordingly, each container constituting the buoyancy unit 110 has a tight fixation force between the inlet stopper 113 and the protruding jaw 122a entering the inside of the open fixed hole 122 or the open fixed hole 122. The neck ring (112a), which enter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ogether with the inlet stopper into the inside, is firmly position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escape from the open fixed hole of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by the clamping force applied over the protruding jaw. .

이때, 상기 개방형 고정공(122)은 도 3a 와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단과 하부단이 각각 개방된 관통형 고정공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a 와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123)의 상부면에 해당하는 상부단이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블라인드형 고정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open fixing hole 122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provided as a through-type fixing hole having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respectively ope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FIGS. 4A and 4A and FIG. As shown in 4b, the upper e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23 is closed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lind-type fixing hole with an open lower portion.

즉, 상기 상부 용기홀더(120)는 도 4a 와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11)의 주입구(112)가 대응결합되어 밀폐되면서 위치고정되도록 상부면이 밀폐된 블라인드형 고정공(125a)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블라인드형 연결관체(125)를 하부면에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돌출형성하는 판체(123)를 포함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has a blind-type fixing hole whose upper surface is closed so that the injection port 112 of the container 111 is matched and sealed and fixed in position ( It includes a plate body 123 which protrudes by extending a plurality of blind-type connecting pipe bodies 125 to form a plurality of blind-type connecting pipe bodies 125 directly below the low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125a).

이러한 블라인드형 고정공(125a)은 상기 주입구(112)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내주면에 형성하는 원형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주입구(112)를 밀봉하는 주입구 마개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밀착고정되는 원형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blind-type fixing hole 125a is provided as a circular hole form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male screw portion screwed with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112,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a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inlet stopper for sealing the inlet 112. It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r ball that is tightly fixed.

이때, 상기 주입구 마개(113)의 하부측 주입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원형 링형상의 네크링(112a)은 상기 블라인드형 고정공(125a)을 형성하는 블라인드형 연결관체의 하부단에 밀착되면서 상기 블라인드형 고정공의 하부단을 밀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ircular ring-shaped neck ring 112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injection hole of the inlet stopper 1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blind-type connector body forming the blind-type fixing hole 125a. It is preferable to seal the lower end of the blind-type fixing hole.

그리고, 상기 용기의 주입구(112)가 나사결합되어 밀폐되면서 위치고정되는 블라인드형 고정공을 형성하는 블라인드형 연결관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여 채울 수 있도록 체크밸브와 같은 일방향 기체주입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lind-type connector body forming a blind-type fixing hole in which the inlet 112 of the container is screwed and closed and fixed in position is filled with air through the inlet of the container, such as a check valve. It may be provided with a one-way gas injection means.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용기홀더(120)에는 2행 2열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용기의 각 상단을 상기 복수개의 개방형 연결관체의 각 개방형 고정공(122)마다 주입구 마개(113)를 대응삽입하여 위치고정하거나 상기 복수개의 블라인드형 연결관체(125)의 각 블라인드형 고정공(125a)마다 주입구를 대응결합하여 위치고정하거나 상기 각 블라인드형 고정공마다 주입구 마개(113)를 대응삽입하여 위치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each upper end of a plurality of containers arranged in two rows and two columns is fixed by inserting an injection port stopper 113 for each open fixing hole 122 of the plurality of open connection tube bodies. Or the plurality of blind-type connector body 125, each blind-type fixing hole (125a) by coupling the injection hole correspondingly to fix the position, or by inserting the injection hole stopper 113 for each blind-type fixing hole correspondingly, the position can be fixed .

여기서, 상기 상부 용기홀더(120)는 4개의 용기를 동시에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4개의 개방형 연결관체 또는 블라인드형 연결관체를 판체의 하부면에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방형 연결관체 또는 블라인드형 연결관체의 형성갯수를 2×3, 2×4 등으로 증대시켜 상대적으로 많은 갯수의 용기를 위치고정할 수 있다. Here,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having four open connection tubes or blind connection tube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body so that the four containers can be fixed at the same tim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containers can be fixed in positio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open connector body or blind connector body to 2×3, 2×4, or the like.

또한, 상기 상부 용기홀더(120)는 도 1a 와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용기(111)로 이루어지는 독립적인 부력부(110)를 각각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인 한쌍의 판체(123)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도 2a 와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용기(111)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부력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하나의 일체형 판체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A and 1B ,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is a pair of independent plate bodies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as to connect and fix the independent buoyancy parts 110 made of a plurality of containers 111 , respectively. (123) structure or as shown in FIGS. 2A and 2B, it may be formed of one integrated plate body structure to connect and fix one buoyancy part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tainers 111.

상기 하부 용기홀더(130)는 도 1a 와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11)의 원통형 몸체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대략 원형으로 관통형성되는 용기 고정공(131)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하부 고정링(132)을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1A and 1B , the lower container holder 130 has a plurality of container fixing holes 131 that are formed through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so that the cylindrical body of the container 111 is inserted and fixed correspondingly. The lower fixing rings 132 are integrally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이러한 하부 용기홀더(130)는 상기 지지바(1,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한 한쌍의 용기(111)를 동시에 용기 고정공(131)에 대응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서로 대응하는 일단이 중첩되는 좌우한쌍의 홀더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container holder 130 is a pair of left and right overlapping en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simultaneously insert and fix a pair of containers 111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s 1 and 2 in the container fixing hole 131 . It may be provided as a holder member of the.

여기서, 상기 하부 용기홀더(130)는 서로 마주하는 일단에 형성되는 하부 고정링이 서로 중첩배치되도록 좌우한쌍으로 구비됨으로써 배열되는 복수개의 용기 중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한쌍의 용기(111)를 서로 중첩되는 한쌍의 하부 고정링(132)에 의해서 동시에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나란한 한쌍의 지지바 사이에 배치되는 부력부의 용기 갯수에 맞추어 복수개의 하부 고정링(132)을 갖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lower container holder 130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o that the lower fixing rings formed at one end facing each othe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air of containers 111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fixed at the same time by a pair of lower fixing rings 13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 plurality of lower fixing rings 132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ainers of the buoyancy part disposed between a pair of support bars side by side. It may consist of a single member.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용기홀더(120)의 각 개방형 고정공(122) 또는 각 블라인드형 고정공(125a)에는 상기 용기의 상부단인 주입구 마개 또는 주입구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용기홀더(130)의 각 하부 고정링에는 상기 용기의 원통형 몸체 대응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부력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n each open fixed hole 122 or each blind-type fixed hole 125a of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the inlet stopper or inlet,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correspondingly to fix the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container holder Each lower fixing ring of 130 is inserted and fixed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body of the container, so that a plurality of containers constituting the buoyancy part can be stably fixed in position.

상기 바홀더(140)는 도 1a, 도 1b 및 도 2a,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1,2)에 접해지도록 상기 판체(123)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향연장되는 상부단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탄성튜브(143)를 매개로 하여 상기 지지바(1,2)와 고정되는 고정연결부재이다.As shown in FIGS. 1A, 1B and 2A and 2B, the bar holder 140 has an upper portion exten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2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s 1 and 2 . The end is a fixed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support bars 1 and 2 through at least one elastic tube 143 for fixing.

상기 바홀더(140)는 상기 좌우한쌍의 지지바(1,2)와 각각 대응하는 상부 용기홀더(120)의 외측테두리에 하나의 지지바에 대하여 동시에 접해지는 한쌍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r holder 140 may be formed of a pair of structures in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 bars 1 and 2 and one support ba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이러한 바홀더(140)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판체(123)의 상부면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제1홀더(14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홀더(141)의 상부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바(1,2)의 각 외부면과 상부면이 접해지고, 상기 지지바에 삽입배치된 고정용 탄성튜브(143)가 하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대략 반원단면상의 제2홀더(1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r holder 140 includes a first holder 141 extending approximately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23 formed as a separate type or integr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lder 141 . It is bent at an approximately right angle so that each out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s 1 and 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elastic tube 143 for fixing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support bar is made of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section in which the elastic tube 143 for fixing is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It may include two holders 142 .

여기서, 상기 한쌍의 지지바(1,2)중 하나의 지지바와 동시에 접해지는 한쌍의 제2홀더(142)는 서로 인접하는 한쌍의 제1홀더(141)의 상단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pair of second holders 142 that come into contact with one of the support bars 1 and 2 of the pair of support bars 1 and 2 are at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irst holders 141 adjacent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extend it.

이때, 상기 제2홀더(142)는 상기 지지바에 선삽입되어 배치된 탄성튜브의 내측면과 상기 지지바의 외부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용 탄성튜브(143)의 탄성력에 의해서 밀착고정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cond holder 142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elastic tube which is pre-inserted into the support ba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nd is tightly fix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tube 143 for fixing. will become

상기 판체(123)의 상부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제1홀더(141)의 하부단은 상기 판체와의 결합력을 높이면서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부단의 폭보다 넓은 크기로 구비되어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lder 141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123 is provided with a size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so as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rength while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plate body.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a shape with a wider width.

그리고, 상기 제1홀더(141)의 일측면에는 자체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직한 보강리브(14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t least one vertical reinforcing rib 144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lder 141 to prevent self-deformation or damage.

상기 제2홀더(142)에는 상기 지지바에 삽입된 고정용 탄성튜브(143)와의 결합전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할 수 있면서 외경이 큰 지지바와의 밀착시 변형되어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42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holder 142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able to drain the remaining water before coupling with the elastic tube 143 for fixing inserted into the support bar and to be deformed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having a large outer diameter to improve adhes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slit 142a that is cut and formed.

또한, 상기 지지바(1,2)가 올려져 배치되는 제2홀더(142)와 상기 지지바(1,2)는 탄성력을 갖는 고정용 탄성튜브(143)에 의해서 서로 결속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용 탄성튜브(143)는 가열 후 경화되면서 수축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가열후 수축시 바홀더와 지지바가 서로 접해지는 부분을 긴밀히 밀착시키면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열수축 튜브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바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크기를 갖는 고무소재의 튜브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lder 142 on which the support bars 1 and 2 are mounted and the support bars 1 and 2 are bound to each other by an elastic tube 143 for fixing having an elastic force. The elastic tube 143 for use has a property of being contracted while being cured after heating, and may be provided as a heat-shrinkable tube that generates a fixing force while closely adhering the portion where the bar holder and the support ba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shrinking after heating, but is limited thereto No, it may be provided as a tube tube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smaller inn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ar.

이러한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수단으로서는 열풍기, 라이터, 토치 등과 같은 별도의 가열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a means for heating the heat-shrinkable tube, a separate heating means such as a hot air fan, a lighter, a torch, etc. can be selectively used.

이때, 상기 지지바와 제2홀더를 일체로 구속시켜 고정하는 고정용 탄성튜브(143)는 열수축 튜브나 고무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프와이어와 같은 결속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xing elastic tube 143 for integrally restraining and fixing the support bar and the second holder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made of a heat-shrinkable tube or a rubber tu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sed instead of a binding material such as a rope wire can

이에 따라, 상기 부력부(110)의 용기(111)는 상기 상,하부 용기홀더(120,130)의 개방형, 블라인드형 연결관체와 하부 고정링에 각각 주입구 마개(113)와 용기몸체가 대응삽입되어 정렬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좌우한쌍의 지지바(1,2)와 대응하는 바홀더(140)의 제2홀더(142)에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감겨지는 고정용 탄성튜브(143)의 고정력에 의해서 상기 좌우한쌍의 지지바사이에 위치고정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container 111 of the buoyancy unit 110 is aligned with the inlet stopper 113 and the container body correspondingly inserted into the open, blind-type connection tube body and the lower fixing ring of the upper and lower container holders 120 and 130, respectively. The pair of left and right by the fixing force of the fixing elastic tube 143 wound to elastically contact the second holder 142 of the bar holder 140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bars 1 and 2 at the same time as being disposed. The position is fixed between the support bars of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100a)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바(1,2)와 대응하는 한쌍의 상부 용기홀더(120)사이에서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쌍의 용기(111)의 주입구와 대응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상부 용기홀더(15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상부 용기홀더(150)는 상기 용기의 주입구가 대응삽입되는 보조 마개고정공(152)을 갖는 보조 상부 고정링들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리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assembly 100a for seaweed cul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It includes at least one auxiliary upper container holder 150 corresponding to the inlet of at least a pair of containers 111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container holders 120, and the auxiliary upper container holder 150 is the inlet of the container. may include a connection rib 153 integrally connecting between the auxiliary upper fixing rings having the auxiliary stopper fixing hole 152 into which the corresponding insertion is performed.

상기 보조 상부 고정링(151)에 주입구가 대응삽입되는 용기(111)의 용기몸체는 서로 마주하는 일측단이 서로 중첩되는 좌우한쌍의 하부 용기홀더(130)의 하부 고정링(132)에 대응삽입되어 정렬배치되어 조립된다.The container body of the container 111 into which the inlet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upper fixing ring 151 is inserted correspondingly to the lower fixing ring 132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lower container holders 130 with opposite ends overlapping each other are arranged and assembled.

이에 따라, 상기 부력부(110)는 좌우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용기홀더(120)에 정렬배치되는 용기와 더불어 보조 상부 용기홀더에 의해서 용기(111)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정렬함으로써, 서로 나란한 한쌍의 지지바사이의 간격변화에 맞추어 부력부에 구비되는 용기의 설치갯수를 늘리거나 원상태로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buoyancy unit 110 additionally arranges and aligns the container 111 by the auxiliary upper container holder together with the container arranged on the upper container holder 120 made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o that a pair of support bar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containers provided in the buoyancy unit or reduce them to their original st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interval between them.

도 7a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에 의해서 서로 나란한 한쌍의 지지바를 매개로 연결된 양식발이 해수면 상에서 햇볕에 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 는 상기 양식발이 180도 반전되어 부상 조립체가 상부로 향하여 노출되는 반면에 양식발은 해수면에 잠기어 침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7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lture feet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air of support bar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y the floating assembly for culturing seaw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osed to the sun on the sea level, and FIG. 7b is that the culture feet are inverted 180 degrees While the floating assembly is exposed upward, the culture feet are submerged in the sea level and show a submerged state.

이때, 상기 양식발(10)을 조수간만에 맞추어 반복적으로 반전하는 작업시 상기 부상 조립체의 전체적인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풀림시 이를 보수하는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부담을 줄일 수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ulture foot 10 is repeatedly inverted according to the tide, the overall weight of the floating assembly is light, so the work load of the operator can be reduced, and the work of repairing it when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ulture foot is loosened This is simple, and the work load of the operator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양식발(10)에 양식되는 김과 같은 해조류를 수거하여 채취하는 작업은 도 7b와 같이 해수면에 침수되도록 양식발이 반전된 상태에서 상기 양식발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선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collecting and collecting seaweed such as laver cultured in the culture foot 10 may be performed in a vessel moving along the culture foot in a state in which the culture foot is inverted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sea level as shown in FIG. 7B .

이때, 상기 부상 조립체의 부력발생원인 부력부의 용기의 주입구를 고정하는 상부 용기홀더가 상기 양식발을 지지하는 지지바를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양식발을 따라 선박이 이동하면서 김과 같은 양식물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의 주입구와의 간섭 및 이에 따른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양식물 채취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ontainer holder for fix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of the buoyancy unit, which is the source of buoyancy of the buoyancy assembly, is located at a relatively high plac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ar supporting the culture foot, so that the vessel moves along the culture foot, such as stea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with the inlet of the container and the resulting impact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aquaculture, so that the aquaculture coll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stab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2 : 지지바
10 : 양식발
110 : 부력부
111 : 용기
112 : 주입구
113 : 주입구 마개
120 : 상부 용기홀더
121 : 개방형 연결관체
122 : 개방형 고정공
123 : 판체
125 : 블라인드형 연결관체
125a : 블라인드형 고정공
130 : 하부 용기홀더
131 : 용기 고정공
132 : 하부 고정링
130 : 바홀더
141 : 제1홀더
142 : 제2홀더
143 : 고정용 탄성튜브
150 : 보조 상부 용기홀더
1,2: support bar
10: Western foot
110: buoyancy part
111: courage
112: inlet
113: inlet stopper
120: upper container holder
121: open connector body
122: open fixed hole
123: plate body
125: blind type connector body
125a: blind type fixing hole
130: lower container holder
131: container fixing hole
132: lower fixing ring
130: bar holder
141: first holder
142: second holder
143: elastic tube for fixing
150: auxiliary upper container holder

Claims (8)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지지바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용기를 구비하는 부력부 ;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주입구 마개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개방형 고정공을 갖는 복수개의 개방형 연결관체를 판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연장한 상부 용기홀더 ;
상기 용기의 몸체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용기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복수개의 하부 고정링을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용기홀더 ; 및
상기 지지바에 접해지도록 상기 판체의 양측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는 상부단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탄성튜브를 매개로 상기 지지바와 고정되는 바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In the flotation assembly providing buoyancy by being connect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bars that support the culture feet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ure feet in which seaweed is cultured,
A buoyancy unit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for generating buoyancy by the gas filled in the inner space;
an upper container holder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body having a plurality of open connection tubes having an open fixing hole so that the inlet stopper for sealing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 lower container holder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ixing rings formed through a container fixing hole into which the body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upper end extending upward from both upper surfaces of the plate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comprises a bar holder fixed to the support bar via at least one elastic tube for fix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고정공의 내부면에는 상기 주입구 마개의 외부면이 밀착되어 밀착고정력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주입구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네크링이 걸리어 걸림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fixing hole,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stopper is in close contact to generate a close-fitting force, or a neckring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is hooked to generate a locking force. A plurality of protruding jaws are formed Floating assembly for seaweed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해조류가 양식되는 양식발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양식발을 지지하는 좌우한쌍의 지지바와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상 조립체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기체에 의해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용기를 구비하는 부력부 ;
상기 용기의 주입구가 대응결합되어 밀폐되면서 위치고정되거나 상기 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주입구 마개가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도록 상부면이 밀폐된 블라인드형 고정공을 갖는 복수개의 블라인드형 연결관체를 판체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연장한 상부 용기홀더 ;
상기 용기의 몸체가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는 용기 고정공을 관통형성한 복수개의 하부 고정링을 서로 인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는 하부 용기홀더 ; 및
상기 지지바에 접해지도록 상기 판체의 양측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연장되는 상부단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탄성튜브를 매개로 상기 지지바와 고정되는 바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In the flotation assembly providing buoyancy by being connecte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bars that support the culture feet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lture feet in which seaweed is cultured,
A buoyancy unit hav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for generating buoyancy by the gas filled i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blind-type connecting tube bodies having a blind-type fixing hole whose upper surface is closed so that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coupled and closed and fixed, or the inlet stopper that closes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correspondingly to the lower part of the plate body an upper container hold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ide;
a lower container holder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wer fixing rings formed through a container fixing hole into which the body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upper end extending upward from both upper surfaces of the plate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comprises a bar holder fixed to the support bar via at least one elastic tube for fix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형 고정공은 상기 주입구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내주면에 형성하는 원형공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는 주입구 마개의 외주면이 내주면에 밀착고정되는 원형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lind-type fixing hole is provided as a circular ball form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male screw portion screwed with the mal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stopper sealing the inlet is provided as a circular ball that is closely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lotation assembly for seaweed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바홀더는 상기 판체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제1홀더와, 상기 제1홀더의 상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바의 외부면과 상부면이 접해지고, 상기 지지바에 삽입배치된 고정용 탄성튜브가 탄력적으로 밀착고정되는 반원단면상의 제2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ar holder includes a first holder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body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lder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re in contact,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bar Floating assembly for seaweed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lder on a semicircular cross-section to which the disposed elastic tube for fixing is elastically fix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홀더는 상기 제1홀더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수직한 보강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r holder is a floating assembly for algae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t least one vertical reinforcing rib on one side of the first hold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홀더는 상기 제2홀더에 절개형성되는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r holder is a floating assembly for algae cul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lit that is cut in the second hold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바와 대응하는 한쌍의 상부 용기홀더사이에서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쌍의 용기의 각 주입구와 대응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상부 용기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상부 용기홀더는 상기 용기의 주입구가 대응삽입되는 보조 마개고정공을 갖는 보조 상부 고정링들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omprising at least one auxiliary upper container holder correspondingly coupled to each inlet of at least a pair of containers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a pair of support bars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corresponding upper container holders,
The auxiliary upper container holder comprises a connecting rib integrally connecting between the auxiliary upper fixing rings having auxiliary stopper fixing holes into which the inlet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KR1020190143250A 2019-11-11 2019-11-11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KR1023718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50A KR102371847B1 (en) 2019-11-11 2019-11-11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50A KR102371847B1 (en) 2019-11-11 2019-11-11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96A KR20210056596A (en) 2021-05-20
KR102371847B1 true KR102371847B1 (en) 2022-03-08

Family

ID=7614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250A KR102371847B1 (en) 2019-11-11 2019-11-11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84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47Y1 (en) 2009-01-23 2011-08-04 김부일 Hydrochloric acid free aquaculture equipment
KR101361280B1 (en) 2012-12-07 2014-02-13 강흥묵 A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35B1 (en) * 2012-07-27 2014-08-21 박기태 A buoy for cultivating place
KR20150061764A (en) * 2013-11-28 2015-06-05 박영현 ploat device for planting of laver
KR101895581B1 (en) * 2016-09-05 2018-10-18 강흥묵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847Y1 (en) 2009-01-23 2011-08-04 김부일 Hydrochloric acid free aquaculture equipment
KR101361280B1 (en) 2012-12-07 2014-02-13 강흥묵 A floating assembly using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96A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057B2 (en) Containment pens for finfish aquaculture
US10463026B2 (en) Modular buoyancy system and flotation element for net cage
NO334669B1 (en) Flow element and method for forming a buoyancy system
CA3028688C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quaculture
AU2016100822A4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underwater pipe
US20160183501A1 (en) Aquaculture containment pen
JPH049492B2 (en)
KR102371847B1 (en)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KR101895581B1 (en) a Floating Assembly for Cultivating a Seaweed
JP2022542995A (en) Ocean aquaculture fish pen
KR20180003896A (en) Improved buoy for an aquaculture farm
KR20150046416A (en) Improved Floa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2022002544A (en) System and method for fish culture
GB2507077A (en) Aquaculture Raft Adapted to Receive a Y-Junction
CN105782189B (en) A kind of water floating body pipe fitting connector
KR20190029048A (en) Float for laver farming
KR101337248B1 (en) A oyster farm
CN208739905U (en) A kind of large-scale full submersible can assemble fishing ground
CN205478725U (en) Body pipe fitting connector on water
CN206328218U (en) It is biological floating bed
AU2012203347A1 (en) Submersible Raft for Growing and Drying Oysters
KR20170070674A (en) Floating Device for Water Level Maintain
CN107494365B (en) Cultured fish transfer channel for communicating circular floating type net cages
CN107494367B (en) Net cage system with expandable side net
CN108849668A (en) A kind of large-scale full submersible can assemble fishing 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