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182B1 - 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182B1
KR102368182B1 KR1020200078365A KR20200078365A KR102368182B1 KR 102368182 B1 KR102368182 B1 KR 102368182B1 KR 1020200078365 A KR1020200078365 A KR 1020200078365A KR 20200078365 A KR20200078365 A KR 20200078365A KR 102368182 B1 KR102368182 B1 KR 102368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old
primary
effect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0573A (en
Inventor
김용남
강대명
양호석
이재훈
박주상
Original Assignee
지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182B1/en
Publication of KR2022000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B44F1/10Changing, amusing, or secret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7/00Designs imitating three-dimensional effects

Landscapes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패턴효과를 지니는 디자인 데코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원뿔, 렌즈 등의 광학효과를 가지는 1차 패턴 몰드에 레이져, 이온빔, 플라즈마, 샌드 블러스트, 머징 등의 방법으로 1차 패턴 몰드 패턴에 2차 패턴을 형성시켜 복합 패턴효과를 가지는 디자인 데코필름을 제작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ign deco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is applied to a primary pattern mold having optical effects such as prism, lenticular, pyramid, cone, and lens by laser, ion beam, plasma, sand blasting, merging, etc. It relates to the technical idea of producing a design deco film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by forming a secondary pattern on a primary pattern mold pattern.

Description

복합 패턴효과를 지니는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 패턴효과를 지니는 디자인 데코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원뿔, 렌즈 등의 광학효과를 가지는 1차 패턴 몰드에 레이져, 이온빔, 플라즈마, 샌드 블러스트, 머징 등의 방법으로 1차 패턴 몰드 패턴에 2차 패턴을 형성시켜 복합 패턴효과를 가지는 디자인 데코필름을 제작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ign deco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is applied to a primary pattern mold having optical effects such as prism, lenticular, pyramid, cone, and lens by laser, ion beam, plasma, sand blasting, merging, etc. It relates to the technical idea of producing a design deco film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by forming a secondary pattern on a primary pattern mold pattern.

전자제품 등의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외장재는 다양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그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시켜 심미감을 높이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외장재에 형성되는 패턴은 바이트를 이용한 절각 가공(Mold processing),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에칭(Etching), 전주(Electro-forming) 공법 등의 기법들을 통하여 점과 선이 조합된 2D 표현에 국한되어 있다.Exterior materials, which are often used to beautifully decorate the exterior of electronic products, are not only formed of various materials, but also have recently improved aesthetics by forming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surface thereof. However, the pattern formed on the conventional exterior material is a combination of dots and lines through techniques such as mold processing using a bite, photo-lithography, etching, and electro-forming. Limited to 2D representation.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경우 1차 몰드 가공방법에 의한 디자인 효과 발현만 가능하여 다양한 질감의 디자인 효과를 나타내기 힘들고, 몰드 가공 시 발생하는 불량 시인성으로 인해 제작 비용 및 기간이 늘어 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show the design effect of various textures because only the design effect can be expressed by the primary mold processing method,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period increase due to the poor visibility that occurs during mold processing.

한국출원번호 제10-2018-0097670호 "비대칭 구조의 광학 패턴이 적용된 디자인 데코 필름"Korean Application No. 10-2018-0097670 "Design deco film with asymmetrical optical pattern applied" 한국출원번호 제10-2016-0164111호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Korean Application No. 10-2016-0164111 "Gradient decorativ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복합 패턴효과를 지니는 디자인 데코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원뿔, 렌즈 등의 광학효과를 가지는 1차 패턴 몰드에 레이져, 이온빔, 플라즈마, 샌드 블러스트, 머징 등의 방법으로 1차 패턴 몰드 패턴에 2차 패턴을 형성시켜 복합 패턴효과를 가지는 디자인 데코필름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sign deco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hich is applied to a primary pattern mold having optical effects such as prism, lenticular, pyramid, cone, and lens by laser, ion beam, plasma, sand blasting, merging, etc. It aims to produce a design deco film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by forming a secondary pattern on the primary pattern mold pattern.

본 발명은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휘도, 탁도, 색감, 깊이감, 입체감 등의 디자인 효과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1차 패턴 몰드에 미세패턴을 복합화하여 그라데이션 효과와 광학과 홀로그램 등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디자인 데코필름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량 시인성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 데코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design effects such as brightness, turbidity, color, depth, and three-dimensional effec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esign deco film that simultaneously exhibits a gradation effect and effects such as optical and hologram by compounding a fine pattern in the primary pattern mold. do.

본 발명은 복합패턴 몰드 사용으로 단일 UV 몰딩층을 형성하여도 이중의 복합적인 패턴 효과 구현이 가능하고, 1차 패턴 몰드의 불량시인성 개선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productivity by using a composite pattern mold to realize a double complex pattern effect even when a single UV molding layer is formed, and to improve the poor visibility of the primary pattern mold.

본 발명은 1차 패턴 몰드의 광학효과에 2차 패턴으로 홀로그램 패턴을 각인함으로써, 빛의 간섭효과를 최대화로 표현 가능하고, 결국 디자인 데코필름의 상품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By imprinting a hologram pattern as a secondary pattern on the optical effect of the primary pattern mold,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ress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to a maximum, and ultimately aims to increase the marketability of the design deco film.

일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은 기하광학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이상의 크기를 갖는 1차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형성되는 1차 패턴의 표면 상에서 파동광학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이하의 크기를 갖는 2차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sign decoration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geometric optical effect and a primary pattern having a size of micro or larger is formed, and a secondary pattern having a wave optical effect and a size of micro or small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rmed first patter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하광학 효과는, 빛의 직진, 반사, 및 굴절 효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포함하고, 상기 파동광학 효과는, 빛의 회절, 간섭, 분산, 및 편광 효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eometrical optical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effects of straight-line, reflection, and refraction effects of light, and the wave-optical effec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diffraction, interference, dispersion, and polarization effects of ligh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effect.

일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은 몰드를 이용해서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상에 기하광학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이상의 크기를 갖는 1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되는 1차 패턴의 표면 상에서 파동광학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이하의 크기를 갖는 2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2차 패턴 상에 UV 복합패턴 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몰딩층 상에 산화물 및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산화물/금속 증착층 상에 컬러/차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sign decoration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using a mold to form a primary pattern having a size of micro or larger having a geometric optical effect on the design decoration film, a wave on the surface of the formed primary pattern Forming a secondary pattern having an optical effect and having a size of micro or less, forming a UV composite pattern molding layer on the formed secondary pattern, forming an oxide and metal deposition layer on the formed molding layer , and forming a color/shielding printed layer on the formed oxide/metal deposition layer.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몰드는 Cu, Ni, Cr, Sus 모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바이트를 이용한 절각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Cu, Ni, Cr, and Sus base material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cessed using a byte.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1차 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렌즈, 원뿔, 홀로그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2차 패턴은 홀로그램, 그라데이션, 헤이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mary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pattern from among prisms, lenticulars, pyramids, lenses, cones, and holograms, and the secondary patter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patterns from among holograms, gradations, and haze do it with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합 패턴효과를 지니는 디자인 데코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원뿔, 렌즈 등의 광학효과를 가지는 1차 패턴 몰드에 레이져, 이온빔, 플라즈마, 샌드 블러스트, 머징 등의 방법으로 1차 패턴 몰드 패턴에 2차 패턴을 형성시켜 복합 패턴효과를 가지는 디자인 데코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 design deco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laser, ion beam, plasma, sand blast, merging, etc. By forming the secondary pattern on the primary pattern mold pattern by the method of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휘도, 탁도, 색감, 깊이감, 입체감 등의 디자인 효과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1차 패턴 몰드에 미세패턴을 복합화하여 그라데이션 효과와 광학과 홀로그램 등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디자인 데코필름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량 시인성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 데코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design effects such as luminance, turbidity, color, depth, and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esign deco film that simultaneously exhibits a gradation effect and effects such as optics and holograms by compounding the fine pattern in the primary pattern mol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sign deco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reduce poor visibility.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합패턴 몰드 사용으로 단일 UV 몰딩층을 형성하여도 이중의 복합적인 패턴 효과 구현이 가능하고, 1차 패턴 몰드의 불량시인성 개선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ven if a single UV molding layer is formed by using a composite pattern mold, a double complex pattern effect can be realized, and the poor visibility of the primary pattern mold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일실시예에 따르면, 1차 패턴 몰드의 광학효과에 2차 패턴으로 홀로그램 패턴을 각인함으로써, 빛의 간섭효과를 최대화로 표현 가능하고, 결국 디자인 데코필름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engraving a hologram pattern as a secondary pattern on the optical effect of the primary pattern mold,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can be maximized, and thus the commerciality of the design decoration film can be increased.

도 1은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복합패턴 몰드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1차 패턴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2차 패턴의 처리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1차 패턴이 형성된 복합패턴 몰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1차 패턴 상에 2차 패턴이 형성된 복합패턴 몰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복합패턴의 미세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d는 머징공법을 통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복합패턴효과를 지니는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제작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pattern mold for manufacturing a design decoration film.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ing method and effect of the secondary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mary pattern.
3A is a view showing an image of a composite pattern mold on which a primary pattern is formed.
3B is a view showing an image of a composite pattern mold in which a secondary pattern is formed on a primary pattern.
3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composite pattern.
3D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through a merging method.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sign decoration film manufacturing process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for example, “between” and “between” or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복합패턴 몰드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pattern mold for manufacturing a design decoration film.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은 복합패턴 몰드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Design decoration film can be produced by a composite pattern mold.

복합패턴 몰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재층(substrate layer) 상에 바이트를 이용한 절각 가공 등의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Cu, Ni, Cr, Sus 모재 등에 바이트를 이용한 절삭 가공을 하되,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렌즈, 원뿔, 홀로그램 등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1차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단계 101). 이러한 1차 패턴은 기하광학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이상의 크기를 갖는 형태이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composite pattern mold, a method such as engraving processing using a bite on a substrate layer may be utilized. For example, a primary pattern can be formed by performing cutting using a bite to a Cu, Ni, Cr, Sus base material, etc., and forming patterns such as prisms, lenticulars, pyramids, lenses, cones, holograms, etc. (Step 101) . This primary pattern has a geometric optical effect and has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micrometers.

한편, 복합패턴 몰드는 1차 패턴 상에 2차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단계 102). 이러한 2차 패턴은 홀로그램, 그라데이션, 헤이즈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레이저, 이온빔, 플라즈마, 증착, 샌드 블러스터, 머징 등의 방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mposite pattern mold, a secondary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primary pattern (step 102). Such a secondary pattern may be implemented as a hologram, gradation, haze, etc., and may be formed through methods such as laser, ion beam, plasma, deposition, sand blaster, merging, and the like.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패턴 몰드의 2차 패턴은 패턴의 전면적 또는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고, 등방성 또는 이방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The secondary pattern of the composite pattern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r only a portion of the pattern, and an isotropic or anisotropic effect may be realized.

1차 패턴과 2차 패턴이 모두 형성된 몰드는 복합패턴 몰드로 형성될 수 있다(단계 103).The mold in which both the primary pattern and the secondary pattern are formed may be formed as a composite pattern mold (step 103).

복합패턴 몰드는 복합패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차 패턴은 마이크로 이상의 크기를 갖고 이를 통해 기하광학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2차 패턴은 1차 패턴의 표면 상에서 파동광학의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이하의 크기를 갖는 2차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mpound pattern mold can implement a compound pattern effect. For example, the primary pattern has a size greater than or equal to micrometers,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geometric optics. In addition, the secondary pattern may have the effect of wave optics on the surface of the primary pattern and be formed as a secondary pattern having a size of micro or less.

복합패턴 몰드의 1차 패턴에 의해서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상에서 나타나는 기하광학 효과는, 빛의 직진, 반사, 및 굴절 효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ometric optical effect appearing on the design decoration film by the primary pattern of the composite pattern mol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ffects of light going straight, reflecting, and refraction.

또한, 복합패턴 몰드의 2차 패턴에 의해서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상에서 나타나는 파동광학 효과는, 빛의 회절, 간섭, 분산, 및 편광 효과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ve optical effect appearing on the design decoration film by the secondary pattern of the composite pattern mol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effects among diffraction, interference, dispersion, and polarization effects of light.

도 2는 1차 패턴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2차 패턴의 처리 방법 및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ing method and effect of the secondary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mary pattern.

1차 패턴은 마이크로 이상의 크기로서, 기하광학의 효과를 위한 패턴에 해당하고, 1차 패턴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2차 패턴은 파동광학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imary pattern has a size of micro or larger, and corresponds to a pattern for the effect of geometric optics, and the secondary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attern has a wave optical effect and may be formed in a size of micro or smaller.

일례로, 1차 패턴은 광학의 구조이고, 2차 패턴은 홀로그램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1차 패턴 상에 레이져, 이온빔, 플라즈마, 머징 등과 같은 표면처리의 공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mary pattern may have an optical structure, and the secondary pattern may have a hologram structure, and may be implemented on the primary pattern through a surface treatment process such as laser, ion beam, plasma, merging, and the like.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기하광학들만을 이용하는 복합패턴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기하광학과 파동광학의 복합패턴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 general method, the effect of a complex pattern using only geometric optics can be obtain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both the effect of a complex pattern of geometric optics and wave optics can be obtained.

도 3a는 1차 패턴이 형성된 복합패턴 몰드의 이미지(3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A is a view showing an image 310 of a composite pattern mold on which a primary pattern is formed.

도면부호 311은 복합패턴 몰드 중 1차 패턴에 의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312는 1차 패턴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ence numeral 311 denotes an image by the primary pattern among the composite pattern molds, and reference numeral 312 denotes a cross-section of the primary pattern.

1차 패턴은 렌티큘러, 프리즘, 피라미드, 렌즈, 원뿔, 홀로그램 형태의 패턴을 포함한다.The primary pattern includes patterns in the form of lenticulars, prisms, pyramids, lenses, cones, and holograms.

예를 들어, 렌티큘러 형태의 1차 패턴은 광에 대해 확산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으로서,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enticular-shaped primary pattern is a pattern having a diffuse reflection effect with respect to ligh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s having minute sizes.

본 발명에서는 광에 대해 확산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이라면 렌티큘러 패턴 외 다른 패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attern other than the lenticular pattern as long as the pattern has a diffuse reflection effect on light.

렌티큘러 형태의 1차 패턴은 패턴의 좌우 출사광이 전면 확산 형태로 출사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휘도감이 전면에서 균일한 광을 출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lenticular type primary pattern, since the left and right exit lights of the pattern are emitted in a front-diffuse shape,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having a uniform overall luminance from the front side.

본 발명에서 렌티큘러 형태의 1차 패턴에 포함되는 각각의 오목부는 10㎛ ~ 200㎛의 곡률 반경 및 2㎛ ~ 40㎛의 깊이를 기초로 기재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렌티큘러 형태의 1차 패턴과 프리즘 패턴의 조합을 고려할 때, 오목부의 깊이는 4㎛ ~ 13㎛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recess included in the lenticular-shaped primary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base layer based on a radius of curvature of 10 μm to 200 μm and a depth of 2 μm to 40 μm. Considering the combination of the lenticular-shaped primary pattern and the prism pattern, the depth of the concave portion is preferably 4 μm to 13 μm.

또한, 렌티큘러 형태의 1차 패턴에 포함되는 오목부들 사이의 간격은 20㎛ ~ 100㎛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렌티큘러 형태의 1차 패턴에는 음각 패턴의 오목부들 대신에 양각 패턴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lso, an interval between the concave portions included in the lenticular-shaped primary pattern may be 20 μm to 100 μm.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protrusions of the embossed pattern instead of the concave portions of the engraved pattern in the lenticular-shaped primary pattern.

이때 돌기들은 10㎛ ~ 200㎛의 곡률 반경 및 2㎛ ~ 40㎛의 높이를 기초로 기재 위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based on a radius of curvature of 10 μm to 200 μm and a height of 2 μm to 40 μm.

프리즘 형태의 1차 패턴은 광에 대해 거울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으로서,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프리즘 형상의 볼록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거울 반사 효과를 가지는 패턴이라면 프리즘 패턴 외 다른 패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ism-shaped primary pattern is a pattern having a mirror reflection effect on ligh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ism-shaped convex portions having a fine siz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attern other than the prism pattern as long as it has a mirror reflection effect.

프리즘 형태의 1차 패턴에 구비되는 볼록부들은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볼록부들은 원뿔 형상이나 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vex portions provided in the prism-shaped primary pattern are formed in a prism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or a pyramid shape.

프리즘 형태의 1차 패턴은 입사되는 빛의 각도와 볼록부의 꼭지각(angle)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굴절을 조절하기 때문에, 상의 맺힘(거울 반사)에 따라 다양한 깊이감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Since the prism-shaped primary pattern controls the refraction of the reflected light by the angle of the incident light and the vertex angle of the convex part, it become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senses of depth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image (mirror reflection).

본 발명에서 프리즘 패턴은 사이각 조절에 따라 그 패턴 디자인을 설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sm pattern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프리즘 형태의 1차 패턴에 포함되는 각각의 볼록부는 30도 ~ 160도의 꼭지각을 기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리즘 형태의 1차 패턴은 거울 반사 특성의 최적화를 고려할 때, 볼록부의 꼭지각은 70도 ~ 15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convex portions included in the prism-shaped primary pattern may be formed based on an apex angle of 30 degrees to 160 degrees. In consideration of optimization of the specular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ism-shaped primary patter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ex angle of the convex portion is 70 degrees to 150 degrees.

또한 볼록부는 꼭지각의 조건에 따라 10㎛ ~ 100㎛의 피치(pitch) 및 2㎛~ 30㎛의 높이를 가지도록 기재층 위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base layer to have a pitch of 10 μm to 100 μm and a height of 2 μm to 30 μm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vertex angle.

프리즘 형태의 1차 패턴의 볼록부는 단면의 형태가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볼록부의 단면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vex portion of the prism-shaped primary pattern may have an isosceles triangle in cross-sec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vex por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례로 볼록부는 단면의 형태가 부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in an isosceles triangle as well as design changes in various shapes.

도 3b는 1차 패턴 상에 2차 패턴이 형성된 복합패턴 몰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B is a view showing an image of a composite pattern mold in which a secondary pattern is formed on a primary pattern.

도면부호 321은 복합패턴 몰드 중 1차 패턴에 이어 2차 패턴까지 형성된 복합패턴 몰드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322는 도면부호 321에 대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ence numeral 321 denotes an image of a composite pattern mold formed from the first pattern to the second pattern among the composite pattern molds, and reference numeral 322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reference numeral 321 .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원뿔, 렌즈 등의 광학효과를 가지는 1차 패턴몰드에 레이져, 이온빔, 플라즈마, 샌드 블러스트, 머징 등의 방법으로 1차 패턴 몰드 패턴에 2차 패턴을 형성시켜 도면부호 321과 같은 복합패턴 몰드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imary pattern mold with optical effects such as prism, lenticular, pyramid, cone, and lens, a secondary pattern is formed on the primary pattern mold pattern by laser, ion beam, plasma, sand blasting, merging, etc. A composite pattern mold such as can be formed.

도면부호 321의 단면은 도면부호 312의 단면과 같이 균일한 요와 피치가 반복되지 않고, 균일한 요와 피치 사이에서 분균일한 마이크로 이하의 패턴을 나타낸다.The cross section of reference numeral 321 does not repeat a uniform yaw and pitch as in the cross section of reference numeral 312, but shows a pattern of less than a micro micrometer that is uniform between the uniform yaw and pitch.

결국, 도면부호 321과 같은 복합패턴 몰드 사용으로 단일 UV 몰딩층을 형성하여도 이중의 복합적인 패턴 효과 구현이 가능하고, 1차 패턴 몰드의 불량시인성 개선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패턴 몰드의 광학효과에 2차 패턴으로 홀로그램 패턴을 각인 할 경우 빛의 간섭효과를 최대화로 표현 가능하여, 디자인 데코필름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As a result, even if a single UV molding layer is formed by using a compound pattern mol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321, a double complex pattern effect can be realized, and the poor visibility of the primary pattern mold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For example, if a hologram pattern is engraved as a secondary pattern on the optical effect of the primary pattern mold,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can be max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commerciality of the design deco film.

도 3c는 복합패턴의 미세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3C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icrostructure of the composite pattern.

도면부호 330의 이미지는 복합패턴의 미세구조(331)를 보인다. 복합패턴의 미세구조(331)는 1차 패턴에 해당하는 프리즘 패턴 상에 홀로그램 복합패턴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다.An image of reference numeral 330 shows a microstructure 331 of a complex pattern. The microstructure 331 of the composite pattern indicates a structure in which a hologram composite pattern is formed on a prism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pattern.

도 3d는 머징공법을 통한 실시예(34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3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340 through the merging method.

도면부호 341은 1차 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다리꼴 형태의 광학패턴에 시뮬레이션 및 결과물을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341 denotes a primary pattern, and indicates a simulation and a result of a trapezoidal optical pattern.

도면부호 342는 2차 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헤이즈 패턴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결과물을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342 denotes a secondary pattern, and denotes a simulation and a result of the haze pattern.

도면부호 343은 1차 패턴과 2차 패턴을 머징(merging)한 복합 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다리꼴 패턴과 헤이즈 패턴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결과물을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343 denotes a composite pattern obtained by merging the primary pattern and the secondary pattern, and indicates simulations and results for the trapezoidal pattern and the haze pattern.

도 4는 복합패턴효과를 지니는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제작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sign decoration film manufacturing process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일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제작공정은 복합패턴의 몰드를 준비할 수 있다(단계 401).Design decoration film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repare a mold of a composite pattern (step 401).

복합패턴의 몰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재층(substrate layer) 상에 바이트를 이용한 절각 가공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기하광학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이상의 크기를 1차 패턴을 형성하고, 1차 패턴의 표면 상에서 레이저, 이온빔, 플라즈마, 증착, 샌드 블러스터, 머징 등의 방법을 통해 홀로그램, 그라데이션, 헤이즈 등을 구현하여 2차 패턴을 형성하여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ld of the composite pattern has a geometric optical effect by utilizing a method such as engraving processing using a bite on the substrate layer to form a first pattern having a size of micro or larger,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pattern A hologram, gradation, haze, etc. can be implemented on the image through methods such as laser, ion beam, plasma, vapor deposition, sand blaster, and merging to form and create a secondary pattern.

복합패턴의 몰드가 준비되면, 데코레이션용 필름을 준비할 수 있다(단계 402).When the mold of the composite pattern is prepared, a film for decoration may be prepared (step 402).

다음으로, 복합패턴의 몰드를 이용해서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상에 기하광학 효과와 파동광학 효과를 갖는 UV 복합패턴 몰딩층을 형성할 수 있다(단계 403).Next, it is possible to form a UV composite pattern molding layer having a geometric optical effect and a wave optical effect on the design decoration film by using the mold of the composite pattern (step 403).

다음으로, 형성된 몰딩층 상에 산화물 및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고(단계 404), 형성된 산화물/금속 증착층 상에 컬러/차폐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단계 405).Next, an oxide and metal deposi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formed molding layer (step 404), and a color/shielding printed layer may be formed on the formed oxide/metal deposition layer (step 405).

일실시예에 따른 몰드는 Cu, Ni, Cr, Sus 모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바이트를 이용한 절각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은 형성된 몰딩층 상에 산화물 및 금속 증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형성된 산화물/금속 증착층 상에 컬러/차폐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The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of Cu, Ni, Cr, and Sus base materials, and may be engraved using a bite. 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sign decoration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orm an oxide and a metal deposition layer on the formed molding layer. In addition, a color/shielding printed layer may be formed on the formed oxide/metal deposited layer.

또한,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은 Cu, Ni, Cr, Sus 모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바이트를 이용한 절각 가공되는 몰드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sign decoration film includes at least one of Cu, Ni, Cr, and Sus base material, and can utilize a mold that is processed using a bite engraving.

복합패턴 몰드에 의한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이 제조되면, 복합 반사 성능 및 은폐력을 확보하고 휘도감과 착색 효과를 얻기 위해 증착 공정과 인쇄 공정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상에 증착층, 인쇄층 등을 차례대로 형성시킬 수 있다.When the design decoration film is manufactured by the composite pattern mold, the deposition layer, the printing layer, etc. are sequentially applied on the design decoration film by sequentially using the deposition process and the printing process in order to secure the composite reflection performance and hiding power, and to obtain the luminance and coloring effect. can be formed as

인쇄 공정에서는 스크린 인쇄 방식(screen printing)을 이용할 경우, 사양에 따라 인쇄 도수가 달라질 수 있다.In the printing process, when screen printing is used, the printing frequency may vary according to specifications.

공판 인쇄의 특성상 최종적인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의 높이를 20㎛ 이하로 설계할 경우 가장 안정적인 인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Due to the nature of stencil printing, if the height of the final design decoration film is designed to be 20㎛ or less, the most stable print quality can be secured.

본 발명에서는 점착층을 포함한 기재 상에 별도의 프라이머층(primer layer)을 형성하고, UV 임프린팅(imprinting) 코팅 방식을 이용하여 그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패턴층을 형성하며, 각각의 컬러(color)에 적합한 증착층, 인쇄층 등을 포함하여 전자기기 커버용 외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primer layer is formed on a substrate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 pattern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mer layer using a UV imprinting coating method, and each color ), including a deposition layer, a printed layer, etc. suitable for electronic device covers can be manufactured.

일례로, 증착층은 패턴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산화타이타늄(TiO2), 이산화규소(SiO2), 산화티타늄(Ti3O5), 인듐(Indium) 등 반사용 금속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증착층은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으로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메탈라이징(metalizing) 기법 등 증착 공정을 통해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내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position layer is positioned under the pattern layer, and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metal oxide such as titanium dioxide (TiO2), silicon dioxide (SiO2), titanium oxide (Ti3O5), or indium (Indium). The deposition layer is for reflecting light incident on the design decoration film, and may be formed in the design decoration film through a deposition process such as a metalizing technique.

인쇄층은 증착층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필름 형태의 것으로 특정의 인쇄 기법에 따라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은 차폐 또는 무통전(no conductive)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The printed layer is positioned under the deposition layer, and may be formed in the design decoration film according to a specific printing technique in the form of a film. This printed layer may be formed for shielding or no conductive.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복합 패턴효과를 지니는 디자인 데코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서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원뿔, 렌즈 등의 광학효과를 가지는 1차 패턴 몰드에 레이져, 이온빔, 플라즈마, 샌드 블러스트 등의 방법으로 1차 패턴 몰드 패턴에 2차 패턴을 형성시켜 복합 패턴효과를 가지는 디자인 데코필름을 제작할 수 있다.After all,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design deco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laser, ion beam, plasma, sand blast, etc. In this way, a design decoration film having a complex pattern effect can be produced by forming a secondary pattern on the primary pattern mold pattern.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휘도, 탁도, 색감, 깊이감, 입체감 등의 디자인 효과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1차 패턴 몰드에 미세패턴을 복합화하여 그라데이션 효과와 광학과 홀로그램 등의 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디자인 데코필름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량 시인성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 데코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design effects such as luminance, turbidity, color, depth, and three-dimensional eff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design deco film that simultaneously exhibits a gradation effect and effects such as optics and holograms by compounding the fine pattern in the primary pattern mol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sign deco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reduce poor visibility.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복합패턴 몰드 사용으로 단일 UV 몰딩층을 형성하여도 이중의 복합적인 패턴 효과 구현이 가능하고, 1차 패턴 몰드의 불량시인성 개선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1차 패턴 몰드의 광학효과에 2차 패턴으로 홀로그램 패턴을 각인함으로써, 빛의 간섭효과를 최대화로 표현 가능하고, 결국 디자인 데코필름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even if a single UV molding layer is formed by using a composite pattern mol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double complex pattern effect,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poor visibility of the primary pattern mold, By engraving the hologram pattern as the secondary pattern on the optical effect of the primary pattern mold,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can be maximized, and the commerciality of the design decoration film can be increased.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a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displaced or displaced by water.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몰드를 이용해서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 상에 기하광학 효과를 갖고 마이크로 크기를 갖는 1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되는 1차 패턴의 표면 상에서, 이온 빔, 플라즈마 또는 머징의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처리를 수행하여, 파동광학 효과를 갖고 상기 1차 패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2차 패턴을 전면적 또는 부분면적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2차 패턴 상에 UV 복합패턴 몰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몰딩층 상에 이산화타이타늄(TiO2),이산화규소(SiO2) 또는 산화티타늄(Ti3O5)인 금속 산화물인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증착층 상에 컬러/차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는 Cu, Ni, Cr, Sus 모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바이트를 이용한 절각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1차 패턴은 프리즘, 렌티큘러, 피라미드, 렌즈, 원뿔, 홀로그램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2차 패턴은 홀로그램, 그라데이션, 헤이즈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
Using a mold to form a primary pattern having a geometric optical effect on the design decoration film having a micro size;
On the surface of the formed primary pattern,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using an ion beam, plasma or merging method to form a second pattern having a wave optical effect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rimary pattern over the entire area or forming on a partial area;
forming a UV composite pattern molding layer on the formed secondary pattern;
forming a deposition layer of a metal oxide of titanium dioxide (TiO2), silicon dioxide (SiO2), or titanium oxide (Ti3O5) on the formed molding layer; and
Including; forming a color/shielding printing layer on the formed deposition layer;
The mold comprises at least one of Cu, Ni, Cr, and Sus bas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raving process using a bite,
The primary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patterns from among prisms, lenticulars, pyramids, lenses, cones, and holograms,
The secondary patter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design decoration fil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patterns from among holograms, gradations, and haz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78365A 2020-06-26 2020-06-26 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68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65A KR102368182B1 (en) 2020-06-26 2020-06-26 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65A KR102368182B1 (en) 2020-06-26 2020-06-26 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73A KR20220000573A (en) 2022-01-04
KR102368182B1 true KR102368182B1 (en) 2022-03-02

Family

ID=7934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365A KR102368182B1 (en) 2020-06-26 2020-06-26 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18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094B1 (en) * 2016-03-14 2016-10-10 박광영 3dimensional Hologram Liquid Pressure Transf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and Hologram Liquid Pressure Transfer Product
KR101951693B1 (en) * 2018-08-21 2019-02-25 지에스에프씨 주식회사 Design deco film using asymmetry optical patter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9543A1 (en) 2015-12-22 2017-06-29 Arcelormittal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mass of feedstock on a convey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094B1 (en) * 2016-03-14 2016-10-10 박광영 3dimensional Hologram Liquid Pressure Transf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and Hologram Liquid Pressure Transfer Product
KR101951693B1 (en) * 2018-08-21 2019-02-25 지에스에프씨 주식회사 Design deco film using asymmetry optical pa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73A (en)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7943B (en) Anisotropically formed diffraction grating device
JP6168411B2 (en) Multilayer
JP4611747B2 (en) Optical variable ele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201932320A (en) Optical switch devices
JP2006507527A5 (en)
WO2021227686A1 (en) Glass housing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device
KR100974682B1 (en) Layer Arrangement Provided With A Structure Producing A Diffractive Optical Effect And A Lens-Type Effect
JP5457156B2 (en) Product with coloring structure
CN110244393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 (augmented reality) glasses waveguide based on superstructure relief grating
CN112040701B (en) Diaphragm, preparation method of diaphragm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789182B2 (en) Micro concave-convex structure for optical body and display device
JP2022506595A (en) Depth-adjusted tilt grid using gray tone lithography and tilt etching
WO2020116095A1 (en) Display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display body
JP2014071233A (en) Image display body and information medium
JP2018504634A (en) Method for forming a security element and security document
KR102368182B1 (en) Design decoration film with composite pattern effe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344400B2 (en) Method for producing morpho type structural color developing body
JP5519386B2 (en) Optical element
TWI801904B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element, optical element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element
JPWO2020153319A1 (en) Diffusion plate
CN210720877U (en) Multilayer color dynamic display anti-counterfeiting film
JP6569097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form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2025230A (en) Color latent image mold manufacturing method, mold,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
JP7136163B2 (en)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JP7468213B2 (en) Color Shif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