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153B1 - Electric cooker - Google Patents

Electric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153B1
KR102369153B1 KR1020150090057A KR20150090057A KR102369153B1 KR 102369153 B1 KR102369153 B1 KR 102369153B1 KR 1020150090057 A KR1020150090057 A KR 1020150090057A KR 20150090057 A KR20150090057 A KR 20150090057A KR 102369153 B1 KR102369153 B1 KR 10236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am
temperature
control signal
electric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0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0915A (en
Inventor
곽동후
배호준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53B1/en
Publication of KR2017000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 공정의 수행 시, 증기 배출부에 구비된 구동 코일의 발열 특성을 이용하여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최소화하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내솥의 내부 또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내솥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조리 공정과,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 시에 상기 증기 배출부의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oker that minimize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lid portion of an inner pot by using the heating characteristic of a driving coil provided in a steam discharge unit when performing a warming process.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 input,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nternal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inner pot, and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by receiving power. A steam discharge unit provided with a driving coil to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to be performed, and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Description

전기 조리기{ELECTRIC COOKER}Electric cooker {ELECTRIC COOKER}

본 발명은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온 공정의 수행 시, 증기 배출부에 구비된 구동 코일의 발열 특성을 이용하여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최소화하는 전기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cooker that minimizes a temperature difference in a lid portion of an inner pot by using the heat-generating characteristic of a driving coil provided in a steam discharge unit when performing a warming process.

전기 조리기는 내솥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재료가 담긴 상태에서 내솥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 조리기는 흔히 전기 밥솥으로 대변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밥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전기 조리기라는 명칭에 걸맞게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An electric cooker is a device that cooks food by heating the inner pot in a state in which food materials to be cooked are contained in the inner pot to create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state. Such an electric cooker is often referred to as an electric rice cooker, but in recent years, it has been used for multiple purposes to suit the name of the electric cooker so as to cook various types of food other than rice.

일반적인 전기 조리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본체와 본체 안에 수용되는 내솥, 본체의 상부를 덮는 본체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내솥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본체 뚜껑은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The basic structure of a general electric cooker consists of a main body, an inner po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a main body lid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to heat the inner pot, and the main body lid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도 1은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에서 내솥 뚜껑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lid of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li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lid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도 1 및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은 본체(미도시)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40)과, 뚜껑(40)의 하단부에 내솥의 상부를 덮도록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솥 뚜껑(50), 탑플레이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and 2, the main body lid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is detachably detachable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inner pot at the lower end of the lid 40 and the lower end of the lid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not shown). It is made to include a provided inner pot lid (50), a top plate (60).

탑 플레이트(60)에는 내솥 내의 증기 조절을 위해 증기 조절부(70)가 수용홈(62)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증기 조절부(70)는 내솥의 내부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이 되는 경우 내솥으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게 되는 자동증기 배출부(90)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조리 공정 중 또는 조리 공정의 완료 후 내솥으로부터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80)(솔레노이드 밸브 장치) 및 자동증기 배출부(90), 증기 배출부(80)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되, 자동증기 배출부(90)와 증기 배출부(80)가 장착되는 고정판(72)을 구비한다.The top plate 60 is coupled to the steam control unit 70 is seated in the receiving groove 62 for controlling the steam in the inner pot. The steam control unit 70 includes an automatic steam discharge unit 90 that discharges steam from the inner po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pot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from the inner pot during or after the cooking process is comple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steam discharge unit 80 (solenoid valve device) for discharging steam, the automatic steam discharge unit 90, and the steam discharge unit 80 communicate is formed, and the automatic steam discharge unit 90 and the steam discharge unit A fixing plate 72 on which the 80 is mounted is provided.

탑 플레이트(60)는 수용홈(62)을 제외한 상측면에 히터(65)가 부착되어 뚜껑(40)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솥 뚜껑(50)은 고정부(55)에 의해 탑 플레이트(60)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The top plate 6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40 by attaching a heater 65 to the upper side excluding the receiving groove 62 , and the inner pot lid 50 is the top plate 60 by the fixing part 55 . )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여기서, 고정판(72)에는 자동증기 배출부(90)와 증기 배출부(80)가 장착되고, 수용홈(62)에는 고정판(72)이 결합되므로 히터(65)가 부착될 수가 없어 증기 조절부(70)와, 수용홈(62) 및 수용홈(62)의 저면에 대응하는 내솥 뚜껑(50)의 연통홈(52)은 히터(65)와 직접적인 접촉이 없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전기 조리기의 보온 시에, 히터가 구비되지 못한 면적에 대응하는 내솥 뚜껑(50)의 저면부와 연통홈(52)의 배면부(52a) 및 고정부(55)에 물이 맺히게 되고, 이렇게 맺힌 물이 내솥 내부의 밥에 떨어져 밥이 하얗게 변하며, 물기를 머금은 상태로 되어 보온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백화 현상을 야기한다. Here, the automatic steam discharge unit 90 and the steam discharge unit 80 are mounted on the fixing plate 72 , and since the fixing plate 72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62 , the heater 65 cannot be attached thereto, so the steam control unit 70 and the receiving groove 62 and the communication groove 52 of the inner pot lid 5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62 do not have direct contact with the heater 65 . Due to this structural problem, when the electric cooker is kept warm, water enters the bottom part of the inner pot lid 50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heater is not provided, and the back part 52a and the fixing part 55 of the communication groove 52. Condensation occurs, and the condensed water falls on the rice inside the inner pot, turning the rice white.

이러한 백화 현상은, 도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솥 뚜껑 분리형 전기 조리기뿐만 아니라, 내솥 뚜껑이 분리되지 않는 전기 조리기에서도 야기된다. 또한, 백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히터가 구비되지 못한 부분에 별도의 발열 장치 등을 장착할 수도 있으나, 발열 장치의 장착 비용과 공정 추가가 필요하며, 발열 장치가 증기로 인하여 부식되어 발열 기능의 상실 및 소손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This whitening phenomenon is caused not only in the inner pot lid detachable electric cooker as shown in FIGS. 1 and 2 but also in the electric cooker in which the inner pot lid is not detached.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whitening phenomenon, a separate heating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portion where a heater is not provided. Loss and damage occur.

또한, 종래의 전기 조리기에서 보온 공정에서 증기 배출부(80)가 장시간 닫혀 있을 경우, 내부에서 압력이 상승하여, 본체 뚜껑이 열리지 않는 문제가 야기된다. In addition, when the steam discharge unit 80 is closed for a long time in the warming process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the pressure rises inside, causing a problem that the lid of the main body is not opened.

본 발명은 보온 공정 중, 증기 배출부 내에 구비된 구동 코일의 발열 특성을 이용하여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최소화하고, PWM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구동 코일의 발열 온도를 조절하는 전기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cooker that minimiz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inner pot lid portion by using the heating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coil provided in the steam discharge unit during the warming process and adjusts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driving coil using the PWM control method.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보온 공정 중, 내솥의 내부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내부 온도가 안정화된 이후에, 증기 배출부를 폐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내솥의 내부 압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전기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cooker that maintain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pot at an appropriate level by maintaining the steam outlet in a closed state after the internal temperature is stabilized bas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during the warming process. The purpose.

본 발명인 전기 조리기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내솥의 내부 또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내솥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조리 공정과,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 시에 상기 증기 배출부의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 input,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nternal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inner pot, and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by receiving power. A steam discharge unit provided with a driving coil to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to be performed, and to perform a heat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을 위해 전압 차단을 수행하는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을 위해 전압 공급 또는 전압 차단을 수행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밸브 구동부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pplies a first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voltage cutoff fo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or performing voltage supply or voltage cutoff for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to the valve driving unit. It is preferable to do

또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과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증기 배출부에 상기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 제어 신호와, 상기 증기 배출부로의 전압이 차단되도록 하는 오프 제어 신호로 구성된 펄스폭 변조(PWM)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n on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the voltage to the steam discharge unit so that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are performed, and an off control signal for cutting off the voltage to the steam discharge unit.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configured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펄스폭 변조(PWM) 제어 신호 이전에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증기 배출부에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control signal includes an ON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a voltage to the vapor discharge unit for a reference time before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이 유지되도록 상기 온 제어 신호의 인가 시간이 한계 시간 이상으로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lication time of the on control signal is set to a limit time or more so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vapor discharge unit is maintain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 공정의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보온 경과 시간이 기준 제어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elapsed time of the warming process, and if the calculated elapsed time of keeping war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trol time, it is prefera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내부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부 온도의 안정화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온도가 안정화된 경우,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tabiliz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n the basis of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n the open state of the vapor discharge unit,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stabilized,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is It is desirable to do so.

본 발명은 보온 공정 중, 증기 배출부 내에 구비된 구동 코일의 발열 특성을 이용하여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백화 현상을 방지하여 보온 품질을 향상시키고, PWM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구동 코일의 발열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증기 배출부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thermal insulation quality by preventing whitening 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inner pot lid part by using the heating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coil provided in the steam discharge part during the warming process, and heats the driving coil using the PWM control metho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sticking between the parts in the steam outlet.

또한, 본 발명은 내솥 뚜껑 부위의 온도차를 감소시켜 가열부에 의한 가열량을 감소시키면서도 조리물을 원하는 보온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inner pot lid portion to reduce the amount of heating by the heating unit while maintaining the food within the desired keeping temperature rang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은 보온 공정 중, 내솥의 내부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내부 온도가 안정화된 이후에, 증기 배출부를 폐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내솥의 내부 압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취식을 위해 뚜껑을 열 때 내부 압력으로 인해 뚜껑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pot at an appropriate level by maintaining the steam outlet in a closed state after the internal temperature is stabilized bas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during the warming process, and the lid is closed for eat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lid does not open due to internal pressure when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보온 공정 중, 증기 배출부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증기 배출부를 개방하고, 기준 제어 시간 이상 보온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증기 배출부를 지속적으로 개방하여 증기 배출부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steam discharge unit in a closed state during the warming process, but opens the steam discharge unit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continuously opens the steam discharge unit when the warming operation is performed for more than a reference control time to remove the components in the steam discharge unit It is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of adhesion between the liver.

도 1은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조리기의 본체 뚜껑에서 내솥 뚜껑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기 조리기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에 따른 증기 배출부의 양단 전압의 예시들이다.
도 6은 전기 조리기 내부의 온도 측정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증기 배출부의 온도 측정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lid of a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pot lid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lid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cooker.
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electric cooker of FIG. 3 .
5 is an example of the voltage across the vapo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6 is a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temperature measuring portion inside the electric cooker.
7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portion of the steam outlet.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and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전기 조리기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메뉴나 현재 진행 중인 조리 공정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내솥의 상측, 측면, 하측 등에서 열을 가하는 가열부(130)와,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조리 공정, PWM 신호의 듀티비의 선택 등을 입력 받는 입력부(140)와, 내솥의 내부 온도 및/또는 전기 조리기의 외부 온도(환경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50)와,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증기 배출부(180)로 전압을 인가하는 밸브 구동부(160)와, 밸브 구동부(160)로부터의 전압에 의해 동작하는 증기 배출부(18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대기 공정과, 조리 공정, 보온 공정 등을 수행하며, 증기 배출부(180)로의 전압의 인가를 제어하여 밸브의 개폐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200)로 구성된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cook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that receives commercial power and supplies necessary power, a display unit 120 that displays a menu or a cooking process currently in progress, and a heating unit that applies heat to the upper, side,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pot ( 130), and the input unit 140 that receives a menu selection, a cooking process, selection of a duty ratio of a PWM signal, etc. from a user, and continuously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and/or the external temperature (environmental temperature) of the electric cooker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 the valve driving unit 160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applying a voltage to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 and steam discharging operated by the voltage from the valve driving unit 160 . The unit 180 and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a standby process, a cooking process, a warming process, etc. by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controls the application of a voltage to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to perform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valve ( 200) consists of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40) 및 온도 감지부(150)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의 기술에 해당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장치들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110, the display unit 120, the input unit 140, and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correspond to the level of technology recogniz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invention also includes the devices shown in FIGS. 1 and 2 .

가열부(130)는 내솥의 상측을 가열하기 위해 뚜껑에 장착되는 상측 가열부(도 1의 히터(65)와 동일함)와,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측면 가열부와, 내솥의 하측을 가열하는 하측 가열부로 구성된다. The heating unit 130 includes an upper heating unit (same as the heater 65 of FIG. 1) mounted on the lid to heat the upper side of the inner pot, a side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side of the inner pot, and heating the lower side of the inner pot It consists of a lower heating part.

밸브 구동부(160)는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증기 배출부(180)로의 전압을 제어한다. 증기 배출부(180)는 전압을 인가 받아 플렌저를 구동하여 증기의 배출 및 차단(밸브의 개방과 폐쇄)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을 구비한다. 제어부(200)는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대기 공정을 수행하다가, 메뉴의 선택과 조리의 시작 명령에 의해 조리 공정을 수행하고, 조리 공정 이후에 보온 공정을 수행하거나, 신규로 입력된 보온 명령에 따라 보온 공정을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대기 공정과, 조리 공정 및 보온 공정 등을 수행하면서, 수행되는 공정에 따라 증기 배출부(180)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밸브 구동부(160)를 제어한다. The valve driving unit 16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controls the voltage to the vapor discharge unit 180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includes a driving coil for discharging and blocking steam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by driving the plunger by receiving voltage.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o perform the standby process, perform the cooking process according to menu selection and a cooking start command, and perform the warming process after the cooking process, or a newly input keep warm Perform the warm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ommand.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valve driving unit 160 to open and close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according to the performed process while performing the standby process, the cooking process, the warming process,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제어 신호는 증기 배출부(180)의 개방 동작을 위한 제1 제어 신호,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을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밸브 구동부(160)은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증기 배출부(180)로 별도의 전원 공급을 하지 않아 개방 동작만을 수행하고 발열동작은 수행하지 않으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증기 배출부(180)로 전원을 공급하여 폐쇄 동작을 하며 증기 배출부(180) 내의 구동 코일이 발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 시에 구동 코일이 발열하는 발열 특성을 보온 공정에서 이용하며, 그 상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기재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first control signal for an opening operation of the vapor discharge unit 180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or a closing operation of the vapor discharge unit 180 . The valve driving unit 160 does not supply separate power to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so only an open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no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the steam discharge unit ( 180) to supply power to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driving coil in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The control unit 200 uses the heating characteristic generated by the driving coil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by using a second control signal including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control signal in the warming process, and the detailed The content is described below.

또한, 제어부(200)는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증기 배출부(180)의 개방 상태에서 온도 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된 내솥의 내부 온도를 이용하여 내솥의 내부 온도가 안정화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내솥의 내부 온도가 안정화된 이후에, 증기 배출부(180)를 폐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내솥의 내부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내부 압력 제어에 관한 사항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stabilized using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50 in the open state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while performing the warming process, and , Aft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stabilized,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to control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pot to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Matters related to this internal pressure contro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는 도 3의 전기 조리기의 제어 순서도이고, 도 5는 제1 및 제2 제어 신호에 따른 증기 배출부의 양단 전압의 예시들이다. 제어부(200)는 조리 알고리즘에 따라 온도 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된 내솥의 내부 온도를 이용하여 가열부(130)와, 밸브 구동부(160) 및 증기 배출부(180)를 제어하여 조리 공정을 수행한다. 제어부(200)는 조리 공정의 수행을 완료한 이후에, 자동으로 보온공정을 진행하거나 입력부(140)로부터 보온 수행 명령에 따라 보온 공정을 진행할 경우 단계(S11)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단계(S11)의 수행부터 보온 공정의 종료 시까지 보온 경과 시간을 산정한다.4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electric cooker of FIG. 3 , and FIG. 5 is an example of voltages at both ends of the steam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heating unit 130, the valve driving unit 160, and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us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according to the cooking algorithm to control the cooking process. carry out After completion of the cooking process, the control unit 200 automatically performs the keep-warm process or when the keep-warm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a keep-warm execution command from the input unit 140, step S11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calculates the elapsed time from the execution of step (S11) to the end of the warming process.

단계(S11)에서, 제어부(200)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밸브 구동부(160)로 인가하고, 밸브 구동부(160)는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증기 배출부(180)의 개방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증기 배출부(180)는 개방 동작 시에 발열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 증기 배출부(180)가 장착되는 고정판(72)의 온도가 낮아져 물이 맺히게 되므로, 제어부(200)는 이러한 고정판(72)의 물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부(130)(또는 가열부(130)의 상측 가열부)의 보온 목표 온도나, 보온 출력을 상향 조절한다. In step S11,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valve driving unit 160, and the valve driving unit 160 performs an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n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make it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does not perform a heating operation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plate 72 on which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is mounted is lowered and water is condensed, so that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fixing plate ( 72), the heating target temperature or the heating output of the heating unit 130 (or the heating unit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unit 130) is adjusted upward.

단계(S13)에서, 제어부(200)는 산정된 보온 경과 시간과 기저장된 기준 제어 시간을 비교한다. 만약 산정된 보온 경과 시간이 기준 제어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계(S11)로 진행하여 개방 동작을 유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5)로 진행한다.In step S13, the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calculated elapsed warming time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control time. If the calculated elapsed warming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ntrol tim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 to maintain the opening operation, otherwise it proceeds to step S15.

이 기준 제어 시간은 이러한 증기 배출부(180) 내의 고착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시간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20시간으로 설정된다. 제어 순서도의 단계(S23)에서, 증기 배출부(180)는 폐쇄 동작을 수행하며, 구동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열이 발생하는데, 이 폐쇄 동작과 발열 동작이 장시간 유지될 경우, 발열 동작에 의한 고온 상태로 폐쇄 동작을 수행하게 되어 증기 배출부(180) 내에서 접촉되는 부품들(예를 들면, 전기 조리기 내부와 연통되는 증기 유입 입구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증기 유입 입구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등)이 서로 고착됨으로써 증기 배출부(180)의 개방 동작의 지연이나 개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폐쇄 동작 중의 발열 동작에 의한 고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200)는 상기 보온 경과 시간이 기준 제어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계(S11)로 진행하여 증기 배출부(180)가 개방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여 발열 동작을 중단시켜 증기 배출부(180)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을 방지한다. This reference control time corresponds to a time for preventing the problem of sticking in the vapor discharge unit 180, and is set to, for example, 20 hours. In step S23 of the control flowchart,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performs a closing operation, and a current flows in the driving coil to generate heat. When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heating operation are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Parts contacted within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by performing the closing operation in a high temperature state (eg, a valve body having a steam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electric cooker, a diaphrag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inlet, etc.) ) is adhered to each other, thereby delaying or not open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occur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ticking due to the heat operation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S11 when the elapsed warming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control time, and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maintains the open operation. to stop the heating operation to prevent sticking between the components in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

단계(S15)에서, 제어부(200)는 온도 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된 내솥의 내부 온도가 보온 목표 온도와 같은지를 판단한다. 만약 내솥의 내부 온도가 보온 목표 온도와 같으면 단계(S1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로 진행한다.In step S15 ,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is equal to the warming target temperature. If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the same as the target keeping temperatur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 otherwise proceeds to step S11.

단계(S17)에서, 제어부(200)는 내솥의 내부 온도의 안정화를 판단하기 위해, 판단 경과 시간의 산정을 시작하거나, 판단 경과 시간을 초기화한 후 산정을 시작하고 단계(S19)로 진행한다.In step (S17), the control unit 200 starts the calculation of the elapsed determination time or initializes the elapsed time for determin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stabiliz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and then starts the calculation and proceeds to step (S19).

단계(S19)에서, 제어부(200)는 판단 경과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내솥의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내솥의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 이내이면 단계(S2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로 진행한다. 기준 범위는 예를 들면, 하한 온도(보온 목표 온도-4℃)로부터 상한 온도(보온 목표 온도+4℃)까지의 온도 범위로서, 기준 범위는 변동 가능하다. 또한, 보온 목표 온도가 가변되면, 기준 범위의 하한 온도 및 상한 온도도 가변될 수 있다. In step S19,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within a reference range while increasing the elapsed time determined. If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proceed to step (S21), otherwise proceed to step (S11). The reference range is, for example, a temperature range from the lower limit temperature (heat retention target temperature -4°C) to the upper limit temperature (heat retention target temperature + 4°C), and the reference range is variable. In addition, when the warming target temperature is changed, the lower limit temperature and the upper limit temperature of the reference range may also be changed.

단계(S21)에서, 제어부(200)는 판단 경과 시간이 기준 경과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한다. 만약 판단 경과 시간이 기준 경과 시간보다 크거나 같으면 단계(S2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9)로 진행한다. 기준 경과 시간은 내솥의 내부 온도가 안정화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에 해당되며, 예를 들면 10분으로 설정된다. In step S21,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elaps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elapsed time. If the judgment elaps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elapsed tim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9. The reference elapsed time corresponds to a tim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stabilized, and is set to, for example, 10 minutes.

단계(S23)에서, 제어부(200)는 PWM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밸브 구동부(160)로 인가하고, 밸브 구동부(160)는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 및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어부(200)는 제2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의 수행과 발열 동작에서의 발열 온도(또는 발열량)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하기에서 도 5의 설명과 함께 상세하게 기재된다. 또한, 제어부(200)는 증기 배출부(180)가 폐쇄 동작 시에 발열 동작을 수행하므로, 가열부(130)(또는 가열부(130)의 상측 가열부)의 보온 목표 온도나, 보온 출력을 하향 조절한다. In step S23,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including the PWM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valve driving unit 160, and the valve driving unit 160 responds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 to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and heating operation. The controller 200 may use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adjust the heating temperature (or the amount of heat) in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and the heating operation.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FIG. 5 below.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unit 200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the heating unit 130 (or the upper heating unit of the heating unit 130) of the heating target temperature or heating output down-regulate

단계(S25)에서, 제어부(200)는 증기 배출부(180)의 개방 동작 조건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개방 동작 조건이 발생하면 단계(S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7)로 진행한다. 여기서 개방 동작 조건은 내솥의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뚜껑이 열린 경우, 입력부(14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된 경우, 보온 경과 시간이 기준 제어 시간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제어 시간들과 같아지는 경우를 포함하며, 개방 동작 조건에 대한 사항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In step S25 ,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an open operating condi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occurs. If the open operating condition occur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7. Here, the open operation condition i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when the lid is opened, when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40, when the power is re-supplied after being cut off, and the elapsed warming time is the reference control time Including a case equal to less than one or more lower control times, the open operating condi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단계(S27)에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하여 보온 공정의 종료를 입력시켰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보온 공정의 종료가 입력되었으면, 증기 배출부(180)에 대한 제어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3)로 진행한다. In step S27 , the control unit 2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inputted the end of the warming process through the input unit 140 . If the end of the warming process is input, the control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s terminated, otherwis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

상술된 단계(S15) 내지 (S21)를 통하여, 제어부(200)는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내솥의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 이내에서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의 판단 경과 시간이 기준 경과 시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확인하여, 내솥의 내부 온도가 안정화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안정화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S11)에서 증기 배출부(180)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고, 안정화 상태인 경우에만 단계(S23)에서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 및 발열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이전에 안정화 확인 과정이 요구되는 것은, 조리(취사) 완료 시에 즉시 증기 배출부(180)를 폐쇄할 경우 내솥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본체 뚜껑이 열리지 않으며, 이러한 내솥의 증가된 내부 압력이 내솥의 내부 온도가 하강해도 계속 유지되어 본체 뚜껑이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정화 확인이 완료된 시점부터 증기 배출부(180)를 폐쇄하면, 안정화 확인 과정에서 내솥의 내부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후에 적정수준의 압력이 유지되어 내솥의 내부 압력에 의해 본체 뚜껑이 열리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s (S15) to (S21),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that the elapsed time determined whil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continuously maintained within the reference range while performing the warming proces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elapsed time By checking,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stabilized, and if it is not in a stable stat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s performed in step (S11), and the steam is discharged in step (S23) only when it is in a stable state. A closing operation and a heating operation of the unit 180 are performed. The stabilization confirmation process is required before the closing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is that, when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is immediately closed upon completion of cooking (cook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pot increases, so that the main body lid does not open, This is because the increased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pot is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when the inner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lowered, so that the main body lid is not opened. Therefore, when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s closed from the time when the stabilization check is complet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inner pot is lowered to an appropriate level during the stabilization check process, and thereafter, the proper level of pressure is maintained and the main body is caused by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pot.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lid does not open.

또한, 취사 이후에 보온을 수행하는 단계(S11), (S13), (S15)가 수행된 후 단계(S17)로 진행된 경우뿐만 아니라, 단계(S19)에서 판단 경과 시간이 증가된 이후에 단계(S21)에서 판단 경과 시간이 기준 경과 시간 미만일 때 단계(S19)로 진행된다. 단계(S19)에서 내솥의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단계(S11), 단계(S13), 단계(S15), 단계(S17)로 순차적으로 진행된 경우 및, 단계(S25)로부터 개방 동작 조건이 발생되어 단계(S11), 단계(S13), 단계(S15), 단계(S17)로 순차적으로 진행된 경우에 있어서, 단계(S17)는 안정화 확인 과정을 시작할 때 이전의 판단 경과 시간을 초기화하고, 판단 경과 시간의 산정을 시작한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S11), (S13), and (S15) of performing the warming after cooking is performed, the step (S17) is not only performed, but also after the elapsed time determined in step (S19) is increased ( When the elapsed time determined in S21) is less than the reference elapsed tim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9.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in step (S19) and sequentially proceeds to steps (S11), (S13), (S15), and (S17), and from step (S25), the open operating conditions are In the case of being generated and sequentially proceeding to step S11, step S13, step S15, and step S17, step S17 initializes the elapsed time of the previous determination when starting the stabilization check process, Calculation of elapsed time begins.

또한, 단계(S25)에서의 개방 동작 조건 중에서, 내솥의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예를 들면, 보온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온도 감지부(150)로부터의 환경 온도가 변경되면(외부 환경이 춥거나 더운 상태로 변한 경우), 제어부(200)는 보온 목표 온도를 자동적으로 보상 변경하여 내솥의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In addition, among the open operating conditions in step (S25),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for example, whe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is changed during the warming process (external environment) When it changes to a cold or hot state), the control unit 200 automatically compensates and changes the warming target temperature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또한, 내솥 뚜껑이 열린 경우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리물을 취식하기 위해서나 외부의 다른 조리물을 내솥에 보관할 때 발생되며, 제어부(200)는 전기 조리기의 핸들 조작을 감지하여 뚜껑이 열리는 것을 확인한다. 이 경우, 외부 조건에 의해 내솥의 내부 온도가 변화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inner pot lid is opened, it occurs, for example, when the user eats food or keeps other food in the inner pot, and the control unit 200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handle of the electric cooker and opens the lid. Check it. In this c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will be changed by the external conditions.

또한, 입력부(14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는 보온 공정의 수행과 보온 목표 온도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입력으로, 예를 들면, 보온 재가열, 보온 목표 온도의 가변, 보온 취소 입력이 해당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40, it is an input directly related to the execution of the warming process and the change in the target temperature for keeping warm, for example, reheating of warming, variation of the target temperature, and canceling of keeping warm. .

또한,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된 경우에, 제어부(200)는 온도 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된 내솥의 내부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단계(S11)로 진행하거나 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만약 내솥의 내부 온도가 보온 공정 시작 온도(예를 들면, 50℃) 이하이면, 제어부(200)는 보온 공정을 취소하고 대기 공정을 수행하고, 내솥의 내부 온도가 보온 공정 시작 온도를 초과하면, 제어부(200)는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단계(S11)로 진행하여 안정화 확인 과정을 수행한다. In addition, when power is re-supplied after being cut off,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S11 or performs a standby state bas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50 .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is below the warming process start temperature (eg, 50° C.), the controller 200 cancels the warming process and performs a standby process,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exceeds the warming process start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S11 while performing the warming process to perform a stabilization confirmation process.

또한, 보온 경과 시간이 기준 제어 시간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제어 시간들(예를 들면, 4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등)과 같아지는 경우에, 제어부(200)는 단계(S11)로 진행하여 증기 배출부(200)의 개방 동작을 수행한다.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 중에 수행되는 장시간의 발열 동작으로 인하여 증기 배출부(180)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하부 제어 시간들을 이용하여, 제어부(200)는 개방 동작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여 증기 배출부(180)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을 방지한다. In addition, when the elapsed warming time is equal to at least one or more lower control times (eg, 4 hours, 8 hours, 12 hours, 16 hours, etc.) smaller than the reference control time, the control unit 200 performs step S11 ) to perform an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200 . Since the parts in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are stuck due to a long heating operation performed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 the control unit 200 uses these lower control times to schedule the opening operation. It is performed at time intervals to prevent sticking between the parts in the steam outlet 180 .

상술된 단계(S25)에서의 5가지 조건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발생된 경우, 단계(S11)로 진행한다. If any one of the five conditions in step S25 described above occur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1.

상술된 단계(S11) 내지 (S13)에서, 보온 경과 시간이 기준 제어 시간과 같거나 커진 이후에는, 제어부(200)는 증기 배출부(180)의 개방 동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증기 배출부(180)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In the above-described steps (S11) to (S13), after the elapsed warming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trol time, the control unit 200 continuously maintain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so that the steam discharging unit ( 180) to prevent the problem of sticking between the parts in the

상술된 단계(S11)의 개방 동작 시의 가열부(130)(상측 가열부)의 보온 목표 온도나 보온 출력은 물맺힘의 방지를 위해 단계(S23)의 폐쇄 동작 시의 가열부(130)(상측 가열부)의 보온 목표 온도나 보온 출력보다 높도록 조절된다. The heating target temperature or the warming output of the heating unit 130 (upper heating unit)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step S11 is the heating unit 130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p S23 in order to prevent water condensation. The upper heating part) is adjusted to be higher than the warming target temperature or the warming output.

도 5는 증기 배출부로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의 예시들이다. 5 is an example of a first and a second control signal to a vapor outlet.

시간(t0)-(t1) 동안, 제어부(200)는 단계(S11)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증기 배출부(18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제1 제어 신호(오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밸브 구동부(160)에 인가한다. During time (t0) - (t1),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off control signal) so that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vapor discharge unit 180 to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of step S11 . and applied to the valve driving unit 160 .

시간(t1)부터, 제어부(200)는 단계(S23)의 폐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시간(t1)-(t2) 동안 20V의 구동 전압이 증기 배출부(180)에 인가되도록 온(ON) 제어 신호를 밸브 구동부(160)에 인가하고, 시간(t2)부터 시간(t5) 동안 기설정된 듀티비를 지닌 전압이 증기 배출부(180)에 인가되도록 PWM 제어 신호를 밸브 구동부(160)에 인가한다. 즉, 제2 제어 신호는 기준 시간 (예를 들면, 2초)동안 구동 전압이 지속적으로 증기 배출부(180)에 인가되도록 하여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온 제어 신호와,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이 유지되면서 듀티비에 대응하는 구동 전압이 증기 배출부(180)에 인가되도록 하는 PWM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From time t1, the control unit 200 is turned on so that a driving voltage of 20V is applied to the vapor discharge unit 180 during times t1 - t2 to perform the closing operation of step S23.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valve driving unit 160 , and a PWM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valve driving unit 160 so that a voltage having a preset duty ratio is applied to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from time t2 to time t5 . do. That is,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n on control signal for continuously applying a driving voltage to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for a reference time (eg, 2 seconds) to perform a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and , and a PWM control signal for allowing a driv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duty ratio to be applied to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whil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is maintained.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 중에 20V의 구동 전압이 지속적으로 증기 배출부(180)에 인가되면 증기 배출부(180)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에, 이러한 고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WM 제어 신호가 사용된다. 제어부(200)는 폐쇄 동작을 유지하면서 예를 들면, 온 제어 신호(듀티비 70%)(시간(t2-t3))(발열 기능 동작) 및 오프 제어 신호(듀티비 30%)(시간(t3-t4))(발열 기능 중단)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PWM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오프 제어 신호에 의해 증기 배출부(180)의 발열 동작이 중지되도록 하여, 증기 배출부(180)가 고온 상태에 도달되지 않도록 하여 증기 배출부(180)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제2 제어 신호가 오프 제어 신호를 포함하기에, 제어부(200)는 증기 배출부(180)가 오프 제어 신호 동안은 발열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즉 발열 동작을 주기적으로 중지시켜 증기 배출부(180)의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If a driving voltage of 20V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a sticking problem between the parts in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may occur. For this purpose, a PWM control signal is used. The control unit 200 maintains the closing operation, for example, an on control signal (duty ratio 70%) (time (t2-t3)) (heating function operation) and an off control signal (duty ratio 30%) (time (t3) -t4)) (interruption of heating function) using the sequentially repeated PWM control signal, to stop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by the off control signal, so that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s in a high temperature state This solves the problem of sticking between parts in the vapor outlet 180 by preventing it from reaching.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ntrol signal includes the off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200 prevents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from performing a heating operation during the OFF control signal, that is, periodically stopping the heating operation to discharge steam.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unit 180 can be adjusted.

또한, PWM 제어 신호의 듀티비는 제어부(200)에 의해서 또는 입력부(14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서 변경 가능하다. 온 제어 신호의 기본 듀티비는 70%로 설정되나, 예를 들면, 내솥 상측 영역(내솥 뚜껑(50)의 저면부와 연통홈(52)의 배면부(52a) 및 고정부(55))의 물맺힘 양에 따라서, PWM 제어 신호의 듀티비가 조절된다. 내솥 상측 영역의 물맺힘 양이 많으면, 온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상향 설정(예를 들면, 90%)함으로써, 증기 배출부(180)의 발열 온도가 상승하여 물맺힘 양이 감소된다. 반대로 내솥 상측 영역의 물맺힘이 없거나 적고 조리물 상측에 변색 등이 발생되면, 온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하향 설정(예를 들면, 50%)하여, 증기 배출부(180)의 발열 온도를 낮추어 보온 품질을 개선한다. In addition, the duty ratio of the PWM control signal can be changed by the control unit 200 or by a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140 . The basic duty ratio of the on control signal is set to 70%, but, for example, water in the inner pot upper region (the bottom portion of the inner pot lid 50 and the rear portion 52a of the communication groove 52 and the fixing portion 55) According to the amount of forming, the duty ratio of the PWM control signal is adjusted. When the amount of condensation in the upper region of the inner pot is large, by setting the duty ratio of the on control signal upward (eg, 90%),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rise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ondensation. Conversely, if there is no or little water condensation in the upper area of the inner pot or discoloration occurs on the upper side of the food, the duty ratio of the on control signal is set downward (for example, 50%) to lower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quality.

제어부(200)가 증기 배출부(180)를 PWM 제어 방식으로 제어할 경우 PWM 제어 신호의 주기는 가능한 짧게, 예를 들면 1ms로 하고, 온 제어 신호의 인가 시간이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이 유지되는 한계 시간 이상으로 길게 하여 증기 배출부(180)가 발열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증기 배출부(18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온 제어 신호의 인가 시간이 한계 시간 미만인 경우, 증기 배출부(180)가 개방되거나, 증기 배출부(180)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되기에, 제어부(200)는 온 제어 시간의 인가 시간이 한계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부(140)를 통하여 듀티비를 설정하는 경우에도 온 제어 신호의 인가 시간이 한계 시간 이상이 되도록 하는 온 제어 신호의 듀티비 범위(예를 들면, 50%-90%)를 표시부(120)를 통하여 안내하고, 듀티비 범위에 포함된 듀티비 만이 설정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n the PWM control method, the cycle of the PWM control signal is as short as possible, for example, 1 ms,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on control signal is the closing time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 The operation is maintained longer than the limit time to prevent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from being opened while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Here, when the application time of the on control signal is less than the limit time,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is opened 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are repeatedly performed to generate unnecessary noise, so that the control unit 200 ) allows the application time of the ON control time to be maintained over the limit tim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duty ratio range of the on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application time of the on control signal is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imit time even when the user sets the duty ratio through the input unit 140 (eg, 50%- 90%) is gu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and only the duty ratio included in the duty ratio range is settable.

시간(t5)부터, 제어부(200)는 단계(S11)의 개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증기 배출부(180)에 전압 인가되지 않도록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밸브 구동부(160)에 인가한다. From time t5 , the control unit 200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so that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to perform the opening operation of step S11 , and applies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valve driving unit 160 .

도 6은 전기 조리기 내부의 온도 측정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전기 조리기가 실온에서 보온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히터(65)에 대응하는 내솥 뚜껑(50)의 저면(위치①)과, 상측 가열부(히터(65))가 부착되지 않는 증기 조절부(70)에 대응하는 내솥 뚜껑(50)의 저면 또는 고정부(55)의 저면(위치②)와, 내솥(20)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간 위치(위치③)의 온도를 각각 측정한다. 온도 분포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6 is a view illustrating a position of a temperature measuring portion inside the electric cooker. In order to confirm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electric cooker performs the warming process at room temperature, the bottom (position ①) of the inner pot lid 50 corresponding to the heater 65, and the upper heating unit (heater 65) ) of the lower surface (position②) of the inner pot lid 50 or the fixed portion 55 corresponding to the steam control unit 70 to which is not attached, and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inner pot 20 (position③) Measure each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위치location 종래 기술1
(발열 기능 없음)
prior art 1
(No heating function)
본 발명
-듀티비(100%)
the present invention
-Duty ratio (100%)
본 발명
-듀티비(70%)
the present invention
-Duty ratio (70%)
종래 기술2
(발열 기능 없음)
prior art 2
(No heating function)
보온 목표 온도(74℃)Keeping target temperature (74℃) 보온 목표 온도(79℃)Keeping target temperature (79℃) 79.9℃79.9℃ 80.5℃80.5℃ 79.5℃79.5℃ 83.9℃83.9 72.2℃72.2℃ 77℃77℃ 75.3℃75.3℃ 74.9℃74.9 74.1℃74.1℃ 74.2℃74.2℃ 74.3℃74.3℃ 74.1℃74.1℃

종래 기술1(증기 배출부에 발열 기능이 없고 보온 목표 온도(74℃))이 적용된 전기 조리기에서, 위치 ②에서의 온도가 보온 목표 온도(74℃)보다 상당히 낮기 때문에, 내솥 상측 영역에 물맺힘 현상이 발생되고, 조리물 위로 떨어져 백화 현상이 발생된다. In the electric cooker applied with the prior art 1 (there is no heating function in the steam outlet and the target temperature to keep warm (74 ℃)), since the temperature at position ②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arget keep temperature (74 ℃), water condensation in the upper area of the inner pot A phenomenon occurs, and the whitening phenomenon occurs by falling on the food.

또한, 보온 목표 온도를 상향 조절한 종래 기술2(증기 배출부에 발열 기능이 없고 보온 목표 온도(79℃))이 적용된 전기 조리기에서, 위치 ①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조리물 상부에 변색이나 밥마름이 발생된다. In addition, in the electric cooker to which the prior art 2 (the steam outlet has no heating function and the target temperature (79°C)) is applied, the temperature of position ① is relatively high, so discoloration or rice dryness occurs.

또한,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 시에 발열 기능을 수행하면서, 듀티비(100%)가 적용된 전기 조리기에서, 내솥 상측 영역의 온도가 상승되어 물맺힘 현상이 방지되어 보온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증기 배출부(180)의 지속적인 발열 동작에 의해 증기 배출부(180) 내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증기 배출부(180) 내부의 부품들 간의 고착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electric cooker to which the duty ratio (100%) is applied, while perform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area of the inner pot is increased to prevent water condensation, thereby increasing the thermal insulation quality. there is an effect However, the temperature in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increases due to the continuous heat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sticking between components inside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

또한, 증기 배출부(180)의 폐쇄 동작 시에 발열 기능을 수행하면서, 듀티비(70%)가 적용된 전기 조리기에서, 위치 ②의 온도가 위치 ③의 온도보다 높아 내솥 상측 영역의 물맺힘 현상에 의한 백화 현상을 개선하고, 보온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부(180)가 온 제어 신호의 듀티비만큼의 시간 동안 발열 동작과 오프 제어 신호의 듀티비만큼의 시간 동안의 발열 중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증기 배출부(180)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게 됨으로써, 증기 배출부(180)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 문제를 해결한다. In addition, in the electric cooker to which the duty ratio (70%) is applied, while perform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the temperature of position ②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position ③, so the water condensation in the upper area of the inner pot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hitening phenomenon caused by and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quality. In addition,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repeatedly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for a time equal to the duty ratio of the on control signal and stopping the heat generation for a time equal to the duty ratio of the off control signal,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is By not being high, the problem of sticking between the parts in the vapor discharge unit 180 is solved.

도 7은 증기 배출부의 온도 측정 부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리기가 실온에서 보온 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증기 배출부(180)의 상측 위치(④)와 측면 위치(⑤)의 온도가 측정되며, 측정된 온도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7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measurement portion of the steam outlet. While the electr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warming process at room temperature, the temperatures of the upper position (④) and the side position (⑤) of the steam discharge unit 180 are measured, and the measured temperature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위치location 듀티비(70%)Duty ratio (70%) 듀티비(100%)Duty ratio (100%) 76.1℃76.1℃ 85.5℃85.5 79.0℃79.0℃ 90.1℃90.1℃

표 2에서, 듀티비가 100%인 경우는 PWM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지속적인 발열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기에, 위치 ④ 및 ⑤ 의 온도 각각이 듀티비가 70%인 경우보다 약 10℃ 정도 높다. 즉, 듀티비가 70%인 경우가 듀티비가 100%인 경우보다 증기 배출부(180)가 상대적으로 저온이 되므로, 폐쇄 동작 중에 장시간 발열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증기 배출부(180) 내의 부품들 간의 고착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In Table 2, when the duty ratio is 100%, since the continuous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PWM control, the temperatures of positions ④ and ⑤ are about 10°C higher than when the duty ratio is 70%, respectively. That is, when the duty ratio is 70%, since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is relatively low temperature than when the duty ratio is 100%, the problem of sticking between the parts in the steam discharging unit 180 even when a long heat generating operation is performed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does not occu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use various method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10: 전원부 120: 표시부
130: 가열부 140: 입력부
150: 온도 감지부 160: 밸브 구동부
180: 증기 배출부 200: 제어부
110: power unit 120: display unit
130: heating unit 140: input unit
150: temperature sensing unit 160: valve driving unit
180: steam outlet 200: control unit

Claims (13)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내솥의 내부 또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내솥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조리 공정과,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 시에 상기 증기 배출부의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내부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부 온도의 안정화를 판단하고, 상기 내부 온도가 안정화된 경우,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 input;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nternal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inner pot;
a steam discharge unit provided with a driving coil for receiving power to open and close the valve;
a valv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nd blocking of voltage to the driving coil; While performing a cooking process and a warming process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valve driving unit is controlled to open or close the steam discharging unit, and heat gen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is performed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that allows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tabiliz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bas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in the open state of the steam discharge unit,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stabilized,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is performed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을 위해 전압 차단을 수행하는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을 위해 전압 공급 또는 전압 차단을 수행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밸브 구동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pplies a first control signal for shutting off voltage fo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outlet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voltage or shutting off voltage for closing the vapor outlet to the valve driving unit. Features an electric cook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과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증기 배출부에 상기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 제어 신호와, 상기 증기 배출부로의 전압이 차단되도록 하는 오프 제어 신호로 구성된 펄스폭 변조(PWM)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a pulse composed of an ON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the voltage to the steam discharge unit so that the closing operation and the heat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are performed, and an OFF control signal for cutting off the voltage to the steam discharge unit Electric cooker comprising a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펄스폭 변조(PWM) 제어 신호 이전에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증기 배출부에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는 온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ontrol signal includes an ON control signal for supplying a voltage to the steam outlet for a reference time before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이 유지되도록 상기 온 제어 신호의 인가 시간이 한계 시간 이상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lication time of the on control signal is set to be more than a limit time so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is maintain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리기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이 유지되도록 상기 펄스폭 변조(PWM) 신호의 온 제어 신호의 듀티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ic cooker sets a duty ratio of an ON control signal of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so that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e unit is maintained.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내솥의 내부 또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내솥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조리 공정과,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 시에 상기 증기 배출부의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 시의 상기 가열부의 보온 목표 온도나 보온 출력이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 시의 상기 가열부의 보온 목표 온도나 보온 출력보다 높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 input;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nternal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inner pot;
a steam discharge unit provided with a driving coil for receiving power to open and close the valve;
a valv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nd blocking of voltage to the driving coil; While performing a cooking process and a warming process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valve driving unit is controlled to open or close the steam discharging unit, and heat gen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is performed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that allows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by adjusting the heating target temperature or the warming output of the heating unit during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to be higher than the target keeping temperature or the warming output of the heating unit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부와;
내솥의 내부 또는 외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내솥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와;
전원을 인가 받아 밸브의 개방 및 폐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동 코일이 구비된 증기 배출부와;
상기 구동 코일로의 전압의 인가 및 차단을 조절하는 밸브 구동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조리 공정과, 보온 공정을 수행하면서, 상기 밸브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 시에 상기 증기 배출부의 발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 공정의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보온 경과 시간이 기준 제어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an input unit for obtaining a user input;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nternal or external temperature of the inner pot;
a heating unit for applying heat to the inner pot;
a steam discharge unit provided with a driving coil for receiving power to open and close the valve;
a valv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nd blocking of voltage to the driving coil; While performing a cooking process and a warming process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valve driving unit is controlled to open or close the steam discharging unit, and the steam discharging unit generates heat when the steam discharging unit closes. Consists of a control unit that allows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elapsed time of the warming process, and when the calculated elapsed time of keeping war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control time, the electric cooker continuously maintain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온도가 보온 목표 온도와 같아지면 판단 경과 시간을 산정하고, 산정된 판단 경과 시간이 기준 경과 시간보다 크거나 같을 때까지 상기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내부 온도가 안정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judgment elapsed time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equal to the warming target temperature, 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within a reference range until the calculated elapsed judgmen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elapsed time, the internal temperature is stabilized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온 공정에서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동작의 수행 중에,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 조건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n opening operation condi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occurs while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is performed in the warming proces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 조건은 상기 내부 온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전기 조리기의 뚜껑이 열린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있는 경우,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된 경우, 보온 경과 시간이 기준 제어 시간보다 작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제어 시간들과 같아지는 경우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pening operation condition of the steam discharge part i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is out of a reference range, when the lid of the electric cooker is opened, when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hen the power is re-supplied after being cut off, and the elapsed time of keeping warm The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ase of being equal to at least one or more lower control times smaller than the reference control ti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 조건이 발생된 경우,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내부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부 온도의 안정화를 다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cause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to be performed when the opening operation condition of the steam discharging unit occurs, and re-determining stabilization of the internal temperature based on the internal temperatu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보온 재가열, 보온 목표 온도의 가변, 보온 취소 입력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조리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input is an electric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reheating, changing the target temperature, and canceling the keeping warm.
KR1020150090057A 2015-06-24 2015-06-24 Electric cooker KR102369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057A KR102369153B1 (en) 2015-06-24 2015-06-24 Electric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057A KR102369153B1 (en) 2015-06-24 2015-06-24 Electric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15A KR20170000915A (en) 2017-01-04
KR102369153B1 true KR102369153B1 (en) 2022-03-03

Family

ID=5783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057A KR102369153B1 (en) 2015-06-24 2015-06-24 Electric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1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338B (en) * 2017-01-05 2020-05-0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Pressure cooking appliance and pressur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1914726B1 (en) * 2017-07-10 2018-11-02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1985479B1 (en) * 2017-07-10 2019-09-03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CN110840243B (en) * 2019-09-26 2022-02-01 九阳股份有限公司 Pressure-reducing cover-opening control method for pressure cooking appliance and pressure cooking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441B1 (en) 2006-03-13 2007-08-03 쿠쿠전자주식회사 Vapor dis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pressure heat insulating rice cooker with scattering preventing function
KR101525538B1 (en) 2014-01-17 2015-06-03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1525539B1 (en) * 2014-01-17 2015-06-03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1597548B1 (en) 2014-08-29 2016-02-25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441B1 (en) 2006-03-13 2007-08-03 쿠쿠전자주식회사 Vapor dis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pressure heat insulating rice cooker with scattering preventing function
KR101525538B1 (en) 2014-01-17 2015-06-03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1525539B1 (en) * 2014-01-17 2015-06-03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cooker
KR101597548B1 (en) 2014-08-29 2016-02-25 쿠쿠전자 주식회사 Electric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15A (en)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153B1 (en) Electric cooker
US9769883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JP2006141978A (en) Rice cooking control system of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WO2015159923A1 (en) Cooker
JP2008043420A (en) Electric rice cooker
KR100955485B1 (en) A electric cooking apparatus and heater control method thereof
CN106264111A (en) The method for heating and controlling of electricity cooking pot and electricity cooking pot
CN108338670B (en) Pressure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MY133321A (en) Rice cooker
KR1007653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keeping temperature of electric pressure cooker
JP5811685B2 (en) Pressure cooker
CN101369138A (en) Reserved heat preservation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20095228A (en) Hot water supply system of regular temperature
KR101597548B1 (en) Electric cooker
KR101137809B1 (en) Electric rice cooker and heat retaining method for the same
CN205758296U (en) Electric cooker
JP2020186870A (en) Gas stove
EP361073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eam generating system for a cooking oven with steam cooking function and steam generating system
JP2007312871A (en) Warming device and rice cooker with the device
KR20200137783A (en) Control method of automatic cooking using electric range having faucet
KR102056079B1 (en) Electric cooker with keeping-heating function
KR20180090927A (en) method for controlling keeping temperature of electric cooker
KR100686744B1 (en) Warm drawer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a oven range
KR20140107841A (en) A steam ove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235689A (en) Electric pressure coo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