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178B1 -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178B1
KR102369178B1 KR1020200043191A KR20200043191A KR102369178B1 KR 102369178 B1 KR102369178 B1 KR 102369178B1 KR 1020200043191 A KR1020200043191 A KR 1020200043191A KR 20200043191 A KR20200043191 A KR 20200043191A KR 102369178 B1 KR102369178 B1 KR 10236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infant
support
pillow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698A (ko
Inventor
정들매
Original Assignee
정들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들매 filed Critical 정들매
Priority to KR102020004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78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베개 몸체의 중심부에 유아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움푹 파인 머리 받침홈이 형성되며, 그 머리 받침홈을 기준으로 일측에 유아의 머리 뒷부분(후두부)을 지지하는 머리 후단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아의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목 지지부가 형성되며, 머리 후단 지지부가 목 지지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성장하는 유아의 두상을 고르게 성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양측 머리부가 밀착되어 유아가 잠을 자거나 누운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뒤척임에 의해 머리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망 부재를 이용하므로 땀이나 침을 빠르게 건조할 수 있어 땀이나 침에 의한 베개의 오염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세탁 이후에 건조가 빠르며, 실내 바닥면의 온기가 전달되더라도 통기성 구조에 의해 베개 표면의 온도 상승을 저하함에 따라 베개를 베고 있는 유아의 머리와 베개의 접촉면 사이에 땀이 차서 숙면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PILLOW OF INF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 몸체의 중심부에 유아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움푹 파인 형상의 머리 받침홈이 형성되며, 그 머리 받침홈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머리 후단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아의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목 지지부가 형성되며, 머리 후단 지지부가 목 지지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성장하는 유아의 두상(頭象)을 고르게 성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양측 머리부가 밀착되어 유아가 잠을 자거나 누운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뒤척임에 의해 머리가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 및 신생아는 전반적으로 신체 조직에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주로 누워 있는 경우가 많아서 유아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베개를 사용한다.
최근 신생아의 머리를 짱구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서 신생아를 옆으로 또는 엎어서 눕히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는 유아 돌연사증후군과 같이 신생아가 질식하여 사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사망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신생아의 등을 바닥에 대고 바로 눕힐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에 신생아의 두개골이 완전히 접합 되지 않은 상태여서, 신생아 두개골에 압박이 가해지게 되고, 그 영향으로 신생아 뒷머리 부분이 납작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생아 뒷머리(후두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야 하는바, 이와 관련된 베개의 형태, 재질 등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짱구 베개(일명 : 도넛 베개)로 불리는 종래 유아용 베개는 신생아의 뒷머리가 납작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고안되었다.
참고로, 신생아는 골간의 봉합이 미완성되어 머리가 무를 뿐만 아니라 생후 2개월 내지 3개월까지는 머리 크기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생후 3개월 이상 된 영유아의 경우에도 두개 골이 점차적으로 자라난다.
종래 유아용 베개는 도넛(donut) 모양의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신축성 및 탄력성 있는 폴리에스텔솜 재질로 구성된 쿠션재를 구비하고, 베개의 가운데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신생아의 후두골이 돌출된 상태로 신생아의 후두부를 바닥에서 소정 높이로 받쳐줌으로써,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유아용 베개는 목 부분이 신생아의 목에 비해서 너무 높아서 신생아가 사용하기가 너무 불편함은 물론 유아의 목 부분을 과도하게 지지하여 유아 머리가 뒤로 져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목 부분에 지지부가 없어서 신생아의 목을 편안하게 받쳐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부상의 염려가 있으며, 유아가 뒤집혀서 유아의 코와 입을 막아 호흡의 방해가 되는 현상을 유발하여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8-0106252호 국내 특허등록 제10-1147606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개 몸체의 디자인을 특정화하여 성장하는 유아의 두상을 고르게 성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양측 머리부가 밀착되어 유아가 잠을 자거나 누운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뒤척임에 의해 머리가 이탈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메시망 부재(mesh membrane)를 이용하므로 땀이나 침을 빠르게 건조할 수 있어 땀이나 침에 의한 베개의 오염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세탁 이후에 건조가 빠르며, 실내 바닥면의 온기(溫氣)가 전달되더라도 통기성 구조에 의해서 베개 표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함에 따라 베개를 베고 있는 유아의 머리와 베개의 접촉면 사이에 땀이 차서 숙면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유아용 베개는 O형 메시 시트와 C형 메시 시트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내피 부재, 상기 내피 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상하부 외피 부재, 및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의 테두리에 재봉 되는 마감 부재를 포함하는 베개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개 몸체는 상면과 하면이 동일한 형상을 하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개 몸체의 중심부에는 유아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움푹 파인 머리 받침홈이 형성되며, 상기 머리 받침홈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머리 후단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아의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목 지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는 상기 목 지지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유아 머리가 뒤로 져쳐지는 현상 및 유아의 코와 입을 막아 호흡에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O형 메시 시트는 폐쇄형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C형 메시 시트는 상기 목 지지부 쪽으로 개방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 상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머리 받침홈의 위쪽에 형성되는 머리 후단 제1지지부; 및 유아의 머리 뒷부분 좌우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머리 받침홈의 좌우 양쪽에 형성되는 머리 후단 제2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 몸체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는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감소한다.
또한, 상기 내피 부재는, 상하에 O형 메시 시트가 배열되고, 상기 O형 메시 시트 사이에 상기 C형 메시 시트와 상기 O형 메시 시트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또한,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가 상기 목 지지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크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유아의 목 부분을 과도하게 지지하지 않고 편안하게 지지하여 유아 머리가 뒤로 져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유아 누운 자세를 바꾸지 못하게 하여 유아의 코와 입을 막아 호흡에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O형 메시 시트는 다공의 쿠션재; 및 상기 쿠션재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메시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은,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를 마련하고 서로 마주보게 접촉하는 단계;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 중심부에 재봉하여 머리 받침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하에 O형 메시 시트가 배열되고 상기 O형 메시 시트 사이에 상기 C형 메시 시트와 상기 O형 메시 시트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내피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내피 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구멍) 안에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외피 부재를 관통시켜서,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 사이에 상기 내피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가 상기 내피 부재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되,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의 테두리에 마감 부재를 재봉하여 유아용 베개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개 몸체의 중심부에 유아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움푹 파인 머리 받침홈이 형성되며, 그 머리 받침홈을 기준으로 일측에 유아의 머리 뒷부분(후두부)을 지지하는 머리 후단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아의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목 지지부가 형성되며, 머리 후단 지지부가 목 지지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성장하는 유아의 두상을 고르게 성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양측 머리부가 밀착되어 유아가 잠을 자거나 누운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뒤척임에 의해 머리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망 부재를 이용하므로 땀이나 침을 빠르게 건조할 수 있어 땀이나 침에 의한 베개의 오염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세탁 이후에 건조가 빠르며, 실내 바닥면의 온기가 전달되더라도 통기성 구조에 의해 베개 표면의 온도 상승을 저하함에 따라 베개를 베고 있는 유아의 머리와 베개의 접촉면 사이에 땀이 차서 숙면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이디 시트 내부에 배터리 및 온오프 푸시 스위치가 밀봉 내장되는 구조이므로 세탁 건조가 용이하며, 엘이디의 점등시, 불빛이 베개 몸체 전체 표면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야간에 실내 분위기를 더욱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무드 등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상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부 외피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하부 외피부재 내측면을 도시한 요부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부 외피부재에 형성된 머리 받침홈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베개 몸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베개 몸체를 도시한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의 베개 몸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피부재의 O형 메시 시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피부재의 C형 메시 시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메시 시트의 구멍 안에 상부 외피부재를 삽입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상부와 하부 외피부재 사이에 내피부재를 끼운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아용 베개는 기술적 의미가 있는 특정 형상과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진 베개 몸체(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베개 몸체(100)는 O형 메시 시트(111)와 C형 메시 시트(112)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내피 부재(110)와, 내피 부재(110)의 외부를 감싸는 상하부 외피 부재(120)와, 상하부 외피 부재(120)의 테두리에 재봉 되는 마감 부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베개 몸체(100)는 상면과 하면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장방형(타원 형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방향으로는 짧고 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베개 몸체(100)가 실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유아 머리를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상기 베개 몸체(100)의 중심부에는 유아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움푹 파인 형상의 머리 받침홈(101)이 형성된다.
상기 머리 받침홈(101)은 그 바닥면이 편평하고 바닥면의 외곽으로부터는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 머리 후단부에 밀착되어서 유아 머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홈(101)을 기준으로, 베개 몸체(100)의 일측에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머리 후단 지지부(103)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아의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목 지지부(107)가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의 두께(t1)가 목 지지부(107)의 두께(t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의 길이(a)가 목 지지부(107)의 길이(b)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유아의 목 부분을 과도하게 지지하지 않고 편안하게 지지하여 유아 머리가 뒤로 져쳐지는 현상, 및 유아의 코와 입을 막아 호흡에 방해가 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아의 신체적 특성상 머리가 상대적으로 크고 목이 짧은 점을 고려해 볼 때, 유아의 신체적 특성에 맞게 머리 후단 지지부(103)의 두께(t1)가 목 지지부(107)의 두께(t2)에 비해서 더 두껍고, 머리 후단 지지부(103)의 길이(a)가 목 지지부(107)의 길이(b)보다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유아의 목 부분을 과도하게 지지하지 않고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잡아주어서 유아 머리가 뒤로 져쳐지는 현상, 및 유아 누운 자세를 바꾸지 못하게 하여 유아의 코와 입을 막아 호흡의 방해가 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O형 메시 시트(mesh sheet)(111)는 폐쇄형의 홀(H)이 형성되고, C형 메시 시트(112)는 목 지지부(107) 쪽으로 개방된 홀(H)이 형성된다.
상기 C형 메시 시트(112)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가운데의 C형 메시 시트(112) 하나는 홀(H)을 목 지지부(107) 반대쪽으로 위치하여 목 지지부(107)가 너무 얇아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아 목부분을 좀더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형 메시 시트(111)와 C형 메시 시트(112)가 교호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데, 상기 목 지지부(107) 쪽으로 개방된 홀(H)에 의해서, 머리 후단 지지부(103)의 두께(t1)에 비해서 목 지지부(107)의 두께(t2)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서 목 지지부(107) 양 끝단부가 움푹 파인 형상을 유지함으로써, 유아 목부분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는, 머리 후단 제1지지부(104)와 머리 후단 제2지지부(106)를 구비한다.
상기 머리 후단 제1지지부(104)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 상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머리 받침홈(101)의 위쪽에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머리 후단 제2지지부(106)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 좌우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머리 받침홈(101)의 좌우 양쪽에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머리 후단 제2지지부(106)는 머리 후단 제1지지부(104)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거나,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개 몸체(100)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는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베개 몸체(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내피 부재(110)는 상하에 O형 메시 시트(111)가 배열되고, O형 메시 시트(111) 사이에 C형 메시 시트(112)와 O형 메시 시트(111)가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된다.
내피 부재(110)는 PP 소재(Polypropylene)로 제조될 수 있는데, PP 소재는 폴리올레핀 계열에 속하는 결정성 플라스틱으로 프로펜의 촉매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PP 소재는 우수한 내화학성, 고순도, 낮은 수분 흡수율 및 우수한 전기 절연 특성이 있는 균형이 잘 잡힌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본 실시 예에서는, 7장의 메시 시트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뿐 유아 연령이나 신체 조건에 따라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O형 메시 시트(111)는 다공의 쿠션재(111a), 및 쿠션재(111a)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메시 망(111b)으로 이루어진 3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3중 구조는 C형 메시 시트(112)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120)는 O형 메시 시트(111)의 3중 구조의 표면에 유아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부드러우면서도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부재(120a)를 재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12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외피 부재(121)와 하부 외피 부재(122)로 구성되는 데, 상부 외피 부재(121)와 하부 외피 부재(122)는 중간 부분에 머리 받침홈(101)을 재봉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마감 부재(130)는 상하부 외피 부재(120)의 테두리에 재봉 되는 마감되어, 베개 몸체(100) 전체 형상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고 쿠션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은, 상하부 외피 부재(120)를 마련하고 서로 마주보게 접촉하는 단계(S10); 상하부 외피 부재(120) 중심부에 재봉하여 머리 받침홈(101)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하에 O형 메시 시트(111)가 배열되고 O형 메시 시트(111) 사이에 C형 메시 시트(112)와 O형 메시 시트(111)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내피 부재(110)를 마련하는 단계(S30); 내피 부재(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구멍) 안에 상부 또는 하부 외피 부재(120:121,122)를 관통시켜서, 상하부 외피 부재(120) 사이에 내피 부재(110)를 위치시키는 단계(S40); 및 상하부 외피 부재(120)가 내피 부재(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되, 상하부 외피 부재(120)의 테두리에 마감 부재(130)를 재봉하여 유아용 베개를 완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계(S10)에서는, 상하부 외피 부재(120)를 서로 마주보게 접촉한다. 이때, 상하부 외피 부재(121,122)를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단계(S20)에서는, 상하부 외피 부재(120) 중심부에 재봉하여 머리 받침홈(101)을 형성한다. 머리 받침홈(101)은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타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S30)에서는, 상하에 O형 메시 시트(111)가 배열되고, O형 메시 시트(111) 사이에 C형 메시 시트(112)와 O형 메시 시트(111)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내피 부재(110)를 마련한다.
상기 단계(S40)에서는, 내피 부재(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구멍)(H) 안으로 상부 또는 하부 외피 부재(121,122:120)를 관통시켜서 꺼낸 후, 상하부 외피 부재(120) 사이에 내피 부재(110)를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S50)에서는, 상하부 외피 부재(120)가 내피 부재(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되, 상하부 외피 부재(120)의 테두리에 마감 부재(130)를 재봉하여 유아용 베개를 완성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유아용 베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상기 O형 메시 시트(111)와 상기 C형 메시 시트(112) 사이에 다수의 엘이디(L)가 설치된 엘이디 시트(115)가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 시트(115) 내부에는 배터리(B) 및 온오프 푸시 스위치(SW)가 밀봉 내장되는 구조이다. 온오프 푸시 스위치(SW)는 원터치 버튼으로 한번 누르면 온되고 다시 누르면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베개 몸체 안에 설치된 원터치 구조의 온오프 푸시 스위치(SW)를 눌러서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터리(B) 및 온오프 푸시 스위치(SW)가 밀봉 내장되므로, 세탁시에도 전기적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엘이디(L)의 점등시, 불빛이 상기 베개 몸체(100) 전체 표면으로 표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야간에 실내 분위기를 더욱 아름답고 분위기 좋게 만들 수 있으며, 상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개 몸체의 중심부에 유아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움푹 파인 머리 받침홈이 형성되며, 그 머리 받침홈을 기준으로 일측에 유아의 머리 뒷부분(후두부)을 지지하는 머리 후단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아의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목 지지부가 형성되며, 머리 후단 지지부가 목 지지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성장하는 유아의 두상을 고르게 성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양측 머리부가 밀착되어 유아가 잠을 자거나 누운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는 동안 뒤척임에 의해 머리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시망 부재를 이용하므로 땀이나 침을 빠르게 건조할 수 있어 땀이나 침에 의한 베개의 오염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세탁 이후에 건조가 빠르며, 실내 바닥면의 온기가 전달되더라도 통기성 구조에 의해 베개 표면의 온도 상승을 저하함에 따라 베개를 베고 있는 유아의 머리와 베개의 접촉면 사이에 땀이 차서 숙면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베개 몸체
101: 머리 받침홈
103: 머리 후단 지지부
104: 머리 후단 제1지지부
106: 머리 후단 제2지지부
107: 목 지지부
110: 내피 부재
111: O형 메시 시트
111a: 쿠션재
111b: 메시 망
112: C형 메시 시트
115: 엘이디 시트
120: 상하부 외피 부재
121: 상부 외피 부재
122: 하부 외피 부재
130: 마감 부재
B: 배터리
H: 홀
L: 엘이디
SW: 온오프 푸시 스위치

Claims (5)

  1. O형 메시 시트(111)와 C형 메시 시트(112)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내피 부재(110), 상기 내피 부재(110)의 외부를 감싸는 상하부 외피 부재(120), 및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120)의 테두리에 재봉 되는 마감 부재(130)를 포함하는 베개 몸체(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개 몸체(100)는 상면과 하면이 동일한 형상을 하는 타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개 몸체(100)의 중심부에는 유아 머리를 받치기 위하여 움푹 파인 머리 받침홈(101)이 형성되며, 상기 머리 받침홈(101)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지지하는 머리 후단 지지부(10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아의 목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목 지지부(107)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는 상기 목 지지부(107)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유아 머리가 뒤로 져쳐지는 현상 및 유아의 코와 입을 막아 호흡의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O형 메시 시트(111)는 폐쇄형의 홀(H)이 형성되고, 상기 C형 메시 시트(112)는 상기 목 지지부(107) 쪽으로 개방된 홀(H)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 상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머리 받침홈(101)의 위쪽에 형성되는 머리 후단 제1지지부(104); 및
    유아의 머리 뒷부분 좌우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머리 받침홈(101)의 좌우 양쪽에 형성되는 머리 후단 제2지지부(106); 를 구비하고,
    상기 베개 몸체(100)를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는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이고,
    상기 내피 부재(110)는,
    상하에 O형 메시 시트(111)가 배열되고, 상하에 배열된 상기 O형 메시 시트(111) 사이에 상기 C형 메시 시트(112)와 상기 O형 메시 시트(111)가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C형 메시 시트(112)는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의 두께(t1)가 상기 목 지지부(107)의 두께(t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껍고, 상기 머리 후단 지지부(103)의 길이(a)가 목 지지부(107)의 길이(b)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유아의 목 부분을 과도하게 지지하지 않고 편안하게 지지하여 유아 머리가 뒤로 져쳐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유아 누운 자세를 바꾸지 못하게 하여 유아의 코와 입을 막아 호흡의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C형 메시 시트(112) 중 가운데 배치된 상기 C형 메시 시트(112)는 홀(H)을 목 지지부(107) 반대쪽으로 위치하여 목 지지부(107)가 너무 얇아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아 목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120)를 마련하고 서로 마주보게 접촉하는 단계(S10);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120) 중심부에 재봉하여 머리 받침홈(101)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하에 O형 메시 시트(111)가 배열되고 상하에 배열된 상기 O형 메시 시트(111) 사이에 상기 C형 메시 시트(112)와 상기 O형 메시 시트(111)가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내피 부재(110)를 마련하는 단계(S30);
    상기 내피 부재(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구멍) 안에 상기 상부 또는 하부 외피 부재(121,122:120)를 관통시켜서,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120) 사이에 상기 내피 부재(110)를 위치시키는 단계(S40); 및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120)가 상기 내피 부재(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하되, 상기 상하부 외피 부재(120)의 테두리에 마감 부재(130)를 재봉하여 유아용 베개를 완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C형 메시 시트(112) 중 가운데 배치된 상기 C형 메시 시트(112)는 홀(H)을 목 지지부(107) 반대쪽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

KR1020200043191A 2020-04-09 2020-04-09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 KR10236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91A KR102369178B1 (ko) 2020-04-09 2020-04-09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91A KR102369178B1 (ko) 2020-04-09 2020-04-09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698A KR20210125698A (ko) 2021-10-19
KR102369178B1 true KR102369178B1 (ko) 2022-02-28

Family

ID=7822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191A KR102369178B1 (ko) 2020-04-09 2020-04-09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1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709B2 (ja) * 1997-09-04 2000-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0410868Y1 (ko) * 2005-11-07 2006-03-15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침구류의 지압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709U (ja) * 2005-04-01 2005-06-30 富士ベッド工業株式会社 乳幼児用枕
KR101147606B1 (ko) 2011-06-03 2012-06-14 주식회사 엘드 질식방지용 유아용 베개
KR20130066246A (ko) * 2011-12-12 2013-06-20 (주)지오크리에이티브 영유아의 자세성 두상 변형 예방을 위한 기능성 베개
KR20180106252A (ko) 2017-03-17 2018-10-01 세이호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유아용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709B2 (ja) * 1997-09-04 2000-1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KR200410868Y1 (ko) * 2005-11-07 2006-03-15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침구류의 지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698A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000B2 (en) Portable infant cushion
US3575326A (en) Infant carrier
US6848128B2 (en) Portable infant cushion
US20040250351A1 (en) Infant sleep positioner
US20150128350A1 (en) Neck, spine, and spinal cord support device for newborn baby and infant, and blanket assembly for same
US5423099A (en) Infant safety pillow
KR102516663B1 (ko) 두상 교정 기능을 갖는 영유아용 베개
CN105007782A (zh) 婴儿座椅床
KR102369178B1 (ko) 유아용 베개 및 그 유아용 베개 제조방법
KR102205713B1 (ko) 신생아의 놀람 방지와 포근하게 감쌈이 가능한 속싸개
JP2005124639A (ja) 乳児用マット
KR101469411B1 (ko) 유아용 베개
US20220225791A1 (en) SNOOGLEBABY A.K.A Angelic Baby Snoogle Mattress
KR200377121Y1 (ko) 유아용 베개
CN209750633U (zh) 一种空气微循环可调节u型环抱定型枕
RU180067U1 (ru) Детская переносная кроватка для детей первых месяцев жизни
CN213962790U (zh) 一种多功能防踢被
KR102278113B1 (ko) 유아용 쿠션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JP2020127666A (ja)
KR101320856B1 (ko) 수유용 받침시트
CN210185203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枕头
CN220344068U (zh) 一种新生婴儿睡垫
KR102589235B1 (ko) 영유아용 두상교정 베개세트
CN215650324U (zh) 一种凉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