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895B1 -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895B1
KR102365895B1 KR1020200099382A KR20200099382A KR102365895B1 KR 102365895 B1 KR102365895 B1 KR 102365895B1 KR 1020200099382 A KR1020200099382 A KR 1020200099382A KR 20200099382 A KR20200099382 A KR 20200099382A KR 102365895 B1 KR102365895 B1 KR 10236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ipe
user terminal
use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817A (ko
Inventor
정혜경
김지선
민지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8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15/14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using statistical models, e.g. Hidden Markov Models [HMMs]
    • G10L15/142Hidden Markov Models [HM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원은 음성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음성으로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들을 저장하는 레시피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레시피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레시피 목록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OFFERING RECIPE USING SPEECH RECOGNITION }
본원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학업, 직업 등의 이유로 1인 가구 또는 2인 가구의 수가 많이 늘어났다. 해당 가구에서는 과거에 비해, 직접 음식을 요리하여 식사를 해결하기보다 배달 음식이나, 반찬이나 국 등을 조리하여 판매하는 음식을 이용하여 식사를 해결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매번 외식, 음식 배달 등으로 식사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으며, 유명 쉐프나 일반인이 출연하는 요리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유투브와 같은 영상 제공 플랫폼에서도 요리에 관한 영상이 사람들의 호응을 얻게 되면서, 사람들이 직접 요리를 시도하고, 이를 공유하려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요리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레시피를 선정하는 것이 어렵고, 컴퓨터, 스마트 폰 등을 이용하여 얻은 레시피에 따라 요리를 하는 경우, 조리 도중 식재료, 물 등이 묻어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스마트 폰의 경우 조리 장갑을 끼는 경우 조작이 어렵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20524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마별, 종류별, 조리법별 레시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연령, 성별, 식습관 등을 고려한 레시피를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레시피 선정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음성으로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들을 저장하는 레시피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레시피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레시피 목록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레시피 목록 제공부는, 상기 레시피 목록을 테마별, 종류별, 조리법별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준비인원수에 기초하여 식재료 품목별 총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타이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 알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조리 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 위치 정보 및 식재료 품목에 기초하여, 상기 식재료 품목을 구매할 수 있는 식재료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레시피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레시피 이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시피 목록 제공부는, 상기 레시피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음식 선호도, 체중, 평균 식사량, 영양상태, 선호하는 염도를 포함하는 취향 정보, 사용자의 운동시간, 운동종목, 도보거리, 소모열량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 및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조리도구에 관한 도구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시피 목록 제공부는 상기 취향 정보, 상기 활동 정보 및 상기 도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의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 질문 정보를 생성하고,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질문 정보 또는 상기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응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방법은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음성으로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들을 레시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레시피 목록 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레시피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음성 인식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레시피 제공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은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들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레시피 검색 정보, 사용자의 음성, 레시피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레시피 검색 정보 및 상기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기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로 상기 레시피 검색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고, 상기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레시피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레시피 정보를 음성으로 재생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레시피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성을 이용하여 조작함으로써,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레시피 검색 이력,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레시피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레시피를 추천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목록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구매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른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 사용자 단말(200), 제2사용자 단말(300)(200), 네트워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생성한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된 레시피 목록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요리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레시피 정보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마이크와 같은 음성 인식 장치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제공받는 레시피 정보를 제어함으로써, 조리 도중 손에 이물질이 묻거나 조리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200)의 조작이 어려운 경우에도 음성을 이용하여 원하는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고,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목록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레시피 정보를 음성으로 재생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레시피 목록 중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를 선택할 수 있으며, 레시피 정보를 이용해 조리 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레시피 검색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서 생성된 레시피 검색 정보는 네트워크(20)를 통해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시피 검색 정보는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음성 인식부(103)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서 문자 정보 형태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에 따라 레시피 검색 정보를 생성하여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하여, 이를 기초로 레시피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하여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레시피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음성 재생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음성 재생 장치를 이용해 음성으로 재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레시피 검색 정보,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 정보 등을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하고, 레시피 목록, 레시피 정보 등을 수신하여 음성으로 재생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말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웹(Web)이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레시피 검색 정보,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 정보 등을 생성하고,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와 레시피 검색 정보, 레시피 목록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PC, 노트북과 같은 전자장치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고, 추가적으로 GPS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200)은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체온, 혈압, 맥박수 등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한 체온, 혈압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300)(200)은 사용자의 운동량, 소모한 열량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200)은 예시적으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와 같이 사용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들에 해당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200)은 사용자 단말(200)과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300)(200)은 사용자 단말(200)과 같이 음성 재생 장치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고, 수신한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음성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재생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사용자 단말(300)(200)을 이용하여 조리 도중에 보다 쉽게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조작하는 것과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네트워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제2사용자 단말(300)(200)과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과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되어, 레시피 검색 정보, 사용자 정보, 레시피 요청 정보, 사용자의 음성 등을 수신할 수 있고, 레시피 목록, 레시피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제2사용자 단말(300)(200)과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일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20),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20),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20),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20),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20), 위성 방송 네트워크(20),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20),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20) 등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들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레시피 검색 정보, 사용자의 음성, 레시피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고,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부터 생성된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한 레시피 검색 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레시피 검색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레시피들의 목록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김치'라는 입력을 수신하여 레시피 검색 정보를 생성한 경우, '김치'에 대응하는 요리들의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레시피 정보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수량, 기준 인원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요리를 조리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생성되는 음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생성된다.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어 음성으로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들을 저장하는 레시피 정보 저장부(10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레시피 목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부(103),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저장부(101)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어 음성으로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는 조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말하며, 예를 들어 '김치찌개'의 레시피 정보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은 '김치 280g 돼지고기 150g, 고추가루 2.2g, 무 100g, 양파 100g, 두부 150g, 대파 20g'을 포함할 수 있고, 재료 준비 및 손질 단계, 고기와 김치를 볶는 단계, 물을 넣고 끓이는 단계 등과 같이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방법 각각에 대한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계별 조리 방법에 대한 조리 팁 또는 주의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레시피 목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은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요 생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레시피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레시피 검색 정보에 대응하는 레시피들을 레시피 목록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가 '김치'이고, 복수의 레시피 정보로 저장하고 있는 레시피 정보가 '김치찌개, 김치전, 된장찌개, 김치찜, 김치볶음밥, 해물칼국수'인 경우, '김치'를 사용하는 요리인 '김치찌개, 김치전, 김치찜, 김치볶음밥'을 포함하는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레시피 목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인식부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처리하여 문자, 텍스트 형태의 음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알고리즘은 기본적으로 음성을 전자장치가 해석해 그 내용을 텍스트, 문자 정보로 인식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발성한 음성의 파형이 입력되면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음성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식별 정보는 특정 텍스트,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의 파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음성패턴 정보를 음성식별 정보와 비교해서 음성식별 정보와 일치 확률이 높은 텍스트를 사용자의 음성과 대응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서, 음성 특징에 대한 확률적 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인식 과정에 이용하는 다양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확률 기반 음향 모델링 알고리즘에 대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확률 기반 음향 모델링 알고리즘으로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HMM)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부(1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레시피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는 레시피 정보를 선택,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레시피 검색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는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이 레시피 검색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상태일 경우,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 인식부(103)에서 인식되어 레시피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은 음성 인식부(103)에서 인식되어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시피 제공부(104)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는 특정 레시피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특정한 레시피 정보에 포함되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 중에서 어떤 정보를 요청하는지를 포함하며, 조리 방법의 다음 단계, 이전 단계, 현재 조리 단계의 반복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단계의 조리 단계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는 1)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2) 1단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과 조리 방법 3) 2단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과 조리 방법 4) 4단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과 조리 방법을 순서대로 제공할 수 있다. 1)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200)은 다음 단계의 레시피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레시피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하고,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2)의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2)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조리단계의 반복을 요청하는 레시피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하고,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2)의 레시피 정보를 반복하여 제공한다. 레시피 정보를 반복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음성으로 재생되는 레시피 정보를 다시 음성으로 제공받을 수 있고, 해당 조리 단계가 일정 시간이 필요한 경우, 다시 해당 조리 단계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조리를 할 수 있다.
음성 정보에 대해서도 상기한 레시피 요청 정보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음성 정보는 특정 레시피 정보 제공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고, 특정한 레시피 정보에 포함되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 중에서 어떤 정보를 요청하는지를 포함하며, 조리 방법의 다음 단계, 이전 단계, 현재 조리 단계의 반복 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정보에 '식재료'와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에 대한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고, 1)의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경우, 음성 정보가 '다음'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2)의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2)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고 있던 경우에는 3)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 음성 정보가 '반복'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2)의 레시피 정보를 다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음성 정보가 요청하는 레시피 정보의 종류, 다음 조리 단계 또는 이전 조리 단계 등을 요청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예시적으로 음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음성 정보가 '식재료, 재료, 준비'를 포함하는 경우에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에 관한 레시피 정보, '다음'을 포함하는 경우 다음 조리 단계 레시피 정보, '이전'을 포함하는 경우 이전 조리 단계 레시피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하는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음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레시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음성을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음성을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생성한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선택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음식 선호도, 체중, 평균 식사량, 영양상태, 선호하는 염도를 포함하는 취향 정보, 사용자의 운동시간, 운동종목, 도보거리, 소모열량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 및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조리도구에 관한 도구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08)를 포함할 수 있고,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취향 정보, 활동 정보 및 도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취향 정보, 활동 정보, 도구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300)(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체온, 맥박수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시간, 운동종목 등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은 취향 정보, 활동 정보, 도구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이 찌개류인 경우, 이에 기초하여 국 또는 찌개 종류의 요리의 레시피를 포함하도록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장시간 격한 운동을 하고, 소모열량이 큰 경우, 칼로리가 높은 요리의 레시피를 포함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오븐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오븐을 이용하는 요리의 레시피를 포함하도록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오븐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오븐을 이용하는 요리의 레시피를 포함하지 않도록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목록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a)는 레시피 목록을 테마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2(b)는 최근 검색한 레시피, 추천 레시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a)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레시피 목록을 테마별, 종류별, 조리법별로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2(a)는 테마별 레시피 목록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가 '돼지고기'인 경우, 도2(a)의 한식 요리를 선택하면 돼지고기를 이용한 한식 요리의 레시피 목록을 확인할 수 있고, 양식 요리를 선택하면 돼지고기를 이용한 양식 요리의 레시피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레시피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레시피 이력부(107)를 포함하고,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레시피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레시피 검색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시피 목록을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레시피 요청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 레시피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레시피를 요청한 것으로, 구체적인 레시피 정보를 확인한 레시피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이력부(107)는 레시피 검색 정보와 레시피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검색 이력과 레시피 제공 이력을 포함하는 레시피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레시피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최근에 찾은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거나 추천 레시피로 사용자가 검색한 레시피와 유사한 레시피 또는 검색한 레시피와 다른 종류의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고, 유사한 레시피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요리의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검색한 레시피와 다른 종류의 레시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음식의 레시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2(b)에서 최근 검색 레시피로 김치찌개와 돼지고기 김치찜 레시피 목록을 제공하고, 추천 레시피로 리코타 치즈 샐러드와 닭가슴살 샐러드 레시피를 레시피 목록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때, 최근 검색 레시피인 김치찌개와 돼지고기 김치찜은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검색한 레시피, 즉 가장 최근의 레시피 검색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리시피는 리코타 치즈 샐러드와 닭가슴살 샐러드인데, 이는 최근 검색한 레시피와 다른 종류로, 염도가 낮으며 국 또는 찌개 종류가 아니며, 단백질 함량이 높은 요리를 추천 레시피로 제공하여, 최근 검색 레시피와 다른 종류의 요리 레시피를 제공하고 있다. 추천 레시피에서 최근 검색 레시피와 유사한 레시피 또는 다른 종류 레시피를 제공 받을지 여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음식 선호도, 체중, 평균 식사량, 영양상태, 선호하는 염도를 포함하는 취향 정보, 사용자의 운동시간, 운동종목, 도보거리, 소모열량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 및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조리도구에 관한 도구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08)를 포함할 수 있고,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취향 정보, 활동 정보 및 도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사용자의 선호도, 건강 등을 고려하여 레시피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08)에 저장된 취향 정보, 활동 정보, 도구 정보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로, 이를 고려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한 레시피 목록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샐러드류의 음식을 선호하고, 다이어트 중이며, 염도가 낮은 음식을 선호하는 경우, 리코타 치즈 샐러드, 닭가슴살 샐러드와 같이 저염도, 저칼로리 음식을 추천 레시피로 하여 레시피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의 운동 시간, 소모 열량이 낮은 경우, 고칼로리 음식보다는 저칼로리 음식에 관한 레시피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저장부(108)는 사용자의 가족 구성원의 수, 가족 구성원의 나이 및 성별, 식사빈도를 포함하는 구성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레시피 목록 생성부는 구성원 정보를 고려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가족 중에서 청소년기 남성 자녀가 구성원에 포함된 경우, 고칼로리, 고단백질 요리의 레시피를 포함하도록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도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a)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및 준비인원수를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3(b)는 식재료 손질 방법, 도3(c) 및 도3(d)는 단계별 조리 방법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a), 도3(c) 및 도3(d)는 각각 상단에 사진이 위치하고, 하단에 식재료 품목, 수량, 조리 방법 등이 표시되어 있고, 도3(b)는 상단에 동영상이 위치하고, 하단에 식재료 손질 방법이 표시되어 있다. 도3은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된 레시피 정보의 일 예시로, 각각 사진을 대신하여 동영상이 위치하거나, 동영상 대신 사진이 위치할 수도 있고, 사진 및 동영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3(a), 도3(c) 및 도3(d)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준비인원수에 기초하여 식재료 품목별 총수량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타이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조리 보조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식재료 품목별 총수량에 따라 준비인원수에 맞는 식재료 품목당 식재료 수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타이머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조리시간을 쉽게 알 수 있다.
도3(a)는 김치찌개를 조리하기 위한 식재료 품목, 수량 및 기준인원(2인분수량)을 표시하는 레시피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준비인원수(4인분)을 입력하면,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조리 보조부(10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준비인원수(4인분)에 기초하여, 식재료 품목별 총수량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3(a)에서 제공된 식재료 품목별 총수량은 김치 1kg, 양파 1/2개, 대파 1대, 돼지고기 400g, 생수 1kg에 해당한다.
도3(c) 및 도3(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 상단에 "타이머 설정 : ___분"이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타이머 설정 정보를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할 수 있다. 조리 보조부(105)는 타이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를 설정하고, 해당 시간이 경과 후에 타이머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타이머 알림 정보는 진동, 소리, 디스플레이 점멸 등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타이머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3(d) 조리 단계에서 사용자는 조리 단계에서 15분간 찌개를 끓여야 하는데, 해당 조리 단계에서 타이머를 15분으로 설정하여 쉽게 해당 시간 동안 조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조리 보조부(105)는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각 단계별 조리 단계가 일정시간 동안 숙성, 가열, 굽기 등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조리 보조부(105)는 해당 시간을 타이머 시간으로 하여, 타이머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3(d)의 경우, 15분간 찌개를 끓이는 조리 단계에 관한 것으로, 조리 보조부(105)는 15분간의 타이머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타이머를 시작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타이머 기능을 활성화 하고, 15분 경과 후 타이머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음성 인식부(103)는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 질문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질문 정보 또는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을 상기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응답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레시피 정보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도중 발생하는 질문이나 의문점에 대해서, 음성으로 질문을 사용자 단말(200)로 입력하고, 질문에 대응하는 정보,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음성 인식부(103)는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정보는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를 선택,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음성을 사용자 단말(200)로 입력함으로써, 다음/이전 조리 단계 레시피 정보 제공을 요청하거나,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등에 관한 레시피 정보를 요청하거나, 현재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 제공을 반복하여 음성으로 재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03)는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음성 정보가 '알려줘, 찾아줘, 가르쳐줘' 등의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생성된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03)는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질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음성 정보가 '양파 손질 방법을 알려줘.'인 경우 문장 의미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음성 정보가 '양파'의 '손질 방법'에 관한 것이고, 조리에 관한 질문 정보에 해당하므로, 인식된 음성 정보는 양파의 손질 방법을 묻고 있다는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인식된 음성 정보의 의미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은 공지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응답부(109)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질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질문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생성된 질문 정보는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양파 손질 방법'이라고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서 해당 질문 정보를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응답부(109)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질문 정보 또는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응답부(109)는 수신한 질문 정보 또는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웹에서 검색하거나, 저장된 레시피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정확도가 높은 정보를 답변으로 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응답부(109)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수신한 질문 정보 또는 음성 질문에 대응하는 답변을 웹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응답부(109)에서 이용하는 인공지능은 질문을 입력하였을 때 웹의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답변을 제공하는 인공신경망 모델에 해당할 수 있다.
도3(a)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피드백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a)의 하단부에는 '사용자 후기' 항목이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 사용자 후기를 선택, 확인하는 입력을 수신하여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하면,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피드백부(110)는 해당 레시피에 대한 상세한 다른 사용자의 레시피 정봉에 관한 평가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해당 레시피 정보에 관하여 다른 사용자가 작성한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는 별점, 평점, 후기, 주의사항, 조리 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피드백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한 해당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를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하여 해당 레시피에 대한 평가를 저장할 수 있다.
도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재료 구매 정보가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 위치 정보 및 식재료 품목에 기초하여, 식재료 품목을 구매할 수 있는 식재료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레시피를 조리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식재료가 있는 경우, 식재료 품목을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하여 해당 식재료를 구매하기 위한 식재료 구매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사용자 단말(200) 위치 및 식재료 품목에 기초하여 식재료 구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 위치와 가까운 식재료 판매점 위치를 지도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식재료 구매 정보는 식재료 품목, 식재료 판매점 위치, 가격, 할인 정보, 판매점 영업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지도의 중심으로 하고, 사용자 단말(200) 위치 근방의 식재료 판매점 위치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 지도 위에 표시된 복수개의 아이콘 중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해당 입력을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로 송신할 수 있고,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식재료 판매점에 관한 정보인 식재료 품목, 식재료 판매점 위치, 가격, 할인 정보, 판매점 영업 시간 등에 관한 자세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식재료 품목에 기초하여, 식재료 품목을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식재료 구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온라인 상품 구매 시에 상품 배송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신선 제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사용자가 즉시 레시피를 조리할 예정이 아닌 경우, 직접 식재료를 구매할 시간이 없는 경우 온라인으로 식재료를 주문할 수도 있다. 온라인 식재료 구매 정보는 식재료 품목, 식재료를 판매하는 쇼핑몰 또는 웹사이트 접근 링크 또는 주소, 가격, 예상 배송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레시피 정보 저장부(101),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 음성 인식부(103), 레시피 제공부(104), 조리 보조부(105),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106), 레시피 이력부(107), 사용자 정보 저장부(108), 응답부(109), 피드백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 저장부(101)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어 음성으로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는 사용자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정보이며, 조리 각 단계별로 조리 방법을 확인할 수 있고,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수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레시피 목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사용자에게 레시피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하고자 하는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김치'라는 레시피 검색 정보를 수신한 경우, 복수의 레시피 중에서 김치를 사용하는 '김치찌개, 김치볶음밥' 등을 포함하는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테마별, 종류별, 조리법별로 분류하여 레시피 목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레시피를 레시피 목록에서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03)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03)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소리로 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는 문자로 된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정보는 레시피 제공부(104)에서 제공하는 레시피 정보를 선택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정보가 다음 조리 단계를 요청하는 것인 경우, 레시피 제공부(104)는 다음 조리 단계에 해당하는 레시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부(103)는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 질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문장 의미를 파악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생성된 음성 정보에 특정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생성된 음성 질문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부(109)는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을 웹 검색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레시피 제공부(104)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시피 정보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단계별 조리 방법, 식재료 손질 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음성 정보는 레시피 제공부(104)가 복수의 레시피를 포함하는 레시피 목록 중에서 특정 레시피의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단계별 조리 방법, 식재료 손질 방법 등의 정보 중에서 특정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레시피 정보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공되는 경우, 이전/다음 단계 정보 제공 또는 제공하는 정보 반복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레시피 정보를 반복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서 이미 음성으로 재생이 종료된 레시피 정보가 다시 음성으로 재생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 사용자가 조리 도중 사용자 단말(200) 조작이 곤란하나 다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음성만으로 레시피 정보를 다시 제공받을 수 있다.
조리 보조부(105)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준비인원수에 기초하여 식재료 품목별 총수량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타이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 알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조리 보조부(105)는 사용자에게 준비인원수에 따라 자동으로 필요한 식재료 품목별 총수량을 제공하여 쉽게 필요한 식재료 수량을 파악할 수 있고,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에 따라 조리를 쉽게 할 수 있다.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106)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 위치 정보 및 식재료 품목에 기초하여, 식재료 품목을 구매할 수 있는 식재료 구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식재료 구매 정보를 통해 필요한 식재료를 사용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200)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식재료 판매점 위치를 확인하여, 식재료를 구매할 수 있다.
레시피 이력부(107)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레시피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이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레시피 이력부(107)에 저장된 레시피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레시피 검색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검색한 레시피를 의미하고, 레시피 요청 정보는 레시피 정보를 확인한 레시피를 의미한다.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레시피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레시피 이력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최근에 조리한 레시피와 다른 종류의 레시피를 추천 레시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최근 검색한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08)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음식 선호도, 체중, 평균 식사량, 영양상태, 선호하는 염도를 포함하는 취향 정보, 사용자의 운동시간, 운동종목, 도보거리, 소모열량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 및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조리도구에 관한 도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는 취향 정보, 활동 정보 및 도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에서 생성되거나, 제2사용자 단말(300)(200)에서 수집 획득한 사용자의 운동 시간, 맥박, 체온 등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취향 정보, 활동 정보 및 도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여 추천 레시피로 제공할 수 있다.
응답부(109)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질문 정보 또는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질문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음성 질문 정보는 음성 인식부(103)에서 생성된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하는 경우에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응답부(109)는 웹 검색 등을 통해 질문 정보 또는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응답부(109)는 입력된 질문에 대응하는 답변을 웹 검색을 통해 제공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질문 정보 또는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질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입력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 받을 수 있고, 조리 도중 사용자 단말(200) 조작이 곤란한 경우에도 음성을 이용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피드백부(110)는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는 평점, 별점, 후기, 조리 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드백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를 통해, 실제 레시피에 따라 조리했을 때 예상 결과, 조리 시 주의 사항, 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입력하여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가 피드백부(110)에 의해 저장되어, 사용자가 해당 레시피에 대한 후기를 입력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레시피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른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레시피 목록 제공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레시피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른 레시피 목록 및 레시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시피 정보 제공 방법은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되어 음성으로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들을 레시피 정보 저장부(101)에 저장하는 단계,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레시피 목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단계, 음성 인식부(103)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레시피 제공부(104)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610단계에서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레시피 검색 정보를 수신한다. 레시피 검색 정보는 사용자가 조리하고자 하는 레시피를 선택하기 전에, 복수의 레시피를 포함하는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레시피 검색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레시피 검색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S620 단계에서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레시피 목록 제공부(102)에서 레시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레시피 목록은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레시피 정보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레시피 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될 수 있다. 생성한 레시피 목록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레시피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레시피 요청 정보는 특정 레시피 정보를 요청, 레시피 정보 내에 포함된 정보를 선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S640단계에서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S650 단계에서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음성 인식부(103)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한다. 음성 정보는 레시피 요청 정보와 같이 정 레시피 정보를 요청, 레시피 정보 내에 포함된 정보를 선택,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S660 단계에서는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레시피 제공부(104)가 레시피 요청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레시피 요청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목록 중에서 특정 레시피 정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고, 레시피 정보 내에 포함된 정보인 조리 시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단계별 조리 방법, 식재료 손질 방법 등의 정보 중에서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정보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고, 제공하는 레시피 정보의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경우, 레시피 요청 정보 또는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다음 단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레시피 정보 제공 시스템
20: 네트워크
100: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101: 레시피 정보 저장부
102: 레시피 목록 제공부
103: 음성 인식부
104: 레시피 제공부
105: 조리 보조부
106: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
107: 레시피 이력부
108: 사용자 정보 저장부
109: 응답부
110: 피드백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제2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음성으로 재생되거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레시피 정보들을 저장하는 레시피 정보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레시피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레시피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레시피 목록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요청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레시피 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레시피 검색 정보 및 레시피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레시피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레시피 이력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음식 선호도, 체중, 평균 식사량, 영양상태, 선호하는 염도를 포함하는 취향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시간, 운동종목, 도보거리, 소모열량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
    를 포함하되,
    상기 레시피 목록 제공부는,
    상기 레시피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취향 정보 및 상기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검색한 레시피와 유사한 레시피 또는 사용자가 검색한 레시피와 다른 종류의 레시피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레시피 요청 정보는 특정한 레시피 정보에 포함되는 조리에 필요한 식재료 품목 및 수량, 기준 인원수, 단계별 조리 방법 및 단계별 조리 사진 및/또는 동영상 중에서 어떤 정보를 요청하는지를 포함하며, 조리 방법의 다음 단계, 이전 단계, 현재 조리 단계의 반복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레시피 제공부는,
    상기 레시피 요청 정보 또는 상기 음성 정보가 조리 방법의 현재 조리 단계, 이전 단계 및 다음 단계 중 하나의 반복 요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반복 요청에 대응되는 단계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반복하여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부는,
    사용자의 가족 구성원의 수, 가족 구성원의 나이 및 성별, 식사빈도를 포함하는 구성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구성원 정보를 고려하여 레시피 목록을 생성하는 레시피 목록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피 목록 제공부는,
    상기 레시피 목록을 테마별, 종류별, 조리법별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준비인원수에 기초하여 식재료 품목별 총수량을 계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타이머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타이머 알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조리 보조부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 위치 정보 및 식재료 품목에 기초하여, 상기 식재료 품목을 구매할 수 있는 식재료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식재료 구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정보가 조리에 관한 질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음성 질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질문 정보 또는 상기 음성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응답부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레시피 정보에 관한 평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99382A 2020-08-07 2020-08-07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36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82A KR102365895B1 (ko) 2020-08-07 2020-08-07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82A KR102365895B1 (ko) 2020-08-07 2020-08-07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17A KR20220018817A (ko) 2022-02-15
KR102365895B1 true KR102365895B1 (ko) 2022-02-21

Family

ID=8032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82A KR102365895B1 (ko) 2020-08-07 2020-08-07 음성 인식을 이용한 레시피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8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2139A (ja) * 1996-04-09 1997-10-31 Sony Corp 情報提供装置
KR20170137345A (ko) * 2016-06-03 2017-12-13 장사연 개인 맞춤형 요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32234A (ko) * 2016-09-21 2018-03-30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요리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17A (ko) 202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1750B (zh) 用于提供与厨房电器相关联的行为推荐的方法和系统
US201402728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guided assistance
CN110688568A (zh) 一种菜谱的推荐方法及装置
US92865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a project
CN106161591A (zh) 一种云服务器、智能冰箱及饮食管理系统和方法
KR102192718B1 (ko) 건강관리를 고려한 메뉴 기반 식재료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N108447543A (zh) 基于烹饪设备的菜谱推送方法和装置
US201301911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ggesting meals based on tastes and preferences of individual users
CN105653699A (zh) 基于食谱的信息推送方法与装置
US20230168651A1 (en) Generating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executing method of data and device
CN109243579B (zh) 熟食营养数据的处理方法、系统、存储介质及终端
JP2005276171A (ja) 調理アシストシステム、情報端末、及びサーバ
CN111209482A (zh) 一种菜谱的推送方法和装置
CN108255084B (zh) 基于中控设备的烹饪控制方法及厨房管家机器人
KR101982240B1 (ko) 레시피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요리 레시피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7200613A2 (en) Customizing beverage profiles for a user
CN104112217A (zh) 一种口味选择信息的标示方法及应用方法
CN110287306A (zh) 一种食谱推荐方法及设备
US20230169118A1 (en)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esent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CN110289077A (zh) 一种食谱推送处理方法及装置
CN111312365A (zh) 一种个性化营养膳食方法及系统
US202202731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Food Cooking or Heating Operations
JP2017215687A (ja) レシピ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KR20160116449A (ko) 요리 레시피 제공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KR102358479B1 (ko) 식재료 재고 관리 및 레시피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