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201B1 -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 Google Patents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201B1
KR102369201B1 KR1020210076618A KR20210076618A KR102369201B1 KR 102369201 B1 KR102369201 B1 KR 102369201B1 KR 1020210076618 A KR1020210076618 A KR 1020210076618A KR 20210076618 A KR20210076618 A KR 20210076618A KR 102369201 B1 KR102369201 B1 KR 102369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valve
hole
fluid
valve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순
Original Assignee
화성밸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성밸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성밸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수돗물 등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볼밸브 내측면에 생성되는 물떼, 녹,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여과 및 제거하기 위한,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는
제1,2이송파이프;
상기 제1,2이송파이프에 연통되는 제1,2유체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덮개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중공형체의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임의각도로 회전시 상기 제1,2이송파이프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를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밸브;
상기 볼밸브에 스템을 통해 연결되고 회동시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유체통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핸들;
상기 제1,2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 중에 포함되어 상기 볼밸브 외측면 또는 관통공 내측면에 달라붙는 불순물을 여과 및 제거하기 위한 여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ball valve mounting purification members}
본 명세서는 볼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돗물 등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볼밸브 내측면에 생성되는 물떼, 녹,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여과 및 제거하기 위한,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등의 유체는 정수장에서 깨끗한 상태의 수돗물이 공급되더라도 각 가정에 공급된 수돗물에는 상당량의 이물질이 섞여 있는 실정이다. 이는 상수도관의 노화로 인한 부식 및 상수도관의 설치 과정에서 유입된 이물질이 원인이다.
한편,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수돗물 등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볼밸브의 내측면에는 물떼, 녹, 스케일 등의 불순물이 반복적으로 누적되어 달라 붙게 된다.
이로 인해, 볼밸브 내부에 여과망을 설치하여 불순물을 여과 및 제거하고 있으나, 여과망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및 분해가 힘들어 여과망이 오염될 경우 볼밸브로부터 오염된 여과망을 분리시켜 교체하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오염된 여과망을 적시에 교체하지않고 사용할 경우 여과망에 누적된 불순물들로 인해 유체를 2차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과, 또한 볼밸브 내부에 부압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36826호(2014.09.02.공고)에 유체 여과망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볼타입 개폐 여과밸브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볼밸브 내측면에 생성되는 물떼, 녹,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교체가능한 메쉬망 또는 카트리지 형태의 여과망에 의해 용이하게 여과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볼밸브의 오염정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청결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2이송파이프;
상기 제1,2이송파이프에 연통되는 제1,2유체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덮개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중공형체의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임의각도로 회전시 상기 제1,2이송파이프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를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밸브;
상기 볼밸브에 스템을 통해 연결되고, 회동시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유체통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핸들;
상기 제1,2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 중에 포함되어 상기 볼밸브 외측면 또는 관통공 내측면에 달라붙는 불순물을 여과 및 제거하기 위한 여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볼밸브 내측면에 생성되는 물떼, 녹, 스케일 등의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을 교체가능한 메쉬망 또는 카트리지 형태의 여과망에 의해 용이하게 여과 및 제거시킴에 따라 정화된 깨끗한 상태의 수돗물을 유저에게 공급하여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성이 단순하고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한 여과망 또는 카트리지 형태의 여과망을 부분 또는 전체를 용이하게 교체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사후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볼밸브의 오염정도를 관리자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어 여과부재의 교체시기를 수시로 확인하여 적시(適時)에 교체시킴에 따라 청결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의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볼밸브에서, 여과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볼밸브에서, 여과부재를 고정시키는 변형예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볼밸브에서, 여과부재의 변형예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는
수돗물 등의 유체가 이송되는 제1,2이송파이프(10,11);
제1,2이송파이프(10,11)에 연통되는 제1,2유체통로(12,13)가 내부에 형성되고, 덮개(14)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중공형체의 밸브 몸체(15);
밸브 몸체(15)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임의각도로 회전시 제1,2이송파이프(10,11)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를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밸브(16);
볼밸브(16)에 스템(17)을 통해 연결되고, 회동시 볼밸브(16)의 볼 회전에 의해 제1,2유체통로(12,13)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핸들(18);
제1,2유체통로(12,13)와 연통되는 볼밸브(16)의 관통공(19)에 형성되고, 유체 중에 포함되어 볼밸브(16) 외측면 또는 관통공(19) 내측면에 달라붙는 물떼, 녹, 스케일 등의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을 여과 및 제거하기 위한 여과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여과부재(20)는
유체 중의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메쉬망(21)과, 메쉬망(21)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하는 링 형태의 고정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유체 중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을 메쉬망(21)에 의해 여과시켜 제거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여과부재(20)가 오염될 경우 볼밸브(16)의 관통공(19)으로부터 분리시켜 일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볼밸브(16)의 관통공(19) 입출구측 내주연에 나사공(23)(암나사)을 형성하되, 나사공(23)과 대응되는 나사부(24)(숫나사)가 고정구(22)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여과부재(20)의 메쉬망(21)이 유체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반복적으로 누적되어 오염될 경우, 볼밸브(16)의 관통공(19)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공(23)에 이와 대응되는 나사부(24)가 외측면에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된 고정구(22)를 분리시킴에 따라 여과부재(20)를 볼밸브(16)의 관통공(19)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관통공(19) 입출구측에 장착된 여과부재(20)의 오염정도에 따라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교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여과부재(20)를 볼밸브(16)의 관통공(19) 입출구측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여과부재(20)가 오염될 경우 볼밸브(16)의 관통공(19)으로부터 분리시켜 일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볼밸브(16)의 관통공(19) 입출구측 내주연에 형성되는 링 형태의 걸림턱(25);
걸림턱(25)에 인접하게 볼밸브(16)의 관통공(19) 입출구측 내주연에 형성되는 고정홈(26);
고정홈(26)에 안착되고, 걸림턱(25)에 안착되는 고정구(22)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여과부재(20)의 메쉬망(21)이 유체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반복적으로 누적되어 오염될 경우, 볼밸브(16)의 관통공(19) 입출구측 임의위치에 형성된 고정홈(26)으로부터 스냅링(27)을 분리시킨 후, 관통공(19) 입출구측에 형성된 걸림턱(25)에 안착된 여과부재(20)를 볼밸브(16)의 관통공(19)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관통공(19) 입출구측에 형성된 걸림턱(25)에 안착된 여과부재(20)의 오염정도에 따라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교체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여과부재(20)는
양단에 형성되는 메쉬망 형태의 입출구판(28,29)과, 입출구판(28,29) 사이에 연결되는 메쉬망 형태의 원통부(30)를 포함하여 볼밸브(16)의 관통공(19)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고, 카트리지 형태의 여과부재(20)가 오염될 경우 볼밸브(16)로부터 분리시켜 통째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여과부재(20)의 메쉬망(21)이 유체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반복적으로 누적되어 오염될 경우, 메쉬망 형태의 입출구판(28,29) 및 메쉬망 형태의 원통부(30)를 포함하여 카트리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볼밸브(16)의 관통공(19)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여과부재(20)를 관통공(19)으로부터 분리시켜 오염된 여과부재(20) 통째를 교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여과부재(20)에 의한 유체의 정화효율을 높이도록
메쉬망(21)을 아연(Zn)재로 형성하되, 볼밸브(16)의 관통공(19) 내부에 수용되어 여과부재(20)에 의해 유속을 따라 관통공(19)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유체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흡착하여 여과하기 위한 입자 형태의 활성탄 등이 사용되는 흡착제(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볼밸브(16)의 관통공(19)에 흡착제(31)를 수용하되, 관통공(19) 입출구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여과부재(20)의 메쉬망(21)에 의해 유체를 따라 관통공(19)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돗물 등의 유체를 정화시키도록 아연재로 형성된 여과부재(20)의 메쉬망(21)의 여과기능과, 활성탄 등과 같은 흡착제(31)의 흡착기능에 의해 유체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체 중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을 아연재로 형성된 메쉬망(21)의 정화기능과, 흡착제(31)의 흡착기능에 의해 제거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전술한 볼밸브(16) 외측면, 또는 관통공(19) 내측면에 달라 붙은 불순물의 오염도를 측정하되, 측정된 오염도가 임의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관리자의 PC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여과부재(20)의 교체시기를 유도하기 위한 오염측정센서(미 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유체 중에 포함된 불순물로 인해 볼밸브(16) 외측면, 또는 관통공(19) 내측면이 오염되어 오염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가 임의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오염도를 관리자의 PC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으로 전송함에 따라 관리자는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여과부재(20)의 교체시기를 판단하여 적시에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오염측정센서에 의해 유체 중에 포함된 불순물로 인해 오염된 볼밸브(16) 외측면, 또는 관통공(19) 내측면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염도를 관리자의 PC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P)으로 전송함에 따라 관리자가 때와 장소를 불문하고 여과부재(20)의 교체시기를 판단하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32는 볼밸브(16)의 볼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기밀을 유지하고 있는 기밀링이고, 33은 여과부재(20)를 별도의 공구 사용이 필요없이 볼밸브(16)의 관통공(19)에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사용되는 조작용 돌기이며, 34는 덮개(14)의 결합공과 스템(17)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수됨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며, 35는 볼밸브(16)의 볼을 지지하는 밸브시트(37)와 밸브 몸체(15)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체 누수됨을 방지하는 오링이며, 36은 필요시 드레인 밸브(미 도시)를 통해 밸브 몸체(15)로부터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drain hole)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수돗물 등의 유체를 이송시키는 수도관(미 도시)에 연결되는 제1,2이송파이프(10,11)에 연통되는 제1,2유체통로(12,13)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 몸체(15)에 볼밸브(1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 핸들(18) 조작으로 볼밸브(16)를 임의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유체를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조작 핸들(18)을 회동시킬 경우, 스템(17)에 연결되고 밸브시트(37)에 의해 지지된 볼밸브(16)의 볼(ball) 회전에 의해 제1,2유체통로(12,13)를 개폐시킴에 따라 제1,2이송파이프(10,11)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1,2이송파이프(10,11) 내의 유체 중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을 볼밸브(16)의 관통공(19)에 설치된 여과부재(20)에 의해 여과 및 제거시켜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의 수돗물 등의 유체를 사용자(user)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수도관 등에 연결되는 제1,2이송파이프(10,11)와, 제1,2이송파이프(10,11)와 연통되고 밸브 몸체(15) 내부에 형성된 제1,2유체통로(12,13)를 통과하는 유체는 볼밸브(16)의 관통공(19)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제1,2이송파이프(10,11) 내측면에 생성되고 유속에 의해 탈리(脫離)되어 유체를 따라 이송되는 물떼, 녹, 스케일 등의 불순물을 볼밸브(16)의 관통공(19)의 출입구측에 형성된 여과부재(20)를 이루는 메쉬망(21)에 의해 여과하게 된다.
유체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여과부재(20)의 메쉬망(21)에 반복적으로 여과되어 누적될 경우 불순물이 달라 붙은 여과부재(20)의 메쉬망(21)을 볼밸브(1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킨 후 메쉬망(21)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밸브 몸체(15)로부터 덮개(14)를 분리시킨 후, 밸브 몸체(15)로부터 분리되는 볼밸브(16)의 관통공(19) 입출구측에 형성된 나사공(23)과 이와 대응되게 여과부재(20)의 고정구(22)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24)에 의해 상호 나사결합된 여과부재(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구(22)의 외측면에 형성된 조작용 돌기(33)에 의해 여과부재(20)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볼밸브(16)의 관통공(19)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여과부재(20)를 이루는 메쉬망(21)에 달라 붙은 불순물을 물세척하여 재활용하거나, 또는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이 메쉬망(21)에 달라 붙어 오염된 여과부재(20)(메쉬망(21) 및 메쉬망(21)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링 형태의 고정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를 새것으로 교체시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이송파이프
11; 제2이송파이프
12; 제1유체통로
13; 제2유체통로
14; 덮개
15; 밸브 몸체
16; 볼밸브
17; 스템
18; 조작핸들
19; 관통공
20; 여과부재
21; 메쉬망
22; 고정구
23; 나사공
24; 나사부
25; 걸림턱
26; 고정홈
27; 스냅링
28; 입구판
29; 출구판
30; 원통부
31; 흡착제
32; 기밀링
33; 조작용 돌기
34; 패킹
35; 오링
36; 드레인 홀
37; 밸브시트

Claims (7)

  1. 제1,2이송파이프; 상기 제1,2이송파이프에 연통되는 제1,2유체통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덮개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중공형체의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임의각도로 회전시 상기 제1,2이송파이프를 따라 이송되는 유체를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밸브; 상기 볼밸브에 스템을 통해 연결되고 회동시 상기 볼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유체통로를 개폐시키기 위한 조작핸들; 상기 제1,2유체통로와 연통되는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에 형성되고 상기 유체 중에 포함되어 상기 볼밸브 외측면 또는 관통공 내측면에 달라붙는 불순물을 여과 및 제거하기 위한 여과부재;를 포함하는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상기 유체 중의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메쉬망; 상기 메쉬망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하는 링 형태의 고정구;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부재에 의한 유체의 정화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메쉬망은 아연재로 형성되고,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여과부재의 메쉬망에 의해 유속을 따라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유체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흡착하여 여과하기 위한 입자 형태의 흡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가 오염될 경우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으로부터 분리시켜 일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 입출구측 내주연에 나사공을 형성하되, 상기 나사공과 대응되는 나사부가 상기 고정구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가 오염될 경우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으로부터 분리시켜 일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 입출구측 내주연에 형성되는 링 형태의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게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 입출구측 내주연에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고,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는 상기 고정구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양단에 형성되는 메쉬망 형태의 입출구판과 상기 입출구판 사이에 연결되는 메쉬망 형태의 원통부를 포함하여 상기 볼밸브의 관통공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 형태의 여과부재가 오염될 경우 상기 볼밸브로부터 분리시켜 통째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 외측면 또는 관통공 내측면에 달라 붙은 불순물의 오염도를 측정하되, 측정된 오염도가 임의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관리자의 PC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상기 여과부재의 교체시기를 유도하기 위한 오염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KR1020210076618A 2021-06-14 2021-06-14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KR102369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18A KR102369201B1 (ko) 2021-06-14 2021-06-14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618A KR102369201B1 (ko) 2021-06-14 2021-06-14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201B1 true KR102369201B1 (ko) 2022-03-03

Family

ID=8081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618A KR102369201B1 (ko) 2021-06-14 2021-06-14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7351A (zh) * 2023-06-12 2023-07-18 四川飞球(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全焊接锻钢固定球阀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12Y1 (ko) * 2000-03-14 2000-08-16 오승준 필터를 구비하는 볼 밸브
KR200239919Y1 (ko) * 2001-05-02 2001-10-12 이동훈 가스볼밸브용 이물질여과장치
KR20090082726A (ko) * 2008-01-28 200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기 시스템
KR20100053989A (ko) * 2008-11-13 2010-05-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화철 나노 입자를 적용한 정수 필터 엘리먼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826B1 (ko) * 2013-04-25 2014-09-02 아이투엠 주식회사 유체 여과망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볼타입 개폐 여과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312Y1 (ko) * 2000-03-14 2000-08-16 오승준 필터를 구비하는 볼 밸브
KR200239919Y1 (ko) * 2001-05-02 2001-10-12 이동훈 가스볼밸브용 이물질여과장치
KR20090082726A (ko) * 2008-01-28 200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기 시스템
KR20100053989A (ko) * 2008-11-13 2010-05-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산화철 나노 입자를 적용한 정수 필터 엘리먼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826B1 (ko) * 2013-04-25 2014-09-02 아이투엠 주식회사 유체 여과망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볼타입 개폐 여과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47351A (zh) * 2023-06-12 2023-07-18 四川飞球(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全焊接锻钢固定球阀及其使用方法
CN116447351B (zh) * 2023-06-12 2023-09-01 四川飞球(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全焊接锻钢固定球阀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939B2 (en) Faucet mounted water filter
JPH04250878A (ja) 水道水栓パイプ直結浄水器
US7364654B2 (en) In-home water treatment system
US7896959B1 (en) Filtration apparatus
KR102369201B1 (ko) 정화용 여과부재가 밸브 내부에 수용되는 볼밸브
KR102639274B1 (ko) 자가 관리형 정수기
JP2011224495A (ja) 浄水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ー
KR100909377B1 (ko) 필터세척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KR101436826B1 (ko) 유체 여과망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볼타입 개폐 여과밸브
KR20080079879A (ko) 정수기의 물 배출구 살균장치
KR100944226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EP1281677A1 (en) Domestic water filtration system
KR102451042B1 (ko) 필터의 교체시기를 표시하는 정수 샤워기 헤드
JP2007125534A (ja) 浄水器用フィルタケース並びに該フィルタケースを利用したフィルタを備える浄水器
KR200425311Y1 (ko) 기능성 샤워기
US20060091063A1 (en) Anti-contamination inlet screen for automatic faucets
KR20150016763A (ko)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JP3172842U (ja) ろ過機能を有する吐水管を具えた水栓装置
US11571642B2 (en) Self cleaning water filter unit
JP2004049964A (ja) 浄水器
US20240025765A1 (en) Filtered diverter valve system
KR200427760Y1 (ko) 정지밸브
TW199107B (ko)
JPH05200385A (ja) 浄水器
US705696A (en) Water-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