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594B1 - 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 - Google Patents

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594B1
KR102367594B1 KR1020200173668A KR20200173668A KR102367594B1 KR 102367594 B1 KR102367594 B1 KR 102367594B1 KR 1020200173668 A KR1020200173668 A KR 1020200173668A KR 20200173668 A KR20200173668 A KR 20200173668A KR 102367594 B1 KR102367594 B1 KR 10236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flector
hidden camera
antenna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수덕
정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to KR102020017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5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006Devices acting selectively as reflecting surface, as diffracting or as refracting device, e.g. frequency filtering or angular spatial filtering devices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to increase accuracy of detecting and positioning a hidden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for detecting a hidden camera by detecting a signal emitted from the hidden camera. The antenna comprises: a dielectric substrate; a reflector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rear part of the substrate; a pair of inductor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flector; a first wavegui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ductor; a second waveguid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veguide; a pair of power supply lines connecting the reflector and the pair of inductors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one of the inductors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reflectors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substrate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line forms a power supply poin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ductor through the hole penetrating the substrate.

Description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

본 발명은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최근, 전자 및 광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카메라의 성능은 향상되고 그 크기는 점차 소형화됨에 따라, 이를 악용하여 범죄에 이용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초소형 카메라와 마이크로폰 및 고성능의 소형 무선송신기를 결합한 몰래 카메라를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장소에 설치한 후 그 내부 상황을 엿보거나 녹취 및 녹화하는 행태가 급증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and optical technologies,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is improved and the size thereof is gradually reduced, and the case of using the camera for criminal use occurs frequently. For example, after installing a hidden camera combining an ultra-small camera, a microphone and a high-performance small wireless transmitter in a place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 practice of peeping into, recording, and recording the internal situation is rapidly increasing.

특히, 의류 판매장의 탈의실, 워터파크 등의 위락시설, 각종 판매장의 화장실 및 숙박업소와 같이 신체노출이 불가피하여 사생활 보호가 지켜져야 하는 장소를 대상으로 몰래 카메라가 빈번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몰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유출되어 범죄의 대상이 된 피해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In particular, hidden cameras are frequently installed in places where privacy must be protected because body exposure is unavoidable, such as changing rooms of clothing stores, amusement facilities such as water parks, restrooms of various stores, and lodging establishments. The video filmed by the victim has been leaked, causing enormous damage to the victim.

한편,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탐지기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해야 하는데, 개인이 고가의 탐지기를 일일이 구비하거나 탐지 실력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고, 대부분의 업소에는 탐지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몰래 카메라가 설치되더라도 이를 전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detect a hidden camera, it is necessary to detect a hidden camera using a separate detector. , there is a problem that even if a hidden camera is installed, it cannot be checked at all.

이에 따라 최근에는, 숙박업소 또는 신체노출이 불가피한 장소를 대상으로 몰래 카메라와 같은 사생활 침해 요소를 검사하는 서비스가 개발되고는 있으나, 사용자, 몰래 카메라 검사업체,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통신망(서버), 숙박업소 등의 연계가 필요한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다.Accordingly, recently, services for inspecting privacy-infringing factors such as hidden cameras have been developed for accommodation establishments or places where body exposure is inevitable, but users, hidden camera inspection companies, smart device applications, communication networks (servers), accommod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you have to go through complicated steps that require linkage with businesses.

또한, 사생활 침해 요소 검사 서비스는 검사를 의뢰한 숙박업소나 위락시설 등만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점보다 이전에 진행된 검사결과를 제시함에 따라 시간 지연에 따른 몰래 카메라 설치 등에 관한 위험성은 상존하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privacy-infringing factor inspection service not only targets accommodations or entertainment facilities that have requested the inspection, but also presents the inspection results conducted before the time the user uses them, so there is a risk of installing hidden cameras due to time delay The situation is that

이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언제 어느 장소에서나 즉각적으로 사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10-2138441호 및 한국등록특허 10-2000845호에는 휴대가 가능한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들을 소개하고 있다. Accordingly, a device has been developed that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carry it and use it immediately at any place at any time to detect a hidden camera. Camera detection devices are introduced.

상기 선행문헌들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들은 사용자가 휴대가 가능하므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들의 몰래 카메라 탐지장치들은 다양한 범위의 주파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몰래 카메라 외의 전자장치들에서도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게 되어 몰래 카메라 탐지의 정확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s of the prior documents have the advantage that they can be us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because the user can carry them. However, the hidden camera detection devices of the prior literature are configured to detect a range of frequencies, and since they detect signals emitted from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hidden camera,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ccuracy of detection of the hidden camera is low.

한국등록특허 10-2138441호(몰래 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장치)Korean Patent No. 10-2138441 (Auxiliar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idden camera detection function) 한국등록특허 10-2000845호(휴대용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Korean Patent No. 10-2000845 (Portable hidden camera detection method and device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하면서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향성과 고주파 대역에서의 이득이 우수하여 몰래 카메라의 탐지와 그 위치 파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a device for detecting a hidden camera while being portable, it has excellent directivity and gain in a high frequency b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ction and location of the hidden camera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특히, 본 발명은 이중 대역의 와이파이 신호를 감지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는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a hidden camera by detecting a dual-band Wi-Fi signal.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몰래 카메라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유전체 기판, 상기 기판의 후방 양면에 형성되는 반사기,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반사기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도기,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유도기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1 도파기,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 1 도파기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 도파기,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반사기와 한 쌍의 상기 유도기를 연결하는 한 쌍의 급전선로,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유도기에 연결되는 보조 급전선로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 양면의 상기 반사기는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보조 급전선로는 상기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홀을 통하여 상기 유도기에 연결되면서 급전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the antenna for detecting a hidden camera by sensing a signal emitted from the hidden camera, a dielectric substrate, a reflector formed on both rear surfaces of the substrate, and the reflector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pair of inductor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waveguid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ductor from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waveguid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waveguide from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pair of feed lines connecting the reflector and the pair of inductors in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passing through, and the auxiliary feed line is connected to the induction machine through a hole passing through the substrate to form a feeding point.

여기서, 상기 반사기는 상기 기판의 일면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보조 반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flector may include an auxiliary reflector extending forward from the edge of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보조 반사기는 전방의 선단부가 적어도 유도기 위치에 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reflector may be formed in a length such that the front end does not at least touch the guide position.

또한, 상기 제 1 도파기 및 제 2 도파기는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직사각의 평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aveguide and the second waveguide may form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또한, 상기 보조 급전선로는 전방의 선단부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feed line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lin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은 지향성과 고주파 대역에서의 이득이 우수하여 몰래 카메라의 탐지와 그 위치 파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irectivity and gain in a high frequency band,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ction of a hidden camera and its location.

또한, 본 발명은 이중 대역의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한 몰래 카메라를 모두 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ll hidden cameras using dual-band Wi-Fi signal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를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의 거리에 따른 탐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의 주변 전파 간섭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의 2.5GHz 대역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의 5GHz 대역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antenna for the hidden camera detector of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 detectio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result of a peripheral radio wave interference test of an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2.5 GHz band of the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8 to 10 are diagrams showing radiation patterns in the 5 GHz band of the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problem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전, 후,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면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순서,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at i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and the location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Alterna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rrangement may be chang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and the length, area and thickness, etc.,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urfaces such as front, back, first, second, etc. indicate relative positions, sequences, and direction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technical meaning is not limited by the dictionary meaning.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of FIG. 1 .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는 야기 안테나로서, 유전체 기판(10)의 후방 양면에서 소정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형성되는 반사기(20)와, 기판(10) 일 면의 반사기(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좌우 방향(y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는 한 쌍의 유도기(30)와, 한 쌍의 유도기(3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는 한 쌍의 제 1 도파기(40a) 및 제 2 도파기(40b)와, 반사기(20)와 한 쌍의 유도기(3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급전선로(50)를 포함한다. 또한, 기판(10)의 타면에 형성되는 보조 급전선로(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idden camera detector antenna of this embodiment is a Yagi antenna, and includes a reflector 20 formed while occupying a predetermined area on both rear surfaces of a dielectric substrate 10, and a reflector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 20) and a pair of inducers 3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pac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direction), and a pair of inducers 3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air of inducers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irst waveguide 40a and a second waveguide 40b, and a pair of feed lines 50 connecting the reflector 20 and the pair of inductors 30 of the In addition, an auxiliary power supply line 6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s included.

본 실시예의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는 몰래 카메라 탐지기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몰래 카메라에서 방출되는 와이파이(WIFI) 신호를 감지하여 탐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안테나는 2.5GHz 및 5GHz 대역의 와이파이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antenna for the hidden camera detector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hidden camera detector and is configured to detect and detect a Wi-Fi (WIFI) signal emitted from the hidden camera. In addition, the antenna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detect Wi-Fi signals of 2.5 GHz and 5 GHz bands.

기판(10)은 표면에 안테나 소자가 인쇄되기 위한 구성으로, 절연 소재의 유전체를 이용한 판 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일 예로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갖는 FR4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10)의 표면에는 전도성 소재의 반사기(20), 유도기(30), 도파기(40) 및 급전선로(50,60)가 인쇄되어 안테나 소자를 구성한다. 전도성 소재로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의 합금과 같이 금속 도체가 사용된다.The substrate 10 is configured to have an antenna element printed on the surface, and is configured as a plate-like plate using a dielectric material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n FR4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a. A reflector 20, an inductor 30, a waveguide 40, and feed lines 50 and 6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re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o constitute an antenna element. As the conductive material, a metal conductor such as aluminum or an alloy such as copper is used.

반사기(20)는 기판(10)의 후방(-z 방향) 영역에서 양면에 형성된다.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반사기(20)는 좌우 방향(y 방향)을 따라 전체 영역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기판(10)의 타면에 형성되는 반사기(20)는 중앙 영역에 슬롯 영역이 확보되어 좌우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기판(10) 일면의 반사기(20)와 타면의 반사기(20)는 비아(via) 홀(2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The reflectors 20 are formed on both sides in the rear (-z direction) region of the substrate 10 . The reflector 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entire area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y-direction), and the reflector 2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has a slot area in the central area to ensure the left and right sides. separated and formed. The reflector 20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and the reflector 20 on the other surf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via hole 21 .

또한, 본 실시예의 반사기(20)는 양 측부에서 기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보조 반사기(22)를 포함한다. 보조 반사기(22)는 유도기(30)에서 발생되는 전파의 지향성을 향상시키고 높은 이득을 갖도록 한다. 이러한 보조 반사기(22)는 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되는 반사기(20)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reflector 2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auxiliary reflector 22 extending forward along the edge of the substrate 10 on both sides. The auxiliary reflector 22 improves the directivity of the radio wave generated by the inducer 30 and has a high gain. The auxiliary reflector 22 is provided in the reflector 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

보조 반사기(22)는 소정의 길이(L3)와 폭(W3)을 갖도록 형성되며, 길이(L3)와 폭(W3)의 수치에 따라 임피던스 특성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보조 반사기(22)는 유도기(30)에 닿지 않는 길이(L3)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보조 반사기(22)는 7.5mm의 길이(L3)와 1mm의 폭(W3)을 갖도록 설계된다. The auxiliary reflector 2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L3 and a width W3, and impedance characteristics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length L3 and the width W3. In particular, the auxiliary reflector 22 has a length L3 that does not touch the guide 30 . The auxiliary reflector 22 of this embodiment is designed to have a length L3 of 7.5 mm and a width W3 of 1 mm.

유도기(30)는 다이폴 구조의 안테나를 형성하여 전파를 송출하거나 수신하는 구성으로, 기판(10)의 일면에서 반사기(20)와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반사기 전방(z 방향)에 형성된다. 유도기(30)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각 유도기(30)는 급전선로(50)를 매개로 반사기(20)에 연결된다. 유도기(30)는 소정의 길이(L1)와 폭(W1)을 가지면, 길이(L1)와 폭(W1)의 수치에 따라 임피던스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도기(30)는 20mm의 길이(L1)와 8mm의 폭(W1)을 갖도록 설계된다.The inducer 30 is configured to transmit or receive radio waves by forming an antenna of a dipole structure, and is formed in front of the reflector (z direc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eflector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 The inductors 30 are formed in a symmetrical pai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each inducer 30 is connected to the reflector 20 via a feed line 50 . When the inductor 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L1 and a width W1, impedance characteristic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length L1 and the width W1. The inducer 30 of this embodiment is designed to have a length L1 of 20 mm and a width W1 of 8 mm.

급전선로(50)는 한 쌍의 유도기(30)를 반사기(20)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소정의 폭을 이루는 선로를 형성하며 각 유도기(30)의 내측 단부에서 반사기(20)에 연결된다. The feed line 5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pair of inductors 30 to the reflector 20 , forms a line form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connected to the reflector 20 at the inner end of each inducer 30 .

도파기(40)는 유도기(30)에서 발사되는 전파를 강화시키는 구성으로, 1/2 파장 길이보다 짧은 도체로서 폭이 좁고 긴 직사각의 평판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의 도파기(40)는 유도기와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 1 도파기(40a)와, 제 1 도파기(40a)의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 2 도파기(40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도파기(40a)와 제 2 도파기(40b)가 서로 중첩되어 고주파 대역에서 안테나 이득이 증대되고, 2.5 GHz 및 5GHz의 이중 대역에서 전파를 감지할 수 있다.The waveguide 40 is configured to strengthen the radio wave emitted from the induction device 30, and as a conductor shorter than 1/2 wavelength length, it forms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with a narrow width and a long width. The waveguide 4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waveguide 40a spaced apart from the gui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waveguide 40b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irst waveguide 4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aveguide 40a and the second waveguide 40b overlap each other to increase the antenna gain in the high frequency band, and radio waves can be detected in the dual bands of 2.5 GHz and 5 GHz.

제 1 도파기(40a)와 제 2 도파기(40b)는 소정의 길이(L2)와 폭(W2)을 가지며, 길이(L2)와 폭(W2)의 수치에 따라 임피던스 특성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파기(40)는 13.5mm의 길이(L2)와 3mm의 폭(W2)을 갖도록 설계된다.The first waveguide 40a and the second waveguide 40b have a predetermined length L2 and a width W2, and impedance characteristics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alues of the length L2 and the width W2. . The waveguide 40 of this embodiment is designed to have a length L2 of 13.5 mm and a width W2 of 3 mm.

보조 급전선로(60)는 기판(10)의 타면 즉, 유도기(30), 도파기(40) 및 급전선로(50)가 형성되는 반대면에서 일 측의 유도기(3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보조 급전선로(60)의 전방 단부는 좌우 방향의 연장선로(61)를 가지며 비아 홀(62)을 통하여 기판(10) 일면의 유도기(30)와 연결되어 급전점을 형성한다. The auxiliary feed line 6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inductor 30 on one 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 that is, on the opposite surface where the guide 30 , the wave guide 40 , and the feed line 50 are formed.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feed line 60 has a left-right extension line 61 and is connected to the inductor 30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hrough the via hole 62 to form a feed point.

보조 급전선로(60)는 소정의 길이(L4)를 가지며, 연장선로(61)도 소정의 길이(L5)와 폭(W5)을 갖는다. 보조 급전선로(60)는 길이(L4), 연장선로(61)의 길이(L5) 및 폭(W5)의 수치에 따라 임피던스 특성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보조 급전선로(60)는 27.12mm의 길이(L4)를 갖고, 연장선로(61)는 7.42mm의 길이(L5)와 1.92mm의 폭(W5)을 갖도록 설계된다.The auxiliary feed line 60 has a predetermined length L4, and the extension line 61 also has a predetermined length L5 and a width W5. The impedance characteristic of the auxiliary feed line 6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values of the length L4 , the length L5 , and the width W5 of the extension line 61 . The auxiliary feed line 60 of this embodiment has a length L4 of 27.12 mm, and the extension line 61 is designed to have a length L5 of 7.42 mm and a width W5 of 1.92 mm.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의 거리에 따른 탐지 실시예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의 주변 전파 간섭 테스트 결과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의 2.5GHz 대역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기용 안테나의 5GHz 대역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graph showing a detection example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hidden camera detector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4 is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the ambient radio wave interference test of the hidden camera detector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2.5 GHz band radiation pattern of the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S. 8 to 10 are the 5 GHz band of the antenna for the hidden camera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diagram showing a radiation pattern.

본 실시예에서 몰래 카메라로부터 10m 떨어진 위치까지 방출되는 안테나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특히, 2.5GHz 및 5GHz 대역에서의 특성을 중점으로 측정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감소율을 보면, 거리가 2배 증가할수록 신호가 약 -6dB 단위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는 2.5GHz 및 5GHz 대역에서 전체 방출량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emitted to a position 10 m away from the hidden camera were measured, and in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 the 2.5 GHz and 5 GHz bands were mainly measured. Referring to the reduction rate of the signal according to the distance with reference to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signal decreases by about -6 dB as the distance increases by two time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ntenna exhibits excellent total emission in the 2.5 GHz and 5 GHz bands.

또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2.5GHz 대역에서 방사 패턴을 살펴보면, 좌우 방향(y 축 방향, 도 5 참고) 및 상하 방향(x 축 방향, 도 6 참고)으로 방사 패턴이 형성되면서 전체적인 방사 패턴은 전방 방향인 양의 z 축 상에 메인 로브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도 7 참고).In addition, looking at the radiation pattern in the 2.5 GHz ban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the overall radiation pattern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axis direction, see FIG. 5) and up and down directions (x-axis direction, see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pattern forms a main lobe on the positive z-axis in the forward direction (see Fig. 7).

또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5GHz 대역에서 방사 패턴을 살펴보더라도, 좌우 방향(y 축 방향, 도 8 참조) 및 상하 방향(x 축 방향, 도 9 참고)으로 방사 패턴이 형성되면서 전체적인 방사 패턴은 전방 방향인 양의 z 축 상에 메인 로브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도 10 참고).In addition, even looking at the radiation pattern in the 5 GHz ban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the radiation pattern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axis direction, see FIG. 8) and up and down (x-axis direction, see FIG. 9) while the overall radi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attern forms a main lobe on the positive z-axis in the forward direction (see Fig. 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such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contemplat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기판
20 : 반사기
22 : 보조 반사기
30 : 유도기
40 : 도파기
40a : 제 1 도파기 40b : 제 2 도파기
50 : 급전선로
60 : 보조 급전선로
10: substrate
20 : reflector
22 : auxiliary reflector
30: induction period
40 : wave guide
40a: first waveguide 40b: second waveguide
50: feed line
60: auxiliary feed line

Claims (5)

몰래 카메라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안테나에 있어서,
유전체 기판;
상기 기판의 후방 양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다수의 홀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반사기;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반사기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유도기;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유도기와 이격되며,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2 도파기;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반사기와 한 쌍의 상기 유도기를 연결하는 한 쌍의 급전선로; 및
상기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홀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상기 유도기에 연결되면서 급전점을 형성하는 보조 급전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기는, 상기 기판의 일면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전방의 선단부가 적어도 상기 유도기 위치에 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는 보조 반사기를 구비하는, 몰래 카메가 탐지기용 안테나.
An antenna for detecting a hidden camera by detecting a signal emitted from the hidden camera,
dielectric substrate;
a reflector formed on both rear surfaces of the substrat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substrate;
a pair of inductor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flector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 pair of first and second waveguides spaced apart from the inductor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first and second waveguides having the same width and length and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pair of feed lines connecting the reflector and the pair of inductors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d an auxiliary feed lin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nductors through a hole penetrating the substrate to form a feeding point;
The reflector, the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having an auxiliary reflector extending forward from the edge of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having a front end at least not reaching the guide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전선로는,
전방의 선단부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선로를 더 포함하는, 몰래 카메가 탐지기용 안테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feed line,
Antenna for a hidden camera detector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lin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front end.
KR1020200173668A 2020-12-11 2020-12-11 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 KR102367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68A KR102367594B1 (en) 2020-12-11 2020-12-11 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668A KR102367594B1 (en) 2020-12-11 2020-12-11 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594B1 true KR102367594B1 (en) 2022-02-25

Family

ID=8049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668A KR102367594B1 (en) 2020-12-11 2020-12-11 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59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45A (en) 1998-06-03 2000-01-15 최양도 Novel gene encoding trehalose biosynthetic enzyme and production method of trehalose thereby
KR20040052561A (en) * 2004-03-31 2004-06-23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Ultra-Wide Band Coplanar Antenna Using a Coplanar Waveguide Impedance Transformer
KR20140102974A (en) * 2013-02-15 2014-08-2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A broadband plannar Quasi-Yagi antenna
KR20180034576A (en) * 2015-08-13 2018-04-04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Broadband antennas including a substrate-integrated waveguide
KR102138441B1 (en) 2018-11-29 2020-07-27 이성훈 Auxiliar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function of detecting hidden camer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845A (en) 1998-06-03 2000-01-15 최양도 Novel gene encoding trehalose biosynthetic enzyme and production method of trehalose thereby
KR20040052561A (en) * 2004-03-31 2004-06-23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Ultra-Wide Band Coplanar Antenna Using a Coplanar Waveguide Impedance Transformer
KR20140102974A (en) * 2013-02-15 2014-08-2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A broadband plannar Quasi-Yagi antenna
KR20180034576A (en) * 2015-08-13 2018-04-04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Broadband antennas including a substrate-integrated waveguide
KR102138441B1 (en) 2018-11-29 2020-07-27 이성훈 Auxiliar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with function of detecting hidden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6200B2 (en)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1552391B2 (en) Mobile device with multiple-antenna system
US2016024128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50008451A (en) Apparatus for Reducing Ground Effects in a Folder-Type Communication Handset Device
TWI487191B (en) Antenna system
JP6195080B2 (en) Antenna device
US20090179805A1 (en) Antenna system for wireless digital devices
WO20201546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ground extension for monopole antenna with a finite ground plane using a wedge shape
CN113193358B (en) Antenna device, electronic tag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6340690B2 (en) Antenna device
EP2645603B1 (en) Wireless security device
TWI376837B (en) Radio apparatus and antenna thereof
US9419338B2 (en) Antenna apparatus
TWI678022B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ame
WO2022133922A1 (en) Multi-frequency antenna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367594B1 (en) Antenna for hidden camera detector
RU2524563C1 (en) Compact ultra-wideband antenna
US20200044302A1 (en) Electronic device
JP6386403B2 (en) Antenna device
TWI581497B (en) Broadband antenna and portable electronic deive having same
US9431710B2 (en) Printed wide band monopole antenna module
JP2005203971A (en) Antenna device and system
JP2017041837A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module
US20080129611A1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309467B1 (en) Dipole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