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607B1 -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 Google Patents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607B1
KR102322607B1 KR1020210097222A KR20210097222A KR102322607B1 KR 102322607 B1 KR102322607 B1 KR 102322607B1 KR 1020210097222 A KR1020210097222 A KR 1020210097222A KR 20210097222 A KR20210097222 A KR 20210097222A KR 102322607 B1 KR102322607 B1 KR 10232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aring
ink
fabric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박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규 filed Critical 박준규
Priority to KR102021009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2Means for mounting 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으로서, 필름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Film Fabric Winding System}
본 발명은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긴 필름을 여러 가닥으로 슬릿한 복수의 필름이나 폭이 넓은 한 가닥의 필름은 권심에 지정된 제품 길이로 권취된다.
이 경우, 장치에 의한 권취작업 이외에 부대(付帶)작업이 필요하다. 이 부대작업으로서, 권심의 권취축에의 장착, 감기, 권취 후의 절단, 권취축으로부터의 취출(取出) 등의 많은 번잡한 작업이 있다.
이들의 작업을 수작업으로 행하면,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정확한 위치에의 감기가 곤란하다. 또한, 필름 권취가 터릿(turret)기구를 갖고 있지 않으면, 상기 부대작업의 시간은 장치의 비(非)가동 시간으로 된다.
이 때문에, 부대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행하도록,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터릿 형식의 자동권취장치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소62-215452호 공보)에는, 터릿식의 필름의 자동절단권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자동절단권취장치는 정전하(靜電荷)부여수단, 커터(톱날) 및 이 커터의 전후로 진입하는 한 쌍의 누름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평9-104550호 공보)에는, 시트(sheet)류의 엔드 프리(end free) 감기장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엔드 프리감기장치는 무단(無端)벨트, 누름롤러 및 선단 (先端)가이드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3(일본 특허공개 2001-97616호 공보)에는, 터릿권취장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터릿권취장치는 외팔보 구조의 복수의 권취축과, 고정 빔을 갖고, 고정 빔의 고정지지부재가 권취 운전위치의 권취축을 지지하여, 양팔보 구조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폭을 보유한 필름 원단에 대해서도 원단을 지지하고 외력을 가할 수 있어 필름 원단의 너비에 상관없이 권취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은, 필름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필름 원단은, 잉크 도포용 롤러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 도포용 롤러는, 권출되는 상기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UV를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잉크를 도포하는 제1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1 잉크도포부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하는 제2 잉크도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상기 잉크도포부 및 상기 UV램프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상기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상기 필름 원단과 맞닿으며 회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권취되는 상기 필름 원단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롤러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 및 상기 롤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권취되는 상기 필름 원단에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일측면에 작업용 착용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용 착용구는, 작업자의 두부 양쪽 귀부분에 지지시켜 착용하도록 머리띠 형태로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중앙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가 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작업자의 정수리에 이르도록 호형으로 굴곡되어져 형성되며, 착용시 작업자의 두부 양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 착용지지부;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 및 이 PCB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측면에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제어에 의해 온(ON)동작되면서 두피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착용부 또는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구비되고, 전도성 물질로 도금 또는 전도성물질로 형성된 2개의 전기장부; 상기 착용부와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배면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되게 2개의 자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표면에 구비된 자성버튼의 온(ON) 동작 시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자성부를 통해 전기장부로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는 전류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용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고,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용지지부는, 타단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절개형성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절개형성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이디는,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는, 건전지, 수은전지 또는 축전지를 사용 가능하되, 상기 축전지를 구비한 경우 방전 시 충전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이디는,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을 통하여 원하는 특정 엘이디를 온(ON) 동작시켜 해당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은, 권출되는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은, 권출되는 상기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UV를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잉크를 도포하는 제1 잉크도포부; 상기 제1 잉크도포부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하는 제2 잉크도포부; 상기 제1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2 잉크도포부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상기 권출부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상기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권취부는, 일측면에 작업용 착용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용 착용구는, 작업자의 두부 양쪽 귀부분에 지지시켜 착용하도록 머리띠 형태로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중앙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가 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작업자의 정수리에 이르도록 호형으로 굴곡되어져 형성되며, 착용시 작업자의 두부 양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 착용지지부;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 및 이 PCB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측면에 복수 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제어에 의해 온(ON)동작되면서 두피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착용부 또는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구비되고, 전도성 물질로 도금 또는 전도성물질로 형성된 2개의 전기장부; 상기 착용부와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배면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되게 2개의 자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표면에 구비된 자성버튼의 온(ON) 동작 시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자성부를 통해 전기장부로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는 전류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용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고,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용지지부는, 타단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절개형성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절개형성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이디는,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는, 건전지, 수은전지 또는 축전지를 사용 가능하되, 상기 축전지를 구비한 경우 방전 시 충전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엘이디는,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을 통하여 원하는 특정 엘이디를 온(ON) 동작시켜 해당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은 다양한 폭을 보유한 필름 원단에 대해서도 원단을 지지하고 외력을 가할 수 있어 필름 원단의 너비에 상관없이 권취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100)은 필름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부는 필름 원단과 맞닿으며 회전하는 롤러부(110), 롤러부(110)의 일측에 위치하여 롤러부(110)를 통해 권취되는 필름 원단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지지하도록 롤러부(1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100)의 장력조절부(150)를 통해, 다양한 폭을 보유한 필름 원단에 대해서도 원단을 지지하고 외력을 가할 수 있어 필름 원단의 너비에 상관없이 권취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권취부는 롤러부(110)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롤러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권취되는 필름 원단에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분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형제분사부(190)를 통해, 필름 원단 권취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열을 경감시켜 필름 원단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름 원단 표면의 윤활성을 향상시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500)은 권출되는 원단에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500)은 권출부(510), UV 램프(530)), 제1 잉크도포부(550), 제2 잉크도포부(570) 및 권취부(590, 10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출부(510)는 권출되는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UV 램프(530))는 권출부(5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원단에 UV를 조사하여 원단에 잉크가 잘 스며들 수 있도록 원단을 개질할 수 있다.
제1 잉크도포부(550)는 UV램프(530))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개략적으로 잉크를 도포할 수 있고, 제2 잉크도포부(570)는 제1 잉크도포부(550)를 통과하며 잉크가 개략적으로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할 수 있다.
권취부(590, 100)는 제1 잉크도포부 및 제2 잉크도포부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권출부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권취부(590, 100)는 일측면에 작업용 착용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작업용 착용구는 후술하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착용구(200)는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착용부(210)와, 착용지지부(220)와, 스위치부(230), 착용부(210)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형성되는 전기장부(250)와, 전기장부(250)에 부착되어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는 전류발생부(2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부(210)는 머리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머리띠의 착용구조와 같이 양측을 작업자의 두부 양쪽 귀부분에 지지 시켜 주도록 하여 두부에 착용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착용부(21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고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착용부의 양측을 양쪽으로 임의로 벌린 후 두부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며, 탄성력으로 두부에 밀착된 상태임에 따라 두부를 흔들거나 고개를 들거나 내린 경우에도 두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부(210)의 중앙 상부에는 착용지지부(220)가 결합되어 일체가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착용지지부(220)는 호형으로 굴곡되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착용부(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작업자의 정수리에 이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착용지지부(220)는 일정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 시 착용지지부(220)가 이마에서부터 정수리까지 이르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이 착용지지부(220)의 양쪽은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두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도록 함이 위함이다.
두부의 중앙부분만이 착용지지부(220)에 의해 노출되지 않고 나머지는 모두 노출되어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작업용 착용구의 사용 시 두부가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관리됨에 따라 종래의 모자형태의 착용구에 비해 두피에 산소 공급이 더욱 원활해짐은 물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착용지지부(220)의 폭은 예로서, 3~4㎝정도의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착용지지부(220)의 폭만큼은 두부를 감싸고 있음에 따라 해당 부분의 두피 부분이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 부분도 최대한 노출시켜 주도록 하여 산소공급 및 혈액순환을 더욱 촉진시켜 주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용지지부(220)에는 타단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절개되게 절개형성부(225)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절개형성부(225)가 형성된 경우, 조명부(미도시)가 절개형성부(225)를 사이에 두고 그 양쪽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미도시)는 복수 개의 엘이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착용지지부(220)의 내측면에 이마에서부터 정수리에 이르기까지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물론, 조명부(미도시)는 정수리지지부의 내측면 외에도 착용부(2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마부위와 두부의 양쪽에 조명을 조사 시켜 주도록 할 수도 있다.
엘이디는 착용부(210) 또는 착용지지부(2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며, 배터리는 건전지나 수은전지 또는 축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축전지를 구비한 경우에는 방전 시 충전을 통해 계속해서 사용하도록 회로 구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스위치부(230)은 착용부(210) 또는 착용지지부(220)의 외측면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엘이디의 온(ON)동작시에는 작업자 본인 또는 주변인이 스위치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특정 엘이디(적색, 블루, 퍼플 등)를 온(ON)동작시켜 해당 파장의 레이저 조사를 통한 효과를 제공받으면 된다.
이를 통해 작업장이 어두워진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위치한 곳을 다른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끼리 충돌하는 등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기장부(250)는 착용부(210) 또는 착용지지부(220)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구비되는 것이고, 양전극과 음전극 2개로 구성되며, 전류발생부(260)의 부착은 물론 미세전류의 전도를 도전성물질인 철재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전기장부(250)는 표면이 전도성물질(예로서, 금이나 구리)로 도금될 수 있다.
예로서, 전기장부(250)는 착용부(210)의 중앙부분(이마와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류발생부(260)는 미세전류를 발생시켜주는 디바이스로서, 미사용시에는 착용부(210)에서 분리하여 보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류발생부(260)는 사용 시에만 전기장부(250)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전류발생부(260)의 배면에는 전기장부(250)에 부착되도록 2개의 자성부(26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자석을 통해 전기장부(250)으로 발생된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게 될 수 있다.
전류발생부(260)의 상면이나 측면에는 미사용 시 오프(off)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온오프(on/off)를 위한 자성버튼(262)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수회 사용을 위한 건전지 및 PCB기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충전식일 경우에는 건전지 대신 충전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류발생부(260)의 표면에는 자성버튼(262)의 조작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점등되면서 외부에서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작동확인용 제2 조명부(263)가 1개 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작동확인용 엘이디는 작동 상태에서 따라 다르게 점등(전원버튼의 온(ON)동작시에는 최초 10초간 빠르게 점멸 동작되고, 이후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점멸 동작되며, 종료 10초전 빠르게 점멸 동작된 후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설정됨)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미세전류 발생 디바이스는 제작 시 예로서 1회 20분간 사용하고, 20분 후에는 자동으로 오프(off)동작되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총 10회정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제작될 수 있다.
전류발생부(260)는 머리띠 형태로 된 착용부(210)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것임에 따라 가능한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수지재질로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예로서 대략 가로세로길이가 2~3cm의 길이로 형성된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표면은 미려한 외관을 위해 복수 번 절곡되어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절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착용구(200)는 전기장부(250)가 위치한 곳에 조명모듈(400)이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조명모듈(400)은 제1 연결부(410), 회전부(420), 제2 연결부(430)로 이루어지며, 제1 연결부(410)와 회전부(420)는 제1 관절부(4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회전부(420)와 제2 연결부(430)는 제2 관절부(4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410)는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과 결합되기 위한 구성으로, 전원(401)은 핀 형태의 연결핀부와 접속되기 위한 전용의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고, 제1 연결부(410)는 핀 형태의 연결핀부(411)가 일단에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핀 형태의 연결핀부(411)는 한 쌍의 연결핀부(411) 사이에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4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420)는 제1 연결부(410)의 연결핀부(411)가 형성된 일단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420)와 제1 연결부(410)는 상호 대향되는 단부에 제1 관절부(440)가 설치되어 회전부(420)가 제1 연결부(410)의 길이방향 축선, 즉 제1 연결부(410)와 회전부(420)가 비틀림 방향의 회전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관절부(440)는 제1 연결부(410)에 대응돌기(441)가 형성될 수 있고, 이 대응돌기(441)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회전 연결부(20)에 대응홈(442)이 형성될 수 있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부(420)는 제1 연결부(410)에 대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제1 관절부(440)는 제1 결합돌기(443)와, 제2 결합돌기(444)가 상호 접촉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443)는 회전부(420)와 대향되는 제1 연결부(410)의 면에 방사상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돌기(444)는 제1 연결부(410)와 대향되는 회전부(420)의 면에서 제1 결합돌기(443)의 사이에 걸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부(420)가 제1 연결부(410)에 대해 회전될 때 스테핑 동작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부(420)가 회전되어 목적하는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30)는 회전부(420)의 제1 연결부(410)와 결합된 단부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430)와 회전부(420)는 제2 관절부(450)에 의해 결합되어 제2 연결부(430)가 제1 관절부(440)에 대해 각도 회전되어 절곡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부(430)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제2 조명부(402)가 장착되는 전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2 조명부(402)의 연결핀부(411)와 결합되는 결합부(431)가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연결핀부(411)는 나사의 형태로 적용된 램프형태의 조명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연결핀부(대부분의 연결핀부는 나사형태로 제시되지만 특수 목적에 의한 다소 다른 형태의 연결핀부, 예로써 러그단자 타입 또는 3핀 단자 등)에 대응하여 제2 연결부(430)의 결합부(431)는 변경될 수 있다.
제2 관절부(450)는 제2 연결부(430)와 대향되는 회전부(420)의 단부에 돌출부(451)가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451)와 대응하는 제2 연결부(430)의 단부에 돌출부(451)가 끼워지는 돌출홈(4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홈(452)은 일정한 폭을 갖는 돌출부(451)에 대응하는 너비를 갖게 되며, 돌출부(451)가 돌출홈(452)에 끼워진 후 끼움핀(453)이 돌출부(451)와 돌출홈(452)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연결부(430)와 회전부(420)를 관통하여 결합되면, 돌출부(451)가 돌출홈(452) 내에서 목적하는 각도로 힌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관절부(450)도 제1 관절부(440)와 같이 제2 연결부(430)가 스테핑 회전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제2 관절부(450)는 제1 끼움돌기(454)와 제2 끼움돌기(4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끼움돌기(454)는 제2 연결부(430)에 형성된 돌출홈(452)의 내면에 끼움핀(453)이 관통한 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끼움돌기(455)는 돌출홈(452)에 결합되는 돌출부(451)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끼움돌기(455)는 제1 끼움돌기(454)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조명연결 부(30)의 각도 회전 시 스테핑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제2 연결부(430)의 각도회전 후 회전된 각도를 고정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제2 관절부(450)에서 제2 연결부(430)는 도면상 일측으로 90°각도 타측으로 90°각도, 총 180° 각도를 갖도록 예시되지만 실제 사용상태에서 가장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각도범위는 일측으로 70°각도 타측으로 70°각도, 총 140°각도 정도로 설정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500: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Claims (3)

  1. 필름 원단을 권취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필름 원단은,
    잉크 도포용 롤러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되고,
    상기 잉크 도포용 롤러는,
    권출되는 상기 원단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권출부;
    상기 권출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원단에 UV를 조사하는 UV램프;
    상기 UV램프를 통해 개질된 원단에 잉크를 도포하는 제1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1 잉크도포부를 통과하며 잉크가 도포된 원단에 다시 잉크를 도포하는 제2 잉크도포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잉크도포부 및 상기 UV램프를 통해 잉크가 도포된 상기 원단의 이송 방향대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잉크도포부 및 상기 제2 잉크도포부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를 유지하여 상기 원단을 팽팽하게 유지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필름 원단과 맞닿으며 회전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권취되는 상기 필름 원단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롤러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 및
    상기 롤러부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권취되는 상기 필름 원단에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이형제를 분사하는 이형제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일측면에 작업용 착용구가 구비되어 있는,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용 착용구는,
    작업자의 두부 양쪽 귀부분에 지지시켜 착용하도록 머리띠 형태로 형성된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중앙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일체가 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작업자의 정수리에 이르도록 호형으로 굴곡되어져 형성되며, 착용시 작업자의 두부 양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정 폭으로 형성된 착용지지부;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PCB기판 및 이 PCB기판과 연결되도록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측면에 복수 개의 엘이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치부의 제어에 의해 온(ON)동작되면서 두피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착용부 또는 착용지지부의 외측면 선택부분에 구비되고, 전도성 물질로 도금 또는 전도성물질로 형성된 2개의 전기장부;
    상기 착용부와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고, 배면에는 자력에 의해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되게 2개의 자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장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표면에 구비된 자성버튼의 온(ON) 동작 시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자성부를 통해 전기장부로 미세전류를 공급 시켜 주는 전류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고, 가해진 압력이 해제될 경우에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착용지지부는,
    타단 중앙부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형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절개형성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절개형성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는,
    상기 착용부 또는 상기 착용지지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배터리는,
    건전지, 수은전지 또는 축전지를 사용 가능하되, 상기 축전지를 구비한 경우 방전 시 충전을 통해 사용 가능하고,
    상기 엘이디는,
    상기 스위치부의 조작을 통하여 원하는 특정 엘이디를 온(ON) 동작시켜 해당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KR1020210097222A 2021-07-23 2021-07-23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KR10232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222A KR102322607B1 (ko) 2021-07-23 2021-07-23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222A KR102322607B1 (ko) 2021-07-23 2021-07-23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607B1 true KR102322607B1 (ko) 2021-11-04

Family

ID=7852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222A KR102322607B1 (ko) 2021-07-23 2021-07-23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6283A (zh) * 2022-11-01 2023-01-24 海安华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张力变化可调的张力分段涂镁卷取设备及其生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35Y1 (ko) * 2011-01-21 2011-06-29 임석우 조명장치를 갖춘 모자
JP2014051396A (ja) * 2008-04-15 2014-03-20 Hitachi Chemical Co Ltd 長尺フィルムの巻き取り方法及び長尺フィルムの巻き取り装置
KR102210090B1 (ko) * 2014-01-24 2021-01-29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용제 보충이 제공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 시스템
KR20210037525A (ko) * 2019-09-27 2021-04-06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롤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1396A (ja) * 2008-04-15 2014-03-20 Hitachi Chemical Co Ltd 長尺フィルムの巻き取り方法及び長尺フィルムの巻き取り装置
KR200454335Y1 (ko) * 2011-01-21 2011-06-29 임석우 조명장치를 갖춘 모자
KR102210090B1 (ko) * 2014-01-24 2021-01-29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용제 보충이 제공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 시스템
KR20210037525A (ko) * 2019-09-27 2021-04-06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롤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6283A (zh) * 2022-11-01 2023-01-24 海安华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张力变化可调的张力分段涂镁卷取设备及其生产方法
CN115636283B (zh) * 2022-11-01 2023-05-30 海安华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张力变化可调的张力分段涂镁卷取设备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607B1 (ko) 필름 원단 권취 시스템
US8613523B2 (en) Portable electric lighting lamp with improved fixing
JP4885271B2 (ja) シェービングカミソリ
KR101873832B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마스크
JP2019517354A (ja) イオントフォレシス装置、イオントフォレシス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皮膚美容機器
CA2263477A1 (en) Device for the safe, painless and permanent removal of unwanted hairgrowth
US20180221682A1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hair and skin treatment
US20190178477A1 (en) Illumination device
TW358794B (en) Tape applicator for applying a transferring material to a sheet
WO2016049669A1 (de) Vorrichtung zur signalübermittlung zum auge
KR20200047471A (ko) 도광형 엘이디 마스크 장치
KR102364145B1 (ko) 잉크 도포용 롤러 시스템
CA2400395C (en) Improved laser comb design/function
JP3165663U (ja) 医療用光源装置
US11512840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mbient lighting
CN213299662U (zh) 一种便携式安全头灯及照明装置
WO2007055328A1 (ja) 釣糸への蓄光機能を備えた釣具
CN208510166U (zh) 一种新型电力设备巡检帽
WO2015120500A1 (de) Tragbare vorrichtung zur lichtemission
KR20110038361A (ko) 탈모예방 발모유도치료기
CN216813826U (zh) 可调节照明角度的便携式头戴照明灯
WO2016066294A1 (de) Schleifgerät mit mindestens einem ersten gehäuseteil
CN219473454U (zh) 一种头灯
CN217660806U (zh) 一种便携式紫外线灯
JP5174508B2 (ja) 発毛調節光照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