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731B1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731B1
KR102365731B1 KR1020200108731A KR20200108731A KR102365731B1 KR 102365731 B1 KR102365731 B1 KR 102365731B1 KR 1020200108731 A KR1020200108731 A KR 1020200108731A KR 20200108731 A KR20200108731 A KR 20200108731A KR 102365731 B1 KR102365731 B1 KR 10236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hase delay
delay layer
adhesiv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4276A (ko
Inventor
이희영
서은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692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80841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73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276A/ko
Priority to KR1020220020333A priority patent/KR102564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를 포함하고, 편광 부재는 λ/4 위상 지연층 λ/4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 및 λ/4 위상 지연층 및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되고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인 제1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폴딩 또는 벤딩 시의 λ/4 위상 지연층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를 벤딩 또는 폴딩할 때 변형을 최소화하는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휘어지고 접히는 등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형상 변경 시에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들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다양한 부재들의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다양한 사용 형태에 따른 편광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편광 부재에 포함된 광학 기능층들 사이에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접착 부재를 제공하여 표시 품질을 개선시킨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는 벤딩 영역 및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편광 부재는 λ/4 위상 지연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 및 상기 λ/4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두께는 0.1㎛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은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두께는 0.5㎛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λ/2 위상 지연층; 및 상기 λ/2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1 광보상층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광보상층; 및 상기 제2 광보상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4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2 광보상층은 각각 포지티브 C-플레이트 또는 네거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1 광보상층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 또는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45±30도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 또는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75±30도이고, 상기 흡수축 또는 상기 투과축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15±13도일 수 있다.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은 네마틱 액정 코팅층이고,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은 디스코틱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제1 모드에서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2 모드에서 펼쳐지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보다 상기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제3 모드에서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4 모드에서 펼쳐지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편광 부재 보다 상기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비벤딩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벤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싱 유닛은 상기 편광 부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하거나 벤딩된 형태를 갖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부재는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λ/4 위상 지연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되며,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인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며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편광 부재에 포함된 접착 부재로 상온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접착층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의 폴딩 및 벤딩 등의 변형 조건에서도 우수한 접착 물성 및 굴곡성을 가지도록 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I`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II-II`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III-III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IV-IV`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에 포함된 광학 부재들의 광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I-I'선에 대응한 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펼쳐진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한편, 도 2a와 도 3a는 각각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폴딩(folding)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a, 도 2a 및 도 3a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일 예로서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인장력(Tensile force) 또는 압축력(Compressive Force)에 의하여 벤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부면)과 배면(또는 하부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동작 형태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벤딩축(BX)에 기초하여(on the basis of) 벤딩되는 벤딩 영역(BA), 비벤딩되는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BA)과 적어도 하나의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a에서는 하나의 벤딩 영역(BA)과 두 개의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복수 개의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3개 이상의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벤딩 영역(BA)과 비벤딩 영역(NBA)은 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BA)을 기준으로 양측에 비벤딩 영역(NBA)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DD-DA) 및 표시 영역(DD-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DD-ND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D-NDA)은 이미지(IM)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a에서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과 시계창을 도시하였다. 표시 영역(DD-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DD-NDA)은 표시 영역(DD-DA)을 둘러싸고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영역(DD-DA)의 형상과 비표시 영역(DD-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PM)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편광 부재(PM)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W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WM)는 생략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이미지를 생성하며, 전면으로 생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생성된 이미지를 제3 방향(DR3)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서블(flexible)이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휘어져서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 나노미터(nm)의 수준으로 휘어있는 구조까지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비벤딩 영역(NBA)에 대응하는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벤딩부(DP-BA) 및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의 일단과 연결된 제1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및 표시 패널 벤딩부(DP-BA)의 타단과 연결된 제2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b의 도시에서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를 기준으로 표시 패널 벤딩부(DP-B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가 표시 패널 벤딩부(DP-BA)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 벤딩부(DP-BA)가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들 사이에 배치되되, 표시 패널 벤딩부(DP-BA)가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 DP-NBA2) 중 어느 한 편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1)와 제2 표시 패널 비벤딩부(DP-NBA2)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표시 패널(DP) 상에는 편광 부재(PM)가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M)는 선편광자와 위상 지연층, 광보상층 등의 광학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표시 패널(DP)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부광에 의한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편광 부재(PM)에 대하여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편광 부재(PM) 상에는 윈도우 부재(WM)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 패널(DP) 및 편광 부재(PM) 등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플렉서블 윈도우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유리 재질 또는 가요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일반적인 윈도우 부재의 형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기판으로부터 선택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베젤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표면 보호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WM) 상에는 하드코팅층, 지문방지층 등의 기능성 보호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제1 모드에서 벤딩축(BX)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2 모드에서 펼쳐지는 것일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편광 부재(PM)는 표시 패널(DP) 보다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II-II' 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IS, 도 1a)이 내측으로 가도록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a 내지 도 2b는 제1 모드로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제3 모드에서 벤딩축(BX)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4 모드에서 펼쳐지는 것일 수 있다. 제3 모드에서 표시 패널(DP)은 편광 부재(PM) 보다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가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III-III' 면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IS, 도 1a)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a 내지 도 3b는 제3 모드로 벤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 또는 도 3b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 영역(BA)의 곡률 반경(BR)은 5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 반경(BR)은 벤딩 또는 폴딩된 상태에서 벤딩 영역(BA)의 내측면이 이루는 곡률 반경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곡률 반경(BR)은 1mm 이상 5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도 1a 및 도 2a, 또는 도 1a 및 및 3a에 도시된 동작 모드만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를 조작하는 형태에 대응하게 벤딩 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BA)의 면적은 고정되지 않고, 곡률 반경(BR)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벤딩축(BX)을 기준으로 벤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하거나 벤딩된 형태를 갖는 벤딩 영역(BA)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P)과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P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3b에서 벤딩축(BX)의 연장 방향인 일 방향은 제2 방향(DR2)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변형 형태에 따라 벤딩축(BX)의 연장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IV-IV`영역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일 실시에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는 벤딩 영역(BA1, BA2)과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고, 벤딩 영역(BA1, 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것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는 이미지(IM)가 전면으로 표시되는 비벤딩 영역(NBA), 이미지(IM)가 측면으로 표시되는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것일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은 각각 제1 벤딩축(BX1)과 제2 벤딩축(BX2)에 기초하여 벤딩된 부분일 수 있다.
제1 벤딩축(BX1)에 기초하여 벤딩된 제1 벤딩 영역(BA1)은 제1 곡률 반경(BR1)을 가지며, 제2 벤딩축(BX2)에 기초하여 벤딩된 제2 벤딩 영역(BA2)은 제2 곡률 반경(BR2)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에서 제1 벤딩 영역(BA1)의 제1 곡률 반경(BR1)과 제2 벤딩 영역(BA2)의 제2 곡률 반경(BR2)은 각각 5mm 이하일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BR1)과 제2 곡률 반경(BR2)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1 곡률 반경(BR1)과 제2 곡률 반경(BR2)은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의 도시를 참조하면, 비벤딩 영역(NBA)에서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의 전면인 제3 방향(DR3)으로 이미지(IM)를 제공하고, 제1 벤딩 영역(BA1)은 제5 방향(DR5)으로 제2 벤딩 영역(BA2)은 제4 방향(DR4)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제4 방향(DR4)과 제5 방향(DR5)은 제1 내지 제3 방향(DR1, DR2, DR3)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5 방향(DR1 내지 DR5)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방향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1)는 비벤딩 영역(NBA) 및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벤딩 영역(BA1, BA2)을 포함하는 벤딩(bending)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하나의 비벤딩 영역과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벤딩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벤딩 영역은 비벤딩 영역의 일측에서만 벤딩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a의 I-I'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편광 부재(PM), 터치 센싱 유닛(TSP), 및 윈도우 부재(W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센싱 유닛(TSP)은 편광 부재(PM)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터치 센싱 유닛(TSP)이 편광 부재(PM) 상에 배치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를 도시하였다. 즉,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PM), 편광 부재(PM) 상에 배치된 터치 센싱 유닛(TSP), 및 터치 센싱 유닛(TSP) 상에 배치된 윈도우 부재(W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터치 센싱 유닛(TSP)은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단층 또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금속층, 예컨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들과 터치 신호라인들은 동일한 층구조를 갖거나, 다른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 터치 센싱 유닛(TSP)은 표시 패널(DP)과 편광 부재(P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싱 유닛(TSP)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별도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며, 연속공정에 의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터치 센싱 유닛(TS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유닛(TS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윈도우 부재(WM)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패널(DP)과 편광 부재(PM) 사이, 편광 부재(PM)와 터치 센싱 유닛(TSP) 사이, 또는 터치 센싱 유닛(TSP)과 윈도우 부재(WM)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부재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DD, DD-1)에 포함되는 편광 부재(PM)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 부재(PM)는 선편광자(PP), λ/4 위상 지연층(RC1), 및 제1 접착 부재(AP1)를 포함할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표시 패널(DP, 도 1b)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 제1 접착 부재(AP1) 및 선편광자(PP)가 제3 방향(DR3)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편광자(PP)는 제공된 광을 일방향으로 선 편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선편광자(PP)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 타입의 편광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된 고분자 필름은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계 필름일 수 있다.
선편광자(PP)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염료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는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고분자 필름이 연신된 방향은 선편광자(PP)의 흡수축이 될 수 있으며, 연신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은 선편광자(PP)의 투과축이 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편광자(PP)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편광자(PP)는 보호층으로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또는 안티글래어(anti-glare)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부재(PM)는 선편광자(PP) 하부면에 배치된 λ/4 위상 지연층(RC1)을 포함할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λ/4 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λ/4 위상 지연층(RC1)을 통과한 광은 137.5nm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λ/4 위상 지연층(RC1)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λ/4 위상 지연층(RC1)으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λ/4 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에서 원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원편광 상태로 λ/4 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은 A-플레이트(A-Plate)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λ/4 위상 지연층(RC1)의 제1 방향(DR1)으로의 굴절률을 제1 굴절률(n1), 제2 방향(DR2)으로의 굴절률을 제2 굴절률(n2), 제3 방향(DR3)으로의 굴절률을 제3 굴절률(n3)이라 정의할 때, 제1 내지 제3 굴절률(n1~n3)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20090563054-pat00001
일 실시예에 포함된 λ/4 위상 지연층(RC1)에서, 제2 및 제3 굴절률(n2, n3)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및 제3 굴절률(n2, n3)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λ/4 위상 지연층(RC1)과 같은 위상 지연층은 면내 위상 지연값(Re)과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가질 수 있다. 면내 위상 지연값(Re)과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은 아래의 수학식 2로 계산되는 것일 수 있다. 아래 수학식 2에서 d는 위상 지연층의 두께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90563054-pat00002
Figure 112020090563054-pat00003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은 편광 부재(PM)에 광보상층을 더 포함하여 보상할 수 있다. 광보상층은 C-플레이트(C-plate)일 수 있다. 광 보상층에 대하여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의 편광 부재(PM)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은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코팅하여 정렬한 후 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4 위상 지연층(RC1)에 사용된 액정 단량체는 막대형의 네마틱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λ/4 위상 지연층(RC1)은 네마틱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은 지지체인 베이스 기재가 없이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를 포함하지 않고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된 λ/4 위상 지연층(RC1)을 편광 부재(PM)에 사용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액정 코팅층인 λ/4 위상 지연층(RC1)을 사용하여 편광 부재(PM)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액정 코팅층인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는 0.5㎛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는 0.5㎛ 이상 2㎛ 이하일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가 0.5㎛ 보다 작아지는 경우 λ/4 위상 지연층(RC1) 내에서 광학적 특성 구현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 부재(PM)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에서의 굴곡성이 양호하지 않아 λ/4 위상 지연층(RC1) 내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λ/4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사이에는 제1 접착 부재(AP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유리 전이 온도(Tg : 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adhesive layer)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상온(room temperature)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 특성을 가짐으로써 λ/4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의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접착층으로 제1 접착 부재(AP1)를 형성함으로써, 제1 접착 부재(AP1)가 상온 또는 고온 조건에서 폴딩 또는 벤딩될 때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1 접착 부재(AP1)와 인접한 λ/4 위상 지연층(RC1)의 변형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자외선 경화 또는 열경화 공정을 통하여 가교된 상태의 접착층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층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는 라디칼 중합 반응 또는 양이온 중합 반응 중 적어도 하나의 반응을 통하여 중합 및 경화되어 형성된 접착층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를 구성하는 접착층은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조성물은 에폭시(epoxy) 화합물, 비닐 에테르(vinyl ether) 화합물, 옥세탄(oxetane) 화합물, 옥소란(oxolane) 화합물, 고리형 아세탈(acetal) 화합물, 고리형 락톤(lactone) 화합물, 티란(thiirane) 화합물, 티오비닐에테르(thio vinyl ether) 화합물, 스피로오소에스테르(spirorthoester)화합물, 에틸렌성(ethylene) 불포화 화합물, 고리형 에테르(ether) 화합물, 및 고리형 티오에테르(thioether)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AP1)를 구성하는 접착층은 라디칼 중합 반응기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아크릴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를 형성하는 접착 조성물은 광 개시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접착 조성물은 개시제 이외에 광증감제, 실란 커플링제, 가소제, 소포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는 0.1㎛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는 0.5㎛ 이상 3㎛ 이하일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가 0.1㎛ 보다 작을 경우 선편광자(PP)와 λ/4 위상 지연층(RC1)을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없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벤딩할 때 제1 접착 부재(AP1)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 부재(PM)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고온 신뢰성 조건에서 제1 접착 부재(AP1)에 인접한 λ/4 위상 지연층(RC1)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에서 제1 접착 부재(AP1)의 두께(tA1)와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의 합은 선편광자(PP)의 두께(tP) 이하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을 액정 코팅층으로 형성하고, 제1 접착 부재(AP1)를 접착 조성물로 형성하여 편광 부재(PM) 전체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AP1)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으로 형성되어 선편광자(PP)와 λ/4 위상 지연층(RC1) 사이의 접착 강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폴딩 또는 벤딩될 때 제1 접착 부재(AP1)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이와 인접한 λ/4 위상 지연층(RC1)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λ/4 위상 지연층(RC1)의 변형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 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선편광자(PP)와 λ/4 위상 지연층(RC1)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DP, 도 1b) 상에 편광 부재(PM)를 배치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DD, 도 1b)의 외광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에 대한 실시예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적층되어 배치된 λ/4 위상 지연층(RC1) 및 선편광자(PP)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광학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에 도시된 편광 부재(PM)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λ/4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이외에 λ/2 위상 지연층(R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λ/2 위상 지연층(RC2)은 λ/4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λ/2 위상 지연층(RC2)은 제1 접착 부재(AP1)와 선편광자(P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λ/2 위상 지연층(RC2)과 선편광자(PP) 사이에는 제2 접착 부재(AP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λ/2 위상 지연층(RC2)으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λ/2 위상 지연층(RC2)을 통과한 광은 275nm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λ/2 위상 지연층(RC2)으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선편광자(PP)로부터 λ/2 위상 지연층(RC2)으로 입사된 선편광된 광의 편광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과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 중 어느 하나는 양의 값을 갖고, 다른 하나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λ/4 위상 지연층(RC1)은 포지티브 A-플레이트(posi A-Plate)이고, λ/2 위상 지연층(RC2)은 네가티브 A-플레이트(nega A-Plate)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n1>n2인 경우를 포지티브 A-플레이트라고 하며, n1<n2인 경우를 네가티브 A-플레이트라 한다. 따라서, 포지티브 A-플레이트의 경우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은 양의 값을 갖고, 네가티브 A-플레이트의 경우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편광 부재(PM)가 적층된 λ/4 위상 지연층(RC1)과 λ/2 위상 지연층(RC2)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상쇄되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λ/4 위상 지연층(RC1) 및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들이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갖기 때문에, 시야각에 따른 위상차 변화가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컬러 시프트(color shift)가 감소되어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은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코팅하여 정렬한 후 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2 위상 지연층(RC2)에 사용된 액정 단량체는 디스크형의 디스코틱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λ/2 위상 지연층(RC2)은 디스코틱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은 지지체인 베이스 기재가 없이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 기재를 포함하지 않고 액정 코팅층만으로 구성된 λ/2 위상 지연층(RC2)을 편광 부재(PM)에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액정 코팅층인 λ/2 위상 지연층(RC2)을 사용하여 편광 부재(PM)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액정 코팅층인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는 0.5㎛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는 0.5㎛ 이상 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는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는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 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가 0.5㎛ 보다 작아지는 경우 위상 지연층 내에서 광학적 특성 구현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 부재(PM)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폴딩 또는 벤딩 조건에서 λ/2 위상 지연층(RC2) 내에 주름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λ/2 위상 지연층(RC2)과 선편광자(PP) 사이에 배치되어 λ/2 위상 지연층(RC2)과 선편광자(PP)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인 점착층(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adhesive layer)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층은 상온(Room temperature) 보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므로, 상온에서 끈적임(tackiness)을 갖는 접착 부재에 해당하며, 접착층은 상온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므로, 상온에서 끈적임이 없는 접착 부재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점착층은 접착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 부재일 수 있다.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또는 고무계 점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점착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 점착 부여 수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충진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과 점착층은 모두 아크릴계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접착층과 점착층은 서로 상이한 중합도 또는 서로 상이한 가교도를 갖는 접착 부재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AP2)가 점착층인 경우 제2 접착 부재(AP2)는 제1 접착 부재(AP1)와 비교하여 상온에서 더 소프트한 성질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가 점착층인 경우 상온에서 제2 접착 부재(AP2)의 모듈러스는 제1 접착 부재(AP1) 모듈러스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의 유리 전이 온도는 제1 접착 부재(AP1)의 유리 전이 온도 보다 낮은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가 접착층인 경우 제2 접착 부재(AP2)는 제1 접착 부재(AP1)와 동일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2 접착 부재(AP2)는 제1 접착 부재(AP1)와 상이한 모듈러스 값을 갖는 접착층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와 제1 접착 부재(AP1)는 모두 상온 보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며, 상온에서 끈적임이 없는 접착 부재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는 0.1㎛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는 0.5㎛ 이상 3㎛ 이하일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가 0.1㎛ 보다 작을 경우 선편광자(PP)와 λ/2 위상 지연층(RC2)을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없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벤딩할 때 제2 접착 부재(AP2)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 부재(PM)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벤딩 또는 폴딩 조건에서 제2 접착 부재(AP2) 내에서 주름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선편광자의 두께(tP)는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tR2), 제2 접착 부재(AP2)의 두께(tA2),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tR1) 및 제1 접착 부재의 두께(tA1)를 모두 합한 것 이상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λ/4 위상 지연층(RC1), 선편광자(PP) 및 λ/2 위상 지연층(RC2) 이외에 제1 광보상층(CP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광보상층(CP1)은 λ/4 위상 지연층(RC1)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광보상층(CP1)은 표시 패널(DP, 도 1b)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제3 방향(DR3)으로 적층되어 배치된 제1 광보상층(CP1), λ/4 위상 지연층(RC1), λ/2 위상 지연층(RC2), 및 선편광자(P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보상하는 광학 기능층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C-플레이트(C-Plat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보상층(CP1)의 제1 방향(DR1)으로의 굴절률을 제1 굴절률(n1), 제2 방향(DR2)으로의 굴절률을 제2 굴절률(n2), 제3 방향(DR3)으로의 굴절률을 제3 굴절률(n3)이라 정의할 때, 제1 내지 제3 굴절률(n1~n3)은 아래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112020090563054-pat00004
일 실시예에 포함된 제1 광보상층(CP1)에서, 제1 및 제2 굴절률(n1, n2)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굴절률(n1, n2)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4 위상 지연층(RC1)이 음(-)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1 광보상층(CP1)은 포지티브 C-플레이트이고, λ/4 위상 지연층(RC1)이 양(+)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1 광보상층(CP1)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의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제1 광보상층(CP1)은 필름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과 λ/4 위상 지연층(RC1) 사이에는 제3 접착 부재(AP3)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AP3)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AP3)에 대하여는 상술한 도 7b의 제2 접착 부재(AP2)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편광 부재(PM)에서 제1 접착 부재(AP1)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이고, 제2 접착 부재(AP2)와 제3 접착 부재(AP3)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 중 어느 하나는 점착층이고, 나머지 하나는 접착층일 수 있다. 또는,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가 모두 접착층이거나,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가 모두 점착층일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포함된 편광 부재(PM)는 도 7b의 편광 부재와 비교하여 제2 광보상층(CP2)과 제4 접착 부재(AP4)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λ/2 위상 지연층(RC2)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λ/4 위상 지연층(RC1)과 λ/2 위상 지연층(RC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제1 접착 부재(AP1)와 λ/2 위상 지연층(RC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AP4)는 제2 광보상층(CP2)과 λ/2 위상 지연층(RC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AP4)는 제2 광보상층(CP2)과 λ/2 위상 지연층(RC2)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AP4)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λ/2 위상 지연층(RC2) 하부면에 배치되어 λ/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보상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C-플레이트(C-Plate)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2 위상 지연층(RC2)이 음(-)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2 광보상층(CP2)은 포지티브 C-플레이트이고, λ/2 위상 지연층(RC2)이 양(+)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2 광보상층(CP2)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광보상층(CP2)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의 형태일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편광 부재(PM)에서 제1 접착 부재(AP1)와 제4 접착 부재(AP4)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이고, 제2 접착 부재(AP2)와 제3 접착 부재(AP3)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 중 어느 하나는 점착층이고, 나머지 하나는 접착층일 수 있다. 또는,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가 모두 접착층이거나, 제2 접착 부재(AP2) 및 제3 접착 부재(AP3)가 모두 점착층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편광 부재(PM)는 제1 광보상층(CP1), λ/4 위상 지연층(RC1), 및 선편광자(P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편광 부재(PM)는 도 7b와 비교하여 λ/2 위상 지연층(RC2)과 제2 접착 부재(AP2)가 생략된 것일 수 있다. 즉, 도 8를 참조하면, 제1 광보상층(CP1)은 표시 패널(DP, 도 1b)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λ/4 위상 지연층(RC1)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과 λ/4 위상 지연층(RC1) 사이에는 제3 접착 부재(AP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λ/4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보상하는 C-플레이트(C-Plate)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λ/4 위상 지연층(RC1)이 음(-)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1 광보상층(CP1)은 포지티브 C-플레이트이고, λ/4 위상 지연층(RC1)이 양(+)의 값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Rth)을 갖는 경우 제1 광보상층(CP1)은 네거티브 C-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의 고화층 또는 경화층의 형태일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AP3)는 제1 광보상층(CP1)과 λ/4 위상 지연층(RC1)을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일 수 있다. 즉,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PM)는 제3 방향(DR3)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광보상층(CP1), 제3 접착 부재(AP3), λ/4 위상 지연층(RC1), 제1 접착 부재(AP1), 및 선편광자(P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AP3)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일 수 있다. 제1 광보상층(CP1) 및 제3 접착 부재(AP3)에 대한 설명은 도 7a 내지 도 7c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포함된 편광 부재(PM)는 λ/4 위상 지연층(RC1)과 인접한 제1 접착 부재(AP1)를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으로 형성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폴딩 또는 벤딩 시 제1 접착 부재(AP1)가 λ/4 위상 지연층(RC1)의 지지층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λ/4 위상 지연층(RC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에서 λ/4 위상 지연층(RC1)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동작 조건에 상관 없이 광학 특성이 유지될 수 있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포함된 편광 부재(PM)에서의 선편광자, λ/4 위상 지연층, λ/2 위상 지연층의 광축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평면상에서의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및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9는 제1 방향(DR1)의 축과 제2 방향(DR2)의 축이 정의하는 평면과 나란한 평면 상에 투영된 상태에서의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및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제1 방향(DR1)의 축과 제2 방향(DR2)의 축이 정의하는 평면과 나란한 평면은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일 수 있다.
한편,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및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은 각각 λ/4 위상 지연층(RC1, 도 7a)과 λ/2 위상 지연층(RC2, 도 7a)의 슬로우 축(slow axis)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45±30도일 수 있다.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2)는 75±30도 일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θ3)은 15±13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θ1은 45도, θ2는 75도고, θ3은 15도 일 수 있다. 또한,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과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은 60±3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축(RX1)과 제2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은 60도 일 수 있다.
또한, 도 9는 도 1a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DD)의 벤딩축(BX)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도 4b에 도시된 벤딩축(BX1, BX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흡수축(PP-OX)이 벤딩축(BX)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흡수축(PP-OX)은 벤딩축(BX)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45±30도일 수 있다. 즉,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15도 내지 75도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45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은 45±30도의 사이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은 일치되거나 또는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은 평면상에서 서로 수직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0±30도 또는 90±30도일 수 있다.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 (θ1)이 0도인 경우, 흡수축(PP-OX)과 수직인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은 벤딩축(BX)과 수직이 될 수 있고, 벤딩 동작에 의해 투과축(미도시) 방향의 분자 결합이 깨져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이 90도인 경우, 투과축(미도시) 방향의 분자 결합이 깨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나,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였을 때 특정 위치에서 이미지가 시인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고 또한 선편광자(PP)가 투과축(미도시)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수축(PP-OX)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θ1)은 15도 내지 75도의 값을 가져 벤딩 특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투과축(미도시) 방향의 분자 결합이 깨지는 현상, 선편광자(PP)가 투과축(미도시)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찢어지는 현상, 및 편광 선글라스 등을 착용하였을 때 특정 위치에서 이미지가 시인되지 않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제1 광축(RX1) 및 제2 광축(RX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제1 광축(RX1) 및 제2 광축(RX2) 사이에도 동일한 관계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은 75±30도 일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RX2) 사이의 사이각은 15±13도 일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벤딩축(BX) 사이의 사이각은 45±30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벤딩축(BX)의 사이각은 45도,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제1 광축(RX1)의 사이각은 75도고,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제2 광축(RX2)의 사이각은 15도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편광 부재(PM)가 선편광자(PP)와 λ/4 위상 지연층(RC1)을 포함하고, λ/2 위상 지연층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평면상에서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2)는 45±30도 일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의 투과축(미도시)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2)는 45±3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의 흡수축(PP-OX) 또는 투과축(미도시)과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RX1) 사이의 사이각(θ2)은 45도 일 수 있다.
표 1은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폴딩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폴딩 테스트에 사용된 편광 부재는 도 7a에 도시된 편광 부재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표 1에서 비교예 1은 두 개의 접착 부재(AP1, AP2, 도 7a)가 모두 유리 전이 온도 -35℃ 이상 0℃ 이하의 점착층인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1에서 제1 접착 부재(AP1, 도 7a)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이고 제2 접착 부재(AP2, 도 7a)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인 점착층인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 2는 제1 접착 부재(AP1, 도 7a)와 제2 접착 부재(AP2, 도 7a)가 모두 유리 전이 온도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인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테스트 조건에서 인폴딩(In-Folding) 조건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아웃 폴딩(Out-Folding) 조건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폴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고온 고습 조건은 60℃, 상대습도 93% 조건에서 폴딩 테스트를 진행한 것이다.
한편, 표 1에서 2R, 3R, 4R은 각각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에서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 것이다. 2R, 3R 및 4R은 도 2a 또는 도 3a에서 각각 곡률 반경(BR)이 2mm, 3mm, 4mm인 경우에 대한 테스트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테스트 조건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인폴딩
(In-Folding)
상온 4R OK OK OK
3R NG OK OK
2R NG OK OK
고온 고습 4R NG OK OK
3R NG OK OK
2R NG OK OK
아웃 폴딩
(Out-Folding)
상온 4R NG OK OK
3R NG OK OK
2R NG NG OK
고온 고습 4R NG OK OK
3R NG OK OK
2R NG NG OK
표 1의 테스트 결과에서 "NG"는 폴딩 테스트 조건에서 위상 지연층에 주름이 발생한 경우를 표시한 것이고, "OK"는 폴딩 테스트 조건에서 위상 지연층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NG"는 편광 부재에 포함된 위상 지연층에 주름이 발생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OK"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양호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표 1의 테스트 결과를 참조하면, λ/4 위상 지연층과 인접한 제1 접착 부재를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인 접착층으로 구성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제1 접착 부재가 유리 전이 온도가 -35℃ 이상 0℃ 이하의 점착층인 비교예의 경우에 비하여 양호한 폴딩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접착 부재를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으로 구성한 실시예의 경우 상온에서뿐 아니라 고온 고습 조건에서도 위상 지연층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아 양호한 접착 물성 및 표시 품질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제1 접착 부재와 제2 접착 부재를 모두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으로 구성한 실시예 2의 경우 곡률 반경에 관계 없이 모든 조건에서 양호한 접착 물성 및 표시 품질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선편광자와 λ/4 위상 지연층이 적층된 편광 부재를 포함하여 외광 반사를 줄여 개선된 표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편광 부재의 λ/4 위상 지연층과 인접한 접착 부재를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으로 구성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벤딩 또는 폴딩할 때에도 편광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 이상 150℃ 이하의 접착층인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사용하여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벤딩 또는 폴딩 시에 편광 부재에 포함된 λ/4 위상 지연층에서의 주름 또는 크랙 발생을 줄임으로써 벤딩 영역에서의 광 보상 값의 변형을 감소시켜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DD-1 : 플렉서블 표시 장치 DP : 표시 패널
PM : 편광 부재 RC1 : λ/4 위상 지연층
RC2 : λ/2 위상 지연층 PP : 선편광자

Claims (20)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부재는
    선편광자;
    상기 선편광자 하부에 배치된 λ/2 위상 지연층;
    상기 λ/2 위상 지연층 하부에 배치된 λ/4 위상 지연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및
    상기 λ/2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이하의 접착층이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이상 0℃이하인 점착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편광자의 두께는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상기 제1 접착 부재, 상기 λ/2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제2 접착 부재의 두께의 합 이상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은 액정 코팅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며,
    상기 벤딩축과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의 사이각은 45±30도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1 광보상층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이상 0℃이하인 점착층 또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이하인 접착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광보상층; 및
    상기 제2 광보상층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4 접착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이하인 접착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보상층 및 상기 제2 광보상층은 각각 포지티브 C-플레이트 또는 네거티브 C-플레이트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 또는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45±30도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선편광자의 흡수축 또는 투과축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75±30도고,
    상기 흡수축 또는 상기 투과축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15±13도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의 제1 광축과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의 제2 광축 사이의 사이각은 60±30도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은 네마틱 액정 코팅층이고,
    상기 λ/2 위상 지연층은 디스코틱 액정 코팅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제1 모드에서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2 모드에서 펼쳐지며,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편광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 보다 상기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 부재는 제3 모드에서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되고 제4 모드에서 펼쳐지며,
    상기 제3 모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편광 부재 보다 상기 벤딩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벤딩 영역 및 비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비벤딩 영역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싱 유닛은 상기 편광 부재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λ/4 위상 지연층 및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직접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λ/2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직접 배치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
  19.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편광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부재는
    선편광자;
    상기 선편광자 하부에 배치된 λ/4 위상 지연층;
    상기 선편광자와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λ/2 위상 지연층;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1 광보상층;
    상기 λ/4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서,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상에 직접 배치된 제1 접착 부재;
    상기 선편광자와 상기 λ/2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1 광보상층과 상기 λ/4 위상 지연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보상층 상에 직접 배치된 제3 접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40℃이상 150℃이하의 접착층이고,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이상 0℃이하인 점착층이며,
    상기 제3 접착 부재는 유리 전이 온도가 -35℃이상 0℃이하의 점착층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20. 삭제
KR1020200108731A 2019-06-27 2020-08-27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6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731A KR102365731B1 (ko) 2019-06-27 2020-08-27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220020333A KR102564155B1 (ko) 2020-08-27 2022-02-16 플렉서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920A KR20190080841A (ko) 2019-06-27 2019-06-27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200108731A KR102365731B1 (ko) 2019-06-27 2020-08-27 플렉서블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920A Division KR20190080841A (ko) 2019-06-27 2019-06-27 플렉서블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333A Division KR102564155B1 (ko) 2020-08-27 2022-02-16 플렉서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276A KR20200104276A (ko) 2020-09-03
KR102365731B1 true KR102365731B1 (ko) 2022-02-22

Family

ID=8049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731A KR102365731B1 (ko) 2019-06-27 2020-08-27 플렉서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73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1380A (ja) * 2012-09-28 2014-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40293420A1 (en) * 2013-03-29 2014-10-02 Cheil Industries Inc. Polarizing plate for oled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15011094A (ja) * 2013-06-27 2015-01-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50049281A1 (en) * 2013-08-14 2015-0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isplay device
US20150064367A1 (en) * 2013-09-02 2015-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20150315431A1 (en) * 2014-04-30 2015-11-05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2016136181A (ja) 2015-01-23 2016-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812B1 (ko) * 2013-02-15 2017-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60055431A (ko) * 2014-11-10 2016-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필름 및 그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1380A (ja) * 2012-09-28 2014-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40293420A1 (en) * 2013-03-29 2014-10-02 Cheil Industries Inc. Polarizing plate for oled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2015011094A (ja) * 2013-06-27 2015-01-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50049281A1 (en) * 2013-08-14 2015-0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display device
US20150064367A1 (en) * 2013-09-02 2015-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20150315431A1 (en) * 2014-04-30 2015-11-05 Samsung Sdi Co., Ltd.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2016136181A (ja) 2015-01-23 2016-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276A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77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8121103B (zh) 柔性显示装置
CN107003789B (zh) 柔性显示装置
KR102170023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이것의 제조 방법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210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5596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964561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layer window member
US9141238B2 (en) Flexible touch screen panel having a flexible polarizing film including a polarizer, a phase difference compensating layer, and a transparent adhesiv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379022B2 (ja) フォルダブル表示装置
US1138087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oldable display device by selectively hardening resin using light irradiation process
WO2021241314A1 (ja) タッチセンサ及び入力装置
KR102365731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24103763A1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19008084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64155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20003688A (ko) 표시 장치
US20220140263A1 (en) Flexible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230258974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WO2021020054A1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98751A (ko) 표시장치
US20230185006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