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27B1 -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 - Google Patents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27B1
KR101903427B1 KR1020160167817A KR20160167817A KR101903427B1 KR 101903427 B1 KR101903427 B1 KR 101903427B1 KR 1020160167817 A KR1020160167817 A KR 1020160167817A KR 20160167817 A KR20160167817 A KR 20160167817A KR 101903427 B1 KR101903427 B1 KR 10190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marrow
tube
harvesting
rotation preventing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6690A (ko
Inventor
신봉근
Original Assignee
(주) 레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레보메드 filed Critical (주) 레보메드
Priority to KR102016016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2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for taking bone, bone marrow or cartilage samples
    • A61B2010/0258Marrow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수채취 작업시 골수채취기가 투입되는 한 곳에서 다량의 골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수채취기는, 골수강 내부로 삽입되는 투입관과; 동일 직경과 동일 간격을 형성하며 투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골수채취홀과;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된 타단 측 방면에 주사기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투입관 내부로 삽입되는 골수채취관과; 상기 골수채취관의 외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골수채취홀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골수흡인홀과; 상기 골수채취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복수의 골수채취홀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이들을 밀페시키는 복수의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MARROW ASPIRA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골수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수채취 작업시 골수채취기가 투입되는 한 지점에서 다량의 골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수(bone marrow, 骨髓)는 뼈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조직으로서, 적혈구나 백혈구, 혈소판과 같은 혈액세포를 만드는 조직을 말한다. 이러한 골수에는 많은 줄기세포가 있고, 이들이 계속 분열하고 발달하여 혈액세포가 된다. 또한 뼈를 구성하는 줄기세포도 가지고 있다. 면역체계를 담당하고 있는 백혈구를 생산하기 때문에 면역체계에도 매우 중요한 조직이다.
이러한 골수는 두 종류의 줄기세포를 가지고 있다. 그 중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는 혈액세포 생산을 담당하며, 계속 분열하여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이 된다.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는 뼈를 형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와 연골세포(chondrocyte)로 분화할 수 있다.
골수는 악성종양이 발생하거나 균에 의해 감염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혈액세포의 생산이 감소한다. 또한 혈액세포로 발달하는 세포에 암이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을 백혈병(leukemias)이라고 부른다. 위와 같은 질병은 골수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골수검사는 국소마취 상태에서 주사기를 사용하여 적색골수를 채취하여 검사한다.
골수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적합한 다른 사람의 골수를 이식받을 수 있다. 골수는 골수검사를 할 때와 같이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7321호에는 골수 흡인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7321호에 기재되어 있는 골수 흡인기는 선단부 표면, 말단부 표면, 상기 선단부 표면 및 말단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 1 및 제2 측면들을 갖고, 쥐기 쉽게 하는 형상을 갖는 핸들과; 종방향 축선과, 핸들에 커플링되며 그 안에 입구 포트가 형성된 선단부를 갖는 선단부와, 매끄러운 외면과 중실의 말단 관통 팁을 갖는 말단부와, 입구 포트로부터 말단관통 팁 부근의 위치까지 연장하는 내부 루멘(inner lumen)을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측벽과, 측벽에 형성되며 내부 루멘과 서로 통하며 말단 관통 팁 부근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갖는 기다란 관통 부재를 포함하며, 기다란 관통 부재의 선단부는 기다란 관통 부재의 말단부의 종방향 축선과 오프셋되어, 기다란 관통부재의 말단부를 위치결정시키기 위해 장치의 핸들을 쥐고 조작하면서 기다란 관통 부재의 선단부의 입구 포트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7321호에 개시되어 있는 골수 흡인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골수채취기는 골수채취시 골수강 내에 투입되는 기다란 관통 부재의 관통 팁 부근에 위치된 작은 구멍을 통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골수만을 채취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즉, 골수채취 작업시 관통 부재에 형성된 작은 구멍으로 빨려 들어오는 골수는 약 1cc 정도의 아주 적은 양이기 때문에, 더 많은 양의 골수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골수채취기를 여러 군데 옮겨가며 채취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골수채취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고 환자에게 많은 고통부담을 안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2004-0007321(2004.01.24)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골수채취시 골수강 내에 투입된 골수채취기에 깊이별로 단계적으로 부압을 형성시켜 골수강 내의 깊이별 여러 위치에서 다량의 골수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수채취기는, 골수강 내부로 삽입되는 투입관과; 동일 직경과 동일 간격을 형성하며 투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골수채취홀과;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된 타단 측 방면에 주사기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투입관 내부로 삽입되는 골수채취관과; 상기 골수채취관의 외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골수채취홀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골수흡인홀과; 상기 골수채취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복수의 골수채취홀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이들을 밀페시키는 복수의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골수흡인홀과 밀폐돌기는 일직선상에 배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골수채취관의 개방된 단부 측에는 투입관 내부로 삽입된 골수채취관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부에는 주사기가 착잘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골수채취관의 폐쇄된 단부는 골수강 내부로 투입 가능한 침상(針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수채취관의 길이는 투입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두 배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관 내에서 골수채취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투입관의 내면 또는 골수채취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와, 상기 회전방지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전방지돌기와 맞물리는 회전방지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골수채취관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골수강 내에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골수채취기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은 (a)골수채취관이 삽입된 투입관을 골수강 내부로 투입하는 단계와; (b)골수채취관에 주사기를 연결하는 단계와; (c)주사기와 연결된 골수채취관을 상부로 단계적으로 인출시키면서 상기 주사기를 통해 골수채취관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여 골수강의 깊이에 따라 위치하는 골수를 누적 채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 단계에서 투입관 내부로 골수채취관의 삽입 시, 골수채취관의 회전방지돌기와 투입관의 회전방지홈을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골수채취관의 상부 인출시 상기 골수채취관의 밀폐돌기가 투입관의 골수채취홀에 단계적으로 맞물리도록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 단계에서의 골수 채취시 상부로 인출되는 골수채취관의 골수흡인홀이 투입관의 골수채취홀과 상부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연통되며 골수의 흡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골수채취기 및 골수채취방법에 따르면, 골수채취관이 삽입된 투입관을 골수강 내부로 투입한 다음 골수채취관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골수채취관 내부에 부압을 형성시키고 상기 주사기와 연결된 골수채취관을 상부로 단계적으로 인출시키면서 골수강 내의 깊이별 여러 위치에서 골수를 누적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골수채취관이 투입된 한 곳 위치에서 많은 양의 골수를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량의 골수채취가 요구되는 경우 기존과 같이 골수채취기를 이곳저곳 여러 군데로 옮겨가며 골수를 채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골수채취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골수채취에 소요되는 시간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며, 환자의 고통부담도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수채취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투입관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골수채취관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투입관과 골수채취관이 상호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A-A' 섹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 섹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돌기와 회전방지돌기가 서로 맞물린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골수채취관의 상부 인출시 골수채취홀과 골수흡인홀 간의 단계적 연통에 의해 다량의 골수가 채취되는 모습을 예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수채취기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수채취기 및 이 골수채취기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골수채취기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수채취기는 골수강(bone-marrow cavity)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관(110)과, 상기 투입관(110)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되며 골수를 채취하는 골수채취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입관(110)은 상부에 손잡이부(113)가 구비되어 있으며, 골수채취 작업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13)를 손으로 잡고 투입관(110)을 골수강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113)의 상단 중앙에는 골수채취관(120)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인입구(116)가 형성된다.
이때, 인입구(116)는 투입관(110)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관(110)과 서로 연통되며, 상기 인입구(116)의 외면에는 필요 시 주사기(130)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투입관(110)의 외면에는 투입관(110)의 주변에 분포된 골수의 흡입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직경을 갖는 복수의 골수채취홀(1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골수채취홀(112)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투입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소정 개수로 배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골수채취홀(112)들의 직경은 서로 동일한 직경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투입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골수채취홀(112)들로 인해 상기 골수채취홀(112)들의 주변부에 분포되어 있는 골수를 그 분포된 위치별로 선택적으로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골수채취관(120)은 하단부가 폐쇄되고 상단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개방된 상단부에는 투입관(110) 상단의 손잡이부(113) 내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거치부(125)가 구비된다.
이때, 손잡이부(113)의 상단에는 거치부(125)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125)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함몰된 수용홈(114)이 형성된다.
따라서, 투입관(110) 내부로 삽입된 골수채취관(120)은 거치부(125)가 손잡이부(113)의 상단의 수용홈(114)에 수용되어 거치된 상태에서 골수강 내부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14) 내에 수용된 상태의 거치부(125)가 상기 손잡이부(113)로부터 자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홈(114) 부분에 결합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25) 부분에는 상기 결합홈(115)에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결합돌기(127)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114) 내에 거치된 거치부(125)는 상기 결합홈(115)과 결합돌기(127)의 결합에 의해 손잡이부(113)와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고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25)의 상단 중앙에는 주사기(130)의 끝단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12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26)는 골수채취관(120)의 상단과 서로 연통됨으로써 주사기(130)의 피스톤(132) 작동시 상기 연결부(126)와 연통된 상기 골수채취관(120) 내부에 골수의 흡인작용이 가능한 부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26)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주사기(130)의 끝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들 숫나사부 및 암나사부의 결합에 의해 주사기(130)는 연결부(126)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골수채취관(120)은 골수채취 작업시 투입관(1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투입관(110)과 함께 골수강 내부로 투입된다.
이 경우,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길이는 투입관(110)의 길이보다 일정 비율만큼 길게 형성되는데, 이 때문에 상기 투입관(1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의 골수채취관(120)은 그의 하부 일부분이 투입관(110)의 하방으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길이는 상기 투입관(110)의 길이보다 대략 2 배 정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외경과 투입관(110)의 내경은 상기 투입관(110) 내외부로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삽입 또는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골수채취관(120)과 투입관(110) 사이로 이물질 유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미세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골수채취관(120)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날카로운 침상(針狀) 모양의 폐쇄된 단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입관(110)에 삽입된 골수채취관(120)의 침상 단부를 통해 골수강 내부로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채취 대상 골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을 경우에는 골 내부로 투입된 골수채취관(120)의 하단 부분이 골의 외막을 형성하고 있는 딱딱한 치밀골 조직에 부딪혀서 더 이상의 투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감안하여 골 내부로 투입된 골수채취관(120)이 골 내부에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골수채취관(120)을 자유로운 휨 또는 굽힘이 가능한 유연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골수채취관(120)을 유연성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골수채취관(120)을 골 내부로 투입할 경우 골수채취관(120) 자체의 힘으로는 골 내부로 최초 투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투입관(110)의 하단부를 골 내부로 투입이 가능하도록 날카로운 개방된 침상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투입관(110)의 내부에 별도의 밀폐용 샤프트(shaft)를 삽입한 상태에서 골 내부로 투입관(110)을 먼저 투입한 다음에, 상기 밀폐용 샤프트를 제거한 후 상기 투입관(110) 내부로 유연성 재질의 골수채취관(120)을 용이하게 삽입하여 골수강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골수강 내부로 투입된 골수채취관(120)은 무른 조직으로 구성된 골수강 내부에서 자유롭게 휨 또는 굽힘이 가능하기 때문에, 골수채취관(120)의 하단이 딱딱한 치밀골 조직 밖으로 뚫고 나오지 않고 골수강 내부공간으로 원활히 투입될 수 있다.
한편, 골수채취관(120)의 외면에는 투입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골수채취홀(112)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이들 골수채취홀을 폐쇄시킬 수 있는 복수의 밀폐돌기(12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밀폐돌기(124)는 상기 복수의 골수채취홀(112)과 서로 대향하는 위치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일렬로 배열된다.
이때, 상기 투입관(110) 내에서 골수채취관(12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골수채취홀(112)에 원활히 맞물리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반구 형태의 돌출구조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골수채취관(120)이 투입관(110) 내부로 삽입되거나 투입관(110) 밖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밀폐돌기(124)가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골수채취홀(112)과 순차적으로 맞물리거나 분리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골수채취관(120)의 단계적 인출 또는 삽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돌기(124)들에 의해 폐쇄된 골수채취홀(112) 부분으로는 골수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외면에는 투입관(110)에 형성된 골수채취홀(112)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며 골수를 실질적으로 흡인하는 골수흡인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골수흡인홀(122)은 골수채취관(120)의 외면에 배열된 복수의 밀폐돌기(124)들 사이에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밀폐돌기(124)들 사이의 중간지점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면, 골수채취관(120)의 중앙에 위치한 골수흡인홀(122)을 중심으로 복수의 밀폐돌기(124)들은 상하방향 대칭을 이루며 동일 개수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골수흡인홀(122)은 골수채취홀(112)과 동일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투입관(110) 내에서 골수채취관(12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어느 한 위치의 골수채취홀(112)과 연통되어 그 연통된 부분으로 골수의 유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수흡인홀(122)은 골수채취관(120)의 상하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수흡인홀(122)은 골수채취관(120)의 대향하는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투입관(110) 내부로 골수채취관(1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골수흡인홀(122)과 동일 위치에서 서로 연통되는 일부의 골수채취홀(112)을 제외한 나머지의 골수채취홀(112)들은 복수의 밀폐돌기(124)들과 맞물려 폐쇄되기 때문에 이들 폐쇄된 골수채취홀들을 통해서는 골수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상기 골수흡인홀(122)과 연통된 골수채취홀(112) 부분으로만 골수의 유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은 골수채취관의 원주방향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수단의 일 예로서, 회전방지돌기 및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투입관(110) 내부로 삽입된 골수채취관(120)은 투입관(110) 내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골수채취홀(112)들과 밀폐돌기(124)들 간의 맞물림 위치가 틀어지게 될 경우 골수채취관(120)의 단계적 인입 또는 인출동작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골수흡인홀(122)을 통한 원활한 골수 흡인작용에 차질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골수채취기에는 투입관(110) 내부에 삽입된 골수채취관(120)이 원주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갖추어져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수채취관(120)의 외면에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회전방지돌기(128)가 형성되고 투입관(110) 내면에 상기 회전방지돌기(128)와 맞물리도록 함몰된 형태의 회전방지홈(118)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방지돌기(128)와 회전방지홈(118)은 각각 골수채취관(120)과 투입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써, 골수채취관(120)이 투입관(110)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골수채취홀(112)들과 밀폐돌기(124)들 간의 원활한 맞물림 또는 분리 동작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골수흡인홀(122)을 통해 골수강의 깊이별로 단계적인 골수 채취작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돌기(128)와 회전방지홈(118)은 그 형성위치를 각각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형태와 반대로 회전방지돌기(128)를 투입관(110)의 내면 부분에 형성하고 회전방지홈(118)을 골수채취관(120)의 외면 부분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방지돌기(128)와 회전방지홈(118)을 각각 골수채취관(120)과 투입관(110)의 대향하는 양측 부분에 형성된 형태를 일 예로 들었으나, 이와 달리 상기 회전방지돌기(128)와 회전방지홈(118)을 골수채취관(120)과 투입관(110)의 어느 한쪽 부분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골수채취관(120)의 상부 인출시 골수채취홀(112)과 골수흡인홀(122) 간의 단계적 연통 과정을 통해 다량의 골수가 채취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골수채취 과정을 통해 다량의 골수를 채취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골수채취기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은, 먼저, 골수채취관(120)을 투입관(110)의 상단의 인입구(116)를 통해 투입관(110) 내부로 삽입한다.
여기서, 골수채취관(120)을 투입관(110)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외면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28)가 투입관(110)의 내면에 형성된 회전방지홈(118) 부분에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골수채취관(120)을 투입관(110)의 내부로 끝까지 밀어 넣어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삽입과정에서 골수채취관(120)에 형성된 복수의 밀폐돌기(124)가 투입관(110)에 형성된 복수의 골수채취홀(112)과 단계적으로 맞물리는 과정이 반복되며 골수채취관(120)의 삽입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골수채취관(120)이 투입관(1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골수채취관(120)의 상단에 위치한 거치부(125)는 투입관(110)의 손잡이부(113) 상단에 위치한 수용홈(114) 내에 안착되어 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골수채취관(120)은 그 하단의 일부가 투입관(110)의 하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고, 이 경우 골수흡인홀(122)은 투입관(110)의 최하단에 위치한 골수채취홀(112)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골수흡인홀(12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복수의 밀폐돌기(124)는 이들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골수채취홀(112)과 상호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골수채취홀(112)들을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12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결합돌기(127)를 손잡이부(113)에 형성된 결합홈(115)에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골수채취관(120)과 투입관(110)이 일체가 되도록 고정시킨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골수채취관(120)과 투입관(110) 상호 간의 고정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상기 골수채취관(120)이 삽입된 투입관(110)을 골수강 내부로 투입한다.(S210)
이때,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하단부는 날카로운 침상(針狀) 형으로 형성되어 골수강 내부로의 투입이 용이하며, 또한 하단부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골을 뚫고 골수강 내부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골수채취관(120) 내부로 여타의 이물질 투입은 차단된다.
위와 같이 골수채취관(120)을 비롯한 투입관(110)의 골수강 내 투입작업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주사기(130)를 거치부(125)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부(126)에 연결시킨다.(S220)
이 경우, 상기 주사기(130)의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상기 연결부(12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나사결합을 통해 연결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주사기(130) 부분을 손으로 잡고 피스톤(132)을 당기게 되면 상기 연결부(126)와 연통된 골수채취관(120)의 내부에는 부압이 작용되고, 이로 인해 투입관(110)의 최하단에 위치한 개방된 골수채취홀(112)과 이와 연통된 골수흡인홀(122)을 통해 골수가 골수채취관(120) 내부로 흡인되어 주사기(130) 내부로 일정량의 골수가 채취된다. 여기서, 도 9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골수 채취 지점(P1)은 투입관(110)의 최하단 골수채취홀 부분은 아니지만 이 부분으로 간주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골수채취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주사기(130)를 다시 상부로 당겨 이와 연결된 골수채취관(120)을 한 단계 상부 지점(P2 깊이 지점)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골수채취관(120)의 골수흡인홀(122)은 골수 채취가 이루어진 이전 단계의 골수채취홀로부터 한 단계 상부 지점(P2 깊이 지점)에 위치한 골수채취홀(112)과 상호 연통됨으로써 이 지점에서의 골수 유입통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골수흡인홀(122)과 동일선상에서 연통되는 골수채취홀(112)을 제외한 나머지의 복수의 골수채취홀(112)들은 골수채취관(120)의 밀폐돌기(124)들과 각각 맞물려 골수유입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과정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주사기(130)를 통해 골수채취관(120) 내부에 부압을 형성시켜 상호 개방된 골수채취홀(112)과 골수흡인홀(122)을 통해 상기 골수채취홀(112) 주변(P2 깊이 지점)에 분포되어 있는 골수를 흡인하여 주사기(130) 내부로 채취하게 된다.(S230)
이와 같이 골수채취관(120)을 한 단계씩 상부로 인출시키면서 투입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골수채취홀(112)들을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개방시키고 개방된 지점에 위치하는 골수를 부압을 이용하여 주사기(130) 내부로 누적 채취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투입관(110)이 최초 투입된 한 지점에서 투입관(110)이 투입된 깊이별로 분포하는 골수를 단계적으로 누적 추출하여 다량(20~30cc 정도)의 골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량의 골수채취를 위해 기존과 같이 골수강 내의 한 곳에서 소량의 골수를 채취한 다음 다시 또 다른 골수강 부분에 골수채취기를 투입하여 이곳저곳 장소를 옮겨가며 골수를 채취해야만 했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골수채취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고 골수채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여러 위치에서 골수채취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환자가 겪게 되는 고통부담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10 : 투입관 112 : 골수채취홀
113 : 손잡이부 114 : 수용홈
115 : 결합홈 116 : 인입구
118 : 회전방지홈 120 : 골수채취관
122 : 골수흡인홀 124 : 밀폐돌기
125 : 거치부 126 : 연결부
127 : 결합돌기 128 : 회전방지돌기

Claims (13)

  1. 골수강 내부로 삽입되는 투입관;
    동일 직경과 동일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골수채취홀;
    상기 투입관과 간격을 형성하면서 상기 투입관 내부로 삽입되고,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된 타단 측 방면에 주사기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골수채취관;
    상기 골수채취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골수채취홀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골수흡인홀;
    상기 골수채취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골수채취홀 중 일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이들을 밀페시키는 복수의 밀폐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골수흡인홀과 밀폐돌기는 일직선상에 배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채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채취관의 개방된 단부 측에는 상기 투입관 내부로 삽입된 골수채취관을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채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는 상기 주사기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채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채취관의 폐쇄된 단부는 골수강 내부로 투입 가능한 침상(針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채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채취관의 길이는 상기 투입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채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 내에서 상기 골수채취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채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투입관의 내면 또는 상기 골수채취관의 외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와,
    상기 회전방지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회전방지돌기와 맞물리는 회전방지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채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수채취관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골수강 내에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수채취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167817A 2016-12-09 2016-12-09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 KR10190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17A KR101903427B1 (ko) 2016-12-09 2016-12-09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17A KR101903427B1 (ko) 2016-12-09 2016-12-09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690A KR20180066690A (ko) 2018-06-19
KR101903427B1 true KR101903427B1 (ko) 2018-10-02

Family

ID=6279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817A KR101903427B1 (ko) 2016-12-09 2016-12-09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1061A2 (en) * 2020-01-24 2021-07-29 Pure Marrow Inc. Bone marrow aspiration and biops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5793A (ja) * 1996-10-23 2002-05-28 オーレイテック インターヴェン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椎間円板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7520253A (ja) * 2003-06-27 2007-07-26 デピュイ・スパ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リフィス制御サンプリング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6292B2 (en) 2002-07-12 2005-07-12 Depuy Spine, Inc. Bone marrow aspi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5793A (ja) * 1996-10-23 2002-05-28 オーレイテック インターヴェン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椎間円板を治療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7520253A (ja) * 2003-06-27 2007-07-26 デピュイ・スパ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リフィス制御サンプリング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690A (ko) 201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40907A1 (en) Biopsy device tissue sample holder with removable tray
US8083686B2 (en) Forceps and collection assembly with accompanying mechanis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23007291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spirating Tissue
KR101929603B1 (ko) 말초 iv 카테터를 통한 채혈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435108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spirating and separating components of different densities from a physiological fluid containing cells
US7278972B2 (en) Combined bone marrow aspiration and core biopsy device
US20050101879A1 (en) Needle aspiration biopsy device and method
US7182754B2 (en) Containerless tissue sample collection trap
US8992442B2 (en) Bone biopsy and bone marrow aspiration device
US9848855B2 (en) Filter for fine needle biopsy
US20110137202A1 (en) Biopsy needle device
US7207950B2 (en) Aspiration needle with venting feature
KR101903427B1 (ko) 골수채취기 및 이를 이용한 골수채취방법
CN108095774B (zh) 改进的骨骼活组织检查装置
US7226423B2 (en) Aspiration needle with venting feature
EP3578129A1 (en) Sample retrieval kit and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CN206443714U (zh) 防种植套管及其旋切针
KR200484486Y1 (ko) 시료채취장치
JP2011030913A (ja) 内視鏡用組織採取具
CN206372070U (zh) 一种防种植套管及其旋切针
CN103284762A (zh) 对器官进行取样的装置
CN220632081U (zh) 一种换头式血糖采血笔
CN221105971U (zh) 一种超声引导下的胸腹腔积液防堵穿刺引流针
KR20060135677A (ko) 의료적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유방 유관에 접근하기 위한의료 기기 및 이의 방법
CN114258288A (zh) 骨髓采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