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328B1 -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328B1
KR102370328B1 KR1020200184916A KR20200184916A KR102370328B1 KR 102370328 B1 KR102370328 B1 KR 102370328B1 KR 1020200184916 A KR1020200184916 A KR 1020200184916A KR 20200184916 A KR20200184916 A KR 20200184916A KR 102370328 B1 KR102370328 B1 KR 102370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peaker
coupling
elastic member
speak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제종성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4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착모듈,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모듈, 및 장착모듈과 스피커모듈을 연결하며, 일 방향에 대한 스피커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모듈을 포함하여, 주변 환경에 따라 스피커모듈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THE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환경에 따라 청취 성능을 조정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확성기 또는 라우드 스피커라고도 한다. 진동판이 공기중에 직접 놓이는 종류를 복사형 스피커라 하고, 진동판이 혼(horn) 속에 놓이는 종류를 혼형 스피커라고 한다. 직접 복사형은 보통 라디오 스테레오 장치에 많이 쓰이는 콘(cone)스피커가 대부분이며, 금속진동판을 사용한 것도 있다.
최근 스마트 안경 등이 개발되면서, 안경에 음향을 구현하는 스피커가 장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가 지지수단 즉, 템플(TEMPLE)의 내부에 장착된다. 안경 착용자는 안경 착용에 의해 템플에 장착된 스피커로부터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스피커가 템플의 내부에 고정되므로,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의 귀에 대한 스피커의 위치가 고정적이다. 따라서, 주변 환경(예컨대, 시끄러운 공간)에 따라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가 음향을 청취하는데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의 음향을 구현하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장착되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착모듈;,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모듈, 및 장착모듈과 스피커모듈을 연결하며, 일 방향에 대한 스피커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결합되는 클립모듈,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모듈, 및 일 방향을 따라 스피커모듈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클립모듈에 결합되는 위치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환경에 따라 스피커 모듈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최적의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착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착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모듈과 위치조정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조정모듈과 도 2에 도시된 장착모듈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일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위치조정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탄성부재와 결합부의 확대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위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착모듈(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착모듈(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모듈(20)과 위치조정모듈(3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위치조정모듈(30)과 도 2에 도시된 장착모듈(10)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2)의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음향 청취감을 주변 환경에 따라 조정하기 위한 무선 스피커 장치로서, 장착모듈(10), 스피커모듈(20) 및 위치조정모듈(30)을 포함한다. 장착모듈(10)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피커모듈(20)은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모듈(20)은 별도의 전자기기(미도시)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위치조정모듈(30)은 장착모듈(10)과 스피커모듈(20)을 연결한다. 위치조정모듈(30)은 일 방향(X)에 대한 스피커모듈(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은 안경, 선글라스, 고글 및 헤어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모듈(10)은 안경 등의 다리(머리에 착용되는 지지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모듈(10)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용이하게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착모듈(10)은 결합 및 결합해제에 따라 일 방향(X)에 대한 장착모듈(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장착모듈(10)은 케이스(100)와 탄성부재(110) 및 슬라이딩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10)는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120)는 탄성부재(110)에 연결된다.
슬라이딩부재(120)는 일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 (Y))으로 슬라이딩 된다. 일 실시 예로, 슬라이딩부재(120)는 홀딩부(121)와 슬라이더(12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딩부(121)는 케이스(100)의 외부에 배치된다. 슬라이더(122)는 홀딩부(121)와 탄성부재(110)에 연결된다. 탄성부재(110)는 코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더(122)가 탄성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딩부(121) 전체가 특정 위치로 쏠리지 않고 균형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슬라이더(122)는 케이스(100)를 관통하며, 슬라이더(122)의 일측은 홀딩부(121)에 연결되고, 타측은 탄성부재(110)에 연결된다. 홀딩부(121)의 상승에 따라, 슬라이더(122)가 함께 슬라이딩 된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110)가 변형되어 슬라이더(122)가 홀딩부(121)의 상승과 반대 방향(Y)으로 가압될 수 있다. 홀딩부(121)가 릴리스(release)되면, 탄성부재(110)에 의해 슬라이더(122)가 자동으로 하 방향(Y)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홀딩부(121)가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2)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00) 또는 탄성부재(110)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2)의 지지수단(예컨대, 안경 다리)을 사이에 두고 홀딩부(121)와 마주보게(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홀딩부(121)를 슬라이딩부재(1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2)으로부터 장착모듈(1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위치에 장착모듈(10)이 배치된 후, 홀딩부(121)는 릴리스(release)되어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2)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즉, 장착모듈(10)의 결합 및 결합해제가 용이하다. 또한, 결합 및 결합해제가 용이하므로, 일 방향(X)에 대한 장착모듈(1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위치조정모듈(30)은 결합레일(300)과 결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결합레일(300)은 장착모듈(10) 및 스피커모듈(2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10)는 장착모듈(10) 및 스피커모듈(20)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10)는 결합레일(300)에 결합된다. 결합부(310)는 결합레일(300)을 따라 이동(슬라이딩)하여 결합레일(300) 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의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일 방향(X)에 대한 스피커모듈(2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결합레일(300)은 일 방향(X)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삽입돌기(301)와 삽입홈(30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레일(300)은 일 방향(X)과 수직한 방향(Y)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리세스되는 결합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레일(300)은 탄성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10)는 결합레일(300)에 결합된다. 결합부(310)는 바디부(311) 및 체결암(3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1)는 한 쌍의 결합레일(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암(312)은 바디부(311)로부터 일 방향(X)을 따라 연장되며, 바디부(311)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310)는 플라스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체결암(312)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암(312)이 바디부(311)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체결암(312)은 후크(314)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314)는 체결암(312)의 단부에서 결합레일(30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후크(314)는 삽입홈(30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310)가 결합레일(30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결합부(301)의 후크(314)는 삽입홈(302)에 삽입된다. 또한, 결합부(310)가 결합레일(30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결합부(301)는 삽입돌기(301)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후크(314)가 삽입홈(302)에 삽입된 경우, 후크(314)의 양측에 배치된 삽입돌기(301)에 의해 후크(314)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3)의 일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위치조정모듈(3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탄성부재(1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3)는 클립모듈(10), 스피커모듈(20) 및 위치조정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모듈(10)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2)에 결합된다. 스피커모듈(20)은 음향을 생성한다. 위치조정모듈(30)은 일 방향(X)을 따라 스피커모듈(20)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클립모듈(10)에 결합된다. 스피커모듈(20)과 관련하여 상술한 기술 내용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클립모듈(10)은 케이스(100)와 고정용 클립(1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용 클립(130)은 케이스(100)에 연결된다. 고정용 클립(130)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2)의 지지수단(예컨대, 안경 다리(2))을 감싸게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용 클립(130)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용 클립(130)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2)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질(장착될) 수 있다.
위치조정모듈(30)은 결합레일(300)과 결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레일(300)은 케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레일(300)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레일(300)은 삽입돌기(301)와 삽입홈(30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301)와 삽입홈(302)은 일 방향(X)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10)는 스피커모듈(20)에 연결되며, 결합레일(300)에 체결될 수 있다. 결합레일(300)은 클립모듈(10)을 향하여 오목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부(310)가 결합레일(300)을 따라 매끄럽게 이동되는 것을 돕는다.
일 실시 예로, 결합부(310)는 바디부(311) 및 탄성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1)는 스피커모듈(20)에 배치된다. 탄성부재(313)는 바디부(311)에 배치된다. 탄성부재(313)의 중앙부는 바디부(311)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레일(300)을 향하여 볼록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313)는 삽입돌기(301)를 지나는 동안 압축된다. 또한, 탄성부재(313)의 중앙부(C)는 삽입홈(30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302)의 양측에 배치된 삽입돌기(301)가 탄성부재(313)의 중앙부(C)를 지지하여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탄성부재(313)의 양단부(E)는 바디부(3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으로 탄성부재(313)의 중앙부(C)가 바디부(311)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5에서 설명된 위치조정모듈(30)이 도 6 내지 9에 관한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스피커 장치
10 : 장착모듈/클립모듈
100 : 케이스
110 : 탄성부재
120 : 슬라이딩부재
121 : 홀딩부
122 : 슬라이더
130 : 고정용 클립
20 : 스피커 모듈
30 : 위치조정모듈
300 : 결합레일
310 : 결합부

Claims (13)

  1.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착모듈;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모듈; 및
    장착모듈과 스피커모듈을 연결하며, 일 방향에 대한 스피커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모듈을 포함하며,
    장착모듈은,
    케이스;
    케이스에 배치된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장착모듈은 결합 및 결합해제에 따라 일 방향에 대한 장착모듈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피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조정모듈은,
    장착모듈 및 스피커모듈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결합레일; 및
    장착모듈 및 스피커모듈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며, 결합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결합레일은 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삽입돌기와 삽입홈을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바디부; 및
    바디부로부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바디부에 대해 탄성 변형 가능한 체결암을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부재는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스피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부재는,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는 홀딩부; 및
    홀딩부와 탄성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9. 사람의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결합되는 클립모듈;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모듈; 및
    일 방향을 따라 스피커모듈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클립모듈에 결합되는 위치조정모듈을 포함하며,
    클립모듈은 케이스 및 케이스에 연결된 고정용 클립을 포함하고,
    위치조정모듈은,
    케이스에 배치되며, 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 삽입돌기와 삽입홈를 포함하는 결합레일; 및
    스피커모듈에 연결되며, 결합레일에 체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결합부는
    바디부; 및
    바디부에 연결되며, 결합레일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양 단부는 바디부에 고정되며,
    탄성부재의 중앙부는 결합레일을 향하여 볼록한 스피커 장치.
KR1020200184916A 2020-12-28 2020-12-28 스피커 장치 KR10237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916A KR102370328B1 (ko) 2020-12-28 2020-12-28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916A KR102370328B1 (ko) 2020-12-28 2020-12-28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328B1 true KR102370328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916A KR102370328B1 (ko) 2020-12-28 2020-12-28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3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29A (ko) * 2000-08-16 2002-02-25 김성일 가변형 다채널헤드폰 지지장치
JP2012070245A (ja) * 2010-09-24 2012-04-05 Nishi Nihon Kosoku Doro Maintenance Kansai Kk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ホン及び該ヘッドホンを有するヘルメット
KR20160024690A (ko) * 2014-08-26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29A (ko) * 2000-08-16 2002-02-25 김성일 가변형 다채널헤드폰 지지장치
JP2012070245A (ja) * 2010-09-24 2012-04-05 Nishi Nihon Kosoku Doro Maintenance Kansai Kk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ホン及び該ヘッドホンを有するヘルメット
KR20160024690A (ko) * 2014-08-26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2864B2 (ja) 眼鏡フレーム用モダン
KR101762142B1 (ko) 이어윙
US8287123B2 (en) Eyeglass frame without nose pad and eyeglass supporting method thereof
JP3985094B2 (ja) 骨導スピー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688755B1 (ko) 소형 골 전도 오디오 트랜스듀서
US20090290730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JP3866200B2 (ja) イヤホン付きイヤマフ
US201702082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yewear media device
CN103067809B (zh) 一种头戴耳机调整装置及一种头戴耳机
WO2022110957A1 (zh) 一种可穿戴设备
CN110049392B (zh) 音频与视频罩及包括其的系统
KR101757845B1 (ko) 헬멧용 골전도 음향장치
CN214704204U (zh) 眼镜及其镜腿
WO2014097744A1 (ja) 骨導レシーバ
CN110944272A (zh) 具有可调节骨传导声学装置的头部穿戴设备
JP2023531450A (ja) イヤホン用のアダプタ
KR20100106836A (ko) 골 전도 스피커
ITMI20131797A1 (it) Trasduttore elettromagnetico per generare vibrazioni per la conduzione ossea di suoni e/o parole
KR102370328B1 (ko) 스피커 장치
KR101885621B1 (ko) 사용자 착용 장비에 구비되는 진동 출력 장치
KR102033767B1 (ko) 안경 착탈형 골전도 이어폰
KR20190043615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US20210084399A1 (en) Hear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CN113154235B (zh) 头戴支架及头戴设备
KR102093933B1 (ko) 이어폰을 안경테에 장착하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