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904B1 -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904B1
KR102369904B1 KR1020200013797A KR20200013797A KR102369904B1 KR 102369904 B1 KR102369904 B1 KR 102369904B1 KR 1020200013797 A KR1020200013797 A KR 1020200013797A KR 20200013797 A KR20200013797 A KR 20200013797A KR 102369904 B1 KR102369904 B1 KR 10236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call
tim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887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한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한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한손
Priority to KR102020001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5/00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 G04B25/02Indicating the time by other means or by combined means by feeling; Clocks or watches for blind persons
    • G04B25/04Alarm clocks or watches with devices stimulating the ski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lock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을 돕기 위해 시계, 타이머 및 물건 찾기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MULTIFUNCTIONAL DEVICE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의 자립을 돕기 위해 시계, 타이머 및 물건 찾기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행 의료법은 시각장애인에게만 안마사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복지 정책이 미흡하고 안마사가 시각장애인이 선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직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실직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시각장애인 안마사의 경우, 사람을 안마할 때, 사람마다 집중적으로 안마를 요구하는 부위가 다르고, 이로 인하여 안마 시간이 달라지는 문제가 있어, 안마 서비스 제공을 하기 위한 타이머가 필요하며, 시간 확인을 위한 시계도 필요하고, 사람이 많은 식당 등에서 신발을 헤매지 않고 찾을 수 있는 물건 찾기 기능도 필요하다.
종래에 시장에 나와 있는 제품은 시계 기능에 진동/음성 기능만으로 동작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물건 찾기 기능이 없어 시각장애인이 물건을 찾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물건 찾기 기능이 있는 제품의 경우, 핸드폰과 연동하는 제품이 대부분이어서, 시각으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시각장애인이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007743]에서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007743](등록일자: 2019년07월31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장애인의 자립을 돕기 위해 시계, 타이머 및 물건 찾기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능 모드를 결정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계, 타이머,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주처리부(110),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음성 출력지시를 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주음성부(120),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진동 출력지시를 받아 진동을 출력하는 주진동부(130) 및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무선호출 지시를 받아 보조모듈부(200)를 무선으로 호출하는 주호출부(140)를 포함하는 주모듈부(100); 및 상기 주호출부(140)의 호출에 따라 음성 알람을 발생시키는 보조모듈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처리부(110)는 출력 모드를 음성, 진동 또는 음성 및 진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주모듈부(100)는 3단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출력모드설정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출력 모드 설정 3단 스위치(150)에 의해 상기 출력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처리부(110)는 기능 모드를 시계 및 타이머 또는 무선호출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주모듈부(100)는 3단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기능모드설정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기능모드설정부(160)에 의해 상기 주모듈부(100)의 전원 오프(off) 및 상기 기능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모듈부(1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타이머설정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타이머설정부(170)의 입력에 따라 타이머의 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타이머설정부(170)은 한 번 누를 때 마다 타이머 시간이 일정 시간만큼 증가하되, 미리 결정된 시간까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로 구비되되, 한 번 누를 때 마다 증가하는 시간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모듈부(1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타이머조작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타이머조작부(180)의 입력에 따라 타이머 작동 및 정지가 교번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주모듈부(1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호출조작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호출조작부(190)의 입력에 따라 무선호출 기능 수행 시에는 보조모듈부(200)를 무선으로 호출하고, 무선호출 기능 외의 기능 수행 시에는 현재 시간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모듈부(2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보조전원작동부(250); 및 상기 보조모듈부(2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에 의하면, 시계, 타이머 및 물건 찾기 기능을 통해 음성 및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필요로 하는 정보를 모두 제공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자립하는데 필요로 하는 필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버튼의 개수 및 스위치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직관성을 증대시켜 별도의 학습이 없이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빠르게 사용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주모듈부 하나로 다수의 보조모듈부를 호출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많은 물건을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주모듈부로 보조모듈부를 호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보조모듈부로 주모듈부를 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모듈부 또는 보조모듈부 어느 하나라도 소지하고 있다면 소지하지 않은 다른 것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주모듈부에 입력 수단 역할을 하는 구성이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보조모듈부에 입력 수단 역할을 하는 구성이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가 하나의 주모듈부에 다수의 보조모듈부가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모듈부에 입력 수단 역할을 하는 구성이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보조모듈부에 입력 수단 역할을 하는 구성이 구비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가 하나의 주모듈부에 다수의 보조모듈부가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는 주모듈부(100) 및 보조모듈부(200)를 포함하며, 주모듈부(100)는 주처리부(110), 주음성부(120), 주진동부(130) 및 주호출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모듈부(100) 및 보조모듈부(200)는 분리 독립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 독립되었다는 것은 서로 다른(분리된) 각각의 하우징이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소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처리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능 모드를 결정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계, 타이머,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주처리부(110)는 기능 모드에 따라 시계, 타이머,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출력 모드에 따라 음성, 진동이 출력되도록 한다.
주음성부(120)는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음성 출력지시를 받아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주음성부(120)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알리는 수단으로 스피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주진동부(130)는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진동 출력지시를 받아 진동을 출력한다.
상기 주진동부(130)는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알리는 수단으로 진동모터, 멀티액츄에이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주호출부(140)는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무선호출 지시를 받아 보조모듈부(200)를 무선으로 호출한다.
상기 주호출부(14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보조모듈부(200)를 무선으로 호출한다.
보조모듈부(200)는 상기 주호출부(140)의 호출에 따라 음성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모듈부(200)는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처리부(210), 상기 주호출부(1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보조호출부(220) 및 상기 보조처리부(210)로부터 음성 출력지시를 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보조음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모듈부(200)는 상기 주모듈부(100)를 휴대한 시각장애인이 찾고자 하는 물건에 두고, 해당 물건을 찾고자 할 때, 소리가 나도록 하여 물건을 찾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 하는 식당 등에서 신발을 벗자마자 신발 안쪽에 상기 보조모듈부(200)를 넣어둔다면 자신의 신발을 헤매지 않고 찾을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모듈부(200)가 음성 알람을 발생시키는 예를 들었으나, 음성 알람 뿐 아니라 진동 알람까지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모듈부(200)는 상기 보조처리부(210)로부터 진동 출력지시를 받아 진동을 출력하는 보조진동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음성으로 대략적인 위치는 알 수 있으나, 찾는 물건 주변에 비슷한 물건이 여러 개 놓여있다면 소리만으로 찾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진동 유무로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물건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소리로 대략적인 위치를 추정하고, 진동으로 정확하게 물건을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는 음성 및 진동을 통해 시간 안내(시계) 및 알람 기능(타이머)을 갖는 주모듈부(100)와 음성 출력을 갖는 보조모듈부(200)로 구성된 시스템으로써,
주모듈부(100)만 동작 시 시계 및 타이머 기능으로 동작 가능하며, 시계 기능은 음성 및 진동으로 시간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고, 타이머 기능은 정해 놓은 시간(설정 시간)에 맞추어 음성 및 진동으로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타이머 기능은 설정 시간 기준 사전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전 알림 시간이 되었을 때 1차 알림 기능을 수행하고, 타이머 카운트 완료 시 타이머 작동 완료에 대한 2차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를 40분으로 설정하고, 사전 알람을 10분을 설정하였을 경우, 30분이 경과하면(10분이 남았을 때) 사전 알람을 울리고, 40분이 경과하면 종료 알람을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사전 알람 및 종료 알람은 사용자의 입력이 없어도 일정 시간 사용자에게 알림 기능을 수행하고 자동으로 종료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으로 알림 기능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보조모듈부(200)는 주모듈부(100)에 의한 무선 통신(RF 통신)에 의해 동작하며, 주모듈부(100)는 보조모듈부(200) 호출 시 고유 아이디를 포함한 문자열을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보조모듈부(200)는 주모듈부(100)로부터 수신된 문자열을 수신하여 고유 아이디를 분석하고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보조모듈부(200)는 수신된 문자열이 유효할 경우, 메모리부의 음성데이터를 읽어 와서 출력할 수 있다.
즉, 고유 아이디를 메모리부에 별도로 저장하며, 메모리부에서 고유 아이디를 읽어 와서 비교 분석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주모듈부(100)와 보조모듈부(200)의 음성 데이터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또는 AD 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부에 순차적으로 저장되며, 음성 출력 시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에 대해 조합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주모듈부(100)와 보조모듈부(200)의 전원부는 USB C-type을 적용하여 충전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배터리의 잔량은 배터리의 측정 전압을 기준으로 판단하며 측정 전압이 일정 설정 전압보다 낮을 경우 충전할 것을 알리는 음성 및 진동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 전압은 배터리 셀의 충전 제한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 완료 유무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주처리부(110)는 출력 모드를 음성, 진동 또는 음성 및 진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음성만 출력되도록 하거나, 진동만 출력되도록 하거나, 음성과 진동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출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주모듈부(100)의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및 하측면도를 보여주는 예시도로, 주모듈부(100)에 입력 수단 역할을 하는 구성이 어떻게 구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예시는 입력수단을 간소화 시킴과 동시에 직관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이 빠르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사용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주모듈부(100)는 3단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출력모드설정부(150)를 포함하며, 주처리부(110)는 상기 출력 모드 설정 3단 스위치(150)에 의해 상기 출력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형태의 3단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 스위치가 일측에 위치하였을 경우 진동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스위치가 중간에 위치하였을 경우 음성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위치가 타측에 위치하였을 경우 진동과 음성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의 형태와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결정(변경)되는 출력 모드에 대해서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주처리부(110)는 기능 모드를 시계 및 타이머 또는 무선호출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시계 기능과 타이머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거나, 무선 호출 기능만 수행하도록 기능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주모듈부(100)는 3단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기능모드설정부(160)를 포함하며, 주처리부(110)는 상기 기능모드설정부(160)에 의해 상기 주모듈부(100)의 전원 오프(off) 및 상기 기능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형태의 3단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 스위치가 일측에 위치하였을 경우 전원 오프(off)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스위치가 중간에 위치하였을 경우 전원 온(on) 및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스위치가 타측에 위치하였을 경우 전원 온(on) 및 시계 기능과 타이머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의 형태와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결정(변경)되는 기능 모드에 대해서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기능 모드가 변경되면, 출력 모드에 따라(음성 출력이면 음성으로, 진동 출력이면 진동으로 음성+진동 출력이면 음성과 진동으로) 기능모드가 바뀌었음을 알리는 알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0.1초 진동 등)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의 진동(0.1초 진동, 0.2초 진동, 진동 한 번, 진동 두 번 등)이 울리도록 하거나, 어떤 모드로 변경되었는지 알리도록 음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주모듈부(1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타이머설정부(170)를 포함하며, 주처리부(110)는 상기 타이머설정부(170)의 입력에 따라 타이머의 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설정부(170)는 상기 주처리부(110)에 타이머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버튼 스위치를 눌러 타이머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설정부(170)가 버튼 스위치 하나로 구성될 경우, 타이머를 설정하는 예를 들면, 버튼 스위치를 짧게(1초 미만) 누를 때마다 10분씩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증가 하도록 하고, 길게(1초 이상) 누를 때마다 30분씩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증가 하도록 하여, 버튼을 길게 누르고 짧게 누르는 것의 조합으로 타이머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스위치를 일정 시간 이상(3초 이상 등)누르고 있으면 타이머 설정을 초기화 하도록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버튼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여 타이머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버튼 스위치는 정안인과 비정안인이 모두 버튼을 구분하고, 그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각 버튼의 형태를 달리 하는 것도 가능하고, 버튼 또는 버튼 주변(상부 등) 위치에 돌기(점자 등)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타이머설정부(170)은 한 번 누를 때 마다 타이머 시간이 일정 시간만큼 증가하되, 미리 결정된 시간까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로 구비되되, 한 번 누를 때 마다 증가하는 시간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을 1회 누를 때마다 10분씩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증가 하도록 하는 10분 버튼, 버튼을 1회 누를 때마다 30분씩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증가 하도록 하는 30분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최대 12시간까지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버튼을 누를 때마다 0.1초 진동으로 피드백을 주거나, 10분 버튼 2회 누를 시 1회 누르면 "10분" 1회 추가로 누르면 "20분"이라고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10분 버튼과 30분 버튼을 조합하여 시간 설정(40분 설정 시 10분 버튼 1 번 30분 버튼 1 번 누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타이머설정부(170)가 두 개의 버튼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 주처리부(110)는 두 개의 버튼을 동시에 일정 시간 이상(2초 이상 등) 누르면 시간 설정 모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시간 설정 모드로 진입된 경우 일정 시간(0.3초 등) 진동일 발생시키거나 음성 안내로 시간 설정 모드로 진입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시간 설정 모드에서 시간을 설정하는 예를 10분 버튼과 30분 버튼이 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10분 버튼을 1회 누를 때마다 1시, 2시, 3시, 4시, 5시, 6시, 7시,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3시, 14시, 15시, 16시, 17시, 18시, 19시, 20시, 21시, 22시, 23시, 24시 (토글)로 이동하며, 이동된 시간을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30분 버튼을 1회 누를 때마다 0분, 1분, 2분, 3분, 4분, 5분 …… 59분 (토글)으로 이동하며, 이동된 시간을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시간 설정 모드에서 설정된 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특정 버튼(후술하는 타이머조작부(180)의 버튼 스위치 또는 호출조작부(190)의 버튼 스위치 등)을 누르는 것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간 설정 모드에서 시간 설정이 완료된 후 시간 설정 모드를 빠져나오는 방법으로는 특정 버튼(후술하는 타이머조작부(180)의 버튼 스위치 또는 호출조작부(190)의 버튼 스위치 등)을 일정시간 이상(2초 이상 등) 길게 누르는 것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간 설정 모드에서 시간 설정이 완료된 후 시간 설정 모드를 빠져나오는 순간 현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멘트가 출력되도록 하여, 설정된 시간이 정확한지 다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주모듈부(1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타이머조작부(180)를 포함하며, 주처리부(110)는 상기 타이머조작부(180)의 입력에 따라 타이머 작동 및 정지가 교번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이머조작부(180)의 버튼 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타이머가 동작되도록 하여, 설정 된 시간이 될 때 까지 카운팅(Down count, Up count 모두 가능)을 시작하며, 진동(0.2초 진동 등)이나 음성으로 타이머가 작동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타이머 동작 중에 타이머조작부(180)의 버튼 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타이머가 일시 정지되도록 할 수 있고, 타이머 일시 정지 상태에서 타이머조작부(180)의 버튼 스위치를 한 번 누르면 타이머가 정지되었던 시간부터 다시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진동(0.2초 진동 등)이나 음성으로 타이머의 작동 상태를 알릴 수 있다.
타이머의 작동이 완료(카운팅 완료)되어 설정된 알람시간에 도달할 시에 진동 출력은 5초 진동 후 1초 공백 후 다시 5초 진동 등 다양한 패턴 적용이 가능하고, 음성 출력은 타이머 시간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음악, 특정 패턴의 소리, 안내멘트 등 다양한 음성 출력 적용이 가능하다.
타이머의 작동이 완료(카운팅 완료)되어 출력되는 진동, 음성 또는 진동 및 음성은 즉, 상기 타이머조작부(180)의 버튼 스위치를 한 번 누르는 것으로 출력을 중단 시킬 수 있다.
타이머 작동 중 타이머를 리셋 시키는 방법으로는 기능 모드 변경, 타이머조작부(180)의 버튼 스위치를 길게(3초 이상) 누르는 것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 모드 변경으로 타이머가 리셋 된 경우, 기능 모드가 일정 시간(1초 등) 이내에 원복 될 경우, 리셋을 취소하여 타이머가 재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조작 실수로 인해 타이머가 리셋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주모듈부(1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호출조작부(190)를 포함하며, 주처리부(110)는 상기 호출조작부(190)의 입력에 따라 무선호출 기능 수행 시에는 보조모듈부(200)를 무선으로 호출하고, 무선호출 기능 외의 기능 수행 시에는 현재 시간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에서 상기 처리부(110)는 호출조작부(190)의 버튼 스위치가 눌렸을 경우, 상기 주호출부(140)로 무선 호출 지시를 보내고, 상기 주호출부(140)는 무선 통신(RF 통신)에 의해 보조모듈부(200)에 호출 신호를 보낸다.
무선 호출 지시를 보내면, 출력 모드에 따라(음성 출력이면 음성으로, 진동 출력이면 진동으로 음성+진동 출력이면 음성과 진동으로) 무선 호출 지시를 보냈음을 알리는 알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3초 진동 등이 울리도록 하거나, 무선 호출을 보냈음을 알리도록 음성(Beep 음성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호출 기능 외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에서 상기 처리부(110)는 호출조작부(190)의 버튼 스위치가 눌렸을 경우, 현재 시간을 알리는 안내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시간을 알리는 안내멘트는 출력 모드와 관계없이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에게 진동 만으로 현재 시각을 알리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안내멘트의 예로는 "현재 시간은 00시 00분 입니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시간 표기 방법으로는 오전 오후 구분 없이 24시간제로 적용(ex) 13시, 14시 …. )하여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가 동작 중일 때에는 호출조작부(190)의 버튼 스위치가 눌렸어도 현재 시간을 알리는 안내멘트를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는 다수의 보조모듈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모듈부(100)는 다단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보조모듈부(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선택하는 보조모듈선택부(195)를 포함하며, 주처리부(110)는 무선호출 기능 수행 시 상기 보조모듈선택부(195)에 의해 선택된 보조모듈부(200)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모듈부(200)를 3 개 구비하고 슬라이드 형태의 3단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 스위치가 일측에 위치하였을 경우 첫 번째 보조모듈부(200)만 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스위치가 중간에 위치하였을 경우 두 번째 보조모듈부(200)만 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위치가 타단에 위치하였을 경우 세 번째 보조모듈부(200)만 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조모듈부(200)를 3 개 구비하고 슬라이드 형태의 4단 스위치를 구비한 경우, 스위치가 1단에 위치하였을 경우 첫 번째 보조모듈부(200)만 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스위치가 2단에 위치하였을 경우 두 번째 보조모듈부(200)만 호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스위치가 3단에 위치하였을 경우 세 번째 보조모듈부(200)만 호출되도록 할 수 있고, 스위치가 4단에 위치하였을 경우 보조모듈부(200) 모두(3 개)가 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의 형태와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결정(변경)되는 호출 가능한 보조모듈부(200)에 대해서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는 상기 보조모듈부(200)의 정면도 및 우측면도를 보여주는 예시도로, 보조모듈부(200)에 입력 수단 역할을 하는 구성이 어떻게 구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예시는 입력수단을 간소화 시킴과 동시에 직관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이 빠르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사용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보조모듈부(2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보조전원작동부(250) 및 상기 보조모듈부(2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전원작동부(250)는 상기 보조모듈부(200)의 전원을 제어하는 입력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온(On)/오프(Off) 제어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오프(Off) 상태는 최대 절전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음량조절부(260)는 음량 볼륨을 조정하는 입력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의 보조모듈부(200)는 상기 주모듈부(100)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호출부(220)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주호출부(140)에 무선 호출 신호를 보낼 수 있고, 이를 확인한 주처리부(110)는 음성 또는 음성 및 진동으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보조모듈부(200)만 들고 있을 때, 주모듈부(100)를 찾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보조전원작동부(250)의 버튼 스위치는 온(On)/오프(Off) 제어 뿐 아니라 주모듈부(100)를 호출하는 입력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전원작동부(250)의 버튼 스위치를 짧게(1초 미만 등) 누를 경우에는 상기 주모듈부(100)를 호출하는 입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보조전원작동부(250)의 버튼 스위치를 길게(1초 이상 등) 누를 경우에는 상기 보조모듈부(200)의 전원 온(On)/오프(Off)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주모듈부
110: 주처리부 120: 주음성부
130: 주진동부 140: 주호출부
150: 출력모드설정부 160: 기능모드설정부
170: 타이머설정부 180: 타이머조작부
190: 호출조작부 195: 보조모듈선택부
200: 보조모듈부
210: 보조처리부 220: 보조호출부
230: 보조음성부 240: 보조진동부
250: 보조전원작동부 260: 음량조절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능 모드를 결정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시계, 타이머,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주처리부(110),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음성 출력지시를 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주음성부(120),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진동 출력지시를 받아 진동을 출력하는 주진동부(130),
    상기 주처리부(110)로부터 무선호출 지시를 받아 보조모듈부(200)를 무선으로 호출하는 주호출부(140) 및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호출조작부(190)
    를 포함하는 주모듈부(100); 및
    상기 주호출부(140)의 호출에 따라 음성 알람을 발생시키는 보조모듈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호출조작부(190)의 입력에 따라 무선호출 기능 수행 시에는 보조모듈부(200)를 무선으로 호출하고, 무선호출 기능 외의 기능 수행 시에는 현재 시간을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보조모듈부(200)는
    무선호출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처리부(210);
    상기 주호출부(1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보조호출부(220); 및
    상기 주호출부(140)의 호출에 따라 상기 보조처리부(210)로부터 음성 출력지시를 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보조음성부(230);
    상기 주호출부(140)의 호출에 따라 상기 보조처리부(210)로부터 진동 출력지시를 받아 진동을 출력하는 보조진동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주모듈부(100) 및 보조모듈부(200)는 분리 독립되어, 서로 다른 각각의 하우징이 형성되어, 개별적으로 소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부(110)는
    출력 모드를 음성, 진동 또는 음성 및 진동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모듈부(100)는
    3단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출력모드설정부(150)
    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출력 모드 설정 3단 스위치(150)에 의해 상기 출력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처리부(110)는
    기능 모드를 시계 및 타이머 또는 무선호출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모듈부(100)는
    3단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기능모드설정부(160)
    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기능모드설정부(160)에 의해 상기 주모듈부(100)의 전원 오프(off) 및 상기 기능 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모듈부(1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타이머설정부(170)
    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타이머설정부(170)의 입력에 따라 타이머의 시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설정부(170)은
    한 번 누를 때 마다 타이머 시간이 일정 시간만큼 증가하되, 미리 결정된 시간까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로 구비되되, 한 번 누를 때 마다 증가하는 시간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모듈부(1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타이머조작부(180)
    를 포함하며,
    상기 주처리부(110)는
    상기 타이머조작부(180)의 입력에 따라 타이머 작동 및 정지가 교번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모듈부(200)는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비되는 보조전원작동부(250); 및
    상기 보조모듈부(200)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부(260);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KR1020200013797A 2020-02-05 2020-02-05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KR102369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797A KR102369904B1 (ko) 2020-02-05 2020-02-05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797A KR102369904B1 (ko) 2020-02-05 2020-02-05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87A KR20210099887A (ko) 2021-08-13
KR102369904B1 true KR102369904B1 (ko) 2022-03-03

Family

ID=7731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797A KR102369904B1 (ko) 2020-02-05 2020-02-05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9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1023A (ja) 2011-08-12 2013-02-28 Yoji Akutsu 視覚障害者用生活支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847A (ko) * 2005-03-15 2006-09-20 왕익상 현재시간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4392A (ko) * 2009-06-15 2010-1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성 유도 시스템
KR101495590B1 (ko) * 2013-07-22 2015-02-25 대영유비텍 주식회사 시각 장애인 음성유도기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092212B1 (ko) * 2018-05-24 2020-03-23 배대호 시각 장애인 웨어러블 보조 기기
KR102007743B1 (ko) 2019-01-14 2019-08-07 주식회사 강한손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시각장애인용 손목 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1023A (ja) 2011-08-12 2013-02-28 Yoji Akutsu 視覚障害者用生活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887A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0615B (zh) 翻译方法及相关设备
US20120120773A1 (en) Variable Snooze Alarm
US10165547B2 (en) State change notification device,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tate change notification method
KR102369904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기능 장치
US9547281B2 (en) Electronic timer
JP2007309809A (ja) 携帯電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US9542816B1 (en) Wearable alert device having selectable alert volum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2300732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volume of true wireless stereo earphone using bluetooth
KR20010010168A (ko) 휴대폰 타이머 설정방법
JP2018055078A (ja) 電子機器、その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動作制御用のプログラム
JP6896563B2 (ja) 親機、および通信端末
KR20060093967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기적 단어 정보 알림 장치 및방법
KR200203919Y1 (ko) 점자 표시부를 갖는 진동형 알람손목시계
CN103533168A (zh) 一种情感信息交互方法、系统及情感互动装置
KR200429347Y1 (ko) 진동으로 터치감을 구현한 개인용 단말기
KR100640376B1 (ko) 통신단말기의 다중 알람 설정 방법
JP201712696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363811B1 (ko) 진동모드 유지시간 설정방법
WO2014034086A1 (ja) 補聴器、補聴器を用いた補聴システム、および補聴方法
KR200248976Y1 (ko) 손목시계형 휴대폰
KR20040076533A (ko) 시각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31717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알람 재 설정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3655837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による時刻報知方法
JP2012253521A (ja) 音声モニタ装置
JPS63164599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