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145B1 -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145B1
KR102364145B1 KR1020210180941A KR20210180941A KR102364145B1 KR 102364145 B1 KR102364145 B1 KR 102364145B1 KR 1020210180941 A KR1020210180941 A KR 1020210180941A KR 20210180941 A KR20210180941 A KR 20210180941A KR 102364145 B1 KR102364145 B1 KR 102364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unit
fabric
support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박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규 filed Critical 박준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26Construction of inking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04Driving means for ink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27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organic non-macromolecular additives, e.g. UV-absorbers, plasticisers, surfactant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으로서, 권출되는 상기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UV를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잉크를 도포하는 제1 잉크도포부; 상기 제1 잉크도포부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하는 제2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1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2 잉크도포부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상기 권출부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상기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Roller system for ink application}
본 발명은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기는 잉크를 묻혀 종이에 대고 눌러 인쇄물을 만드는 기계를 말한다.
근래 들어 많이 사용되는 옵셋 인쇄기, 그라비아 인쇄기, 플렉소 인쇄기 등은 회전하는 원통형의 롤러 사이로 인쇄용지를 끼워 인쇄하는 방식인 윤전 인쇄 방식이 널리 사용된다.
종래 플렉소 인쇄기에 대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011281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0112819호에는 아닐록스로울 및 잉크로울 사이에 공급된 잉크가 인쇄판을 장착한 인쇄판동체에 전이되는 내용이 개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은 대형 인쇄기에 사용시, 아닐록스로울이 1~5m정도로 길게 설치되고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중앙에 처짐이 발생하므로 전체 길이에 걸쳐 잉크전이롤러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중앙으로 갈수록 간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독터롤러 중앙쪽의 처짐이나 굽힘에 의해 발생하는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독터롤러의 위치를 잉크전 이롤러쪽으로 점점 이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독터롤러와 잉크전이롤러 양단 간에 작용하는 압력이 불필요하게 가중되면서 잉크전이롤러 또는 독터롤러가 절단되거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손상될 수 있으며 양단부의 마모상태가 중앙부에 비해 심화되는 편마모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에 uv를 조사하여 개질시킨 후 잉크를 도포하여 잉크가 원단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하며, 2단의 잉크 도포부를 통해 필름 원단에 효율적으로 잉크를 도포할 수 있는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은, 권출되는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은, 권출되는 상기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UV를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잉크를 도포하는 제1 잉크도포부; 상기 제1 잉크도포부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하는 제2 잉크도포부; 상기 제1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2 잉크도포부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상기 권출부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상기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일측면에 작업용 착용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용 착용구는, 작업자의 두부 양쪽 귀부분에 지지시켜 착용하도록 머리띠 형태로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중앙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가 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작업자의 정수리에 이르도록 호형으로 굴곡되어져 형성되며, 착용시 작업자의 두부 양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 착용지지부;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 및 이 PCB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측면에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제어에 의해 온(ON)동작되면서 두피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착용부 또는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구비되고, 전도성 물질로 도금 또는 전도성물질로 형성된 2개의 전기장부; 상기 착용부와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배면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되게 2개의 자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표면에 구비된 자성버튼의 온(ON) 동작 시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자성부를 통해 전기장부로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는 전류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용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고,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용지지부는, 타단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절개형성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절개형성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이디는,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는, 건전지, 수은전지 또는 축전지를 사용 가능하되, 상기 축전지를 구비한 경우 방전 시 충전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이디는,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을 통하여 원하는 특정 엘이디를 온(ON) 동작시켜 해당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UV램프는, 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을 지지하는 전원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원지지부재는, 상기 UV램프의 하단에 위치한 전원지지기둥; 상기 전원지지기둥의 양측단에 구비된 끼움연결홈; 상기 전원지지기둥의 양측단 내부에 끼워 맞추어 연결되는 연결지지대; 상기 연결지지대의 내부면에 삽입하여 체결되는 탄성결합부; 상기 탄성결합부의 일측면에 접착 연결되는 고무패드; 및 상기 고무패드의 일측면에 접착 연결된 고정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지지대는, 타측단에 끼움연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지지기둥의 양측단에 구비된 끼움연결홈과 서로 일치하도록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결합부는, 일측단에 다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일측단의 직경을 좁힐 수 있어 상기 전원지지기둥의 내측면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결합부는, 타측 양단에 끼움연결돌기를 구비하여 일치하도록 끼워 맞춰진 상기 전원지지기둥과 상기 연결지지대의 끼움연결홈에 끼워져 상기 전원지지기둥 및 상기 연결지지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은, 필름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름 원단은, 잉크 도포용 롤러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 도포용 롤러는, 권출되는 상기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UV를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잉크를 도포하는 제1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1 잉크도포부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하는 제2 잉크도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상기 잉크도포부 및 상기 UV램프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상기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상기 필름 원단과 맞닿으며 회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권취되는 상기 필름 원단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롤러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 및 상기 롤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권취되는 상기 필름 원단에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일측면에 작업용 착용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용 착용구는, 작업자의 두부 양쪽 귀부분에 지지시켜 착용하도록 머리띠 형태로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중앙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가 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작업자의 정수리에 이르도록 호형으로 굴곡되어져 형성되며, 착용시 작업자의 두부 양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 착용지지부;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 및 이 PCB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측면에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제어에 의해 온(ON)동작되면서 두피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착용부 또는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구비되고, 전도성 물질로 도금 또는 전도성물질로 형성된 2개의 전기장부; 상기 착용부와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배면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되게 2개의 자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표면에 구비된 자성버튼의 온(ON) 동작 시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자성부를 통해 전기장부로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는 전류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용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고,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용지지부는, 타단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절개형성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절개형성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이디는,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는, 건전지, 수은전지 또는 축전지를 사용 가능하되, 상기 축전지를 구비한 경우 방전 시 충전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이디는,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을 통하여 원하는 특정 엘이디를 온(ON) 동작시켜 해당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은 원단에 uv를 조사하여 개질시킨 후 잉크를 도포하여 잉크가 원단에 잘 스며들 수 있도록 하며, 2단의 잉크 도포부를 통해 필름 원단에 효율적으로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전원지지기둥을 양측단에 위치한 프레임으로부터 간단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움연결홈을 구비한 연결지지대를 장착하고, 연결지지대 내부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탄성결합부에 고무패드를 접착 연결하고, 볼트 체결할 수 있는 고정지지부를 접착 연결한 전원지지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탄성거리를 제공하여 잉크도포부 또는 권취부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UV램프가 UV를 안정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전원지지부재의 탄성결합부는 조용하고도 부드럽게 충격을 흡수하는 이동이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능의 항상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100)은 필름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부는 필름 원단과 맞닿으며 회전하는 롤러부(110), 롤러부(110)의 일측에 위치하여 롤러부(110)를 통해 권취되는 필름 원단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지지하도록 롤러부(1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100)의 장력조절부(150)를 통해, 다양한 폭을 보유한 필름 원단에 대해서도 원단을 지지하고 외력을 가할 수 있어 필름 원단의 너비에 상관없이 권취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권취부는 롤러부(11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롤러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권취되는 필름 원단에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분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형제분사부(190)를 통해, 필름 원단 권취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열을 경감시켜 필름 원단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름 원단 표면의 윤활성을 향상시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은 권출되는 원단에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은 권출부(), UV 램프(), 제1 잉크도포부(), 제2 잉크도포부() 및 권취부(590, 10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출부()는 권출되는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UV 램프()는 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에 UV를 조사하여 원단에 잉크가 잘 스며들 수 있도록 원단을 개질할 수 있다.
제1 잉크도포부()는 UV램프()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개략적으로 잉크를 도포할 수 있고, 제2 잉크도포부()는 제1 잉크도포부()를 통과하며 잉크가 개략적으로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권취부(590, 100)는 제1 잉크도포부 및 제2 잉크도포부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권출부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권취부(590, 100)는 일측면에 작업용 착용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작업용 착용구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착용구()는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착용부(210)와, 착용지지부(220)와, 스위치부(230), 착용부(210)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형성되는 전기장부(250)와, 전기장부(250)에 부착되어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는 전류발생부(2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부(210)는 머리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머리띠의 착용구조와 같이 양측을 작업자의 두부 양쪽 귀부분에 지지 시켜 주도록 하여 두부에 착용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착용부(21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고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착용부의 양측을 양쪽으로 임의로 벌린 후 두부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며, 탄성력으로 두부에 밀착된 상태임에 따라 두부를 흔들거나 고개를 들거나 내린 경우에도 두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부(210)의 중앙 상부에는 착용지지부(220)가 결합되어 일체가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착용지지부(220)는 호형으로 굴곡되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착용부(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작업자의 정수리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착용지지부(220)는 일정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 시 착용지지부(220)가 이마에서부터 정수리까지 이르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이 착용지지부(220)의 양쪽은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두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도록 함이 위함이다.
두부의 중앙부분만이 착용지지부(220)에 의해 노출되지 않고 나머지는 모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작업용 착용구의 사용 시 두부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관리됨에 따라 종래의 모자형태의 착용구에 비해 두피에 산소 공급이 더욱 원활해짐은 물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착용지지부(220)의 폭은 예로서, 3~4㎝정도의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착용지지부(220)의 폭만큼은 두부를 감싸고 있음에 따라 해당 부분의 두피 부분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부분도 최대한 노출시켜 주도록 하여 산소공급 및 혈액순환을 더욱 촉진시켜 주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용지지부(220)에는 타단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게 절개형성부(22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절개형성부(225)가 형성된 경우, 조명부(미도시)가 절개형성부(225)를 사이에 두고 그 양쪽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미도시)는 복수 개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착용지지부(220)의 내측면에 이마에서부터 정수리에 이르기까지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물론, 조명부(미도시)는 정수리지지부의 내측면 외에도 착용부(2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마부위와 두부의 양쪽에 조명을 조사 시켜 주도록 할 수도 있다.
엘이디는 착용부(210) 또는 착용지지부(2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며, 배터리는 건전지나 수은전지 또는 축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축전지를 구비한 경우에는 방전 시 충전을 통해 계속해서 사용하도록 회로 구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스위치부(230)은 착용부(210) 또는 착용지지부(220)의 외측면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엘이디의 온(ON)동작시에는 작업자 본인 또는 주변인이 스위치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특정 엘이디(적색, 블루, 퍼플 등)를 온(ON)동작시켜 해당 파장의 레이저 조사를 통한 효과를 제공받으면 된다.
이를 통해 작업장이 어두워진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위치한 곳을 다른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끼리 충돌하는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기장부(250)는 착용부(210) 또는 착용지지부(220)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구비되는 것이고, 양전극과 음전극 2개로 구성되며, 전류발생부(260)의 부착은 물론 미세전류의 전도를 도전성물질인 철재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전기장부(250)는 표면이 전도성물질(예로서, 금이나 구리)로 도금될 수 있다.
예로서, 전기장부(250)는 착용부(210)의 중앙부분(이마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발생부(260)는 미세전류를 발생시켜주는 디바이스로서, 미사용시에는 착용부(210)에서 분리하여 보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류발생부(260)는 사용 시에만 전기장부(250)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전류발생부(260)의 배면에는 전기장부(250)에 부착되도록 2개의 자성부(26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자석을 통해 전기장부(250)으로 발생된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게 될 수 있다.
전류발생부(260)의 상면이나 측면에는 미사용 시 오프(off)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온오프(on/off)를 위한 자성버튼(262)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회 사용을 위한 건전지 및 PCB기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충전식일 경우에는 건전지 대신 충전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류발생부(260)의 표면에는 자성버튼(262)의 조작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점등되면서 외부에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작동확인용 제2 조명부(263)가 1개 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작동확인용 엘이디는 작동 상태에서 따라 다르게 점등(전원버튼의 온(ON)동작시에는 최초 10초간 빠르게 점멸 동작되고, 이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점멸 동작되며, 종료 10초전 빠르게 점멸 동작된 후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설정됨)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 디바이스는 제작 시 예로서 1회 20분간 사용하고, 20분 후에는 자동으로 오프(off)동작되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총 10회정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제작될 수 있다.
전류발생부(260)는 머리띠 형태로 된 착용부(210)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임에 따라 가능한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수지재질로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예로서 대략 가로세로길이가 2~3cm의 길이로 형성된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표면은 미려한 외관을 위해 복수 번 절곡되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절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착용구(200)는 전기장부(250)가 위치한 곳에 조명모듈(400)이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조명모듈(400)은 제1 연결부(410), 회전부(420), 제2 연결부(430)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부(410)와 회전부(420)는 제1 관절부(4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회전부(420)와 제2 연결부(430)는 제2 관절부(4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410)는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 전원(401)은 핀 형태의 연결핀부와 접속되기 위한 전용의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고, 제1 연결부(410)는 핀 형태의 연결핀부(411)가 일단에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핀 형태의 연결핀부(411)는 한 쌍의 연결핀부(411) 사이에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4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420)는 제1 연결부(410)의 연결핀부(411)가 형성된 일단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420)와 제1 연결부(410)는 상호 대향되는 단부에 제1 관절부(440)가 설치되어 회전부(420)가 제1 연결부(410)의 길이방향 축선, 즉 제1 연결부(410)와 회전부(420)가 비틀림 방향의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절부(440)는 제1 연결부(410)에 대응돌기(441)가 형성될 수 있고, 이 대응돌기(441)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회전 연결부(20)에 대응홈(442)이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부(420)는 제1 연결부(410)에 대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제1 관절부(440)는 제1 결합돌기(443)와, 제2 결합돌기(444)가 상호 접촉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443)는 회전부(420)와 대향되는 제1 연결부(410)의 면에 방사상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돌기(444)는 제1 연결부(410)와 대향되는 회전부(420)의 면에서 제1 결합돌기(443)의 사이에 걸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부(420)가 제1 연결부(410)에 대해 회전될 때 스테핑 동작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부(420)가 회전되어 목적하는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30)는 회전부(420)의 제1 연결부(410)와 결합된 단부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430)와 회전부(420)는 제2 관절부(450)에 의해 결합되어 제2 연결부(430)가 제1 관절부(440)에 대해 각도 회전되어 절곡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430)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조명부(402)가 장착되는 전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2 조명부(402)의 연결핀부(411)와 결합되는 결합부(431)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연결핀부(411)는 나사의 형태로 적용된 램프형태의 조명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연결핀부(대부분의 연결핀부는 나사형태로 제시되지만 특수 목적에 의한 다소 다른 형태의 연결핀부, 예로써 러그단자 타입 또는 3핀 단자 등)에 대응하여 제2 연결부(430)의 결합부(431)는 변경될 수 있다.
제2 관절부(450)는 제2 연결부(430)와 대향되는 회전부(420)의 단부에 돌출부(451)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451)와 대응하는 제2 연결부(430)의 단부에 돌출부(451)가 끼워지는 돌출홈(4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홈(452)은 일정한 폭을 갖는 돌출부(451)에 대응하는 너비를 갖게 되며, 돌출부(451)가 돌출홈(452)에 끼워진 후 끼움핀(453)이 돌출부(451)와 돌출홈(452)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연결부(430)와 회전부(420)를 관통하여 결합되면, 돌출부(451)가 돌출홈(452) 내에서 목적하는 각도로 힌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관절부(450)도 제1 관절부(440)와 같이 제2 연결부(430)가 스테핑 회전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2 관절부(450)는 제1 끼움돌기(454)와 제2 끼움돌기(4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끼움돌기(454)는 제2 연결부(430)에 형성된 돌출홈(452)의 내면에 끼움핀(453)이 관통한 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끼움돌기(455)는 돌출홈(452)에 결합되는 돌출부(451)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끼움돌기(455)는 제1 끼움돌기(454)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조명연결 부(30)의 각도 회전 시 스테핑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제2 연결부(430)의 각도회전 후 회전된 각도를 고정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제2 관절부(450)에서 제2 연결부(430)는 도면상 일측으로 90°각도 타측으로 90°각도, 총 180° 각도를 갖도록 예시되지만 실제 사용상태에서 가장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각도범위는 일측으로 70°각도 타측으로 70°각도, 총 140°각도 정도로 설정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램프의 하단에는 UV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을 지지하는 전원지지부재(3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UV램프희 하단에 위치하는 전원지지기둥(330), 전원지지기둥(330) 양측단에 끼움연결홈(331)을 구비하며, 전원지지기둥(330) 양측단에 연결지지대(370)를 끼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지지대(370)는 내부면 일측 끝단에 탄성결합부(360)를 고정할 수 있는 끼움연결홈(37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전원지지기둥(330) 양측 끝단 내부면에 각 끼움연결홈(331, 371)이 서로 일치하도록 끼워 맞춰 연결할 수 있다.
연결지지대(370)는 내부면에 탄성결합부(360)를 슬라이드 체결할 수 있다.
탄성결합부(360)는 일측단에 다수개의 삽입홈(36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양단에는 끼움연결돌기(361)를 구비하여 연결지지대(370) 내부 일측 양단에 구비된 끼움연결홈(371)에 끼움연결돌기(361)를 슬라이드 체결할 수 있다.
탄성결합부(360) 일측면에 고무패드(350)를 접착 연결하며, 고무패드(350) 일측면에 접착 연결되어 양측단에 위치한 프레임(미도시)에 볼트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고정지지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지지기둥(330) 양단에 끼움연결홈(331, 371)이 서로 일치하도록 끼워 맞춤된 연결지지대(370) 내부에 경질 합성수지로 제작된 탄성결합부(360)를 슬라이드 체결할 수 있다.
탄성결합부(360)가 연결지지대(37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 탄성결합부(360)의 일측면 직경이 연결지지대(37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체결이 쉽지 않으므로 탄성결합부(360)의 직경을 축소할 수 있도록 탄성결합부(360) 일측단에 다수 개의 삽입홈(362)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결합부(360)의 일측이 연결지지대(370)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삽입홈(362)을 눌러 직경을축소하여 체결되고, 연결지지대(370) 내부에 탄성결합부(360)가 완전히 체결된 후 회전하여 끼움연결돌기(361)를 끼움연결홈(371)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축소된 탄성결합부(360)는 탄성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복원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탄성결합부(360) 일측단에 연질합성수지나 고무재로 제작되어 탄성적으로 확축될 수 있도록 한 고무패드(350)를 접착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고무패드(350) 일측면에 경질합성수지로 제작된 고정지지부(340)를 장착할 수 있다. 고정지지부(340)는 양측단에 체결구를 구비하여 양측단에 위치한 프레임(미도시)에 배면을 볼트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원지지기둥(330)의 탈착 시에는 연결지지대(370)와 전원지지기둥(330)을 관통하여 구비된 끼움연결홈(331, 371)을 통하여 보이는 탄성결합부(360)의 끼움연결돌기(361)를 눌러서 축소시킨 후 잡아당기면 아주 쉽고 간단하게 전원지지기둥(33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결합부(360)는 하우징(361)과 고정나사(362)와 제1 완충부(363)와 탄성부재(364)과 탄성부재(365)과 제2 완충부(366)와 탄성부(368)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나사(362)는 하우징(361)의 일단에 구비된 지지원판(367)에 체결하여 고정 연결될 수 있고, 탄성부재(364)을 내부에 삽입한 제1 완충부(363)와 제2 완충부(366), 지지원판(367)과 탄성부(368)가 하우징(36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나사(362)는 하우징(361)에 형성된 관통홈(미도시)을 관통하여 하우징(361)의 내부에 위치한 지지원판(367)의 체결홈(미도시)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고정나사(362)는 외부의 압력 또는 진동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되며, 고정나사(362)의 이동에 따라 UV램프의 안전한 UV 조사를 유도할 수 있다.
제1 완충부(363)는 원통 형상으로서 하우징(361)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의 압력이나 제1 잉크도포부 및 제2 잉크도포부, 권취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하우징(361)의 전후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2 완충부(366)는 원통 형상으로서 하우징(361)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의 압력이나 제1 잉크도포부 및 제2 잉크도포부, 권취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하우징(361)의 전후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 완충부(366)의 일측면에는 외주면 원형 테두리를 따라 탄성부(368)가 끼움 고정될 수 있는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부(368)가 제2 완충부(366)에 고정하여 탄성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면 접착제 등을 활용하여 탄성부(368)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탄성부재(364)는 원기둥 형상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로서 제1 완충부(363) 및 제2 완충부(366)의 내부에 삽입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완충부(363) 및 제2 완충부(366)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여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364)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 스펀지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프링 등의 전원지지부재의 상단에 위치한 UV램프가 UV를 안정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외부의 압력이나 제1 잉크도포부 및 제2 잉크도포부, 권취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지지원판(367)은 원판 형상으로서 상측면의 외주면 원형 테두리를 따라 탄성부(368)가 안착 가능한 탄성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홈(미도시)에 탄성부(368)의 일측단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탄성부(368)는 일측단이 제2 완충부(366)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홈(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타측단이 지지원판(367)에 형성된 탄성홈(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500: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Claims (3)

  1. 권출되는 원단;을 포함하는,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에 있어서,
    권출되는 상기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UV를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잉크를 도포하는 제1 잉크도포부;
    상기 제1 잉크도포부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하는 제2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1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2 잉크도포부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상기 권출부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상기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UV램프는,
    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을 지지하는 전원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전원지지부재는,
    상기 UV램프의 하단에 위치한 전원지지기둥;
    상기 전원지지기둥의 양측단에 구비된 끼움연결홈;
    상기 전원지지기둥의 양측단 내부에 끼워 맞추어 연결되는 연결지지대;
    상기 연결지지대의 내부면에 삽입하여 체결되는 탄성결합부;
    상기 탄성결합부의 일측면에 접착 연결되는 고무패드; 및
    상기 고무패드의 일측면에 접착 연결된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지지대는,
    타측단에 끼움연결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지지기둥의 양측단에 구비된 끼움연결홈과 서로 일치하도록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결합부는,
    일측단에 다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일측단의 직경을 좁힐 수 있어 상기 전원지지기둥의 내측면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탄성결합부는,
    타측 양단에 끼움연결돌기를 구비하여 일치하도록 끼워 맞춰진 상기 전원지지기둥과 상기 연결지지대의 끼움연결홈에 끼워져 상기 전원지지기둥 및 상기 연결지지대의 회전을 방지하는,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80941A 2021-07-23 2021-12-16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KR102364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215 2021-07-23
KR20210097215 2021-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145B1 true KR102364145B1 (ko) 2022-02-18

Family

ID=8049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941A KR102364145B1 (ko) 2021-07-23 2021-12-16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1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270A (ko) * 1998-04-03 1999-11-05 최만규 옵셋 인쇄기
US20020024583A1 (en) * 2000-03-31 2002-02-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sheet cartridge and exchangeable ink-sheet set mounted on the ink sheet cartridge
KR20140046544A (ko) * 2012-10-04 2014-04-21 아이씨이아이우방(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KR20180094432A (ko) * 2017-02-15 2018-08-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필름에 잉크를 도포하는 장치
KR20180103463A (ko) * 2017-03-10 2018-09-19 (주)윈하우스 줄 없는 이중 블라인드의 미끄럼방지 하단바
KR102152689B1 (ko) * 2019-11-13 2020-09-07 박주용 그라비아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270A (ko) * 1998-04-03 1999-11-05 최만규 옵셋 인쇄기
US20020024583A1 (en) * 2000-03-31 2002-02-2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sheet cartridge and exchangeable ink-sheet set mounted on the ink sheet cartridge
KR20140046544A (ko) * 2012-10-04 2014-04-21 아이씨이아이우방(주)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권취장치
KR20180094432A (ko) * 2017-02-15 2018-08-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필름에 잉크를 도포하는 장치
KR20180103463A (ko) * 2017-03-10 2018-09-19 (주)윈하우스 줄 없는 이중 블라인드의 미끄럼방지 하단바
KR102152689B1 (ko) * 2019-11-13 2020-09-07 박주용 그라비아 인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001B2 (en) Mask device for facial skin care
KR101873832B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마스크
US9377627B2 (en) Head-mountable display device with pivoting circuit support
JP2019517354A (ja) イオントフォレシス装置、イオントフォレシス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皮膚美容機器
ES2066376T3 (es) Carroceria para scooter y scooter con motor electrico de traccion delantera.
CN210985796U (zh) 一种机电一体化电机防护装置
KR20090082088A (ko) 모자부착형 조명장치
AU2012228054B2 (en) Cartridge,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KR102364145B1 (ko)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RU2008114490A (ru) Устройство ионтофореза стержневого типа
AT516326B1 (de) Vorrichtung zur Signalübermittlung zum Auge
KR102322607B1 (ko)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KR20220024872A (ko) 조절 가능한 치료용 안면 마스크
ES2107652T3 (es) Rodillo de decoracion para producir efectos de contraste tales como los producidos con almohadillas.
KR20160080765A (ko) 헤드 랜턴
KR20110127371A (ko) 카본시트가 구비된 전기마스크 장치
KR102183167B1 (ko) 목걸이 타입의 광조사 겸용 가습장치
PE20001074A1 (es) Surtidor de tisu de rollo colosal de desenrollado de la superficie
KR101984907B1 (ko) 조임수단이 구비된 모자
CN202980685U (zh) 便携式美甲光疗灯
CN216455618U (zh) 焊接面罩组件及其灯具组件
US20200060923A1 (en) Mask having massage function and mask system including same
CN207803724U (zh) 一种基于紫光固化的光疗机
CN210100205U (zh) 一种弓体伸缩式电热丝切割弓
CN221286077U (en) Radiation protection eye-sh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