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545B1 - 골수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골수 채취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1545B1 KR102371545B1 KR1020190102121A KR20190102121A KR102371545B1 KR 102371545 B1 KR102371545 B1 KR 102371545B1 KR 1020190102121 A KR1020190102121 A KR 1020190102121A KR 20190102121 A KR20190102121 A KR 20190102121A KR 102371545 B1 KR102371545 B1 KR 1023715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marrow
- catheter
- hub
- inner case
-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61B2010/0258—Marrow samp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05—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수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골수 채취 시 골수강 내에 투입된 카테터의 위치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테터의 위치가 이동한 후에는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골수를 채취할 수 있는 골수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골수 채취 장치는 골수강 내부로 삽입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 내부로 삽입되며, 일측에는 주사기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테터 일단에 연결된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수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골수 채취 시 골수강 내에 투입된 카테터의 위치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테터의 위치가 이동한 후에는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골수를 채취할 수 있는 골수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수(bone marrow, 骨髓)는 뼈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조직으로서, 적혈구나 백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세포를 만드는 조직을 말한다. 이러한 골수에는 많은 줄기세포가 있고, 이들이 계속 분열하고 발달하여 혈액세포가 된다. 또한 뼈를 구성하는 줄기세포도 가지고 있다. 면역체계를 담당하고 있는 백혈구를 생산하기 때문에 면역체계에도 매우 중요한 조직이다.
이러한 골수는 두 종류의 줄기세포를 가지고 있다. 그 중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는 혈액세포 생산을 담당하며, 계속 분열하여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이 된다.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는 뼈를 형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와 연골세포(chondrocyte)로 분화할 수 있다.
골수는 악성종양이 발생하거나 균에 의해 감염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혈액세포의 생산이 감소한다. 또한 혈액세포로 발달하는 세포에 암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을 백혈병(leukemias)이라고 부른다. 위와 같은 질병은 골수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골수검사는 국소마취 상태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적색골수를 채취하여 검사한다.
골수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적합한 다른 사람의 골수를 이식 받을 수 있다. 골수는 골수검사를 할 때와 같이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7321호에는 골수 흡인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7321호에 기재되어 있는 골수 흡인기는 선단부 표면, 말단부 표면, 상기 선단부 표면 및 말단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 1 및 제2 측면들을 갖고, 쥐기 쉽게 하는 형상을 갖는 핸들과; 종방향 축선과, 핸들에 커플링되며 그 안에 입구 포트가 형성된 선단부를 갖는 선단부와, 매끄러운 외면과 중실의 말단 관통 팁을 갖는 말단부와, 입구 포트로부터 말단관통 팁 부근의 위치까지 연장하는 내부 루멘(inner lumen)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측벽과, 측벽에 형성되며 내부 루멘과 서로 통하며 말단 관통 팁 부근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기다란 관통 부재를 포함하며, 기다란 관통 부재의 선단부는 기다란 관통 부재의 말단부의 종방향 축선과 오프셋되어, 기다란 관통부재의 말단부를 위치 결정시키기 위해 장치의 핸들을 쥐고 조작하면서 기다란 관통 부재의 선단부의 입구 포트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7321호에 개시되어 있는 골수 흡인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골수채취기는 골수 채취 시 골수강 내에 투입되는 기다란 관통 부재의 관통 팁 부근에 위치된 작은 구멍을 통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골수만을 채취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즉, 골수채취 작업 시 관통 부재에 형성된 작은 구멍으로 빨려 들어오는 골수는 약 1cc 정도의 아주 적은 양이기 때문에 더 많은 양의 골수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골수채취기를 여러 군데 옮겨가며 채취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골수채취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아서 이로 인해 작업자는 골수채취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고, 환자에게도 많은 고통 부담을 안기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골수 채취 시 골수강 내에 투입된 카테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골수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카테터 위치 이동 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골수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카테터 위치 이동 후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골수를 채취할 수 있는 골수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는 골수강 내부로 삽입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 내부로 삽입되며, 일측에는 주사기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테터 일단에 연결된 홀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허브에는 상기 홀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홀더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홈은 상기 카테터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홈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홈과 상기 지지바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홈과 상기 제2 지지홈은 상기 허브의 하면으로부터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지지홈과 상기 제2 지지홈은 상호 상이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바가 상기 허브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바에 형성된 인서트 부재와, 상기 인서트 부재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허브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인서트 부재는 상기 허브와 상기 지지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는 상기 허브에 연결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카테터 일단에 연결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가 체결되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체결부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는 상기 걸림턱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가 형성된 걸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면은 상기 내부 케이스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가 형성된 제1 걸림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가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가 형성된 제2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걸림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1 걸림면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체결부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나사부재에 대응되는 제2 나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나사부재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골수 채취 장치는 골수 채취 시 골수강 내에 투입된 카테터의 위치 이동을 위해 홀더가 구비되며, 허브에는 이러한 홀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바가 구비되어 카테터가 정확한 위치로 이동한 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골수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홀더를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로 구성하고, 이러한 내부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 내부에서 외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 카테터의 위치를 이동시키므로 카테터의 위치 이동이 용이해져서 골수 채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가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카테터 위치 이동 시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므로 골수 채취 과정에서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카테터 위치 이동 후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므로 골수 채취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로서, 지지바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로서, 장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이용해서 골수를 채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로서, 지지바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로서, 장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이용해서 골수를 채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로서, 지지바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로서, 장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이용해서 골수를 채취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수 채취 장치는 골수강(bone marrow cavity) 내부로 삽입되는 허브(10)와 이러한 허브(10) 내부로 삽입되며, 일측에는 주사기(2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테터(30) 및 이러한 카테터(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카테터(30) 일단에 연결된 홀더(40)를 포함한다.
허브(10)는 견고한 재질로 골수 채취 작업 시 가장 먼저 삽입 배치되며, 허브(10)가 삽입 배치된 후 카테터(30)가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카테터(3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골수 채취 작업 시 자유롭게 형상 변형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카테터(30)를 골수 채취 위치까지 안내하기 위해서 플렉서블 인트로듀서(flexible introducer)와 같은 별도의 안내 부재(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안내 부재는 카테터(3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허브(10)를 관통하여 골수 채취 위치까지 카테터(30)를 안내하게 된다. 카테터(30)가 골수 채취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안내 부재를 제거하고, 카테터(30)에 골수 채취를 위한 주사기(20)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카테터(30)에는 주사기(20)를 연결하기 위한 헤드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카테터(30)의 일단에는 홀더(40)가 연결되며, 홀더(40)는 카테터(30)가 골수 채취 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허브(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카테터(30)는 골수 채취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고, 이러한 카테터(30)에 주사기(20)가 연결되면 주사기(20)의 피스톤을 당겨서 골수를 채취하게 된다. 일정량의 골수가 채취되면 허브(1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카테터(30)만 인출하게 된다. 이때, 주사기(20)는 카테터(30)의 헤드부(31)에 연결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새롭게 이동한 위치에서도 일정량의 골수가 채취되면 카테터(30)와 주사기(20)를 반복적으로 인출하면서 새로운 위치에서 골수를 채취하게 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0)에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핸들바(41)가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핸들바(41)는 홀더(40)의 횡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핸들바(41a)와, 홀더(40)의 횡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핸들바(41b)를 포함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허브(10)에는 홀더(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바(11)가 구비되고, 이러한 지지바(11)에는 홀더(40)가 삽입 고정되는 지지홈(11a, 11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홀더(40)가 지지홈(11a, 11b)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골수 채취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허브(10)의 축을 중심으로 핸들바(41)를 회전시켜서 지지홈(11a, 11b)에 삽입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홈(11a, 11b)은 카테터(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므로 골수를 일정량 채취한 이후에는 홀더(40)를 인접한 다른 지지홈(11a, 11b)으로 이동시켜서 삽입 고정한 이후에 골수 채취 작업을 계속 진행하게 된다.
즉, 골수 채취 시 골수강 내에 투입된 카테터(30)의 위치 이동을 위해 홀더(40)가 구비되며, 허브(10)에는 이러한 홀더(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바(11)가 구비되어 카테터(30)가 정확한 위치로 이동한 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골수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11a, 11b)은 지지바(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지지홈(11a)과 지지바(11)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지지홈(11b)을 포함하고, 제1 지지홈(11a)과 제2 지지홈(11b)은 허브(10)의 하면으로부터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 지지홈(11a)에는 제1 핸들바(41a)가 삽입 고정되고, 제2 지지홈(11b)에는 제2 핸들바(41b)가 삽입 고정된다.
즉, 환자에 따라 골수가 채취되는 위치가 모두 상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골수 채취 위치가 상이한 경우에도 카테터(30)가 해당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한 상태에서 홀더(40)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바(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 지지홈(11a)과 제2 지지홈(11b)을 형성하되, 이러한 제1 지지홈(11a)과 제2 지지홈(11b)이 허브(10)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다. 허브(10)의 하면 위치를 베이스(Base)라고 할 때, 제1 지지홈(11a)은 이러한 베이스(Base)로부터 d1 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고, 제2 지지홈(11b)은 베이스(Base)로부터 d2 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1 지지홈(11a)과 제2 지지홈(11b)은 상호 상이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홈(11a)의 간격은 △d1로 형성하고, 제2 지지홈(11b)의 간격은 △d2로 각각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자는 환자에 맞게 상이한 간격 만큼 카테터(30)를 이동시키면서 골수 채취가 가능하게 되고, 더 나아가 제1 지지홈(11a)과 제2 지지홈(11b)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골수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지지바(11)가 허브(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다양한 간격 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홈(11a, 11b)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바(11)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환자에 맞는 지지바(11)를 허브(10)에 장착해서 골수를 채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1)와 허브(10)에는 장착부(10a, 11c)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착부(10a, 11c)는 지지바(11)에 형성된 인서트 부재(11c)와, 인서트 부재(11c)가 삽입 고정되도록 허브(1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허브(10)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0a)의 하면과 허브(10)의 상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이격 공간에 지지바(11)의 인서트 부재(11c)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1)의 일측에 지지홈(11a, 11b)이 형성된 경우에는 전술한 인서트 부재(11c)는 지지바(11)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홈(11a, 11b)에 홀더(40)가 삽입되도록 힘이 인가되는 상황에서도 인서트 부재(11c)가 가이드 부재(10a)에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가이드 부재(10a)와 인서트 부재(11c)를 허브(10)와 지지바(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지지홈(11a, 11b)에 홀더(40)가 삽입되는 방향이 어떠한 방향이 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허브(10)와 지지바(11)의 일측에 형성된 인서트 부재(11c) 및 가이드 부재(10a)가 허브(10)와 지지바(11)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 부재(11c) 및 가이드 부재(10a)와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측 인서트 부재(11c)의 높이를 h1으로 형성하고, 타측 인서부 부재(11c)의 높이를 h2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일측 가이드 부재(10a)와 타측 가이드 부재(10a)에 형성된 이격 공간의 높이도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자가 지지바(11)를 장착하는 경우 일측과 타측의 방향이 바뀐 상태로 조립되는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별도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지지바(11)를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0)는 허브(10)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외부 케이스(100)와 카테터(30) 일단에 연결되어 외부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Lo, Li)을 따라 이동 가능한 내부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케이스(200)는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 케이스(200)가 외부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Lo, Li)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카테터(30)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골수강 내에 투입된 카테터(30)의 위치 이동을 위해 홀더(40)가 구비되며, 더 나아가 홀더(40)를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케이스(200)로 구성하고, 이러한 내부 케이스(200)가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외부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Lo, Li)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통해 카테터(30)의 위치를 이동시키므로 카테터(3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해져서 골수 채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카테터(30)는 인입 방향(Li)을 따라 이동하면서 골수 채취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고, 이러한 카테터(30)에 주사기(20)가 연결되면 주사기(20)의 피스톤을 당겨서 골수를 채취하게 된다. 일정량의 골수가 채취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10)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카테터(30)만 인출 방향(Lo)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주사기(20)는 카테터(30)의 헤드부(31)에 연결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새롭게 이동한 위치에서도 일정량의 골수가 채취되면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30)와 주사기(20)만 이동하면서 새로운 위치에서 골수를 채취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케이스(200)는 외부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인 이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외부 케이스(100)에는 내부 케이스(200)가 체결되는 제1 체결부(110)가 형성되고, 내부 케이스(200)에는 이러한 제1 체결부(110)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2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가 상호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므로 카테터 위치 이동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되어 골수 채취 과정에서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110)에는 외부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Lo, Li)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턱(111)이 형성되고, 제2 체결부(210)에는 걸림턱(111)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돌기(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111)에는 외부 케이스(100)의 반경 방향(r)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각(a)이 형성된 걸림면(112)이 형성된다.
즉, 내부 케이스(200)가 인출되는 방향(Lo)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러한 내부 케이스(200)에 일체로 고정된 걸림돌기(211)도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걸림돌기(211)는 걸림턱(111)에 형성된 걸림면(1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면(112)은 외부 케이스(100)의 반경 방향(r)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가 형성되므로 걸림돌기(211)는 이러한 걸림면(11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며, 걸림면(112)이 형성되지 않은 단차면(114)에 도달하게 되면 이러한 걸림돌기(211)가 탄성 복원된다. 이를 위해 걸림돌기(211)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걸림돌기(211)가 걸림면(112)을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 변형되고, 이후 걸림돌기(211)가 단차면(114)에 도달하게 되면 탄성 복원되는 과정을 통해 내부 케이스(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케이스(200)가 어느 정도 이동했는지를 손의 감각을 통해 느낄 수 있으므로 골수 채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걸림돌기(211)가 걸림턱(111)의 단차면(114)에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 케이스(200)가 인입되는 방향(Li)으로 다시 이동하지 않으므로 효과적으로 골수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골수 채취 장치를 최초 삽입하는 경우에는 외부 케이스(100) 내부에 내부 케이스(200)를 삽입하고, 내부 케이스(200)를 인입 방향(Li)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며, 내부 케이스(200)를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11)가 걸림턱(111)의 단차면(114)에 지지될 수 있으나, 걸림돌기(211)가 갖는 탄성력보다 더 큰 힘을 인가하면 내부 케이스(200)를 효과적으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면(112)은 내부 케이스(200)가 인출되는 방향(Lo)을 따라 경사가 형성된 제1 걸림면(112a)과 내부 케이스(200)가 인입되는 방향(Li)을 따라 경사가 형성된 제2 걸림면(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내부 케이스(20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11)는 제1 걸림면(112a)을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 변형되고, 이후 걸림돌기(211)가 제2 걸림면(112b)에 도달하게 되면 탄성 복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제2 걸림면(112b)의 경사는 도 9의 (a)에 도시된 걸림턱(111)의 단차면(114)의 경사보다는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걸림턱(111)의 단차면(114)의 경사가 90°라고 가정할 때, 제2 걸림면(112b)의 경사는 90°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내부 케이스(20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11)가 탄성 변형과 탄성 복원을 반복하게 되고, 이를 통해 내부 케이스(200)를 안정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골수 채취 장치를 최초 삽입하는 경우에도 내부 케이스(200)를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걸림돌기(211)가 제2 걸림면(112b)을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내부 케이스(200)를 효과적으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제2 걸림면(112b)의 경사는 골수 채취 시 내부 케이스(200)의 인출 과정에서 걸림돌기(211)가 인입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걸림면(112b)의 경사각(a2)은 상기 제1 걸림면(112a)의 경사각(a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내부 케이스(200) 인출 시 걸림돌기(211)가 제1 걸림면(112a)을 따라서 효과적으로 탄성 변형한 후 제2 걸림면(112b)에 도달하면서 효과적으로 탄성 복원될 수 있게 된다.
걸림돌기(211)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또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0)의 반경 방향(r) 외측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재(211a)와 이러한 제1 탄성부재(211a)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프레임(211b)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211a)로는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자는 제1 탄성부재(211a)의 탄성 변형과 탄성 복원이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내부 케이스(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케이스(200)가 어느 정도 이동했는지를 손의 감각을 통해 더욱 확실하게 느낄 수 있으므로 골수 채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내부 케이스(100)의 이동 과정에서 탄성 변형과 탄성 복원이 반복되어도 효과적으로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케이스(200) 사이에는 내부 케이스(2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11)가 걸림턱(111)의 단차면(114)에 지지된 상태에서 걸림돌기(211)와 걸림턱(111)의 걸림면(112)은 일정 거리 이격된다. 이는 걸림돌기(211)의 탄성 복원 시 걸림면(112)에 닿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확실하게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와 같이 걸림돌기(211)와 걸림면(112)이 상호 이격됨으로 인해 걸림돌기(211)가 걸림면(112)에 접촉하게 되는 순간까지 내부 케이스(200)가 추가로 인출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골수를 채취하게 되면 골수 채취의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부재(120)가 내부 케이스(200)의 인입 방향(Li)으로 내부 케이스(200)에 탄성력을 인가하게 되면 걸림돌기(211)가 탄성 복원한 이후에 내부 케이스(200)가 추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을 이용해서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케이스(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므로 골수 채취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제2 탄성부재(12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구비되고, 걸림돌기(211)는 제2 탄성부재(120)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130)에는 외부 케이스(100)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부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탄성 계수가 상이한 제2 탄성부재(120)를 설치하거나, 복수의 제2 탄성부재(120)를 설치하는 등 제2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을 작업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2 탄성부재(120)가 파손되거나 오염된 경우 이를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세척한 후 다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110)에는 외부 케이스(100)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부재(113)가 형성되고, 제2 체결부(210)에는 내부 케이스(200)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나사부재(113)에 대응되는 제2 나사부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케이스(20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내부 케이스(200)의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게 되어 카테터(30)의 위치 이동이 용이해지며,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케이스(200)가 나사 체결되므로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케이스(200) 사이에는 내부 케이스(20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탄성부재(120)가 구비되면 내부 케이스(100)가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내부 케이스(100)가 회전하면서 임의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부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제2 탄성부재(12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130)가 구비되고, 제2 나사부재(212)는 제2 탄성부재(120)의 타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부(130)에는 외부 케이스(100)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부재(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탄성 계수가 상이한 제2 탄성부재(120)를 설치하거나, 복수의 제2 탄성부재(120)를 설치하는 등 제2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을 작업자가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2 탄성부재(120)가 파손되거나 오염된 경우 이를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세척한 후 다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허브 10a : 가이드 부재
11 : 지지바 11a : 제1 지지홈
11b : 제2 지지홈 11c : 인서트 부재
20 : 주사기 30 : 카테터
31 : 헤드부 40 : 홀더
100 : 외부 케이스 110 : 제1 체결부
111 : 걸림턱 112 : 걸림면
112a : 제1 걸림면 112b : 제2 걸림면
113 : 제1 나사부재 114 : 단차면
120 : 제2 탄성부재 130 : 지지부
131 : 결합부재 200 : 내부 케이스
210 : 제2 체결부 211 : 걸림돌기
211a : 제1 탄성부재 211b : 고정프레임
212 : 제2 나사부재 a : 걸림면의 경사각
a1 : 제1 걸림면의 경사각 a2 : 제2 걸림면의 경사각
Base : 허브 하면의 위치
d1 : 허브 하면과 제1 지지홈 사이의 거리
d2 : 허브 하면과 제2 지지홈 사이의 거리
△d1 : 각각의 제1 지지홈 사이의 거리
△d2 : 각각의 제2 지지홈 사이의 거리
h1 : 일측 인서트 부재의 높이
h2 : 타측 인서트 부재의 높이
11 : 지지바 11a : 제1 지지홈
11b : 제2 지지홈 11c : 인서트 부재
20 : 주사기 30 : 카테터
31 : 헤드부 40 : 홀더
100 : 외부 케이스 110 : 제1 체결부
111 : 걸림턱 112 : 걸림면
112a : 제1 걸림면 112b : 제2 걸림면
113 : 제1 나사부재 114 : 단차면
120 : 제2 탄성부재 130 : 지지부
131 : 결합부재 200 : 내부 케이스
210 : 제2 체결부 211 : 걸림돌기
211a : 제1 탄성부재 211b : 고정프레임
212 : 제2 나사부재 a : 걸림면의 경사각
a1 : 제1 걸림면의 경사각 a2 : 제2 걸림면의 경사각
Base : 허브 하면의 위치
d1 : 허브 하면과 제1 지지홈 사이의 거리
d2 : 허브 하면과 제2 지지홈 사이의 거리
△d1 : 각각의 제1 지지홈 사이의 거리
△d2 : 각각의 제2 지지홈 사이의 거리
h1 : 일측 인서트 부재의 높이
h2 : 타측 인서트 부재의 높이
Claims (13)
- 골수강 내부로 삽입되는 허브;
상기 허브 내부로 삽입되며, 일측에는 주사기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테터 일단에 연결되되, 횡방향으로 연장된 핸들바가 구비된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에는 상기 홀더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홀더에 구비된 핸들바가 상기 허브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삽입 고정되되, 상기 카테터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구비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바는 상기 홀더의 횡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 핸들바와, 상기 홀더의 횡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 핸들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홈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핸들바가 삽입 고정되는 제1 지지홈과 상기 지지바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핸들바가 삽입 고정되는 제2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홈과 상기 제2 지지홈은 상기 허브의 하면으로부터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채취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홈과 상기 제2 지지홈은 상호 상이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채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가 상기 허브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채취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바에 형성된 인서트 부재와, 상기 인서트 부재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허브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채취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인서트 부재는 상기 허브와 상기 지지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는 타측에 형성된 상기 인서트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채취 장치. - 골수강 내부로 삽입되는 허브;
상기 허브 내부로 삽입되며, 일측에는 주사기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테터 일단에 연결된 홀더;
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허브에 연결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카테터 일단에 연결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는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가 체결되도록 상기 외부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에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상기 걸림턱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각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 케이스가 인출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가 형성된 제1 걸림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가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가 형성된 제2 걸림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걸림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1 걸림면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되되, 90°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채취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 채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2121A KR102371545B1 (ko) | 2019-08-21 | 2019-08-21 | 골수 채취 장치 |
JP2022511367A JP7481034B2 (ja) | 2019-08-21 | 2019-09-17 | 骨髓採取装置 |
US17/753,108 US20220395260A1 (en) | 2019-08-21 | 2019-09-17 | Bone marrow harvesting device |
PCT/KR2019/011987 WO2021033826A1 (ko) | 2019-08-21 | 2019-09-17 | 골수 채취 장치 |
EP19942043.1A EP4018937A4 (en) | 2019-08-21 | 2019-09-17 | DEVICE FOR BONE MARROW SAMPLE |
CN201980099557.6A CN114258288A (zh) | 2019-08-21 | 2019-09-17 | 骨髓采集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2121A KR102371545B1 (ko) | 2019-08-21 | 2019-08-21 | 골수 채취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2859A KR20210022859A (ko) | 2021-03-04 |
KR102371545B1 true KR102371545B1 (ko) | 2022-03-07 |
Family
ID=7466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2121A KR102371545B1 (ko) | 2019-08-21 | 2019-08-21 | 골수 채취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395260A1 (ko) |
EP (1) | EP4018937A4 (ko) |
JP (1) | JP7481034B2 (ko) |
KR (1) | KR102371545B1 (ko) |
CN (1) | CN114258288A (ko) |
WO (1) | WO2021033826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78498B2 (ja) * | 2003-05-02 | 2010-06-09 |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 ニードルアセンブリ |
WO2011070593A1 (en) * | 2009-12-11 | 2011-06-16 | Secretary, Department Of Biotechnology | Device for vascular access |
US20150289858A1 (en) * | 2012-10-29 | 2015-10-15 | Endocellutions,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Aspirating Tissue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78751B1 (en) * | 2000-04-18 | 2002-11-12 | Allegiance Corporation | Bone marrow aspiration needle |
KR200243683Y1 (ko) * | 2001-05-18 | 2001-10-29 | 정관영 |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
US6916292B2 (en) | 2002-07-12 | 2005-07-12 | Depuy Spine, Inc. | Bone marrow aspirator |
US7850651B2 (en) * | 2008-09-15 | 2010-12-14 | Biomet Biologics, Llc | Bone marrow aspiration needle |
CN201418772Y (zh) * | 2009-05-26 | 2010-03-10 | 申家英 | 一种用于抽取骨髓的穿刺针 |
US9402602B2 (en) * | 2013-01-25 | 2016-08-02 | Choon Kee Lee | Tissue sampling apparatus |
CN104414719A (zh) * | 2013-08-26 | 2015-03-18 | 陕西胜慧源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新型儿童骨髓穿刺针 |
US10556046B2 (en) * | 2014-01-15 | 2020-02-11 | Endocellutions, Inc. | Bone marrow harvesting needle improvements |
US10335126B2 (en) * | 2014-07-30 | 2019-07-02 | Arthrex, Inc. | Bone marrow aspiration needle assembly |
US9681889B1 (en) * | 2015-06-09 | 2017-06-20 | Surgentec, Llc | Depth controlled needle assembly |
-
2019
- 2019-08-21 KR KR1020190102121A patent/KR1023715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9-17 JP JP2022511367A patent/JP7481034B2/ja active Active
- 2019-09-17 US US17/753,108 patent/US20220395260A1/en active Pending
- 2019-09-17 CN CN201980099557.6A patent/CN114258288A/zh active Pending
- 2019-09-17 EP EP19942043.1A patent/EP4018937A4/en active Pending
- 2019-09-17 WO PCT/KR2019/011987 patent/WO2021033826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78498B2 (ja) * | 2003-05-02 | 2010-06-09 |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 ニードルアセンブリ |
WO2011070593A1 (en) * | 2009-12-11 | 2011-06-16 | Secretary, Department Of Biotechnology | Device for vascular access |
US20150289858A1 (en) * | 2012-10-29 | 2015-10-15 | Endocellutions,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Aspirating Tissu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2859A (ko) | 2021-03-04 |
US20220395260A1 (en) | 2022-12-15 |
JP2022545024A (ja) | 2022-10-24 |
JP7481034B2 (ja) | 2024-05-10 |
CN114258288A (zh) | 2022-03-29 |
EP4018937A1 (en) | 2022-06-29 |
EP4018937A4 (en) | 2023-08-30 |
WO2021033826A1 (ko) | 2021-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2803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blood from an IV catheter insertion device | |
EP2996570B1 (en) | Biopsy site marker applier | |
KR101722029B1 (ko) | 자동 모낭 공급 기능을 갖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 |
AU2019414202B2 (en) |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and medicine administering system | |
KR102371545B1 (ko) | 골수 채취 장치 | |
KR102215655B1 (ko) | 절단 생검기구 | |
KR20230056679A (ko) | 핑거 리셉터클 및 홀딩 장치 | |
CN104921762B (zh) | 一种用于气管镜的内镜穿刺取样针 | |
IT201600119028A1 (it) | Dispositivo migliorato per biopsia ossea | |
KR101903427B1 (ko) |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 | |
CN209900321U (zh) | 用于针头自动分离器的针头分离机构 | |
KR101662285B1 (ko) | 골수채취기 | |
KR102307651B1 (ko) | 관통형 체액배출 기구 | |
CN115211906A (zh) | 吸引活检针 | |
KR102384812B1 (ko) | 절단 생검기구 | |
CN210095744U (zh) | 静脉采血装置 | |
US12115704B2 (en) | Impression element for the creation of a surgical guide | |
US20240215962A1 (en) |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biological material, in particular bone marrow and especially the stem cells present in the bone marrow | |
CN219331871U (zh) | 一种检查钉置入器及手术导航系统 | |
CN216603498U (zh) | 一种起针专用锐器盒 | |
CN221266265U (zh) | 一种用于脑室引流装置的头皮固定穿刺引流针 | |
CN221180918U (zh) | 一种多功能便携式护理箱 | |
CN215688587U (zh) | 一种根管预备机 | |
KR20200088245A (ko) | 절단 생검기구 | |
KR101406867B1 (ko) | 감염조직 흡입 채취용 주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