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504B1 -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504B1
KR102369504B1 KR1020200076450A KR20200076450A KR102369504B1 KR 102369504 B1 KR102369504 B1 KR 102369504B1 KR 1020200076450 A KR1020200076450 A KR 1020200076450A KR 20200076450 A KR20200076450 A KR 20200076450A KR 102369504 B1 KR102369504 B1 KR 102369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alpost
sensing
light
visib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103A (ko
Inventor
양종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5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53Apparatus generating random stimulus signals for reaction-time training involving a substantial physical ef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2Testing reaction ti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0Athle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022/009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대(10)에 대응하는 형태의 감지 영역(111)을 형성하고, 상기 감지 영역(111) 내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100); 상기 골대(10)의 전방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광원(210)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광원(210)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상기 감지 영역(111) 내의 특정 위치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움직임유도부; 및 상기 감지부(100)의 감지 시간과 상기 광원(210)의 점등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순발력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Power measuring and training device for goalkeeper}
본 발명은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키퍼는 골대(10) 영역에서 필드 선수가 사용하지 못하는 신체의 모든 부분을 이용하여 상대의 슛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골키퍼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볼을 방어하기 위하여 근력, 유연성 뿐만 아니라 민첩성, 순발력, 평형성, 협응성 등이 요구된다.
이 중에서 순발력을 훈련시키는 장치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44976호의 순발력 측정 및 훈련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골키퍼가 불규칙하게 발광하는 발광수단을 터치하여 소등시키는 방식으로 골키퍼의 순발력을 훈련시킨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골대에 발광수단을 설치 및 고정하여 골키퍼의 방어 위치와 상대 슈터의 슈팅 위치에 따라 변하는 골키퍼의 방어 범위에 대한 훈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방어 범위에 대한 순발력 훈련을 수행하지 못한 골키퍼는 상대 슈터와 일대일 상황에서 방어 범위(또는 상대 슈터의 슈팅 허용 각도)를 좁히기 위하여 전진하는 기술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고, 다양한 방어 범위(예: 골대보다 높이가 높고 폭이 좁은 범위)를 방어하는데 비효율적 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44976호(2010.02.2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키퍼의 방어 위치와 상대 슈터의 슈팅 위치에 따라 변하는 골키퍼의 방어 범위에 대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는 골대(10)에 대응하는 형태의 감지 영역(111)을 형성하고, 상기 감지 영역(111) 내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100); 상기 골대(10)의 전방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광원(210)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광원(210)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상기 감지 영역(111) 내의 특정 위치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움직임유도부; 및 상기 감지부(100)의 감지 시간과 상기 광원(210)의 점등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순발력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골대(10)를 향하여 다수의 비가시광(N)을 조사하여 상기 감지 영역(111)을 형성하는 감지센서(110); 및 상기 골대(10)를 향하여 다수의 가시광(V)을 조사하여 상기 감지 영역(111)에 대응하는 가시 영역(121)을 형성하는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 영역(121)과 상기 골대(10)의 정렬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감지부(1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는 각각의 가시광(V)을 상기 골대(10)의 상측 기둥(11), 좌측 기둥(12) 및 우측 기둥(13)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는 각각의 가시광(V)을 상기 골대(10)의 각각의 꼭짓점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시광(N)은 적외선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100)는 상기 골대(10)를 향하여 다수의 비가시광(N)을 조사하여 상기 감지 영역(111)을 형성하는 감지센서(110); 및 상기 감지센서(110)를 덮어서 상기 각각의 비가시광(N)을 각각의 가시광(V)으로 변환하여 상기 감지 영역(111)에 대응하는 가시 영역(134)을 형성하는 광변환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 영역(134)과 상기 골대(10)의 정렬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비가시광(N)은 적외선 레이저이며, 상기 광변환부(130)는 상기 적외선 레이저를 가시광 레이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변환부(130)는 상기 감지센서(110)를 덮으며 상기 각 비가시광(N)을 상기 가시광(V)으로 변환하는 파장변환층(131); 및 상기 파장변환층(131)의 둘레면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110)의 둘레면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1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는 사용자에게 골키퍼의 방어 위치와 상대 슈터의 슈팅 위치에 따라 변하는 골키퍼의 방어 범위에 대한 훈련을 수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감지부가 골대에 감지 영역을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움직임감지부가 감지 영역 내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감지 영역을 골대와 정렬시키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감지 영역을 골대와 정렬시키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의 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의 감지부의 감지센서와 광변환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의 감지 영역을 골대와 정렬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감지부가 골대에 감지 영역을 설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움직임감지부가 감지 영역 내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는 골대(10), 감지부(100), 움직임유도부, 제어부(미도시) 및 이동부(300)를 포함한다.
골대(10)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좌측 기둥(12) 및 우측 기둥(13)을 가지며, 이러한 좌측 기둥(12)의 상단과 우측 기둥(13)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측 기둥(11)을 갖는다. 이러한 골대(10)는 축구 훈련용이나 핸드볼 훈련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골대(10)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위치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0)는 골대(10)에 대응하는 형태의 감지 영역(111)을 형성하고, 감지 영역(111) 내의 사용자를 감지한다. 감지 영역(111)은 골대(10)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후술할 다수의 광원(210)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감지 영역(111) 내로 움직임이 유도됨에 따라, 감지부(100)가 감지 영역(111) 내의 사용자를 감지하게 된다.
감지부(100)는 감지센서(110) 및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10)는 골대(10)를 향하여 다수의 비가시광(N)을 조사하여 감지 영역(111)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감지센서(110)는 골대(10)를 분할한 다수의 분할 영역을 향하여 다수의 비가시광(N)을 조사하여 감지 영역(111)을 형성한다. 이러한 감지 영역(111)은 단면적이 감지 센서(110)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넓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110)는 감지 영역(111) 내의 사용자에 의해 반사된 비가시광(N)을 감지함으로써, 감지 영역(111) 내의 사용자를 감지한다.
한편, 감지센서(110)는 골대(10)에서 반사된 비가시광(N)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골대(10)는 비가시광(N)의 흡수를 위한 검은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센서(110)는 단일 레이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단일 레이저센서의 비가시광(N)은 인체에 무해한 적외선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레이저센서는 골대(10)를 분할한 다수의 분할 영역을 향하여 다수의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와, 감지 영역(111)에서 반사된 적외선 레이저를 감지하는 수광 소자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센서(110)는 다수의 레이저센서(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가시광(N)은 인체에 무해한 적외선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레이저센서는 골대(10)를 분할한 다수의 분할 영역을 향하여 다수의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각각의 발광 소자와, 감지 영역(111)에서 반사된 적외선 레이저를 감지하는 각각의 수광 소자를 가진다.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감지 영역을 골대와 정렬시키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감지 영역을 골대와 정렬시키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는 감지센서(110)의 둘레면에 배열되는 것으로, 골대(10)를 향하여 다수의 가시광(V)을 조사하여 감지 영역(111)에 대응하는 가시 영역(121)을 형성한다. 이러한 가시 영역(121)에 의해 감지 영역(111)이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시 영역(12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매개로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가시 영역(12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는 가시 영역(121) 내에 골대(10)가 위치하는 경우 가시 영역(121)이 골대(10)와 정렬된 것으로 볼 수 있고, 가시 영역(121) 내에 골대(10)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 가시 영역(121)이 골대(10)와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 가지로,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는 가시 영역(121) 내에 골대(10)가 위치하는 경우 감지 영역(111)이 골대(10)와 정렬된 것으로 볼 수 있고, 가시 영역(121) 내에 골대(10)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 감지 영역(111)이 골대(10)와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불 수 있다.
따라서 가시 영역(12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감지부(100)의 위치 조절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 영역(111)과 골대(10)를 정렬 시키는 과정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를 작동시킨다.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는 각각의 가시광(V)을 골대(10)의 상측 기둥(11), 좌측 기둥(12) 및 우측 기둥(13)으로 조사하여 가시 영역(121)을 형성한다. 이 때, 사용자는 가시 영역(12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매개로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가시광(V)이 골대(10)의 상측 기둥(11), 좌측 기둥(12) 및 우측 기둥(13)에 조사 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사용자가 감지부(100)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가시 영역(121) 내에 골대(10)가 위치하게 되므로, 가시 영역(121)과 골대(10)의 정렬이 완료되고, 이로 인해, 감지 영역(11)과 골대(10)의 정렬도 완료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감지센서(11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시광(V)의 광경로로 이동하여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이하에서는 감지 영역(111)과 골대(10)를 정렬 시키는 과정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를 작동시킨다.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는 각각의 가시광(V)을 골대(10)의 네 개의 꼭짓점으로 조사하여 가시 영역(121)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는 각각의 가시광(V)을 좌측 기둥(12)의 양단과 우측 기둥(13)의 양단을 향하여 조사하여 가시 영역(121)을 형성한다. 이 때, 사용자는 가시 영역(12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매개로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가시광(V)이 골대(10)의 네 개의 꼭짓점에 조사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사용자가 감지부(100)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가시 영역(121) 내에 골대(10)이 위치하게 되므로, 가시 영역(121)과 골대(10)의 정렬이 완료되고, 이로 인해, 감지 영역(11)과 골대(10)의 정렬도 완료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감지센서(11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시광(V)의 광경로로 이동하여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움직임유도부는 감지 영역(111) 내의 특정 위치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움직임유도부는 골대(10)의 전방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골대(10)의 형태에 대응하는‘┏┓’자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광원(210)을 갖는다. 이러한 다수의 광원(210)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어 감지 영역(111) 내의 특정 위치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것이다. 여기서, 다수의 광원(210)이 점등되는 방식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수의 광원(210)은 엘이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부(100)의 감지 시간과 광원(210)의 점등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순발력을 산출한다.
제어부는 IOT(Internet of Things) 통신을 통하여 감지부(100)의 감지 시간과 광원(210)의 점등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미도시)와, 사용자의 순발력을 산출하기 위한 지능형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광원(210)이 1번 점등된 경우, 타이머는 광원(210)의 점등 시간 및 감지부(100)의 감지 시간 간의 시간차를 측정한다. 지능형 데이터베이스는 타이머가 측정한 시간차에 따라 사용자의 순발력 정도를 산출한다.
다른 예로, 광원(210)이 2번 점등된 경우, 타이머는 광원(210)의 첫 번째 점등 시간 및 감지부(100)의 첫번째 감지 시간 간의 제1시간차를 측정하고 광원(210)의 두 번째 점등 시간 및 감지부(100)의 두 번째 감지 시간 간에 제2시간차를 측정한다. 지능형 데이터베이스는 제1시간차와 제2시간차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이러한 평균값에 따라 사용자의 순발력 정도를 산출한다.
한편, 제어부는 다수의 광원(210)을 점등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입력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으며, 입력부에서 설정한 바대로 다수의 광원(210)을 점등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는 광원(210)의 규칙적 점등 또는 불규칙 점등, 점등 시간, 점등 간격, 점등 횟수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규칙적 점등은 광원(210)을 순서대로 점등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광원(210)을 일렬 또는 지그재그한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것이다.
불규칙적 점등은 광원(210)을 무작위하게 점등하는 것이다.
점등 시간은 광원(210)을 점등하는 시간이다.
점등 간격은 광원(210)을 소등한 후, 다음 광원(210)을 점등하기 전까지의 시간이다.
점등 횟수는 광원(210)을 점등하는 횟수이다. 예를 들어, 점등 횟수 2회는 하나의 광원(210)을 점등 및 소등한 후, 다음 광원(210)을 점등 및 소등하는 것이다.
이동부(300)는 사용자가 감지부(100)를 이동시키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지지대(310) 및 받침대(320)를 포함한다.
지지대(310)는 골대(10)의 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지지대(310)의 골대(10)에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감지부(100) 및 다수의 광원(210)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대(310)의 골대(10)에 대향하는 대향면 중앙에는 감지부(100)의 감지센서(110)가 장착되고, 이러한 감지센서(110)의 둘레에 다수의 가시광조사부(120)가 배열되며, 지지대(310)의 골대(10)에 대향하는 대향면 테두리에는 다수의 광원(210)이 골대(10)에 대응하는 ‘┏┓’ 형태로 배열된다. 받침대(320)는 지지대(310)를 승하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삼각대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이동부(300)를 이동시켜서 감지부(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의 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의 감지부의 감지센서와 광변환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움직임유도부, 제어부, 이동부(300)를 포함하되, 감지부(100)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감지부(100)는 골대(10)에 대응하는 형태의 감지 영역(111)을 형성하고, 감지 영역(111) 내의 사용자를 감지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감지 영역(111)은 골대(10)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다.
감지부(100)는 감지센서(110) 및 광변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10)는 골대(10)를 향하여 다수의 비가시광(N)을 조사하여 감지 영역(111)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감지센서(110)는 골대(10)를 분할한 다수의 분할 영역을 향하여 다수의 비가시광(N)을 조사하여 감지 영역(111)을 형성한다. 이러한 감지 영역(111)은 단면적이 감지 센서(110)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넓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감지센서(110)는 단일 레이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단일 레이저센서의 비가시광(N)은 인체에 무해한 적외선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레이저센서는 골대(10)를 분할한 다수의 분할 영역을 향하여 다수의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 소자와, 감지 영역(111)에서 반사된 적외선 레이저를 감지하는 수광 소자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센서(110)는 다수의 레이저센서(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가시광(N)은 인체에 무해한 적외선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레이저센서는 골대(10)를 분할한 다수의 분할 영역을 향하여 다수의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는 각각의 발광 소자와, 감지 영역(111)에서 반사된 적외선 레이저를 감지하는 각각의 수광 소자를 가진다.
다른 예로, 감지센서(110)는 다수의 레이저센서(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비가시광(N)은 인체에 무해한 적외선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레이저센서는 각 발광 소자 및 각 수광 소자를 가진다. 여기서, 각각의 발광 소자는 감지 영역(111)의 서로 다른 각 소정 영역을 향하여 적외선 레이저를 조사하며, 각각의 수광 소자는 감지 영역(111)에서 반사된 적외선 레이저를 감지한다.
광변환부(130)는 감지센서(110)를 덮어서 각각의 비가시광(N)을 각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여 감지 영역(111)에 대응하는 가시 영역(134)을 형성한다. 이러한 가시 영역(121)에 의해 감지 영역(111)이 보이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시 영역(134)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매개로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가시 영역(134)와 골대(10)의 정렬 상태는 가시 영역(134) 내에 골대(10)가 위치하는 경우 가시 영역(134)가 골대(10)와 정렬된 것으로 볼 수 있고, 가시 영역(134) 내에 골대(10)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 가시 영역(134)가 골대(10)와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 가지로,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는 가시 영역(134) 내에 골대(10)가 위치하는 경우 감지 영역(111)이 골대(10)와 정렬된 것으로 볼 수 있고, 가시 영역(134) 내에 골대(10)가 위치하지 않은 경우 감지 영역(111)이 골대(10)와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불 수 있다.
따라서 가시 영역(134)와 골대(10)의 정렬 상태에 따라 가시 영역(134) 내에 골대(10)가 위치하도록 사용자의 감지부(100)의 위치 조절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광변환부(130)는 파장변환층(131) 및 끼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파장변환층(131)은 감지센서(110)에서 다수의 비가시광(N)이 조사되는 조사면을 덮으며 각각의 비가시광(N)을 각각의 가시광(V)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파장변환층(131)은 적외선 레이저를 가시광 레이저로 파장 변환하는 안티-스트로크 시프트 프로세스를 가지는 물질, 예를 들면, 란탄족 원자가 첨가된 나노 크리스탈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부(132)는 파장변환층(131)의 둘레면에 연결되고 감지센서(110)의 둘레면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진다. 끼움부(132)는 이동부(300)의 지지대(310)에 연결되는 탄성편(133)을 매개로 지지대(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 영역(111)과 골대(10)를 정렬 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의 감지 영역을 골대와 정렬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감지센서(110)를 작동시킨다. 이 때, 작동센서(110)에 조사된 각각의 비가시광(N)에서 변환된 각각의 가시광(V)이 가시 영역(134)을 형성한다. 이 때, 사용자는 가시 영역(134)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매개로 감지 영역(111)과 골대(10)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모든 가시광(V)이 골대(10)에 모두 조사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사용자가 감지부(100)를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가시 영역(134) 내에 골대(10)가 위치하게 되므로, 가시 영역(134)와 골대(10)의 정렬이 완료되고, 이로 인해, 감지 영역(11)과 골대(10)의 정렬도 완료되는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감지센서(110)에서 광변환부(130)를 분리시킨다. 이 경우에서는 가시 영역(134)을 이루는 각각의 가시광(N)의 광경로와 감지 영역(111)을 이루는 각각의 가시광(N)의 광경로가 상호 동일하므로, 별다른 확인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골대
100 : 감지부
110 : 감지센서
111 : 감지 영역
120 : 가시광조사부
121 : 가시 영역
130 : 광변환부
131 : 파장변환층
132 : 끼움부
133 : 탄성편
134 : 가시 영역
210 : 광원
211 : 방어 범위
300 : 이동부
310 : 지지대
320 : 받침대
V : 가시광
N : 비가시광

Claims (5)

  1. 골대에 대응하는 형태의 감지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감지 영역 내의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골대의 전방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광원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광원 중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상기 감지 영역 내의 특정 위치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움직임유도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시간과 상기 광원의 점등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순발력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골대를 향하여 다수의 비가시광(N)을 조사하여 감지 영역을 형성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감지 영역은 단면적이 감지 센서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골대를 향하여 다수의 가시광(V)을 조사하여 상기 감지 영역에 대응하는 가시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가시광조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 영역과 상기 골대의 정렬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감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유도하는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시광조사부는,
    각각의 가시광(V)을 상기 골대의 상측 기둥, 좌측 기둥 및 우측 기둥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시광조사부는,
    각각의 가시광(V)을 상기 골대의 각각의 꼭짓점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시광(N)은 적외선 레이저이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조사되는 상기 비가시광(N)을 각각의 가시광(V)으로 변환하는 파장변환층; 및
    상기 파장변환층의 둘레면에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의 둘레면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부를 갖는 광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KR1020200076450A 2020-06-23 2020-06-23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KR10236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450A KR102369504B1 (ko) 2020-06-23 2020-06-23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450A KR102369504B1 (ko) 2020-06-23 2020-06-23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103A KR20210158103A (ko) 2021-12-30
KR102369504B1 true KR102369504B1 (ko) 2022-03-04

Family

ID=7917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450A KR102369504B1 (ko) 2020-06-23 2020-06-23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5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76B1 (ko) * 2009-04-21 2010-03-02 (주)엔텍시스템 순발력 측정 및 훈련장치
KR101909459B1 (ko) * 2018-04-24 2018-10-18 박영수 축구 골키퍼용 순발력 측정 시스템
JP6618965B2 (ja) * 2016-09-22 2019-12-11 フルークコーポレイションFluke Corporation 撮像装置のミスアライメントを決定する方法とシステム、並びに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76B1 (ko) * 2009-04-21 2010-03-02 (주)엔텍시스템 순발력 측정 및 훈련장치
JP6618965B2 (ja) * 2016-09-22 2019-12-11 フルークコーポレイションFluke Corporation 撮像装置のミスアライメントを決定する方法とシステム、並びに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1909459B1 (ko) * 2018-04-24 2018-10-18 박영수 축구 골키퍼용 순발력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103A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471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arget indications for foot movements to persons with a walking disorder
US7513852B2 (en) Exercise device having position verification feedback
US20150165294A1 (en) Sports training system
US9962570B2 (en) Trampoline game system
WO2008085906A3 (en) Toy laser gun and laser target system priority claim
US8409036B1 (en) Muscular memory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60121184A1 (en) Guided light system for athletic training and use
EP3182878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diagnosing and exercising an individual's functionalities
KR102369504B1 (ko) 골키퍼용 순발력 훈련 및 측정 장치
NZ513890A (en) Firing simulator
ITTO20090723A1 (it) Gioco dello shuffleboard virtuale.
KR20080007503A (ko) 퍼팅 연습 보조기
KR101243067B1 (ko) 퍼팅 연습 장치
KR100734593B1 (ko) 스크린 골프를 위한 골프공의 동적정보 측정 시스템
WO2002065044A3 (en) Two aligning devices and an alignment method for a firing simulator
JP2011089763A (ja) 弾丸位置計測装置
KR101393282B1 (ko) 골프볼 비행궤도 추적장치
JP2007162989A (ja) 弾丸位置計測装置
WO2002097369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two points
WO2018034263A1 (ja) 走者の通過タイムを測定する装置
US20150243185A1 (en) Exercise Alignment Device
JP2010210149A (ja) 標的装置
DE59008676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optimalen wurf-, schuss- bzw. abspieltrainingsgeschwindigkeit bei wurfsportarten bzw. ballspielen.
KR101627664B1 (ko) 골프스윙 궤도 시현 장치 및 그 방법
KR102195083B1 (ko) 레이저 사격과 시선 추적을 이용한 주의력 향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