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681B1 -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681B1
KR102368681B1 KR1020210107452A KR20210107452A KR102368681B1 KR 102368681 B1 KR102368681 B1 KR 102368681B1 KR 1020210107452 A KR1020210107452 A KR 1020210107452A KR 20210107452 A KR20210107452 A KR 20210107452A KR 102368681 B1 KR102368681 B1 KR 10236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ondition
oral
condition monitoring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인규
Original Assignee
백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규 filed Critical 백인규
Priority to KR1020210107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81B1/ko
Priority to PCT/KR2022/002957 priority patent/WO20230179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9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p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8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masticatory organs, e.g. detecting dental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7Evaluating brux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구강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감지부, 저장부, 통신부 및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장치가 치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ORAL HEALTH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본 개시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에 고정하여 구강 내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무선 충전 방식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여,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모니터링 결과 분석하여 구강 상태를 진단하며, 사용자가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및/또는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체에 부착하여 혈압, 심박수, 산소 포화도, 체온, 심전도 등을 측정하는 헬스 케어 목적의 웨어러블(wearable) 장치에 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들은 사용자들의 신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그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을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는 추후 국가 보건 정책의 방향을 정하는 데에 신뢰할 만한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일상생활에서도 웨어러블 장치를 항상 착용하고 있어야 하므로,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감은 하나의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 자리하고 있다. 특히, 구강 내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장치의 경우, 치아 교합 시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기 쉬워, 그 장치의 재질, 형태 등은 장치 설계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들이다. 또한, 장치가 타액이 존재하는 구강 내에 부착된다는 점에서, 장치를 신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충전하는 방식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치아에 고정하여 구강 내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무선 충전 방식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여,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모니터링 결과 분석하여 구강 상태를 진단하며, 사용자가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및/또는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구강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감지부, 저장부, 통신부 및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장치가 치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는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체열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구강 상태는 구강 내 pH,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및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부는 치아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개방된 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는,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에 의한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또는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또는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는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체열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구강 상태는 구강 내 pH,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및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부는 치아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개방된 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는,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상태 분석 정보는 양치 상태, 수면 중 이갈이 여부, 치과 내원 필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처방 정보는 구강 질환 여부, 구강 질환의 치료 비용 또는 처방 약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또는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 푸쉬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된 고리의 형태로 치아의 측면에 부착되어, 치아를 교합하는 과정에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아 착용감이 향상된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신체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신체에 부착된 상태로 체열에 의하여 충전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장치를 이용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충전하는 행위를 사용자의 구강 상태를 검진하기 위한 행위로 인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충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가 등록된 전문 기관의 전문의로부터 구강 상태의 분석 결과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아, 치과를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의 치아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푸쉬 알람을 제공받음으로써 정기 검진 시기를 놓치지 않고 치과에 방문하여 치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공 받은 구강 질환 여부를 확인하여 치과에 방문함으로써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가 등록된 치과의 광고/마케팅 정보를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구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가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하여 충전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에 기초하여 구강 상태 분석 정보, 처방 정보 등을 추론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된 기계학습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신경망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가 함께 구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100)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를 사용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0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를 자신의 치아, 예를 들어, 윗턱 최후방 대구치의 후면, 뺨 쪽 또는 입천장 쪽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가 윗턱 최후방 대구치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는 사용자의 치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에 의하여 측정된 구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구강 상태는 구강 내 pH ,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구강 상태를 기초로 분석된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강 상태 분석 정보란 사용자(100)의 구강 상태를 기초로 사용자(100)에게 제공되는 구강 관리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100)의 양치 상태, 수면 중 이갈이 여부, 치과 내원 필요 여부 등)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 고유의 식별 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정보가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자신의 구강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사용자 단말은 치과 전문의 등의 의학 전문가의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100)는 자신의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피드백 정보란 사용자(100)의 구강 상태를 기초로 의사와 같은 의학 전문가에 의하여 분석된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 정보는 구강 질환 여부, 해당 구강 질환의 치료 비용, 처방 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구강 관리와 연관된 알람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미리 정해진 주기(일주일, 한달 등)마다 정기 검진을 권장하기 위한 푸쉬 알람,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100)의 구강 상태를 기초로 하는 치과 내원을 제안하기 위한 푸쉬 알람,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사용자(100)의 위치부터 사용자 단말(120)에 관한 정보가 등록된 치과까지의 경로, 사용자(100)의 위치로부터 현재 가장 가까운 치과, 사용자(100) 구강 상태와 관련된 추천 치과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와 연관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100)는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10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의 부재(예를 들어, 진동 소자)를 통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의 교체 시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는 사용자(100)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를 착용하는 동안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는 사용자(100)의 체열, 사용자(100)의 움직임에 의한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는 별도의 무선 및/또는 유선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충전 장치는, 사용자(100)가 충전 장치를 입에 물고 있는 동안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110)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바이트-블록(bite-block)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에서 후술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와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구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구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및 PC 단말 (2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이미지 센서가 탑재된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에서 동작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사진, 영상, 텍스트 등)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저장하고 네트워크(220)와 연결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10)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PC 단말(2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은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사용자 단말(210)과 연관된 위치 정보(예를 들어, 주변 치과의 위치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사용자 단말(210)의 메모리(312)에 로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3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구강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 (21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 등을 저장, 처리 및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는 감지부(410), 저장부(420), 통신부(430), 전원 공급부(440) 및 부착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10)는 구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구강 상태는 구강 내 pH ,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410)는 구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 센서, 타액 내 화학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구취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황화수소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420)는 감지부(410)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2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2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20)는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의 식별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43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를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3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와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100)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43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의 식별 번호가 등록된 외부 서버(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와 연관된 서버, 치과 등과 같은 전문 기관의 서버)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44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4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관한 정보는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관한 정보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부(440)의 배터리는 외부 장치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440)의 배터리는 충전 장치(미도시)와 무선 및/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원 공급부(440)는 열전소자(Thermo-Electric Module)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체열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부(45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의 하우징(housing)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은 사용자 개인의 치아 형태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450)는 사용자의 치아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450)는 치아(구체적으로, 최후방 대구치 등)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개방된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60)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감지부(410), 저장부(420), 통신부(430) 및 전원 공급부(440)의 상술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신호는 감지부(410), 저장부(420), 통신부(430) 및/또는 전원 공급부(4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일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 고유의 식별 번호가 등록된 외부 서버(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와 연관된 서버, 치과 등과 같은 전문 기관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신호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유선으로 연결된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에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가 감지부(410), 저장부(420), 통신부(430), 전원 공급부(440), 부착부(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400)는 진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는 감지부(410)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기초로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는 감지부(410)에 의하여 구강 내 pH,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또는 구강 내 온도 중 적어도 하나와 저장부(420)에 저장된 각각의 기준치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구강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진동부는 전원 공급부(440)의 충전 여부를 기초로 진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는 전원 공급부(440)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진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충전 완료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치아에 부착되기 이전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의 예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는 장치가 치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는 최후방 대구치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개방된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의 (b)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가 치아(510)에 부착된 예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는 치아(51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치아(510)가 교합되었을 때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의 하우징은 치아(510)와 유사한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500)가 개방된 고리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200)는 치아(510)의 측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brack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가 무선 충전 장치(610)에 의하여 충전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무선 충전 장치(610)를 입에 물고 잇는 동안, 무선 충전 장치(60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를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충전 장치(610)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가 충전되는 동안 치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가 무선 충전 장치(610)에 의하여 충전되는 동안,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예: 사용자 단말(1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구강 상태를 기초로 하여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생성/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가 무선 충전 장치(610)에 의하여 충전되는 동안,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는 사용자 단말로 일정 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한달 등) 동안의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예를 들어, 구강 내 pH, 타액 성분 또는 구취의 정도 등)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 단말은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구강 상태 분석 정보(구강 상태에 적합한 음식, 양치 방법 등)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가 무선 충전 장치(610)에 의하여 충전되는 동안, 사용자 단말은 구강 상태 및/또는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외부 장치(사용자 단말,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와 연관된 서버, 치과 등과 같은 전문 기관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의 충전 여부를 사용자 단말이 인식하고, 인식에 응답하여 구강 상태 및/또는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 충전 장치(600)를 통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를 충전하는 행위를 자신의 구강 상태를 검진하기 위한 행위로 인지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610)를 이용하여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를 충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가 치아에 부착된 상태로 무선 충전 장치(610)에 의하여 충전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는 치아에서 분리되어 유선 충전 장치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600)는 열전 소자를 포함하여 별도의 유선/무선 충전 장치 없이 체열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충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700), 사용자 단말(710), 정보 처리 시스템(720), 다른 사용자 단말(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사용자 단말(730)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700)의 고유의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710)의 정보 등이 등록된 전문 기관(예를 들어, 치과)과 연관된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 단말(710)은 정보 처리 시스템(720)으로부터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700)와 연관된 데이터,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 단말(730)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700)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 사용자 단말(71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출력된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740)는 다른 사용자 단말(730)을 이용하여 구강 상태,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등을 확인하고, 충치 여부, 치과 내원 필요 여부, 치료 비용, 처방 약 등과 같은 처방 정보를 다른 사용자 단말(730)에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 단말(730)은 다른 사용자(740)로부터 입력된 처방 정보를 정보 처리 시스템(72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710)에 설치된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등을 이용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720)에 업로드 된 전문가에 처방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사용자 단말(730)은 사용자 단말(710)에 정기 검진 알람 등이 전송되도록, 정보 처리 시스템(720)에 알람의 미리 정해진 주기(예를 들어, 일주일, 한 달 등)을 업로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결정된 주기 마다 사용자 단말(210)을 통해 푸쉬 알람, 메시지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사용자 단말(730)은 정보 처리 시스템(720)을 통해 치과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7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 단말(730)은 치과와 관련된 광고/마케팅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7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740)은 수신한 광고/마케팅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730)은 치과의 위치 정보 등을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의 정보가 등록된 치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700) 및 사용자 단말(710)이 정보 처리 시스템(720)을 통해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730)과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700) 및 사용자 단말(710)은 정보 처리 시스템(720)을 통해 복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과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7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전문 기관으로부터 구강 상태 분석 정보, 처방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720)은 복수의 전문 기관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구강 상태 분석 정보, 처방 정보 등을 수집/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상태에 기초하여 구강 상태 분석 정보, 처방 정보 등을 추론하거나 출력하도록 구성된 기계학습 모델(8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기계학습 모델(820)'은 주어진 입력에 대한 답을 추론하는데 사용하는 임의의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학습 모델(820)은 입력 레이어(층), 복수 개의 은닉 레이어 및 출력 레이어를 포함한 인공신경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계학습 모델(820)은 인공신경망 모델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인공신경망 모델은 기계학습 모델(820)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학습 모델(820)은 제어부(예: 제어부(460))를 통해 생성,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계학습 모델(820)에 접근하여,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이 경우,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800)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내 pH 상태,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등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가 기계학습 모델(820)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사용자(예: 다른 사용자(740))로부터 입력(수신)된 양치 상태, 수면 중 이갈이 여부, 치과 내원 필요 여부 등을 포함하는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및/또는 구강 질환 여부, 해당 구강 질환의 치료 비용 또는 처방 약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정보가 기계 학습 모델(820)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기계학습 모델(820)은 제어부가 접근 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8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예: 정보 처리 시스템(720))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학습 모델(820)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800)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활용하여,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추론 및/또는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 모델(820)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800)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내 pH,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및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양치 상태, 수면 중 이갈이 여부, 치과 내원 필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추론/출력하고, 사용자 단말(810)에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계학습 모델(820)은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800)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 및/또는 구강 상태 분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데이터로 활용하여, 처방 정보를 추론 및/또는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 모델(820)은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 및/또는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강 질환 여부, 구강 질환의 치료 비용 및 처방 약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 정보를 추론/출력하여 사용자 단말(8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신경망(900)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인공신경망(900)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술과 인지과학에서, 생물학적 신경망의 구조에 기초하여 구현된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 또는 그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구조이다. 즉, 인공신경망(900)은, 생물학적 신경망에서와 같이 시냅스의 결합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한 인공 뉴런인 노드(Node)들이 시냅스의 가중치를 반복적으로 조정하여, 특정 입력에 대응한 올바른 출력과 추론된 출력 사이의 오차가 감소되도록 학습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는 기계학습 모델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인공신경망은 다층의 노드들과 이들 상이의 연결로 구성된 다층 퍼셉트론(MLP: multilayer perceptron)으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공신경망(900)은 MLP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공신경망 구조들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신경망(900)은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 또는 데이터(910)를 수신하는 입력층(920), 입력 데이터에 대응한 출력 신호 또는 데이터(950)를 출력하는 출력층(940), 입력층(920)과 출력층(940) 사이에 위치하며 입력층(920)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특성을 추출하여 출력층(940)으로 전달하는 n개의 은닉층(930_1 내지 1130_n)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출력층(940)은, 은닉층(930_1 내지 1130_n)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외부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인공신경망(900)의 학습 방법에는, 교사 신호(정답)의 입력에 의해서 문제의 해결에 최적화되도록 학습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방법과, 교사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방법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및 준 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에서 구강 상태 진단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추출하는 인공신경망(900)을 학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900)의 입력 변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예: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200))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예를 들어, 구강 내 pH,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등)로 구성된 벡터(910)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변수는 구강 상태를 기초로 하는 구강 상태 분석 정보(예를 들어, 구강 상태에 적합한 음식, 양치 방법 등) 및/또는 처방 정보(예를 들어, 구강 질환 여부, 치과 내원 필요 여부, 치료 비용, 처방 약 등)를 나타내는 결과 벡터(950)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변수에 따라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출력하는 인공신경망(900)이 학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입력 변수는,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로 구성된 벡터(910)가 될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900)의 출력변수는 구강 상태를 기초로 하는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나타내는 결과 벡터(95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공신경망(900)의 출력변수는 구강 상태 및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하는 처방 정보를 나타내는 결과 벡터(950)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결과 벡터(950)는 구강 질환의 여부를 나타내는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러한 결과 벡터(950)는 치과 내원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학습된 인공신경망(900)을 이용하여, 구강 상태에서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및/또는 처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900)을 이용하여, 구강 상태에서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900)을 이용하여, 구강 상태에서 처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앞선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개시를 행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예들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비록 예시적인 구현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의 맥락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을 언급할 수도 있으나, 본 주제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디바이스들에서 또는 그들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110: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120: 사용자 단말

Claims (12)

  1.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구강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감지부, 상기 저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장치가 치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부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무선 충전 장치를 입에 물고 있는 동안 상기 배터리가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장치가 충전되는 동안에 치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하여 충전되는 동안, 일정 기간 동안의 상기 데이터와 연관된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와 연관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체열에 의하여 충전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구강 상태는 구강 내 pH,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및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치아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개방된 고리 형태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5. 삭제
  6.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상기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신한 구강 상태와 연관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학습 모델에 의한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또는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상기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또는 상기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무선 충전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장치가 충전되는 동안에 치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치아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하여 충전되는 동안, 일정 기간 동안의 상기 데이터와 연관된 구강 상태 분석 정보를 구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와 연관된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체열에 의하여 충전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구강 상태는 구강 내 pH, 타액 성분, 구취의 정도, 구강 내 온도, 교합력의 세기, 교합 횟수 및 섭취하는 음식의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치아의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개방된 고리 형태인,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상태 분석 정보는 양치 상태, 수면 중 이갈이 여부, 치과 내원 필요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 정보는 구강 질환 여부, 상기 구강 질환의 치료 비용 또는 처방 약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기 구강 상태 분석 정보 또는 상기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푸쉬 알람을 전송하는, 구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07452A 2021-08-13 2021-08-13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368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52A KR102368681B1 (ko) 2021-08-13 2021-08-13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PCT/KR2022/002957 WO2023017934A1 (ko) 2021-08-13 2022-03-02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52A KR102368681B1 (ko) 2021-08-13 2021-08-13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681B1 true KR102368681B1 (ko) 2022-02-28

Family

ID=8049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452A KR102368681B1 (ko) 2021-08-13 2021-08-13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8681B1 (ko)
WO (1) WO20230179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7934A1 (ko) * 2021-08-13 2023-02-16 백인규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401A (ko) * 2015-07-02 2017-01-11 이진균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및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
KR20200144327A (ko) * 2019-06-18 2020-12-2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모니터링 장치 및 구강 모니터링 방법
KR20210044096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큐티티 치아우식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702A (ko) * 2019-08-13 2021-02-23 프리즈머블 주식회사 상태정보 분석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368681B1 (ko) * 2021-08-13 2022-02-28 백인규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401A (ko) * 2015-07-02 2017-01-11 이진균 치아 부착용 웨어러블 장치 및 치아 고정용 감지장치
KR20200144327A (ko) * 2019-06-18 2020-12-2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모니터링 장치 및 구강 모니터링 방법
KR20210044096A (ko) * 2019-10-14 2021-04-22 주식회사 큐티티 치아우식 탐지를 이용한 구강건강 예측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7934A1 (ko) * 2021-08-13 2023-02-16 백인규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7934A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165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health monitoring using behavior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a body portion
US10114453B2 (en) Smart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with power consumption and network load optimization
CN105748037B (zh) 具有用于患脊柱侧凸的患者的生物反馈系统的体感背心
US10115299B2 (en) Intraoral sensing and communications appliance
Zheng et al. An emerging wearable world: New gadgetry produces a rising tide of changes and challenges
US20220008243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monitoring and treating bruxism
EP3656344B1 (en) Tooth wearable device
US20210177306A1 (en) Multi-sensor gesture-based operation of a medication delivery system
WO20202643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llness assessment of a pet
KR102368681B1 (ko) 인공신경망 기반의 구강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US2022038402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medication has been administered and server using same
JP2021142242A (ja) 口腔内センシングシステム、及び口腔内センシング方法
Pejovic et al. Anticipatory mobile digital health: Towards personalized proactive therapies and prevention strategies
Ahmed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JP2023512987A (ja) 患者の脊椎、平衡、歩行、又は姿勢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204072067U (zh) 使用传感器数据的空间和时间矢量分析的装置
US20220323189A1 (en) Jaw movement analysis system
JP2020534125A (ja) ウェアラブル装置を利用した甲状腺機能亢進症の予測システム及び予測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IL30076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learning, and using emergent properties of complex adaptive systems
CN114305352A (zh) 活体监视装置
CN110167435B (zh) 用户终端装置和数据发送方法
TW202008951A (zh) 智能頭皮檢測系統及其方法
JP7286093B2 (ja) 摂食関連提案装置及び摂食関連提案システム
KR102445156B1 (ko) 수면 장애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2134913A1 (en) Multi-sensor platform for health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