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826B1 -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826B1
KR102371826B1 KR1020200158827A KR20200158827A KR102371826B1 KR 102371826 B1 KR102371826 B1 KR 102371826B1 KR 1020200158827 A KR1020200158827 A KR 1020200158827A KR 20200158827 A KR20200158827 A KR 20200158827A KR 102371826 B1 KR102371826 B1 KR 102371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film
pvdf film
measurement sensor
ballist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민
유의상
이현경
김사엽
임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2Ballistocard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사각형의 벨트 형태로 재단된 PVDF 필름, 상기 PVDF 필름의 어느 한쪽 끝단의 위아래에서 신호의 연결을 위해 부착되는 전극단자, 상기 PVDF 필름 보다 일정 크기 이상으로 재단되어, PVDF 필름의 상부와 하부에서 접착하여 밀봉하는 탄성체의 실리콘으로 제작된 실리콘 피복 및 상기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연결선에 의하여 PVDF 필름에서 생성된 압전 신호가 전달되어 전압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는 전압측정기로 이루어져 심탄도 신호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면서 센서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BALLISTOCARDIOGRAM MEASUREMENT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탄도 신호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면서 센서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관리를 위한 자가 진단의 욕구도 높아지면서,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기기들이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제품들에 용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인간의 사망원인 중 수위를 차지하고 있는 심장관련 질환에 대비하기 위하여 일상생활 중 지속적인 건강모니터링을 통해 건강의 이상증상을 사전예측 및 조기진단을 위한 필요성 및 관련 제품들이 부각되고 있다.
심탄도(Ballistocardiogram, BCG)란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심장과 혈관에서의 혈류변화에 따른 진동(탄도)을 계측한 신호 또는 파형을 의미하며, 심전도와 유사하게 심장의 활동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일상생활 중 건강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지표이다.
그리고 심탄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진동에 의한 피에조(Piezo) 필름의 물리적인 변형으로 인해 생기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BCG 센서 혹은 심탄도 센서라고 한다.
이러한 심탄도 센서가 사용자의 수면 중 매트리스에 적용될 경우,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이 무구속 무자각 상태로 사용자의 수면분석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즉 수면분석은 심탄도 센서를 매트리스 위 혹은 아래에 늘어놓아 설치하고, 그 위에 누워 심장 박동의 물리적 진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심장박동 수(BPM)와 심장박동의 파형을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6895호(2016.08.17.)에서 침대에 구비된 센서로 부터 측정된 피검자의 심탄도 신호를 수집하고, 분석부는 상기 피검자의 누운 자세를 분류하기 위하여, 수집된 피검자의 심탄도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분석하며, 판별부는 분석부에 의한 결과 데이터를 기정해진 누운 자세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피검자의 누운 자세를 판별하기 위한 심탄도 신호를 이용한 누운 자세 분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심탄도 센서를 이용한 무구속 수면분석에 있어서, 종래의 심탄도 센서 기술은 얇은 피에조 필름의 이탈과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얇은 플라스틱 폼(Foam) 막대들이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 되어 있으며 탄성이 없는 천으로 마감되어 만들어진 벨트 형태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미끄러운 벨트 표면은 수면 시 사용자의 뒤척임으로 인해 밀려나거나 매트리스 밖으로 이탈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대로 제작된 피에조 필름 기반 심탄도 센서는 심박수(beat per minute) 측정의 푸리에 변환 데이터에서도 심박수 피크의 정확성을 확인 할 수 있으나 다른 유의미한 피크를 관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수면분석이 시간에 따른 심박수의 변화만 관찰 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파형을 관찰하여 심장질환을 진단하는 분석에는 제약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에조 필름 상하에 실리콘 탄성체를 접착하여 노이즈의 감소 및 신호의 증폭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신호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심탄도 측정 센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에조 필름 상하로 접착되는 실리콘 피복의 구조를 길이방향으로 물결 형태의 굴곡을 형성하게 하여 접촉 부위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심탄도 측정 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는 직사각형의 벨트 형태로 재단된 PVDF 필름, 상기 PVDF 필름의 어느 한쪽 끝단의 위아래에서 신호의 연결을 위해 부착되는 전극단자, 상기 PVDF 필름 보다 일정 크기 이상으로 재단되어, PVDF 필름의 상부와 하부에서 접착하여 밀봉하는 탄성체의 실리콘으로 제작된 실리콘 피복 및 상기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연결선에 의하여 PVDF 필름에서 생성된 압전 신호가 전달되어 전압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는 전압측정기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피복은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되고, 상판과 하판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갖는 물결 형태의 굴곡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피복의 상판과 하판은 주물 공정에 의하여 이격이 없는 하나의 개체로 뽑아내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피복은 상기 물결 형태의 마루에서 PVDF 필름과 접촉하는 높이(h)를 0.9mm 내지 1mm의 범위로 설정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압측정기는 신호의 선별과 증폭을 통한 신호의 시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시간에 따른 파형 변화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의 제조 방법은 전도성 압전 소재인 PVDF 필름을 직사각형의 벨트 형태로 재단하는 단계, 재단된 PVDF 필름의 어느 한쪽 끝단의 위아래로 전압측정기의 연결선과 연결되기 위한 전극단자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PVDF 필름 보다 일정 크기 이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되게 탄성체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실리콘 피복을 재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피복의 상판과 하판을 상기 PVDF 필름을 아래위로 감싼 후 접착제로 테두리를 밀봉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피복의 상판과 하판은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갖는 물결 형태의 굴곡이 형성되고, 상기 물결 형태의 마루에서 상기 PVDF 필름과 접촉하는 높이(h)는 0.9mm 내지 1.1mm의 범위이며, 주물을 이용하여 하나의 개체로 뽑아내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본 발명의 심탄도 측정 센서는 자극에 민감한 PVDF 필름 상하에 물결 형태로 이루어진 실리콘 탄성체로서의 실리콘 피복을 접착하여 심장박동이 PVDF 필름에 전달될 때 노이즈의 감소 및 신호의 증폭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콘 피복의 위아래 구조가 정지마찰의 증가를 위한 물결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 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어 수면 도중 센서의 위치 이탈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리콘 피복 두께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의 성능 비교를 위한 샘플별 상/하판 두께를 보여주는 도표이다.
도 4는 도 3의 실리콘 피복 두께에 따른 측정 샘플별 파형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도 3의 측정 샘플별 두께에 따른 심장박동 수(BPM) 대역별 센서의 신호 크기의 비교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2는 심탄도 측정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시에서와 같이 심탄도 측정 센서(100)는 부착된 전극단자(130)와 연결되는 연결선(150)에 의하여 발생한 압전 신호가 전압측정기(200)에 전달되어 전압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압측정기(200)는 미세한 전압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 센서 디바이스로서, 전압측정기(200)는 다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 장치(미도시)와 연동하여 신호의 선별과 증폭을 통한 신호의 시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시간에 따른 파형 변화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심장질환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심탄도 측정 센서(100)는 내측으로 직사각형의 자 형태로 재단된 PVDF 필름(110) 및 상기 PVDF 필름(110) 보다 큰 일정 면적으로 재단되어 위아래에서 접착되어 밀봉되도록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실리콘 피복(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판과 하판의 두께 및 모양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심탄도 측정 센서(100)는 PVDF 필름(110) 한쪽의 일정 끝단에서 신호의 연결을 위한 전극단자(130)가 상단과 하단으로 부착되고, 전극단자(130)와 연결되는 연결선(150)이 연장되어 외측으로 나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심탄도 측정 센서(100)는 매트리스(또는 침대) 등의 적용에 적절하도록 사람의 어깨 양 끝 길이 이상으로 기다랗게, 얇은 두께의 기다란 자 또는 벨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VDF 필름(110)은 자극에 민감하며 우수한 압전거동을 보이는 대표적인 고분자 재료로 알려져 있는 열가소성 불소계 중합체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PolyVinyliDene Fluoride) 소재의 필름이다. 이러한 PVDF 필름에 전극단자를 붙이고 고전압을 가해 분극처리를 하면 PVDF 필름은 영구적으로 편광되서 우수한 압전성을 보일 수 있다. 즉 PVDF 필름(110)은 응력을 가해 모양을 변형시키거나(압전성) 열을 가하게 되면 온도의 변화로(초전성) 전압이 발생되게 되는 소재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리콘 피복(120)은 탄성력이 있는 실리콘 필름으로 자극에 민감한 PVDF 필름(110)을 보호하고 형태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PVDF 필름(110)을 덮고도 테두리가 남을 정도의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된다.
이때 상기 실리콘 피복(120)을 제작함에 있어, 여러 조각을 붙이지 않고 주물을 이용한 실리콘 성형을 통하여 제작된다. 즉 본 발명의 실리콘 피복(120)은 하나 이상의 조각(piece)을 이중으로 붙이지 않고, 대신 주물을 이용하여 하나의 형태로 뽑아내어 피복 내에 이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실리콘 성형으로 제조되어진다. 상기 이격이란 사용 중 비틀림에 의해서 내부에 기포가 생긴다거나 접착제가 떨어진다거나 할 때 생기는 결점(defects)들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주물성형을 통해 하나의 개체로 제작된 실리콘 피복(120)의 상판과 하판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에는 PVDF 필름(110)의 길이방향으로의 정지마찰 증가와 노이즈의 감소 및 신호의 증폭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일정 곡률을 갖는 물결 형태(또는 파도 모양)의 굴곡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심탄도 측정 센서(100)는 실리콘 피복(120)의 외측 단면에 생성된 물결 형태 또는 주름진 굴곡에 의하여 수면 중의 심탄도 측정 시, 사용자의 뒤척임으로 인한 미끄러짐의 발생 및 밀려남이 없이 매트리스에 고정되어, 미끄러지거나 밀려남에 의한 신호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리콘 피복(120)은 물결모양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밀접하는 마루와 PVDF 필름(110)이 접촉하는 높이(h)를 0.9mm 내지 1mm의 범위로, 바람직하게 1mm로 설정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피복(120)의 두께(h)를 1mm 내외로 설정하는 내용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3은 실리콘 피복 두께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의 성능 비교를 위한 샘플별 상/하판 두께(mm)를 보여주는 도표로서, 하기 샘플들은 샘플 1을 제외하고 일정 곡률의 물결 형태로 이루어진 실리콘 피복(120)으로 이루어진 심탄도 측정 센서들이다.
즉 샘플 1은 실리콘 피복(120)이 없이 PVDF 필름(110) 만으로 이루어진 심탄도 측정 센서이고, 샘플 2는 실리콘 피복(120)의 상판과 하판이 각각 0.5mm로서, 합이 1mm의 두께를 갖는 심탄도 측정 센서이고, 샘플 3은 실리콘 피복(120)의 상판과 하판이 각각 1mm로서, 총 두께가 2mm를 갖는 심탄도 측정 센서이고, 샘플 4는 실리콘 피복(120)의 상판과 하판이 각각 1.5mm서, 두께가 3mm를 갖는 심탄도 측정 센서이다. 또한, 샘플 6도 실리콘 피복(120)의 상판과 하판이 각각 2mm로서, 합이 4mm를 갖는 심탄도 측정 센서이다.
그러나 샘플 5는 실리콘 피복(120)의 상판과 하판을 각각 1mm의 평탄한 실리콘 필름에 0.5mm의 두께의 실리콘 필름을 이어 붙여 이중 구조로 제작된 것으로 총 두께가 3mm를 갖는 심탄도 측정 센서이이고, 샘플 7도 1mm의 평탄한 실리콘 필름에 2mm의 두께의 실리콘 필름을 이어 붙여 아래위가 총 6mm의 두께를 갖는 심탄도 측정 센서이다.
상기와 같은 샘플 1 내지 샘플 7을 이용하여 심탄도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도 4와 같이 실리콘 피복 두께에 따른 샘플별 심탄도 측정 센서의 파형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세로는 각 샘플로 구별되고 가로는 심박수 대역으로 구별되어진다.
이를 도 4에서와 같이 파형의 푸리에 변환을 통한 심탄도 신호 분석 시, 실리콘 피복이 없는 샘플 1은 유의미한 강도를 가진 진동수(Hz)를 확인 할 수 있으나 심박수 대역 60~90 Hz 내에 상응하는 파장 외에는 다른 파장을 관찰하기 어렵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리콘 피복의 두께가 증가 할수록 심박수 대역을 벗어난 대역의 피크값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샘플 5와 샘플 7은 실리콘 필름을 이어 붙여 제작된 심탄도 측정 센서로서, 물결모양의 실리콘피복을 성형 시 평평한 실리콘 판 위에 사인그래프를 반으로 자른 모양의 실리콘을 붙여서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렇게 성형된 센서는 도 4의 파형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에서 시각적으로 봤을 때 피크 주변 노이즈가 많아 보이는 현상이 관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는 도 3의 측정 샘플별 심장박동 수(BPM)의 대역 별 진폭 크기의 비교를 도시하는 그래프로서, Y축은 센서의 측정 신호 크기로서 파장의 진폭에 비례하는 상수(단위 없음)를 나타내고, X축은 각 샘플별 두께의 합(mm)을 0 내지 6mm의 간격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각각의 샘플 두께에서 심장박동 수(BPM)의 계열별 대역에 따른 가장 높은 피크를 그래프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계열1은 0~50 bpm 대역, 계열2는 50~100 bpm 대역, 계열3은 100~150 bpm 대역, 계열4는 150~200 bpm 대역에서, 계열5는 250~300 bpm 대역에서 가장 높은 피크 값을 의미한다.
이에 도 5에서와 같이 두께가 2mm의 샘플을 적용하였을 때, 계열2인 50~100 bpm의 유효한 심박수 대역에서 파장의 진폭 값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물결모양의 굴곡을 갖는 실리콘 피복(120)이 신체와 밀접하는 마루 위치에서 심장박동이 PVDF 필름(110)으로 전달되도록, 물결구조의 마루에서 PVDF 필름(110)과 접촉하는 상 하판 각각의 두께를 1mm(합이 2mm)로 설정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탄도 측정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의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심탄도 측정 센서의 제조 방법은 PVDF 필름을 일정 크기로 재단하는 단계(S100), 전압측정기와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부착하는 단계(S200), 실리콘 피복을 재단하는 단계(S300) 및 실리콘 필름으로 PVDF를 감싼 후 테두리를 밀봉하는 단계(S4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먼저 PVDF 필름을 재단하는 단계(S100)는 전도성 압전 소재인 PVDF 필름을 얇은 직사각형의 자 형태로 자르는 단계로서, 이때 크기의 최소 폭은 5mm 이상, 최소 길이는 어깨 양 끝 길이 이상으로 적용 시 450mm 이상으로 재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를 부착하는 단계(S200)는 재단된 PVDF 필름의 어느 한쪽 끝 단의 위아래로 전압측정기의 연결선과 연결되기 위하여 전극단자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에 PVDF 필름은 전압변화를 감지하는 전압측정기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피복을 재단하는 단계(S300)는 실리콘 필름을 상기 PVDF 필름을 덮고도 테두리가 남을 정도의 크기로 상판과 하판을 재단하는 단계로서, 이때의 상판과 하판은 최소 폭이 50mm 이상, 길이는 500mm 이상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실리콘 피복은 PVDF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물결모양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고, 물결구조의 마루 위치에서 PVDF 필름과 접촉하는 상 하판의 높이 부분이 1mm 또는 0.9mm 내지 1.1mm의 두께로, 상하 합 두께는 2mm 내외가 바람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단된 상기 실리콘 필름으로 PVDF 필름을 아래위로 감싼 후 접착제로 테두리를 밀봉하는 단계(S400)를 거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심탄도 측정 센서는 자극에 민감한 PVDF 필름 상하에 실리콘 탄성체로서의 실리콘 피복을 접착하여 노이즈의 감소 및 신호의 증폭 효과를 이룰 수 있으며, 실리콘 피복의 위아래 구조가 정지마찰의 증가를 위한 물결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 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어 수면 도중 센서의 위치 이탈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심탄도 측정 센서 110: PVDF 필름
120: 실리콘 피복 130: 전극단자
150: 연결선 200: 전압측정기

Claims (7)

  1. 압전성 필름;
    상기 압전성 필름의 일면 및 타면 상에 배치된 전극단자; 및
    압전성 필름의 상기 일면 및 타면 상에서, 전극단자를 커버하도록 배치된 절연 피복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피복은 상기 일면 상의 상판과 상기 타면 상의 하판을 포함하고, 상판과 하판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갖는 물결 형태의 굴곡을 갖는, 심탄도 측정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성 필름은 PVDF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피복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심탄도 측정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의 상판과 하판은 주물 공정에 의하여 이격이 없는 하나의 개체로 뽑아내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탄도 측정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은 물결 형태의 마루에서 압전성 필름과 접촉하는 높이(h)를 0.9mm 내지 1mm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탄도 측정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성 필름에서 생성된 압전 신호가 전달되어 전압을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는 전압측정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압측정기는 신호의 선별과 증폭을 통한 신호의 시각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시간에 따른 파형 변화를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탄도 측정 센서.
  6. 전도성 압전 소재인 압전성 필름을 준비하고,
    압전성 필름의 어느 한쪽 끝단의 위아래로 전극단자를 배치하고,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된 절연 피복을 준비하고,
    상기 절연 피복의 상판과 하판을 상기 압전성 필름을 아래위로 감싸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피복의 상판과 하판은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곡률을 갖는 물결 형태의 굴곡을 갖는, 심탄도 측정 센서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결 형태의 마루에서 상기 압전성 필름과 접촉하는 높이(h)는 0.9mm 내지 1.1mm의 범위이며, 주물을 이용하여 하나의 개체로 뽑아내어 제조되는, 심탄도 측정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0200158827A 2020-11-24 2020-11-24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827A KR102371826B1 (ko) 2020-11-24 2020-11-24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827A KR102371826B1 (ko) 2020-11-24 2020-11-24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826B1 true KR102371826B1 (ko) 2022-03-11

Family

ID=8081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827A KR102371826B1 (ko) 2020-11-24 2020-11-24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8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40A (ko) * 2014-12-31 2016-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구속적으로 측정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산소탈포화지수를 획득하는 방법
KR20180085464A (ko) * 2017-01-19 2018-07-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구속적으로 측정된 심폐신호를 이용한 수면효율의 예측방법
KR20190052636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엠프로스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89353A (ko) * 2018-01-22 2019-07-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필름형 다채널 압전 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40A (ko) * 2014-12-31 2016-07-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구속적으로 측정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산소탈포화지수를 획득하는 방법
KR20180085464A (ko) * 2017-01-19 2018-07-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구속적으로 측정된 심폐신호를 이용한 수면효율의 예측방법
KR20190052636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엠프로스 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89353A (ko) * 2018-01-22 2019-07-3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필름형 다채널 압전 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Development of a PVDF piezopolymer sensor for unconstrained in-sleep cardiorespiratory monitoring
EP3281606B1 (en) Ferroelectric composite material-based artificial electronic skin
Bu et al. Monitoring of respiration and heartbeat during sleep using a flexible piezoelectric film sensor and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US7641618B2 (en) Capacitance-type pressure sensor and heart beat / respiration measuring device using the same
US8075489B2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US8069735B1 (en) Tactile sensor array for soft tissue elasticity imaging
Khan et al. Design analysis and human tests of foil-based wheezing monitoring system for asthma detection
JP2006020810A (ja) 睡眠状態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345761B2 (ja) 変形センサ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スキンセンサモジュール
Vehkaoja et al. Correlation approach for the detection of the heartbeat intervals using force sensors placed under the bed posts
Roopa Manjunatha et al. Polyvinylidene fluoride film based nasal sensor to monitor human respiration pattern: An initial clinical study
Kurihara et al. Development of unconstrained heartbeat and respiration measurement system with pneumatic flow
TW201110932A (en) Belt type bio-signal detecting device
KR102371826B1 (ko) 심탄도 측정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WO2009093477A1 (ja) 睡眠状態の判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1647921B2 (en) Breathing sensing device
Abraham et al. Low-cost and disposable pressure sensor mat for non-invasive sleep and movement monitoring applications
Wang et al. Unconstrained cardiorespiratory monitor for premature infants
CN115112265A (zh) 一种人体核心体温和惯性信号的采集装置及采集方法
KR101974905B1 (ko) 무구속적 생체신호 측정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시스템
JP7301681B2 (ja) 睡眠状態推定方法および睡眠状態推定装置
CN210673311U (zh) 呼吸侦测装置及床垫
JP2000041960A (ja) 腕携帯機器
JPH0715001U (ja) 生体用電極
JP2011083563A (ja) 介護評価指標推定装置及び介護評価指標推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