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440B1 -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440B1
KR102364440B1 KR1020200019580A KR20200019580A KR102364440B1 KR 102364440 B1 KR102364440 B1 KR 102364440B1 KR 1020200019580 A KR1020200019580 A KR 1020200019580A KR 20200019580 A KR20200019580 A KR 20200019580A KR 102364440 B1 KR102364440 B1 KR 10236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information
surgery
heal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079A (ko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마트사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4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1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alarm; indicating an abnormal si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병원의 입원실이나 회복실에 있는 애완동물의 건강을 측정하기 위한 건강측정장치를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몸체 특정부위에 고정하고, 건강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애완동물의 심장박동과 호흡 등의 건강측정 데이터를 애완동물 건강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에 따라 분석된 데이터 중 이상 상황 발생 시에는 건강모니터링 장치에서 이상상황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출력하여 동물병원 관계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특히 하나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에서 복수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동되어 복수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의 건강 측정 데이터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Pet Surg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in Operating Room}
본 발명은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 병원 수술실에서 수술이 필요한 애완동물에 대하여 수술을 준비 중인 상태와, 수술 중인 상태 및 수술 후 일정시간 동안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시의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를 수치와 그래프 및 소리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가정에서의 위치가 가족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주인과 함께 일상생활을 즐기기도 하는데, 고령화, 핵가족화 등으로 외로움을 대체하기 위한 가족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애완동물의 병(질병, 상해)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애완동물을 병원에 데려가고, 미용실에도 데려가서 예쁘게 미용하거나, 산책을 시켜주는 등 애완동물 서비스 이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먹이선택에 고민도 많다. 즉, 사람들은 모든 정성과 금전적인 비용을 들여 애완동물을 키우게 되며 마치 자식처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사람들이 좋아하여 가까이 두고 귀여워하며 기르는 동물을 말하며, 개, 고양이, 새, 금붕어 등을 포함한다. 특히, 개와 고양이 등의 일부 애완동물은 개인화된 현대 사회에서 주인과 삶을 함께하며 감정적 교감을 나누는 애완동물로서 그 역할을 확장해 가고 있다.
최근 애완동물이나 애완동물과 함께하는 사람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1102호(2017.02.02.)는,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GPS 모듈 또는 비콘 모듈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고, 서버와의 통신 상태에 따른 처리량(throughput)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서버가 애완동물의 생체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위험상황을 판단한 후, 이를 통해 소정의 액션을 취하는 보호자에 근거하여 서버로부터 보호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보호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경고음 또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애완동물 원격관리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애완동물들도 사람들과 동일하게 각종 사고나 출산 및 각종 발병에 대하여 필요한 경우 수술을 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수술 중이나 수술 전, 후에 애완동물의 심박상태나 호흡 상태를 정확히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12531호(2016년09월28일 공개) - 동물 건강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16803호(2018년11월08일 공고) -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반려동물 헬스케어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물병원의 수술실에서 수술을 준비 중인 애완동물의 건강상태와, 수술 중인 애완동물의 호흡이나 심박 상태 및 수술 후 애완동물의 호흡이나 심박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호흡, 심박 등을 측정하는 건강 측정 장치를 별도의 몸체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측정부위에 고정하고, 건강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애완동물의 심장박동과 호흡에 대하여 수술을 준비 중인 시점과, 수술 중인 시점 및 수술 후 일정시간 동안에 수치와 그래프 및 소리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애완동물의 몸체 중 건강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부위에 고정되어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과 외부에서 전송된 측정 시나리오인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애완동물의 심장박동, 호흡을 포함하는 건강측정 정보를 측정(센싱)하여 무선(air)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 및 동물병원의 수술실에 구비되는 것으로, 미리 설치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와 무선연동되어 무선연동된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로 측정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나리오인 스케줄링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무선으로 연동된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에서 무선 출력된 애완동물 건강측정 정보를 데이터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수술 중 상기 애완동물의 호흡이나 심장박동을 그래프와, 수치 및 소리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하나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에서 복수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심박과 호흡을 그래프와 수치로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부를 통해 소리로 심박과 호흡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동물병원의 수의사나 수의테크니션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연동되어 무선 출력된 애완동물 건강측정 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분석결과 이상상황이 검출되면 상기 이상상황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수술을 받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호흡과 심박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를 고정하는 단계;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에서 애완동물의 건강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시간, 측정주기, 횟수 및 측정대상을 포함하는 수술상황 모니터링 측정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수술상황 모니터링 측정 정보를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는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수술상황 모니터링 정보가 전송되면 측정 스케줄러가 설정되고, 설정된 측정 스케줄러에 따라 자동으로 측정이 시작되는 단계;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에서 측정된 건강 측정 데이터가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건강 측정 데이터를 그래프와 숫자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출력하며, 이상 상황 검출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술실에서 수술을 위하여 대기 중인 애완동물에 대하여 마취상태나 회복 중 또는 수술 중에 애완동물의 호흡이나 심박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측정장치를 별도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몸체 측정부위에 고정하고, 건강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애완동물의 심장박동과 호흡 측정관련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치, 그래프 및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의 수술 대기 상태와, 수술 중 상태 및 수술 후 상태를 동물병원 관계자들이 정확히 알 수 있다.
둘째, 마취상태나 교통사고 또는 출산을 위한 대기 상태 등의 수술 전 애완동물의 상태와, 수술 중 및 수술 후 심장박동이나 호흡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장치에서 이를 자동 분석하여 이상상황 발생 시에는 이를 별도의 색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출력으로 경고하도록 함으로써 수술에 집중 중이어서 해당 모니터링 장치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이상상황이 발생한 애완동물에 대하여 수술관계자들의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셋째, 모니터링장치와 수술 관계자의 스마트폰이 연동되도록 하여 수술 대기 중이거나 수술 후 잠시 수술관계자가 수술실에서 벗어난 상황에서도 이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해당 관계자의 스마트폰으로 이상상황에 대한 경보가 전송되므로 수술 관계자들의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넷째, 동물병원에서 수술관련 치료를 받은 애완동물에 대한 처치와 그에 따른 애완동물의 수술 경과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빅데이터화할 수 있어, 이러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수술전 상태나 수술 후 건강 상태에 대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의 종류와 몸무게 및 수술 시간에 따른 적합한 마취제의 종류나 마취제의 양 등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수술실과 애완동물의 몸에 장착되는 건강측정장치와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 몸에 장착되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를 애완동물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와 후크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를 브라켓에 결합시킨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의 접속단자의 실시예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10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에서 애완동물의 심박 및 호흡 상태를 디스플레이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 몸에 장착되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서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의 몸에 장착되는 건강측정장치와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 몸에 장착되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를 애완동물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와 후크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와, 애완동물(200), 건강측정장치 고정장치(300),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 클라우드 서버(500), 동물병원 PC/서버(600), 동물병원 관계자 스마트폰(610) 및 통신망(70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는, 애완동물(200)의 몸체 중 수술 시 애완동물의 건강상태의 변화를 쉽게 알 수 있는 심장의 심장박동음과 폐의 호흡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측정부위에 고정되어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과 외부에서 전송된 측정 시나리오(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애완동물의 심장박동, 호흡, 체온, 현재위치, 운동량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무선으로 외부(air)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 전송한다.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측정기준 정보에 따라 측정 스케줄러가 설정되고, 측정 스케줄러에 따라 자동으로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저장하며, 측정 데이터를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는 애완동물(200)의 측정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건강측정장치 고정장치(300)를 통해 고정되는데, 이러한 고정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여 애완동물(200)이 착용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 복수 개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를 밴드에 고정하여, 심장과 폐의 건강기능을 동시에 측정(심장은 왼쪽부위, 폐는 오른쪽 부위)하거나, 양쪽 폐의 건강 기능을 동시에 측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측정시간, 측정주기, 측정횟수, 측정대상(심장, 호흡 등)의 측정기준 정보가 설정되고, 설정된 측정기준 정보(측정 스케줄러)에 따라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데, 측정기준 정보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는 미리 설치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무선(예로써,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동되는 각각의 건강측정장치(100)에 대하여 애완동물 종별, 나이, 성별과, 애완동물의 건강측정 시나리오(스케줄링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무선으로 연결된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각각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서 출력된 애완동물 건강 측정 결과에 대하여 각각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식별자(ID)와 함께 건강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수치와 그래프 및 소리 등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를 동물병원 관계자가 애완동물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관찰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알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건강 측정 데이터는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술 전 마취한 상태에서의 대기상태를 포함하여, 혹시라도 수술 전 호흡이나 심장박동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검출할 수 있고, 수술 중에는 예를 들어 과다출혈이나 급작스러운 심정지 등을 검출할 수 있으며, 수술 후에도 예를 들어 출산과정에 의해 어린 강아지나 어린 고양이를 집중적으로 돌봐야 하는 일정의 대기 시간에 호흡이나 심장박동 이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통해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서 식별자(ID)와 함께 전송된 측정 데이터에 대하여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식별자(ID)에 따라 애완동물 종별, 나이, 성별에 따라 측정된 수술상황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를 비교하여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를 예를 들면, 건강(표준범위), 주의, 위험, 고위험 등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 중 주의나 위험 및 고위험에 대하여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동물병원관계자(수의사, 수의테크니션 등)가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며, 동물병원관계자(수의사, 수의테크니션 등)의 스마트 폰(610)과 블루투스 연동된 경우 해당 스마트 폰으로도 이상상황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는 전송된 수술상황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통신망(70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500)로도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500)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에서 전송된 수술상황 데이터를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저장한다. 이러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데이터에 대하여 클라우드 서버(500)의 인공지능을 통해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는 저장되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데이터에서 애완동물의 수술 전, 수술 중 및 수술 후의 결과에 대하여 호흡과 심장박동의 상관관계가 저장되어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종별, 수술종류 등에 대하여 빅데이터화하여 위급한 상황을 미리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동물병원 PC/서버(600)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 및 클라우드 서버(500)와 각각 연동되며, 동물병원 PC/서버(600) 또는 클라우드 서버(500)의 누적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해당 누적 데이터(빅데이터)에 따라 애완동물의 수술 징후가 미리 설정된 위급상황이거나, 긴급 상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 이를 동물병원 PC/서버(600)에 연결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 경고하여 동물병원관계자(수의사, 수의테크니션 등)가 빠르게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물병원 관계자 스마트폰(610)으로도 해당 애완동물의 건강이 위험 상태에 대한 정보가 문자나, 카톡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통신사에 미리 서비스를 신청해 놓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병원 PC/서버(600)는 소규모 동물병원의 경우 PC로 구축할 수 있고, 대형 동물병원의 경우에는 별도의 서버로 구축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보호자와 동물병원 관계자의 스마트 기기나 스마트폰으로 애완동물의 건강상태 중 위험 상태가 즉각 알려지는 경우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를 브라켓에 결합시킨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의 접속단자의 실시 예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에서 애완동물의 심박 및 호흡 상태를 디스플레이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는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니터나 스마트 패드와 같은 장방형 형태로 구성되며, 그 후면에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의 받침대(Stand Parts)가 구성된다.
이러한 애완동물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부(430)와, 스피커(441, 442) 및 볼륨 조절부(451, 452)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도 7에서와 같이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의 후면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도 8에서와 같이 행거 브라켓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홈(도시되지 않음)이 구성된다.
그리고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의 일 측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다수의 단자들이 구성되고, 잭 커버에 의해 평소에는 보호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 1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에서 애완동물의 심박 및 호흡 상태를 그래프와 수치로 디스플레이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10에서와 현재 수술실내의 애완동물의 심박수와 호흡 및 수술실의 온도 역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애완동물에 따라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 몸에 장착되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 몸에 장착되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40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연결부(110), 배터리부(120), 전원스위치부(130), 동작 버튼부(140), 동작출력부(150), 통신부(160), 측정부(170), 메모리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연결부(110)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배터리부(120)에 전원을 충전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배터리부(120)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충전된다.
상기 전원스위치부(130)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한다.
상기 동작 버튼부(140)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 디스플레이 온/오프, 측정 결과 표시, 출력음 온/오프 등의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동작출력부(150)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동작을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상태(LED/LCD),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부터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 스케줄이 전송되면 해당 측정 스케줄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응답신호(스피커)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160)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와 통신하도록 한다.
상기 측정부(170)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심장박동, 호흡, 체온, 현재위치, 운동량 및 소리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정부(170)는 심장박동수를 측정하는 심박측정부(171), 호흡을 측정하는 호흡측정부(172),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173),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부(174),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측정부(175) 및 소리를 측정하는 소리 측정부(176) 등이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심박측정부(171), 호흡측정부(172) 및 소리 측정부(176)는 멤스 마이크(MEMS Mic)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치측정부(174)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운동량 측정부(175)는 예를 들어 모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측정부(176)는 동물별 발생 가능한 주파수와 소리의 크기, 소리를 내는 시간 등을 측정하고, 이를 동물별 건강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와 비교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80)에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스케줄러 정보가 저장되며, 측정부(170)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함께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190)는 전원연결부(110), 배터리부(120), 전원스위치부(130), 동작 버튼부(140), 동작출력부(150), 통신부(160), 측정부(170) 및 메모리부(18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410),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부(420), 디스플레이부(430), 제1 스피커부(441), 제2 스피커부(442), 심박볼륨 조절부(451), 호흡 볼륨 조절부(452), 마이크부(453), 메모리부(460), 접속단자부(470), 배터리(480) 및 제어부(490)로 구성된다.
여기서, 통신부(410)는 기본적으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와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 간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고, 통신망(70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500)와 통신(예로써, WiFi나 4G, 5G 등)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부(410)의 블루투스 기능은 복수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 및 스마트 폰(610)과의 통신을 위해 복수의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구비되는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 각각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무선통신부(411)와, 제2 무선통신부(4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통신부(411)를 통해서는 심박음(HEART : L)을 처리하도록 하고, 제2 무선통신부(412)를 통해서는 호흡음(HEART : L)을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하거나, 제1 무선통신부(411)와 제2 무선통신부(412)가 각각 심박음(HEART : L)과 호흡음(HEART : L)을 각각 수신하여 제어신호와 신호음을 각각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부(420)는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통해 애완동물 건강 측정조건을 설정하고, 애완동물의 건강 측정 데이터가 임시저장되며, 통신부(410)를 통해 전송된 애완동물 건강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건강이상이 검출된 애완동물의 이상검출이 디스플레이부(430)와 제1, 2 스피커부(441, 44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30)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부(420)에서 애완동물 건강측정 결과 데이터를 도 10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제1 스피커부(441)는 예를 들면 심박음(HEART : L)을 출력하고, 제2 스피커부(442)는 호흡음(LUNG : R)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심박볼륨 조절부(451)는 제1 스피커부(441)를 통해 출력되는 심박음(HEART : L)의 볼륨 크기를 조절하고, 호흡 볼륨 조절부(452)는 제2 스피커부(442)를 통해 출력되는 호흡음(LUNG : R)의 볼륨 크기를 조절한다.
그에 따라 동물병원 관계자는 필요에 따라 정확한 심박음이나 호흡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부(453)는 동물병원 관계자가 애완동물의 수술 중에는 심박볼륨 조절부(451)나 호흡 볼륨 조절부(452)를 직접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음성을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음성을 입력받아 심박볼륨이나 호흡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마이크부(453)를 통해 '심박볼륨 업(UP)' 등과 같은 음성이 입력되면 제어부(490)에서는 이를 분석하여 심박볼륨 조절부(451)를 통해 심박볼륨을 높이도록 한다.
상기 심박볼륨 조절부(451)와 호흡볼륨 조절부(452)와 제1, 2 스피커(441)(442) 사이에는 믹서와 증폭부가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460)는 측정된 건강측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접속단자부(470)는 외부의 전원선이나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프로그램)나 메모리부(4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옮길 수 있다.
상기 배터리(480)는 접속단자부(47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충전한다.
상기 제어부(490)는 통신부(410)(제1, 2 무선통신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부(420), 디스플레이부(430), 제1 스피커부(441), 제2 스피커부(442), 심박볼륨 조절부(451), 호흡 볼륨 조절부(452), 메모리부(460), 접속단자부(470) 및 배터리(480)를 제어한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서버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510), 데이터베이스(520), 애완동물별 입력정보 분류부(530), 애완동물 측정 데이터 분류부(540), 요청정보 언어번역 전송부(550), 애완동물 전문가 검색부(560) 및 제어부(5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510)는 클라우드 서버(500)가 통신망(700)을 통해 스마트 폰(610)이나 동물병원 PC/서버(600)와 통신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520)는 애완동물 회원정보 저장부, 애완동물 측정장비 정보 저장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정보 저장부, 애완동물 식생활/운동정보 저장부, 동물병원정보 저장부, 애완동물 건강이력 처방정보 저장부, 애완동물 수술정보 저장부 및 애완동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 회원정보는 애완동물의 이름, 종별, 나이, 성별, 몸무게, 배변정보 등과 함께 보호자 정보(성함, 국적, 외국인의 경우 이용가능 언어, 스마트폰 번호, 주소 등)가 저장된다.
상기 애완동물별 표준건강정보 저장부는 애완동물별, 연령별, 성별 표준(정상범위) 상태의 심박수 정보, 호흡정보 등이 저장된다.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정보 저장부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되어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를 통해 전송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500)에 동기화된다.
상기 애완동물 식생활/운동정보 저장부는 수술을 받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식생활(먹이종류, 먹는 양, 배변정보 등)과 주간 운동 시간(산책시간 등) 등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애완동물 건강 이력 처방정보 저장부는 애완동물별 평소 질환, 주로 이용하는 동물병원, 수술정보, 약 처방 정보 등이 저장된다.
동물병원정보 저장부는 동물병원의 위치정보, 운영시간 정보, 가능한 언어 정보(외국어 정보), 연락처 정보 등이 저장된다. 이를 통해 외국인들도 해당 언어 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가 가능한 동물 병원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전화 문의 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애완동물 수술정보 저장부는 애완동물 수술 시 애완동물의 종류, 나이, 성별, 증상 등에 따라 수술전 대기상태와 수술중인 상태 및 수술 후 대기 상태의 심박상태, 호흡상태 등의 정보와 수술경과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애완동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는 애완동물 모니터링장치(400)에서 운용되는 프로그램이나 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애완동물별 입력정보 분류부(530)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나 동물병원 PC/서버(600)에서 통신망(700)을 통해 통신부(510)로 전송된 애완동물별 입력정보(애완동물, 보호자 회원정보, 측정장비 정보, 식생활정보, 운동정보 등)가 클라우드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20)에서 동기화될 수 있도록 분류한다.
상기 애완동물 측정 데이터 분류부(540)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를 통해 측정된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모니터링 데이터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나 동물병원 PC/서버(600)에서 통신망(700)을 통해 통신부(510)로 전송되면 해당 측정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520)에서 동기화될 수 있도록 분류한다.
이때,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의 식별정보(ID)와 함께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이름, 문자, 숫자, 기호 등)에 따라 분류하여 동기화되도록 한다.
상기 요청정보 언어번역 전송부(550)는 애완동물의 상태에 따라 애완동물이 건강상태가 위급한 경우 현재 운영 중인 인근 동물병원정보의 위치정보 제공 시 해당 보호자의 회원정보를 참조하여 외국인인 경우 해당 외국인의 언어가능 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로 번역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애완동물 전문가 검색부(560)는 애완동물의 긴급한 치료가 가능한 병원과 해당 병원의 전문가를 검색하여 동물병원 PC/서버(600)나 스마트 폰(610)으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통신부(510), 데이터베이스(520), 애완동물별 입력정보 분류부(530), 애완동물 측정 데이터 분류부(540), 요청정보 언어번역 전송부(550) 및 애완동물 전문가 검색부(560)를 제어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방법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술을 받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심박과 호흡 측정부위에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를 고정시킨다(S100).
이때, 호흡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양쪽 폐부위, 심장박동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심장부위, 호흡과 심장박동을 동시에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오른쪽 폐부위와 왼쪽 심장부위, 체온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털이 없는 부위인 항문에 고정시킨다.
이어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와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연동시킨다(S110).
그리고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에 설치된 앱이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측정시간, 측정주기, 횟수 및 측정대상 등의 측정스케줄을 설정하고,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로 전송한다(S120).
그에 따라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부터 측정기준 정보인 측정스케줄이 전송되면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측정스케줄러를 설정하고, 설정된 측정스케줄러에 따라 자동으로 측정을 시작한다(S130).
이때,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부터 측정스케줄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신호를 동작출력부(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여 병원관계자가 자신이 설정한 측정스케줄이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측정된 데이터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로 전송되고(S140),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에는 전송된 데이터에 따라 심박정보나 호흡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가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한다(S150).
분석결과 이상이 검출되면(S160),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에 붉은색으로 경고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고(S170), 담당자 스마트 기기로는 이상상황을 통보한다(S170).
그에 따라, 수술 전이나 수술 후 수술실에 애완동물이 대기상태인 경우에도 동물병원 관계자가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고, 경각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즉각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의 제어부(490)는 이벤트를 검출(S180)하여 심박볼륨 조절부(451)나 호흡볼륨 조절부(452)를 통한 볼륨 조절이나 마이크부(453)를 통한 음성입력을 분석하여(190), 음성분석결과나 볼륨조절에 따라 호흡음 또는 심장박동 볼륨을 조절한다(S200).
그리고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의 통신부(410)나 동물병원 PC/서버(600)를 통해 수술관련 자료(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업로드 한다(S210).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 110 : 전원연결부
120 : 배터리부 130 : 전원스위치부
140 : 동작 버튼부 150 : 동작출력부
160 : 통신부 170 : 측정부
180 : 메모리부 190 : 제어부
200 : 애완동물
300 :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 고정장치
400 :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
410 : 통신부 420 :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부
430 : 디스플레이부 441, 442 : 스피커부
451 : 심박볼륨 조절부 452 : 호흡볼륨 조절부
453 : 마이크부
460 : 메모리부 470 : 접속단자부
480 : 배터리 490 : 제어부
500 : 클라우드 서버 510 : 통신부
520 : 데이터베이스 530 : 애완동물별 입력정보 분류부
540 : 애완동물 측정 데이터 분류부
550 : 요청정보 언어번역 전송부
560 : 애완동물 전문가 검색부 570 : 제어부
600 : 동물병원 PC/서버 610 : 동물병원 관계자 스마트폰
700 : 통신망

Claims (5)

  1. 애완동물(200)의 몸체 중 건강을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부위에 고정되어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과 외부에서 전송된 측정 시나리오인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애완동물(200)의 심장박동, 호흡을 포함하는 건강측정 정보를 측정(센싱)하여 무선(air)으로 외부로 출력하는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
    동물병원의 수술실에 구비되는 것으로, 미리 설치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와 무선연동되어 무선연동된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로 측정하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나리오인 스케줄링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무선으로 연동된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로 전송하며,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서 무선 출력된 애완동물 건강측정 정보를 데이터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수술 중 상기 애완동물의 호흡이나 심장박동을 그래프와, 수치 및 소리신호 중 하나 이상으로 출력하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
    애완동물 수술상황을 모니터링한 데이터에서 애완동물의 수술 전, 수술 중 및 수술 후의 결과에 대하여 호흡과 심장박동의 상관관계가 저장되어 애완동물의 종별, 수술종류에 대한 빅데이터 데이터를 통해 위급한 상황을 미리 검출하는데 이용되는 클라우드 서버(500);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 및 클라우드 서버(500)와 각각 연동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의 빅데이터에 따라 애완동물의 수술 징후가 미리 설정된 위급상황이거나, 긴급 상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장치(400)로 경고하는 동물병원 PC/서버(600); 및
    상기 동물병원의 수의사나 수의테크니션을 포함하는 동물병원 관계자의 스마트폰(6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는 하나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에서 복수의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로부터 측정된 애완동물의 건강상태를 디스플레이부(430)를 통해 심박과 호흡을 그래프와 수치로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부를 통해 소리로 심박과 호흡을 출력하고,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는,
    동물병원의 수의사나 수의테크니션의 스마트 폰과 블루투스 연동되어 무선 출력된 애완동물 건강측정 정보를 수신한 데이터 분석결과 이상상황이 검출되면 상기 이상상황 정보를 상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는,
    통신망(700)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610)이나 동물병원 PC/서버(600)와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부(510)와, 애완동물의 이름, 종별, 나이, 성별, 몸무게, 배변정보와 함께 애완동물 보호자의 성함, 국적, 외국인의 경우 이용가능 언어, 스마트폰 번호, 주소가 저장되는 애완동물 회원정보 저장부와, 애완동물별, 연령별, 성별 표준(정상범위) 상태의 심박수 정보, 호흡정보가 저장되는 애완동물별 표준건강정보 저장부와,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되어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를 통해 전송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에 동기화되도록 되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정보 저장부와, 수술을 받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먹이종류, 먹는 양, 배변정보를 포함하는 식생활정보와 산책시간을 포함하는 주간 운동 시간 데이터가 저장되는 애완동물 식생활/운동정보 저장부와, 애완동물별 평소 질환, 주로 이용하는 동물병원, 수술정보, 약 처방 정보가 저장되는 애완동물 건강 이력 처방정보 저장부와, 동물병원의 위치정보, 운영시간 정보, 동물병원에서 이용가능한 언어 정보,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는 동물병원정보 저장부와, 애완동물 수술 시 애완동물의 종류, 나이, 성별, 증상에 따라 수술전 대기상태와 수술중인 상태 및 수술 후 대기 상태의 심박상태, 호흡상태 정보와 수술경과 정보가 저장되는 애완동물 수술정보 저장부 및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에서 운용되는 프로그램이나 앱이 저장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520)와,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나 동물병원 PC/서버(600)에서 통신망(700)을 통해 통신부(510)로 전송된 애완동물별 입력정보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20)에서 동기화될 수 있도록 분류하는 애완동물별 입력정보 분류부(530)와,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를 통해 측정된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모니터링 데이터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나 동물병원 PC/서버(600)에서 통신망(700)을 통해 통신부(510)로 전송되면 해당 측정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520)에서 동기화될 수 있도록 분류하는 애완동물 측정 데이터 분류부(540)와, 애완동물의 상태에 따라 애완동물이 건강상태가 위급한 경우 현재 운영 중인 인근 동물병원정보의 위치정보 제공 시 해당 보호자의 회원정보를 참조하여 외국인인 경우 해당 외국인의 언어가능 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로 번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청정보 언어번역 전송부(550)와, 애완동물의 치료가 가능한 병원과 해당 병원의 전문가를 검색하여 상기 동물병원 PC/서버(600)나 스마트 폰(610)으로 제공하는 애완동물 전문가 검색부(560) 및 상기 통신부(510), 데이터베이스(520), 애완동물별 입력정보 분류부(530), 애완동물 측정 데이터 분류부(540), 요청정보 언어번역 전송부(550) 및 애완동물 전문가 검색부(560)를 제어하는 제어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기재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방법으로,
    수술을 받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호흡과 심박을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를 고정하는 단계(S100);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와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가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단계(S110);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에서 애완동물의 건강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시간, 측정주기, 횟수 및 측정대상을 포함하는 수술상황 모니터링 측정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수술상황 모니터링 측정 정보를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로 전송하는 단계(S120);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는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로부터 수술상황 모니터링 정보가 전송되면 측정 스케줄러가 설정되고, 설정된 측정 스케줄러에 따라 자동으로 측정이 시작되는 단계(S130);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된 건강 측정 데이터가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S140);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는 건강 측정 데이터를 그래프와 숫자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S150), 스피커부를 통해 소리로 출력하며, 이상상황 검출시(S160),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부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담당자 스마트 기기로 이상상황을 통보하는 단계(S170);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의 제어부(490)는 이벤트를 검출(S180)하여 심박볼륨 조절부(451)나 호흡볼륨 조절부(452)를 통한 볼륨 조절이나 마이크부(453)를 통한 음성입력을 분석하여(190), 음성분석결과나 볼륨조절에 따라 호흡음 또는 심장박동 볼륨을 조절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의 통신부(410)나 동물병원 PC/서버(600)를 통해 수술관련 자료(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500)로 업로드하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는,
    통신망(700)을 통해 상기 스마트 폰(610)이나 동물병원 PC/서버(600)와 통신하도록 하는 통신부(510)와, 애완동물의 이름, 종별, 나이, 성별, 몸무게, 배변정보와 함께 애완동물 보호자의 성함, 국적, 외국인의 경우 이용가능 언어, 스마트폰 번호, 주소가 저장되는 애완동물 회원정보 저장부와, 애완동물별, 연령별, 성별 표준(정상범위) 상태의 심박수 정보, 호흡정보가 저장되는 애완동물별 표준건강정보 저장부와,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에서 측정되어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를 통해 전송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에 동기화되도록 되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정보 저장부와, 수술을 받고자 하는 애완동물의 먹이종류, 먹는 양, 배변정보를 포함하는 식생활정보와 산책시간을 포함하는 주간 운동 시간 데이터가 저장되는 애완동물 식생활/운동정보 저장부와, 애완동물별 평소 질환, 주로 이용하는 동물병원, 수술정보, 약 처방 정보가 저장되는 애완동물 건강 이력 처방정보 저장부와, 동물병원의 위치정보, 운영시간 정보, 동물병원에서 이용가능한 언어 정보, 연락처 정보가 저장되는 동물병원정보 저장부와, 애완동물 수술 시 애완동물의 종류, 나이, 성별, 증상에 따라 수술전 대기상태와 수술중인 상태 및 수술 후 대기 상태의 심박상태, 호흡상태 정보와 수술경과 정보가 저장되는 애완동물 수술정보 저장부 및 상기 애완동물 모니터링장치(400)에서 운용되는 프로그램이나 앱이 저장되는 애완동물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520)와,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나 동물병원 PC/서버(600)에서 통신망(700)을 통해 통신부(510)로 전송된 애완동물별 입력정보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520)에서 동기화될 수 있도록 분류하는 애완동물별 입력정보 분류부(530)와, 상기 애완동물 건강측정장치(100)를 통해 측정된 애완동물의 수술상황 모니터링 데이터가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나 동물병원 PC/서버(600)에서 통신망(700)을 통해 통신부(510)로 전송되면 해당 측정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520)에서 동기화될 수 있도록 분류하는 애완동물 측정 데이터 분류부(540)와, 애완동물의 상태에 따라 애완동물이 건강상태가 위급한 경우 현재 운영 중인 인근 동물병원정보의 위치정보 제공 시 해당 보호자의 회원정보를 참조하여 외국인인 경우 해당 외국인의 언어가능 정보에 따라 해당 언어로 번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청정보 언어번역 전송부(550)와, 애완동물의 치료가 가능한 병원과 해당 병원의 전문가를 검색하여 상기 동물병원 PC/서버(600)나 스마트 폰(610)으로 제공하는 애완동물 전문가 검색부(560) 및 상기 통신부(510), 데이터베이스(520), 애완동물별 입력정보 분류부(530), 애완동물 측정 데이터 분류부(540), 요청정보 언어번역 전송부(550) 및 애완동물 전문가 검색부(560)를 제어하는 제어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장치(400)는 상기 마이크부(453)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분석하여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방법.
  5. 삭제
KR1020200019580A 2020-02-18 2020-02-18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36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580A KR102364440B1 (ko) 2020-02-18 2020-02-18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580A KR102364440B1 (ko) 2020-02-18 2020-02-18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079A KR20210105079A (ko) 2021-08-26
KR102364440B1 true KR102364440B1 (ko) 2022-02-18

Family

ID=7746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580A KR102364440B1 (ko) 2020-02-18 2020-02-18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4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765A (ja) * 2007-03-30 2008-10-23 General Electric Co <Ge> 被検体の呼吸周期を追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4848524B2 (ja) * 2005-10-21 2011-12-28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聴診心音信号の処理方法及び聴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028A (ko) * 2014-04-02 2015-10-14 (주)블루노바 애완동물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05037B1 (ko) 2015-03-19 2017-12-06 주식회사 피엔브이 동물 건강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WO2018156804A1 (en) * 2017-02-24 2018-08-30 Masimo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medical monitoring data
KR101916803B1 (ko) 2017-07-20 2018-11-08 (주)제이컴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반려동물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8524B2 (ja) * 2005-10-21 2011-12-28 国立大学法人山口大学 聴診心音信号の処理方法及び聴診装置
JP2008253765A (ja) * 2007-03-30 2008-10-23 General Electric Co <Ge> 被検体の呼吸周期を追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079A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609B1 (ko)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6840677B2 (ja) 高機能ペット監視システム
JP4706040B2 (ja) 生命危機緊急通報システム
KR20190081598A (ko) 반려견 생체신호 특성을 이용한 반려견 감성분석 장치
US201801139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health conditions via wearab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WO20180737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health conditions via a mobile health monitor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638408B1 (ko) 낙상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모션 센서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낙상 감지 방법
KR20120114370A (ko) 무선 통신을 구비한 휴대용 eeg 모니터 시스템
KR102114122B1 (ko) 반려동물 헬스케어 인공지능 시스템
KR20160036801A (ko) 반려동물 건강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US114842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imal vitals
US20180353069A1 (en) Distributed slave beacon network requiring no mobile telephone or compute applications
US200702706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end user&#39;s health status via a network
KR102325586B1 (ko) 애완동물 건강측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측정 방법
KR102154081B1 (ko) 반려견 관리 장치
KR100901740B1 (ko) 코쿤형 육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쿤형 육아 관리 시스템
KR102384528B1 (ko) 애완동물건강 멀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멀티 모니터링 방법
KR102364440B1 (ko) 수술실에서의 애완동물 수술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7010956A1 (en) A monitoring system
KR20170121617A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2596008B1 (ko) 입원환자 모니터링용 스마트손목밴드
KR102186671B1 (ko) 장애 아동 모니터링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CN112690784A (zh) 动物血氧饱和度实时监测系统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