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541B1 - 입자 크기가 감소된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자 크기가 감소된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1541B1 KR102371541B1 KR1020210123601A KR20210123601A KR102371541B1 KR 102371541 B1 KR102371541 B1 KR 102371541B1 KR 1020210123601 A KR1020210123601 A KR 1020210123601A KR 20210123601 A KR20210123601 A KR 20210123601A KR 102371541 B1 KR102371541 B1 KR 1023715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
- flour
- present
- dough
- raw nood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2—Products made from whole meal; Products containing bran or rough-ground grain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0/00—Batters, dough or mixtures before baking
- A21D10/002—Dough mixes; Baking or bread improvers; Premixes
- A21D10/005—Solid, dry or compact materials; Granules;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밀기울의 입자 크기를 밀가루와 유사한 크기로 조절함으로써 통밀가루에 포함된 밀기울의 양보다 밀가루에 보다 높은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기울에 포함된 페놀 화합물과 안토시아닌이 증가하고, 식감이 개선되고, 항산화 활성이 향상됨으로써 건강 기능성이 증진된 생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유색 밀기울의 입자 크기를 밀가루와 유사한 크기로 조절함으로써 통밀가루에 포함된 밀기울의 양보다 밀가루에 보다 높은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기울에 포함된 페놀 화합물과 안토시아닌이 증가하고, 식감이 개선되고, 항산화 활성이 향상됨으로써 건강 기능성이 증진된 생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과 건강기능과 관련된 식품에 대한 사회적인, 개인적인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통곡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통밀제품이 갖는 여러 가지 한계 중 거친 식감으로 선호도가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밀의 대략적인 구조인 외피, 배유, 배아에서 상기 외피 즉 껍질인 밀기울은 밀의 제분 과정중 배유(Endosperm) 부분을 밀가루로 생산하며 함께 생산되는 밀기울(Bran)은 식이섬유가 약 40~50% 정도 함유된 고식이섬유 소재이나, 국내에서 유통되는 밀기울은 특유의 이취 및 이물감과 반죽 물성 저하, 미생물 생육 등으로 인하여 식품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대부분 사료 용도로 소비되고 있다.
밀기울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식이 섬유는 "인간의 소화효소에 의하여 가수분해되지 않는 식물세포의 잔여물"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주요 성분들로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펙틴(pectin), 무실라제(muscilage), 검(gum) 등의 다당류와 리그닌(lignin)과 같은 비당류가 있다.
식이섬유는 자체 열량이 거의 없으며 지방과 동반 배설되기 때문에 비만 해결에 유효한 식품이다. 최근 인스턴트 식품의 범람으로 식이섬유의 섭취가 현저히 감소됨으로써 변비가 증가하고 그로 인한 장내 부패 발효로 인해 유독 물질이 생성되어서 대장암 등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식이섬유의 충분한 섭취는 장내에서 젖산균의 작용을 도와 여러 가지 이로운 물질을 생성하여 설사나 장염, 변비 등을 예방하고, 당뇨병, 심장병, 대장암 등 각종 성인병의 발생 위험을 크게 줄여주는 효능이 있다.
이러한 식이 섬유를 고농도(40 내지 50%)로 함유하고 있는 밀기울을 지속적으로 섭취할 경우, 장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신속하고 부드러운 배변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장내에 잔존하는 많은 독소 제거에 도움을 주고, 습관성 변비 치료 및 성인병 예방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최근에 들어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상기 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건강기능성이 증진될 수 있는 색을 지니는 다양한 식재료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특히, 밀은 상기 식품을 제조하는 다양한 식품의 주재료가 되므로, 일반밀보다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화합물과 같은 유용성분이 밀기울 부분에 많이 함유된 색을 지니는 유색밀이 영양적인 장점이 커 이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한국등록특허 제10-2035666호에는 항산화 기능이 강화된 자색의 신품종 밀 "아리흑"이 개시되어 있어 이를 활용한 제품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색 밀기울을 물리적으로 처리하여 한국 사람이 많이 소비하는 국수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기존의 통밀국수에 비해 밀기울의 함량이 증가되면서도 식감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색 밀기울의 입자 크기를 밀가루와 유사한 크기로 조절함으로써 통밀가루에 포함된 밀기울의 함량보다 밀가루에 보다 높은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기울에 포함된 페놀 화합물과 안토시아닌이 증가하고, 식감이 개선되고, 항산화 활성이 향상됨으로써 건강 기능성이 증진된 생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S1) 유색 밀기울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입자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S2) 상기 분쇄된 밀기울을 밀가루와 혼합하여 혼합 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혼합 밀가루과 소금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반죽을 휴지시키는 단계; 및
(S5) 상기 반죽으로 생면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얻어진 유색 밀기울의 평균 입자 크기는 120 내지 600 ㎛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는 수분 함량을 10 내지 15%로 맞춘 밀가루 : 밀기울의 비가 50 내지 70 : 30 내지 5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밀가루 90 내지 110 중량부; 물 34 내지 48 중량부; 및 소금 1.8 내지 2.2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20 내지 40℃ 범위의 온도; 및 80 내지 90%의 상대 습도에서 15분 내지 60분 동안 휴지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는
(S5a) 상기 (S4) 단계에서 휴지된 반죽을 3 ㎜, 2 ㎜ 및 1.5 ㎜ 간격의 롤러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면대를 형성하는 단계; 및
(S5b) 상기 면대를 5.0 내지 6.0 ㎜의 너비; 및 1.0 내지 2.0 ㎜의 두께로 절단하여 면을 형성하는 단계;
로 구성된다.
상기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에 언급된 모든 사항은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생면의 제조 방법은 유색 밀기울의 입자 크기를 밀가루와 유사한 크기로 조절함으로써 통밀가루에 포함된 밀기울의 함량보다 밀가루에 보다 높은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기울에 포함된 페놀 화합물과 안토시아닌이 증가하고, 식감이 개선되고, 항산화 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분쇄된 밀기울의 입자 크기 분포도이다.
도 3은 상이한 크기로 분쇄된 밀기울의 외관이다.
도 4는 밀기울 함량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생면의 외관이다.
도 5는 밀기울 함량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생면의 삶은 후 외관이다.
도 2는 분쇄된 밀기울의 입자 크기 분포도이다.
도 3은 상이한 크기로 분쇄된 밀기울의 외관이다.
도 4는 밀기울 함량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생면의 외관이다.
도 5는 밀기울 함량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생면의 삶은 후 외관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S1) 유색 밀기울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입자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S2) 상기 분쇄된 밀기울을 밀가루와 혼합하여 혼합 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혼합 밀가루과 소금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반죽을 휴지시키는 단계; 및
(S5) 상기 반죽으로 생면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밀기울(bran, wheat bran)"은 밀을 빻아 체로 쳐서 남은 찌꺼기로 기울의 일종으로 맥부, 맥피, 소맥부로도 불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기울은 통상 제분밀로부터 밀가루와 배아를 분리한 나머지 것으로 가루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기울의 구조는 소량의 배유부와 배아부를 갖고 있으며, 밀의 종피(seed coat), 주심층 (nuclear epidermis), 호분층(aleurone layer)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 성분은 수분, 지방, 단백질, 회분,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의 “밀기울”은 퍼플 색상을 나타내는 유색 밀기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밀가루"란 밀의 낟알을 분쇄하여 만든 곡물 가루로 다당류 탄수화물로 이루어진 높은 비율의 전분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밀가루는 강력분, 중력분, 박력분, 유분, 전립분, 세로니라 밀가루, 말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용매 보유 능력(SRC: Solvent retention capacity) 평가”는 밀가루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밀기울이 밀가루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평가하여 해당 밀가루의 전반적인 기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S1) 단계는 유색 밀기울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입자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로서, 이는 밀기울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
상기 밀기울은 분쇄되기 전 어떠한 전처리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전처리"는 밀기울의 분쇄를 돕기 위하여 밀기울을 40 내지 70℃의 온도에서 수시간 또는 수일간 건조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분쇄기는 초고속 원심 분쇄기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초고속 원심 분쇄기일 수 있다.
상기 초고속 원심 분쇄기는 0.2 내지 1.0 ㎜ 범위에서 오프닝 크기(opening size)가 상이한 체를 장착할 수 있으며, 상이한 체에 의해 입자 크기가 상이한 밀기울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밀기울의 평균 입자 크기는 120 내지 600 ㎛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585 ㎛ 범위일 수 있다.
상기 (S2) 단계는 상기 분쇄된 밀기울을 밀가루와 혼합하여 혼합 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밀가루는 수분 함량이 10 내지 15%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밀가루 : 밀기울의 비는 50 내지 70 : 30 내지 50일 수 있다.
상기 (S3) 단계는 상기 혼합 밀가루과 소금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소금과 물은 필요량으로 칭량된 다음 소금물 용액으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밀가루와 반죽은 통상적으로 당업계에 알려진 반죽기에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혼합은 5 내지 25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4) 단계는 상기 반죽을 휴지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된 반죽은 플라스틱 백, 플라스틱 용기, 스테인리스 용기 또는 비닐 백에 보관되어 휴지될 수 있다. 상기 휴지 단계는 20 내지 40℃ 범위의 온도; 및 80 내지 90%의 상대 습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2) 단계에서 수행되는 휴지 단계는 15분 내지 6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4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5) 단계는 상기 휴지된 반죽을 이용하여 생면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S5) 단계는 (S5a) 상기 (S4) 단계에서 휴지된 반죽을 3 ㎜, 2 ㎜ 및 1.5 ㎜ 간격의 롤러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면대를 형성하는 단계; 및 (S5b) 상기 면대를 5.0 내지 6.0 ㎜의 너비; 및 1.0 내지 2.0 ㎜의 두께로 절단하여 면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5a) 단계는 상기 휴지된 반죽을 챔버에서 꺼내어 롤러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면대를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S5b) 단계는 상기 면대를 절단하여 면을 형성하느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의 너비; 및 1.0 내지 2.0 ㎜의 두께로 절단하여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면의 제조 방법은 유색 밀기울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켜 기존 반죽의 배합 재료에서 통밀가루에 포함된 밀기울의 함량보다 밀가루 대신 밀기울의 함량을 2 내지 3배 증가시켜 유용성분이 증가된 생면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에서 생면 제조 시 밀기울을 전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마쇄함으로써 면의 식감이 개선될 수 있다.
밀기울의 큰 입자 크기로 인해, 상기 기존 반죽의 배합 재료에서 통밀가루에 혼합된 밀기울의 함량은 13 내지 19%인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밀기울의 입자 크기에서는, 30 내지 50%의 함량으로 통밀가루에 혼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생면 1 (L)
유색 밀기울을 전처리하지 않고 1.0 ㎜의 오프닝 크기를 갖는 체를 장착한 분쇄기에 넣고 밀기울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밀기울의 평균 입자 크기는 584 ㎛였다. 상기 밀기울 시료 30 g와 밀가루 70 g과 혼합하여 밀기울 혼합비율이 30%인 혼합 밀가루를 제조하였다. 물 37.4 g 및 소금 2.0 g을 함유하는 소금물에 상기 혼합 밀가루 100 g을 반죽기에서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다. 밀기울 혼합비율 40% 혼합 밀가루는 밀기울 시료 40 g과 밀가루 60 g을 혼합하였고, 밀기울 혼합비율 50% 혼합 밀가루는 밀기울 시료 50 g과 밀가루 50 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혼합비율 40% 혼합 밀가루를 사용한 경우 물 40.4 g 및 소금 2.0 g, 50% 혼합 밀가루의 경우 물 43.4 g 및 소금 2.0 을 함유하는 소금물에 각 혼합 밀가루를 100 g 반죽기에 넣어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된 반죽을 플라스틱 백에 담아 30℃의 온도 및 85%의 상대습도(RH)로 조절된 챔버에서 10분 동안 휴지시켰다. 상기 휴지된 반죽을 3 ㎜, 2 ㎜ 및 1.5 ㎜ 간격의 롤러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일정한 두께의 면대를 형성하였다. 상기 면대를 제면기에 통과시켜 4 ㎜ 너비 및 1.5 ㎜ 두께의 면이 되도록 절단하여 생면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생면 2 (M)
0.5 ㎜의 오프닝 크기를 갖는 체를 장착한 분쇄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밀기울의 평균 입자 크기는 255 ㎛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생면 3 (S)
0.2 ㎜의 오프닝 크기를 갖는 체를 장착한 분쇄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 밀기울의 평균 입자 크기는 128 ㎛였다.
비교예 1. 비교 생면 1 (VL)
입자크기 감소를 위한 분쇄기의 사용 없이 본래의 밀기울을 그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입자 크기 및 외관 관찰
본 발명의 생면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사용된 밀기울의 입자 크기 분포를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생면 3에 사용된 밀기울의 입자 크기는 전체 중 70% 이상이 밀가루(Flour)의 입자 분포와 겹치고, 이에 따라 입자 크기가 밀가루의 입자 크기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초고속 원심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를 상이하게 마쇄한 본 발명의 생면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사용된 밀기울의 외관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용매 보유 능력 측정
본 발명의 생면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사용된 밀기울의 물 흡수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물에서의 용매 보유 능력(SRC)을 측정하였고, 손상 전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살피기 위해 5% 탄산나트륨 용액에서의 용매 보유 능력(SRC)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표 1]
밀기울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물과 탄산나트륨에서의 SRC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생면의 외관 관찰
본 발명의 생면 1 내지 3 및 비교 생면 1의 외관을 관찰하였으며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생면에 혼합된 밀기울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짙은 갈색이 나타남과 면 내에 불균일하게 분포된 밀기울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밀기울의 입자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색상이 옅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생면의 텍스쳐 관찰
텍스쳐 측정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생면 1 내지 3 및 비교 생면 1의 강도, 신장성, 및 강도/신장성 비율을 측정하였고,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밀기울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강도, 신장성 및 강도/신장성 비율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고, 밀기울의 비율이 동일한 경우, 입자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여, 강도/ 신장성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자 크기가 작은 밀기울을 혼합한 밀가루로 제조한 생면은 점착력이 커서 조리 시 밀기울이 조리수에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기능성 유용 성분의 보존 효과가 증대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표 2]
실험예 5. 생면의 조리수 탁도 및 조리면의 텍스쳐 측정
본 발명의 생면 1 내지 3 및 비교 생면 1을 삶은 후 조리수의 탁도 및 텍스쳐 측정기를 이용하여 조리면의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을 참조하면, 밀기울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탁도가 증가하였고, 이는 밀기울의 유출이 많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조리면의 경도, 점착성, 탄성 및 씹힘성은 급격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밀기울의 혼합 비율이 동일한 경우, 입자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탁도가 감소하였고, 이는 밀기울이 유출이 적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조리면의 경도, 점착성, 탄성 및 씹힘성은 모두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 감소가 텍스쳐를 개선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3]
실험예 6. 페놀 화합물, 안토시아닌 및 항산화 활성 측정
본 발명의 생면 1 내지 3 및 비교 생면 1을 동결 건조하여 총 페놀 화합물, 안토시아닌, 항산화 활성(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이를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밀기울의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총 페놀 화합물, 안토시아닌, 항산화 활성은 모두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기울의 혼합 비율이 동일한 경우, 입자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총 페놀 화합물, 안토시아닌, 항산화 활성은 모두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밀기울의 면에서의 균일한 분포를 의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밀기울의 입자 크기 조절에 의해 제면적성이 개선되고 우수한 생면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표 4]
[표 5]
실험예 7. 생면의 외관
본 발명의 생면 1 내지 3 및 비교 생면 1의 외관을 관찰하여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 (S1) 유색 밀기울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하여 유색 밀기울의 평균 입자 크기를 120 내지 600 ㎛ 범위로 조절하는 단계;
(S2) 상기 분쇄된 유색 밀기울을 수분 함량을 10 내지 15%로 맞춘 밀가루와 30 내지 50 : 50 내지 70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밀가루를 제조하는 단계;
(S3) 상기 혼합 밀가루과 소금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S4) 상기 반죽을 휴지시키는 단계; 및
(S5) 상기 반죽으로 생면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 단계에서 상기 밀가루 90 내지 110 중량부; 물 34 내지 48중량부; 및 소금 1.8 내지 2.2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는 20 내지 40℃ 범위의 온도; 및 80 내지 90%의 상대 습도에서 15분 내지 60분 동안 휴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는
(S5a) 상기 (S4) 단계에서 휴지된 반죽을 3 ㎜, 2 ㎜ 및 1.5 ㎜ 간격의 롤러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면대를 형성하는 단계; 및
(S5b) 상기 면대를 5.0 내지 6.0 ㎜의 너비; 및 1.0 내지 2.0 ㎜의 두께로 절단하여 면을 형성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601A KR102371541B1 (ko) | 2021-09-16 | 2021-09-16 | 입자 크기가 감소된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601A KR102371541B1 (ko) | 2021-09-16 | 2021-09-16 | 입자 크기가 감소된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1541B1 true KR102371541B1 (ko) | 2022-03-04 |
Family
ID=80813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3601A KR102371541B1 (ko) | 2021-09-16 | 2021-09-16 | 입자 크기가 감소된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15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8734A (ko) | 2022-03-24 | 2023-10-05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발아율이 높은 효소발아귀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류의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4729A (ko) * | 2016-04-06 | 2017-10-16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볶은 밀기울 및 흑미강의 혼합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
KR20180059023A (ko) * | 2016-11-25 | 2018-06-04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귀리 함유 밀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80103320A (ko) * | 2017-03-09 | 2018-09-19 | 한국식품연구원 | 비체적을 향상시키는 빵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빵 |
KR20200073575A (ko) * | 2018-12-14 | 2020-06-24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밀기울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국수 |
-
2021
- 2021-09-16 KR KR1020210123601A patent/KR1023715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14729A (ko) * | 2016-04-06 | 2017-10-16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볶은 밀기울 및 흑미강의 혼합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국수 제조방법 |
KR20180059023A (ko) * | 2016-11-25 | 2018-06-04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귀리 함유 밀 가공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80103320A (ko) * | 2017-03-09 | 2018-09-19 | 한국식품연구원 | 비체적을 향상시키는 빵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빵 |
KR20200073575A (ko) * | 2018-12-14 | 2020-06-24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밀기울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국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38734A (ko) | 2022-03-24 | 2023-10-05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발아율이 높은 효소발아귀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면류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aylor et al. | Effects of processing sorghum and millets on their phenolic phytochemical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to the health‐enhancing properties of sorghum and millet food and beverage products | |
Ziemichód et al. | Seeds of Plantago psyllium and Plantago ovata: Mineral composition, grinding, and use for gluten‐free bread as substitutes for hydrocolloids | |
CN105594811B (zh) | 一种无麸质木薯营养饼干及其制备方法 | |
CN105105006B (zh) | 一种马铃薯为主要原料制备的马铃薯热干面及其制备方法 | |
KR102371541B1 (ko) | 입자 크기가 감소된 유색 밀기울을 함유하는 생면의 제조 방법 | |
KR20210039769A (ko) |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 |
KR101945827B1 (ko) | 저항전분 함량, 식미와 저장성이 개선된 현미의 특성 및 이의 제조 방법 | |
Gull et al. | RETRACTED ARTICLE: Nutritional, technological, and medical approach of finger millet (Eleusine coracana) | |
KR101267449B1 (ko) | 도정하지 않은 붉은 계열 수수가루 함유 건강빵의 제조방법 | |
KR101478238B1 (ko) | 귀리를 이용한 두텁떡의 제조방법 | |
KR20150132935A (ko) | 체중조절용 저칼로리 식품 매직라이스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3431290A (zh) | 一种荞麦苦瓜枸杞面的制备方法 | |
CN113907108A (zh) | 一种低糖低脂黑木耳藜麦营养发酵饼干及其制备方法 | |
Chandrasekara et al. | Minor millet processing and its impacts on composition | |
JP6128515B2 (ja) | 味噌水溶液に浸漬した粉状質米を原料とする加工食品 | |
RU2627560C1 (ru) |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основ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ста из цельного гидролизованного пророщенного зерна пшеницы и состав тестовой заготовки, полученный 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 |
CN113017075A (zh) | 一种全谷物粉丝及其制备方法 | |
JP2012244936A (ja) | 米デンプン含有粉並びにその製造方法 | |
KR101811237B1 (ko) | 구약감자를 이용한 저칼로리의 곤약식품 및 그 제조방법 | |
JP4666376B2 (ja) | 甘皮及びその製造方法 | |
Skjerve | Microscopic examination of banana, potato, wheat and oat: influence of pre-digestive processing on cellularity and structure | |
KR100904193B1 (ko) | 기능성 혼합곡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H04108362A (ja) | 粥状食物繊維とその増強食品 | |
KR20200073575A (ko) | 밀기울을 이용한 국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국수 | |
Kukade et al.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organoleptic and microbial quality of guar gum incorporated composite flour cook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