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875B1 -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875B1
KR102366875B1 KR1020210015247A KR20210015247A KR102366875B1 KR 102366875 B1 KR102366875 B1 KR 102366875B1 KR 1020210015247 A KR1020210015247 A KR 1020210015247A KR 20210015247 A KR20210015247 A KR 20210015247A KR 102366875 B1 KR102366875 B1 KR 102366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thentication key
unlock
wearable devic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현한
Original Assignee
배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현한 filed Critical 배현한
Priority to KR102021001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크래들과 전기력,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며, 무선 충전 및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가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바디부가 착용되게 하는 밴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크래들의 제1송수신부로 수신되는 인증키를 검증하여 유효한 인증키인지를 검증하는 검증부와; 상기 검증부에 의해 검증된 인증키가 정상 인증키이면, 제1송수신부가 인증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인증키를 무선송신하고, 제1송수신부로 부터 송신된 인증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2송수신부와; 상기 밴드에 결합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록(Lock) 또는 언록(Unlock)으로 전환되어 바디부를 언락시키는 록킹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로 송신하게 하고, 제1송수신부로부터 제2송수신부로 인증신호가 수신되면, 록킹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록킹부가 언락상태로 전환되게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충전 시 신체에 착용된 밴드를 착용해제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시켜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Unlock unit and unlock method for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때, 착용을 위해 락(Lock) 상태의 밴드 또는 밴드에 결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바디부가 무선 충전 크래들에 부착되어 충전됨과 동시에 언락(Unlock)상태로 전환되게 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선충전을 위해 밴드를 착용해제시키는 번거로움을 해소시켜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무선으로 연동해 사용하는 안경이나 손목시계·밴드형 기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센서와 간단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량의 소프트웨어가 내장되며, 스마트폰은 물론 스마트 시계 같은 웨어러블 컴퓨터·TV·냉장고·전구·헬스 기기·IP카메라·하이패스 등 일상생활에서 존재하는 모든 기기가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사용자단말기를 충전하는 방식에는 유선충전방식과 무선충전방식이 있다.
유선충전방식은 케이블을 직접 충전대상이 되는 단말기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적 복잡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와 충전기기을 1 : 1로 연결해야 하는 제한도 따른다.
무선충전방식은 자기유도방식과 자기공진방식이 있는데, 무선충전방식은 단말기와 충전기기를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간적 제약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무선충전방식은 배터리가 전체 충전 용량의 일정 비율 이상이 되면 만충(full charging)으로 인식하며 무선충전을 완료하게 된다.
아울러, 무선충전 시 디바이스가 무선 충전 크래들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흔들림이나 떨림현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크래들에서 안정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기술도 소개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편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주요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바디부가 밴드에 결합되고, 이 밴드가 신체에 착용된다는 점에서 무선 충전 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게 된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 충전 시 신체의 일부에 착용된 밴드를 반드시 해체하여야만 무전 충전 크래들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밴드가 신체에 착용된다는 것은 밴드를 구속하는 잠금장치가 밴드에 결합되고, 이 잠금장치를 해제시켜야만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신체로부터 분리되어지며, 비로소 무선 충전기에 거치시켜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 충전 크래들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무선 인증절차를 통하여 밴드를 잠금해제하거나 또는 밴드에 결합된 바디부가 잠금해제될 수 있게 함으로써, 무선 충전 시 밴드 또는 바디부를 탈착시키는 불편함을 해소시키고자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충전 크래들(120) 바디부(102)와, 상기 바디부(102)가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바디부(102)가 착용되게 하는 밴드(104)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120)의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되는 인증키를 검증하여 유효한 인증키인지를 검증하는 검증부(123)와; 상기 검증부(123)에 의해 검증된 인증키가 정상 인증키이면,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124)와; 상기 바디부(102)에 형성되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가 저장된 메모리부(106)와; 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무선송신하고, 제1송수신부(122)로 부터 송신된 인증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2송수신부(108)와; 상기 밴드(104)에 결합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록(Lock) 또는 언록(Unlock)으로 전환되어 바디부(102)를 언락시키는 록킹부(110)와; 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고, 제1송수신부(122)로부터 제2송수신부(108)로 인증신호가 수신되면, 록킹부(11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록킹부(110)가 언락상태로 전환되게 제어하는 제2제어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110)는, 상기 바디부(102)에 결합되며, 걸림홈(114a)과 걸림돌기(114b)가 성형된 다수 개의 후크(114)와; 상기 밴드(104)에 형성된 결합부(104a)에 결합되는 후크공(116)과; 상기 후크공(116) 내경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6a)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후크공(116)으로 삽입되는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되는 탄성클립(118)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탄성클립(118)을 슬라이딩홈(116a)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된 탄성클립(118)이 걸림홈(114a)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솔스위치(119)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무선 충전 크래들(120)과 전기력,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며, 무선 충전 및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바디부(102)와, 상기 바디부(102)가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바디부(102)가 착용되게 하는 밴드(104)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120)의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되는 인증키를 검증하여 유효한 인증키인지를 검증하는 검증부(123)와; 상기 검증부(123)에 의해 검증된 인증키가 정상 인증키이면,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124)와; 상기 바디부(102)에 형성되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가 저장된 메모리부(106)와; 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무선송신하고, 제1송수신부(122)로 부터 송신된 인증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2송수신부(108)와; 상기 밴드(104)에 결합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록(Lock) 또는 언록(Unlock)으로 전환되어 밴드(104)를 언락시키는 록킹부(110)와; 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고, 제1송수신부(122)로부터 제2송수신부(108)로 인증신호가 수신되면, 록킹부(11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록킹부(110)가 언락상태로 전환되게 제어하는 제2제어부(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110)는, 상기 밴드(104) 일단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걸림홈(114a)과 걸림돌기(114b)가 성형된 다수 개의 후크(114)와; 상기 밴드(104) 타단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후크공(116)과; 상기 후크공(116) 내경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6a)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후크공(116)으로 삽입되는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되는 탄성클립(118)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탄성클립(118)을 슬라이딩홈(116a)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된 탄성클립(118)이 걸림홈(114a)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솔스위치(119)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검증부(12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키를 저장하는 키저장부(126)와; 상기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되는 인증키와 키저장부(126)에 저장된 인증키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별하는 비교부(12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무선 충전 크래들(120)과 전기력,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며, 무선 충전 및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바디부(102)와, 상기 바디부(102)가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바디부(102)가 착용되게 하는 밴드(104)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120)의 근접센서가 물체를 감지하면, 제1제어부(124)는 제1송수신부(122)로 인증키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인증키 요청단계(S1)와; 상기 인증키 요청단계(S1)에 의해 바디부(102)의 제2송수신부(108)에 인증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2제어부(112)는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는 인증키 전송단계(S2)와; 상기 인증키 전송단계(S2)에 의해 크래들(120)의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키를 수신하면, 제1제어부(124)는 검증부(123)가 인증키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게 하는 인증키 검증단계(S3)와; 상기 인증키 검증단계(S3)에 의해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된 인증키가 유효한 인증키이면, 제1제어부(124)가 제1송수신부(122)로 인증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인증신호 전송단계(S4)와; 상기 인증신호 전송단계(S4)에 의해 바디부(102)의 제2송수신부(108)로 인증신호가 수신되면, 제2제어부(112)는 록킹부(11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록킹부(110)의 솔스위치(119)가 온(ON)되게 하는 록킹부 언록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무선 충전 크래들에 근접시켜 거치 또는 부착시키는 것 만으로 무선 충전 크래들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무선통신을 통한 인증절차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터리가 내장된 바디부를 밴드로부터 잠금해제시켜 바디부만 무선 충전될 수 있게 하거나, 바디부를 결합시킨 밴드의 잠금장치를 잠금해제시켜 바디부와 밴드부가 신체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다시 말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착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동작을 하지 않아도 무선 충전 크래들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근접시키면 무선 충전을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신체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편리한 충전을 이룰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의 록(Lock) 상태와 언록(Unlock)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작용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의 구조를 블럭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를 첨부된 도 1과 내지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는, 무선 충전 크래들(120)과 전기력,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여 충전 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무선 충전 크래들(1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충전단자에 의한 충전방식이 아닌 무선 충전이며, 무선 충전 크래들(12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상호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바디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102)는, 손목, 목, 다리 등과 같이 신체 일부에 착용시키기 위한 밴드(104)에 결합되는 구조임이 전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제시된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충전 시 손목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경우, 손목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밴드(104)에 바디부(102)를 결합시키고, 밴드(104)를 손목에 착용하게 된다.
즉, 상기 바디부(102)가 결합되는 밴드9104)의 결합부(104a)의 양측으로 각각 일측 밴드(104)와 타측 밴드(104)가 연장형성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밴드(104)의 끝단이 서로 결속되게 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손목에 착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착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무선 충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목에 착용된 밴드(104)를 분리시켜야만 사용자는 충전이외의 시간에 다른 용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104)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바디부(102)가 결합된 구조이므로, 밴드(104)를 신체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도 바디부(102)만 분리된다면 사용자는 충전이외의 시간에 다른 용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체의 일부에 직접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결속, 결합시키는 밴드(104)를 분리시키는 것과, 밴드(104)에 결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바디부(102)만을 분리시키는 것 만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두 가지의 실시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무선 충전 크래들(120)에 무선 송수신을 위한 제1송수신부(122)를 구비하고, 이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되는 인증키를 검증하여 유효한 인증키인지를 검증하는 검증부(123)와, 이 검증부(123)에 의해 검증된 인증키가 정상 인증키이면,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124)가 구비된다.
아울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바디부(102)에는 메모리부(106)를 구성하여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를 저장하며,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무선송신하게 하고, 제1송수신부(122)로 부터 송신된 인증신호를 제2송수신부(108)가 수신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밴드(104)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2)가 결합되며, 이 바디부(102)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록킹부(110)에 록(Lock) 또는 언록(Unlock)으로 전환되어 바디부(102)를 언락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여 크래들(120)의 제1송수신부(122)가 상기 인증키를 수신한 후, 검증부(123)를 통해 유효한 인증키임이 판별되면, 제1제어부(124)는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신호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여 제2제어부(112)가 록킹부(11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록킹부(110)가 언락상태로 전환되게 한다.
이때, 상기 록킹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114a)과 걸림돌기(114b)가 성형된 다수 개의 후크(114)가 바디부(102)에 결합되며, 밴드(104)의 결합부(104a)에는 후크(114)와 대응되도록 후크공(116)이 다수 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공(116)에는, 슬라이딩홈(116a)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홈(116a)에는 탄성클립(118)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후크공(116)으로 삽입되는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클립(118)에는 솔스위치(119)가 밀착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솔스위치(119)가 직선이동하면, 탄성클립(118)을 슬라이딩홈(116a)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됨으로써,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된 탄성클립(118)이 걸림홈(114a)으로부터 이격되어 후크(114)가 후크공(11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한 록킹부(110)의 구성은 주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가능하기 때문에 록킹부(110)의 구성을 한정하지는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록킹부(110)의 구성 및 작용은 바디부(102)를 분리시키는 제1실시예와 후술하게 될 밴드(104)를 분리시키는 제2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록킹부(110)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바디부(102), 밴드(104), 제1송수신부(122), 검증부(123), 제1제어부(124), 제2송수신부(108), 메모리부(106), 제2제어부(112)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바디부(102)를 분리시키는 구성이라면, 제2실시예는 밴드(104)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바디부(102)는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신체의 일부에 착용된 밴드(104)의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밴드(104)부의 록킹부(110)도 제1실시예의 록킹부(110)와 동일한 작동원리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검증부(123)는, 무선 충전 크래들(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키를 저장하는 키저장부(126)를 구비하고,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되는 인증키와 키저장부(126)에 저장된 인증키를 비교부(128)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별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검증부(123)는 원격에 위치한 서버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된 인증키의 유효성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즉, 인증키라는 것은 다양한 패턴과 방식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원격의 서버에서 모든 인증키를 관리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사용자에 의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제조 시 부여된 시리얼번호 또는 또 다른 패턴의 인증키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에 의해 관리, 갱신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방법의 절차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들(120)의 근접센서가 물체를 감지하면, 제1제어부(124)는 제1송수신부(122)로 인증키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인증키 요청단계(S1)를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근접센서를 설치하고,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크래들(120)에 근접하였을 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2제어부(12)가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여 크래들(120)의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키를 수신하게 함으로써, 상술한 인증키 요청단계(S1)가 생략되고, 곧바로 후술하게 될 인증키 전송단계(S2)가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한 선택사항은 얼마든지 변경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유니트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인증키 요청단계(S1)에 의해 바디부(102)의 제2송수신부(108)에 인증키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2제어부(112)는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는 인증키 전송단계(S2)를 실시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크래들(120)과의 인증절차를 위해 평상시에도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가 지속적으로 발신하는 것은 과도한 배터리의 소모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인증키 전송단계(S2)는 제2송수신부(108)에 인증키 요청신호가 수신될 때만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키 전송단계(S2)에 의해 크래들(120)의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키를 수신하면, 제1제어부(124)는 검증부(123)가 인증키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게 하는 인증키 검증단계(S3)를 실시하는 바, 상기 인증키 검증단계(S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를 저장하고 있는 키저장부(126)에서 인증키를 독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증키는 생성조건, 생성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는 것이므로, 키저장부(126)에 저장된 인증키와의 1 : 1 비교을 통해 유효성 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지만, 암호화된 인증키를 복호화하여 유효성을 검사하는 방법이나, 원격에 위치한 서버를 통하여 비교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상기 인증키 검증단계(S3)에 의해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된 인증키가 유효한 인증키이면, 제1제어부(124)가 제1송수신부(122)로 인증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인증신호 전송단계(S4)를 실시하고, 상기 인증신호 전송단계(S4)에 의해 바디부(102)의 제2송수신부(108)로 인증신호가 수신되면, 제2제어부(112)는 록킹부(11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록킹부(110)의 솔스위치(119)가 온(ON)되게 하는 록킹부 언록단계(S5)를 실시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02)가 밴드(104)의 결합부(104a)에서 분리되거나 밴드(104)가 손목에서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02 : 바디부 104 : 밴드
104a : 결합부
106 : 메모리부 108 : 제2송수신부
110 : 록킹부 112 : 제2제어부
114 : 후크 114a : 걸림홈
114b : 걸림돌기 116 : 후크공
116a : 슬라이딩홈 118 : 탄성클립
119 : 솔스위치
120 : 무선 충전 크래들
122 : 제1송수신부 123 : 검증부
124 : 제1제어부 126 : 키저장부
128 : 비교부

Claims (6)

  1. 무선 충전 크래들(120)과 전기력,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며, 무선 충전 및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바디부(102)와, 상기 바디부(102)가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바디부(102)가 착용되게 하는 밴드(104)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에 있어서,상기 크래들(120)의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되는 인증키를 검증하여 유효한 인증키인지를 검증하는 검증부(123)와;상기 검증부(123)에 의해 검증된 인증키가 정상 인증키이면,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124)와;상기 바디부(102)에 형성되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가 저장된 메모리부(106)와;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무선송신하고, 제1송수신부(122)로 부터 송신된 인증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2송수신부(108)와;상기 밴드(104)에 결합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록(Lock) 또는 언록(Unlock)으로 전환되어 바디부(102)를 언락시키는 록킹부(110)와;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고, 제1송수신부(122)로부터 제2송수신부(108)로 인증신호가 수신되면, 록킹부(11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록킹부(110)가 언락상태로 전환되게 제어하는 제2제어부(112)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10)는,
    상기 바디부(102)에 결합되며, 걸림홈(114a)과 걸림돌기(114b)가 성형된 다수 개의 후크(114)와;
    상기 밴드(104)에 형성된 결합부(104a)에 결합되는 후크공(116)과;상기 후크공(116) 내경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6a)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후크공(116)으로 삽입되는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되는 탄성클립(118)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탄성클립(118)을 슬라이딩홈(116a)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된 탄성클립(118)이 걸림홈(114a)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솔스위치(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2. 삭제
  3. 무선 충전 크래들(120)과 전기력, 자력에 의해 탈착가능하며, 무선 충전 및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한 바디부(102)와, 상기 바디부(102)가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바디부(102)가 착용되게 하는 밴드(104)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에 있어서,상기 크래들(120)의 제1송수신부(122)로 수신되는 인증키를 검증하여 유효한 인증키인지를 검증하는 검증부(123)와;상기 검증부(123)에 의해 검증된 인증키가 정상 인증키이면, 제1송수신부(122)가 인증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124)와;상기 바디부(102)에 형성되며,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가 저장된 메모리부(106)와;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무선송신하고, 제1송수신부(122)로 부터 송신된 인증신호를 수신하도록 된 제2송수신부(108)와;상기 밴드(104)에 결합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록(Lock) 또는 언록(Unlock)으로 전환되어 밴드(104)를 언락시키는 록킹부(110)와;상기 메모리부(106)의 인증키를 제2송수신부(108)로 송신하게 하고, 제1송수신부(122)로부터 제2송수신부(108)로 인증신호가 수신되면, 록킹부(11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록킹부(110)가 언락상태로 전환되게 제어하는 제2제어부(112)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10)는,
    상기 밴드(104) 일단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걸림홈(114a)과 걸림돌기(114b)가 성형된 다수 개의 후크(114)와;
    상기 밴드(104) 타단의 타측면에 결합되는 후크공(116)과;상기 후크공(116) 내경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6a)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후크공(116)으로 삽입되는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되는 탄성클립(118)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탄성클립(118)을 슬라이딩홈(116a)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후크(114)의 걸림홈(114a)에 밀착된 탄성클립(118)이 걸림홈(114a)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솔스위치(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15247A 2021-02-03 2021-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 KR10236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247A KR102366875B1 (ko) 2021-02-03 2021-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247A KR102366875B1 (ko) 2021-02-03 2021-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875B1 true KR102366875B1 (ko) 2022-02-23

Family

ID=8049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247A KR102366875B1 (ko) 2021-02-03 2021-02-03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8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1708A (ja) *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電子機器の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US20120119874A1 (en) * 2010-11-17 2012-05-17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portable device
KR20120124254A (ko) * 2011-05-03 2012-11-1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탈착장치
KR20150025206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7474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KR20150099667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KR20160019170A (ko) * 2014-08-11 2016-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실한 단말의 회수 가능성을 높이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1708A (ja) *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電子機器の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US20120119874A1 (en) * 2010-11-17 2012-05-17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portable device
KR20120124254A (ko) * 2011-05-03 2012-11-1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탈착장치
KR20150025206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74743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KR20150099667A (ko) * 2014-02-22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KR20160019170A (ko) * 2014-08-11 2016-0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실한 단말의 회수 가능성을 높이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74B1 (ko) 액세스 제어 통신 디바이스,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9953477B2 (en) Mobile ke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programmable key
CN104952135B (zh) 一种智能终端光控门锁系统及使用方法
EP2804153B1 (en) Electronic lock,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KR102262222B1 (ko) 키 디바이스 및 관련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130078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580239B2 (en) Wireless powered digital lock
JP6717793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装置
JP5634471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デバイスの無線充電およびそれとの通信
JP2019151997A (ja) ウェアラブルキーデバイス、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JP6870188B2 (ja) 融着接続装置の盗難検知システム及び融着接続装置
TWI633028B (zh) 車輛鑰匙系統及其使用方法
EP3644292A1 (en) Theft sensing system for fusion splicer device and fusion splicer device
CN105760723A (zh) 移动终端及其解锁方法
KR102366875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언락유니트 및 언락방법
JP2018028847A (ja) 記憶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70358952A1 (en) Method and Process for a Smart Door System
CN109446787A (zh) 一种app绑定、解绑设备的方法
JP200822818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873192B2 (ja) 電子装置において無線機能を使用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047743A (zh) 一种可生成式的智能手表钥匙
WO2014080198A1 (en) Induction charger
CN210836258U (zh) 一种可生成式的智能手表钥匙
US11026014B2 (en)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mobile radio device, power supply unit for mobile radio device, charger and audio transmission configuration system
CN111953478B (zh) 一种量子加密手环、手环通信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