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152B1 -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152B1
KR102367152B1 KR1020200066853A KR20200066853A KR102367152B1 KR 102367152 B1 KR102367152 B1 KR 102367152B1 KR 1020200066853 A KR1020200066853 A KR 1020200066853A KR 20200066853 A KR20200066853 A KR 20200066853A KR 102367152 B1 KR102367152 B1 KR 10236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drawer
guide rail
gu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006A (ko
Inventor
이양준
Original Assignee
(주)캠퍼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퍼스라인 filed Critical (주)캠퍼스라인
Priority to KR102020006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15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47B2088/4675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with detent or emboss on slide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책상:
상기 책상에 구성되는 책상상판부;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부에 구성하는 책상서랍부;
상기 책상서랍부의 측면에 구성한 서랍측면부:
상기 서랍측면부의 상부에 구성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부면에 부착 구성한 가이드레일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책상서랍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desk drawer}
본원 발명은 책상에서 책상서랍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책장서랍 개폐장치와 관련된 분야의 기술이다.
책상서랍이 끼워지는 설치홈의 고정레일(4)에 앵글 형태의 가이드레일(3)이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랍(1)의 양쪽측판(5) 저면에 형성된 장홈(2)에 가이드레일(3)이 결합되어 고정레일(4)을 따라서 서랍(1)이 진퇴 작동되게 한 것에 있어서, P지점까지만 전진되는 가이드레일(3)의 전단부에 걸림턱(6)을 형성하고, 서랍측판(5)의 장홈(2)은 전단부는 막히고 후단부는 개방하여 전단부 일측에 상기한 걸림턱(6)이 걸려지는 탄성제어편(9)를 설치하며 그 뒤쪽에 스톱퍼를 설치하여 1차 지점까지 열려진 서랍(1)을 당기면 탄성제어편(9)이 걸림턱(6)을 벋어나면서 마저 열려진 후 스톱퍼에 걸려져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장홈(2)의 전후방에는 수직, 수평상의 안내로울러(11)와 가압탄성편(12)을 가진 복수개의 윤활수단을 설치하여 장홈(2)에 끼워진 가이드레일(3)을 협지하여 좌우유동을 억제하고 서랍이 전후방으로 부드럽게 진퇴작동 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책상서랍은 그 구성부품이 많아 고장이 나기 쉬우며 부품수가 많아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특허청실용신안공고번호 20-1984-0002816(1984.12.26) 대한민국특허청실용신안공고번호 20-1996-0009835(1996.11.13) 대한민국특허청실용신안등록번호 20-0125303(1998.06.23) 대한민국특허청실용신안등록번호 20-0318165(2003.06.17)
첫번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책상서랍부의 여닫기를 자유롭게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두번째 해결과제는 부품의 구성이 줄어들고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율을 현저하게 줄이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세번째 해결과제는 책상서랍부의 가이드부와 레일부가 서로 선접촉으로 접촉하여 미끄러짐 마찰에 의하여 책상서랍부의 여닫이가 매우 용이하게 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책상:
상기 책상에 구성되는 책상상판부;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부에 구성하는 책상서랍부;
상기 책상서랍부의 측면에 구성한 서랍측면부:
상기 서랍측면부의 상부에 구성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부면에 부착 구성한 가이드레일부를 가지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책상서랍부의 내면부로 향하되, 하향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크랭크형상으로 구성하되,
하부면에 스톱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와 미끄럼마찰로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레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는 반원기둥의 돌기부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책상서랍부를 열기 위하여 전면으로 잡아당길때 상기 책상서랍부의 후면에 구성한 서랍후면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전면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크랭크형상으로 구성하되,가이드레일일측면부와 가이드레일타측면부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일측면부에 결합홀부를 구성하여 책상상판부와 결합볼트부로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레일타측면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서랍측면부의 내부방향에 고정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첫번째 효과는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책상서랍부의 여닫기를 자유롭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두번째 효과는 부품의 구성이 줄어들고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율을 현저하게 줄이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세번째 효과는 책상서랍부의 가이드부와 레일부가 서로 선접촉으로 접촉하여 미끄러짐 마찰에 의하여 책상서랍부의 여닫이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책상에 관한 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전면부에서 바라본 구성도이다.
제3a도는 제2도의 절단부에서 절단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3b도는 책상서랍부를 인출한 경우를 보이는 도이다.
제4a도는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4b도는 제4a도에서 책상서랍부를 인출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5a도는 가이드레일부의 배치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제5b도는 제5a도의 하부면에서 보이는 도이다.
제5c도는 가이드레일부와 가이드부의 구성을 상세히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1은 본원발명을 적용한 책상(500)을 보이는 도이다.
책상상판(400)이 구성되고 책상상판(400)의 하부에 책상서랍부(100)가 구성되며 받침부(410)를 구성하여 책상 상판의 물건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책상서랍부가 후면으로 더이상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면2는 책상(500)의 정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면 3a,3b는 도면2에서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보이는 도로써 스톱퍼부(216,226)가 책상서랍부(100)의 서랍후면부(130)와 걸리는 것을 보이는 도이다.
도4a 내지 도5c를 중심으로 살피면 하기와 같습니다.
책상(500)에 책상상판부(400)를 구성하고 다리를 구성하여 책상을 완성한다.
상기 책상상판부(400)의 하부에 책상서랍부(100)를 구성한다.
상기 책상서랍부(100)의 측면에 서랍측면부(140,150)를 구성한다.
상기 서랍측면부(140,150)의 상부에 가이드부(145,155)를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부(145,155)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책상상판부(400)의 하부면에 부착 구성한 가이드레일부(200)를 구성하여 책상서랍의 개폐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45,155)는 상기 책상서랍부(100)의 내면부로 향하되, 하향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45,155)는 서랍측면부(140,150)와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플라스틱제의 경우에는 사출에 의하여 하나의 구성요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제의 경우에도 한번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품을 단순화하고 이로 인하여 고장율도 현저히 줄이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오는 것이다.
목재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책상서랍부에 큰 힘이 부가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목재의 경우에도 하나의 구성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00)는 크랭크형상으로 구성하되, 하부면에 스톱퍼부(216,226)를 구성한다.
상기 스톱퍼부(216,226)는 상기 가이드레일부(200)와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재나 플라스틱제의 경우에는 용이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목재의 경우에도 별도의 스톱퍼부를 부착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스톱퍼부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경우에 부품이 간소화되고 이로 인한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책상서랍부(100)를 열기 위하여 전면으로 잡아당길때 상기 책상서랍부 (100)의 후면에 구성한 서랍후면부(130)와 접촉되어 더 이상 전면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간단하게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부(145,155)와 미끄럼마찰로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200)에 레일부(214,224)를 구성한다.
상기 레일부(214,224)는 반원기둥의 돌기부 구성을 가진다.
가이드부와 레일부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도면에서는 가이드부는 경사형의 판으로 구성하고 레일부는 반원형돌출부의 형태로 구성하였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00)는 크랭크형상으로 구성하되,가이드레일일측면부(217,227)와 가이드레일타측면부(218,228)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일측면부(217,227)에 결합홀부(211,213,221,223)를 구성하여 책상상판부(400)와 결합볼트부로 결합하고,상기 가이드레일타측면부(218,228)는 상기 가이드부(145,155)와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00)는 상기 서랍측면부(140,150)의 내부방향에 고정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부(200)는 상기 서랍측면부(140,150)의 외부방향에 고정배치하는 것도 좋다.
그럴 경우에는 가이드부의 경사형판이 책상서랍부(100)의 외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굴곡되게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책상서랍부 120:서랍전면부 130:서랍후면부
140,150:서랍측면부 145,155:가이드부
200:가이드레일부 210:좌측가이드레일부 212, 222:여유부
214,224:레일부 211,213,221,223:결합홀부
211a,213a,221a,223a:결합볼트부 216,226:스톱퍼부
217,227:가이드레일일측면부 218,228:가이드레일타측면부
220:우측가이드레일부 400:책상상판부 410:받침부 500:책상

Claims (8)

  1. 책상;
    상기 책상에 구성되는 책상상판부;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부에 구성하는 책상서랍부;
    상기 책상서랍부의 측면에 구성한 서랍측면부;
    상기 서랍측면부의 상부에 구성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책상상판부의 하부면에 부착 구성한 가이드레일부;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크랭크형상으로 구성하되, 하부면에 스톱퍼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책상서랍부의 내면부로 향하되, 하향경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와 미끄럼마찰로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레일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반원기둥의 돌기부 구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책상서랍부를 열기 위하여 전면으로 잡아당길때 상기 책상서랍부의 후면에 구성한 서랍후면부와 접촉되어 더 이상 전면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크랭크형상으로 구성하되,가이드레일일측면부와 가이드레일타측면부로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일측면부에 결합홀부를 구성하여 책상상판부와 결합볼트부로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레일타측면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상기 서랍측면부의 내부방향에 고정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KR1020200066853A 2020-06-03 2020-06-03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KR10236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53A KR102367152B1 (ko) 2020-06-03 2020-06-03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53A KR102367152B1 (ko) 2020-06-03 2020-06-03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006A KR20210150006A (ko) 2021-12-10
KR102367152B1 true KR102367152B1 (ko) 2022-02-25

Family

ID=7886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853A KR102367152B1 (ko) 2020-06-03 2020-06-03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1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31Y1 (ko) 2001-02-13 2001-07-19 김한윤 다용도 수장함을 가진 책상
JP2002540826A (ja) 1999-03-31 2002-12-03 ジュリウス ブルム ゲゼルシャフト エム.ビー.エイチ. 抽斗または同様のもののための引き出し案内装置付属品
KR200434231Y1 (ko) 2006-09-13 2006-12-18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이동서랍장에 설치된 슬라이드 선반
JP3156308U (ja) 2009-10-09 2009-12-24 株式会社シモダイラ 引出し用ガイド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816Y1 (ko) 1982-10-18 1984-12-26 백금복 책상서랍의 인출장치
JPS601341U (ja) * 1983-06-17 1985-01-08 エムケ−精工株式会社 引出用レ−ル
KR960009835U (ko) 1994-09-13 1996-04-12 지용태 유체주입용 건강방석
KR200318165Y1 (ko) 2003-03-20 2003-06-28 이철수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KR20140000778U (ko) * 2012-07-27 2014-02-05 김하균 서랍 장착용 레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0826A (ja) 1999-03-31 2002-12-03 ジュリウス ブルム ゲゼルシャフト エム.ビー.エイチ. 抽斗または同様のもののための引き出し案内装置付属品
KR200230731Y1 (ko) 2001-02-13 2001-07-19 김한윤 다용도 수장함을 가진 책상
KR200434231Y1 (ko) 2006-09-13 2006-12-18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이동서랍장에 설치된 슬라이드 선반
JP3156308U (ja) 2009-10-09 2009-12-24 株式会社シモダイラ 引出し用ガイド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1004229호(2019.04.2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006A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1731B2 (ja) 引き出し用閉止装置
US5056879A (en) Pull-out guide assembly for drawers or the like
CN105658113A (zh) 用于能运动的家具部件的驱动设备
CN203692961U (zh) 弯形滑轨
CN101991287A (zh) 抽拉系统
EP1479317A1 (de) Dämpfungs- und Einzugsvorrichtung
KR102367152B1 (ko) 책상서랍의 개폐장치
CN110801117A (zh) 一种用于滑轨抽屉便携式安装的滑轨
CN208941349U (zh) 一种抽屉的连接结构
US6450596B1 (en) Interlocking device for drawers
US4057303A (en) Drawer guide
CN203852034U (zh) 一种抽屉的侧板稳定结构
CN102772045A (zh) 具有至少一个滑动门的家具
CN102342673A (zh) 抽屉导轨缓冲回位装置
KR102343110B1 (ko) 레일 일체형 다단 서랍의 선택적 개폐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가구
KR102343109B1 (ko) 레일 결합형 다단 서랍의 선택적 개폐 장치 및 이를 가지는 가구
JP2016131673A (ja) 引出しおよび該引出し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US3650592A (en) Drawer with guide system
DE50210112D1 (de) Auszugsicherung, insbesondere für einen Schubladenschrank
JP3140208U (ja) スライドレール自動収納装置
CN205814014U (zh) 一种抽屉隐藏式阻尼滑轨
KR102611208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US20050040659A1 (en) Furniture
KR102328522B1 (ko) 조립식 서랍
CN210249130U (zh) 一种木导轨式抽屉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