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018B1 -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 - Google Patents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018B1
KR102364018B1 KR1020190080425A KR20190080425A KR102364018B1 KR 102364018 B1 KR102364018 B1 KR 102364018B1 KR 1020190080425 A KR1020190080425 A KR 1020190080425A KR 20190080425 A KR20190080425 A KR 20190080425A KR 102364018 B1 KR102364018 B1 KR 10236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hair
upper plate
plat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261A (ko
Inventor
김희송
김형환
홍현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8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0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조사자가 착석하게 되는 의자가 상측에 놓여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의자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팔걸이를 구비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피조사자의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A CHAIR STAND FOR LIE DETECTION}
본 발명은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사 중 피조사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조사자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1)는 좌판(10)의 후방 상부에 등받이(20)가 마련되고, 좌판(10)의 양측 상부에 팔걸이(30)가 마련되며, 좌판(10)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다리(40)가 마련된다. 사기 좌판(10)의 후방 상부에 지지막대(50)가 설치되고, 지지막대(50)의 전면 상부에 등받이(20)가 고정 설치되며, 지지막대(50)의 상부에 목받침(60)이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한편, 지지막대(50)의 전면 중앙부에 허리받침대(7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31 및 32는 상단으로 팔걸이(30)가 고정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목받침(60)은 장방형의 받침부(61)의 하단 중앙에 연결막대(62)가 설치되고, 연결막대(62)는 지지막대(5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66)에 고정체(64)에 의해 고정된다. 허리받침대(70)는 장방형의 받침부(71) 후방에 승강지지부(72)가 마련된 형태를 갖는다.
거짓말 탐지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1)에 피조사자를 착석하게 한 후 혈압 센서(도시하지 않음),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 가속도 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을 피조사자의 다리나 팔 등과 같은 신체 부위에 부착하고, 동공 측정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피조사자의 동공을 촬영하면서, 조사자가 피조사자와 대면하여 피조사자의 외모와 인적 사항을 확인하고, 90°회전시켜 조사자가 피조사자의 측면을 주시하는 상태에서 사건과 관련된 질문을 하거나 사건과 관련된 사진 등을 제시하면서 피조사자의 동공의 변화나 여러 가지 센서에서 측정된 값으로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의자(1)는 착석하는 착석자의 신장에 따라 등받이(20)에 바른 자세로 기댈 수 없으며, 팔걸이(30)에 올려지는 팔도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며, 착석자의 비만 정도나 체형에 따라 양 팔걸이(30) 사이의 간격도 좁거나 넓어 착석이 어렵거나 착석 팔의 자세가 부자연스러울 수 있으며, 지지다리(40)에 대하여 좌판(10)이 회전되는 경우 착석자의 발의 착지부가 달라져야 하므로 착석 자세가 그대로 유지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거짓말 탐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착석자의 움직임이 측정된 값에 영향을 미쳐, 측정된 값에 외란(disturbance)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4037호에는 피조사자의 신장, 비만 정도나 어깨 넓이에 맞게 의자의 높이 및 양측 팔걸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거짓말 탐지용 의자를 거짓말 탐지에 사용하여 조사 중 피조사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측정된 값에 외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거짓말 탐지용 의자를 사용하게 되면, 피조사자의 큰 움직임은 최소화할 수 있더라도 예컨대, 측정값을 왜곡하려는 피조사자의 의도된 미세한 움직임까지 차단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024037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조사 중 피조사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조사자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피조사자가 착석하게 되는 의자가 상측에 놓여지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의자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팔걸이를 구비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피조사자의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하판과, 상기 베이스하판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하판과 마주하게 이격되고,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의자와 팔걸이부를 지지하며, 상기 피조사자에 의해 중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면, 그 일측이 상기 베이스하판을 향해 기울어지는 베이스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하판과 베이스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하판과 베이스상판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상기 베이스상판을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지지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하판과 베이스상판의 중심부와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하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실린더케이스와, 상기 베이스상판의 하면에 고정되며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실린더로드에 가해지던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를 상승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하판과 베이스상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배치되는 제2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탄성지지부는 상기 베이스하판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는 상기 베이스상판과 이격되며, 하강되는 상기 베이스상판과의 접촉 시 압축되고, 상승되는 상기 베이스기판과 분리되면,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는, 상기 의자의 폭 방향 양측에 상향 배치되고 상단에 상기 팔걸이가 고정 설치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놓여지고, 상기 수직프레임부 각각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양측의 상기 팔걸이에 각각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프레임부, 및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양측의 상기 받침부에 각각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에 착석한 피조사자의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능을 갖는 베이스부를 의자의 하측에 구비함으로써, 피조사자에게 움직임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조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사 중 피조사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거짓말 탐지 시 피조사자를 물리력으로 못 움직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피조사자가 스스로 자신의 몸이 안 움직이도록 노력하게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거짓말 탐지 시 피조사자의 움직임이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거짓말 탐지 시 측정값을 왜곡하려는 피조사자의 의도된 동작이나 미세한 움직임까지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의 베이스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의 베이스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는 거짓말 탐지를 위한 조사 시 피조사자의 착석을 위해 거치되는 의자(10)를 지지하고,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의 움직임이 최소화되게 하는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는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가 스스로 자신의 몸이 움직이지 않도록 노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는 베이스부(110)와, 팔걸이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베이스부(110)는 피조사자가 착석하게 되는 의자(10)의 하측에 구비된다. 즉, 베이스부(110)의 상측에는 피조사자가 착석하게 되는 의자(10)가 놓여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부(110)는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의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의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능을 갖는 베이스부(110)가 의자(10)의 하측에 구비되면,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가 움직일 때마다 베이스부(110)가 기울어져 피조사자의 몸이 베이스부(110)가 기울어지는 쪽으로 쏠리게 된다. 즉, 피조사자의 입장에서는 발을 딛는 지면이 몸을 움직일 때마다 움직여 몸의 균형을 무너뜨리기 때문에 움직임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피조사자는 이러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스스로 자신의 몸이 안 움직이도록 노력하게 된다. 그 결과, 거짓말 탐지 조사 중 피조사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피조사자의 움직임이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는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의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능을 갖는 베이스부(110)를 구비함으로써, 거짓말 탐지 시 측정값을 왜곡하려는 피조사자의 의도된 동작이나 미세한 움직임까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는 거짓말 탐지 시 피조사자를 물리력으로 못 움직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피조사자가 스스로 자신의 몸이 안 움직이도록 노력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는 종래의 피조사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려는 방식, 즉, 강제로 피조사자의 움직임을 억제하려는 방식과는 정반대되는 역발상을 통해 피조사자의 움직임이 최소화되게 되고, 무엇보다도 피조사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종래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10)는 베이스하판(110a)과 베이스상판(110b)을 포함한다.
베이스하판(110a)은 지면 혹은 바닥면에 배치된다. 베이스하판(110a)은 사각형 형태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베이스하판(110a)은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상판(110b)과 마주하게 이격된다. 베이스하판(110a)은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에서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다. 베이스하판(110a)은 피조사자의 움직임에 따른 베이스상판(110b)과, 팔걸이부(120)와, 의자(10)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이때,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는 적합한 장소로 옮겨질 수 있다. 그러므로 베이스하판(110a)은 지면 혹은 바닥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베이스하판(110a)은 이동 가능하지만 바닥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움직임이 억제되고 상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상판(110b)과, 팔걸이부(120)와, 의자(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중량이 큰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베이스하판(110a)은 큰 중량을 갖는 다양한 금속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상판(110b)은 베이스하판(110a)의 상부에 배치된다. 베이스상판(110b)은 베이스하판(110a)의 상부에서 베이스하판(110a)과 마주하게 이격된다. 베이스상판(110b)의 하면은 베이스하판(110a)의 상면과 마주한다. 베이스상판(110b)은 의자(10)와 팔걸이부(120)의 거치면을 제공한다. 베이스상판(110b)은 의자(10)에 착석하는 피조사자의 발판 역할을 하게 된다. 베이스상판(110b)의 상면에는 의자(10)와 팔걸이부(120)가 배치된다. 이때, 의자(10)와 팔걸이부(120)는 베이스상판(110b)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베이스상판(110b)의 상면에 단순히 놓여진다. 즉, 베이스상판(110b)의 상면에 놓인 의자(10)와 팔걸이부(120)는 쉽게 다른 곳으로 옮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짓말 탐지 조사가 완료된 후 장소 정리를 위해, 의자(10)와 팔걸이부(120)는 별도의 장소로 이동되어 보관될 수 있다.
베이스상판(110b)은 베이스하판(110a)과 대응되는 크기의 사각형 형태의 판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상판(110b)은 피조사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중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이 가해진 부분이 베이스하판(110a) 측으로 내려가게 되어, 결국, 베이스하판(110a)을 향해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의자(10)도 기울어지게 되고,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는 몸이 한쪽으로 쏠려 균형을 잃게 된다. 이에 따라, 피조사자는 넘어지지 않으려고 다시 정자세로 되돌아오게 되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추후에는 스스로 자신의 몸이 움직이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조사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베이스상판(110b)이 기울어지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부(110)는 제1 탄성지지부(110c)를 더 포함한다.
제1 탄성지지부(110c)는 베이스하판(110a)과 베이스상판(110b) 사이에 설치된다. 제1 탄성지지부(110c)는 베이스하판(110a)과 베이스상판(110b) 간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또한, 제1 탄성지지부(110c)는 베이스상판(110b)을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베이스상판(110b)이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에서 베이스하판(110a)을 향해 기울어지기 위해서는 제1 탄성지지부(110c)가 여러 군데 설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탄성지지부(110c)는 복수 개로 구비된다. 베이스상판(110b)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제1 탄성지지부(110c)는 베이스상판(110b)의 중심부와 네 군데 모서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조사자가 전방으로 몸을 구부리게 되면, 베이스상판(110b)의 전방 부분에 하중에 가해져, 전방 양측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탄성지지부(110c)가 수축되고, 이를 통해, 베이스상판(110b)의 전방측이 내려가면서 베이스상판(110b)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피조사자가 오른쪽으로 몸을 움직이게 되면, 베이스상판(110b)의 오른쪽 부분에 하중이 가해져, 오른쪽 전후방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제1 탄성지지부(110c)가 수축되고, 이를 통해, 베이스상판(110b)의 오른쪽 부분이 내려가면서 베이스상판(110b)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탄성지지부(110c)는 베이스상판(110b)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실린더케이스(111)와, 실린더로드(112)와, 탄성부재(11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케이스(111)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실린더케이스(111)의 상단부는 개구되어 외부와 상기 중공을 연통시킨다. 이러한 실린더케이스(111)는 베이스하판(110a)의 상면에 고정된다. 실린더케이스(111)는 길이 방향 하단 측부에 플랜지 형태의 체결부(111a)를 구비한다. 체결부(111a)는 실린더케이스(111)의 길이 방향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실린더케이스(111)는 이러한 체결부(111a)를 통해 베이스하판(110a)에 결합되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14)에 의해 베이스하판(110a)과 체결되어 베이스하판(110a)의 상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로드(112)는 베이스상판(110b)의 하면에 고정된다. 실린더로드(112)는 길이 방향 상단 측부에 플랜지 형태의 체결부(112a)를 구비한다. 체결부(112a)는 실린더로드(112)의 길이 방향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다. 실린더로드(112)는 이러한 체결부(112a)를 통해 베이스상판(110b)에 결합되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114)에 의해 베이스상판(110b)과 체결되어 베이스상판(110b)의 하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로드(112)의 선단부는 실린더케이스(1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에 배치된다. 이때, 실린더로드(112)의 선단부는 실린더케이스(111)의 중공에 의해 가이드되며 승강 가능한 형태로 배치된다.
탄성부재(113)는 실린더케이스(1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에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113)는 실린더로드(11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13)는 예컨대,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피조사자의 움직임에 의해 베이스상판(110b)의 일측 부분에 하중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베이스상판(110b)의 일측 부분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로드(112)가 하강하면, 탄성부재(113)는 압축된다. 또한, 피조사자의 움직임에 의해 베이스상판(110b)의 일측 부분 및 이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로드(112)에 가해지던 하중에 제거되면, 탄성부재(113)는 탄성 복원된다. 이때, 탄성부재(113)는 탄성 복원력을 통해 실린더로드(112)를 상승시킨다. 그 결과, 실린더로드(112)와 베이스상판(110b)은 최초 위치(높이)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부(110)는 제2 탄성지지부(110d)를 더 포함한다. 제2 탄성지지부(110d)는 베이스하판(110a)과 베이스상판(110b) 사이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지지부(110d)는 베이스하판(110a)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된다. 이때, 제2 탄성지지부(110d)의 연장된 단부는 베이스상판(110b)과 이격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상판(110b)이 하강될 때, 제2 탄성지지부(110d)는 베이스상판(110b)과 접촉하게 되고, 베이스상판(110b)의 계속되는 하강 시 일정량 압축된다. 그리고 베이스상판(110b)이 상승될 때, 제2 탄성지지부(110d)는 베이스상판(110b)과 분리되고, 이에 따라, 탄성 복원된다.
제2 탄성지지부(110d)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지지부(110d)는 실린더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13)보다 탄성 변형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형태나 재질로 구비된다. 다시 말해, 제2 탄성지지부(110d)의 스프링 상수는 탄성부재(113)보다 스프링 상수가 크다. 이에 따라, 제2 탄성지지부(110d)는 베이스상판(110b)의 하강에 따른 베이스상판(110b)과의 접촉 시 이를 탄성 지지하지만, 베이스상판(110b)의 계속되는 하강은 저지하게 된다. 즉, 제2 탄성지지부(110d)는 베이스상판(110b)의 과도한 기울림을 억제한다.
팔걸이부(120)는 베이스부(110) 상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팔걸이부(120)는 베이스상판(110b) 상에 배치된다. 팔걸이부(120)는 의자(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팔걸이(120a)를 구비한다. 이때, 팔걸이부(120)는 의자(1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상판(110b)에 단순히 놓여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팔걸이(120a)에 팔을 올려놓은 상태로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가 예컨대, 왼쪽팔에 힘을 주어서, 팔걸이(120a)를 왼쪽으로 밀게 되면, 팔걸이부(120) 전체가 왼쪽으로 쉽게 움직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베이스상판(110b)의 왼쪽 부분이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피조사자는 움직임에 대한 불안감을 가져, 스스로 자신의 몸이 움직이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하게 된다.
팔걸이부(120)는 팔걸이(120a)를 의자(10) 양측에 배치하고,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가 팔걸이(120a)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직프레임부(121)와, 받침부(122)와, 제1 수평프레임부(123)와, 제2 수평프레임부(124)를 포함한다.
수직프레임부(121)는 의자(10)의 폭 방향 양측에 상향 배치된다. 수직프레임부(121)의 상단에는 팔걸이(120a)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수직프레임부(121)는 피조사자의 체형에 맞게 길이(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수직프레임부(121)는 홀더프레임(121a)과, 삽입프레임(121b)과, 체결부재(121c)를 포함한다. 홀더프레임(121a)은 속이 빈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삽입프레임(121b)은 홀더프레임(121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체결부재(121c)는 홀더프레임(121a)의 길이 방향 개구된 단부에 삽입프레임(121b)이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프레임(121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삽입프레임(121b)을 가압하여 삽입프레임(121b)을 고정시킨다. 변형 예로, 삽입프레임(121b)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통공이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프레임(121a)에 삽입프레임(121b)을 소정 깊이로 삽입할 때, 삽입프레임(121b)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통공과 홀더프레임(121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여 단일 유로를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단일 유로에 체결부재(121c)를 체결시킴으로써, 삽입프레임(121b)이 특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삽입프레임(121b)의 외측면에는 정확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눈금이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122)는 베이스부(100),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상판(110b)의 상면에 놓여진다. 받침부(122)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받침부(122)는 수직프레임부(121) 각각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직프레임부(121)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이를 지지한다.
제1 수평프레임부(123)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수평프레임부(123)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의자(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고 수직프레임부(121)에 의해 지지되는 양측의 팔걸이(120a)에 각각 결합된다. 제1 수평프레임부(123)는 양측 팔걸이(120a)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수평프레임부(123)는 길이(폭)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제1 수평프레임부(123)는 양측 팔걸이(120a)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수평프레임부(123)는 홀더프레임(123a)과, 삽입프레임(123b)과, 체결부재(123c)를 포함한다. 홀더프레임(123a)은 속이 빈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삽입프레임(123b)은 홀더프레임(123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체결부재(123c)는 홀더프레임(123a)의 길이 방향 개구된 단부에 삽입프레임(123b)이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프레임(123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삽입프레임(123b)을 가압하여 삽입프레임(123b)을 고정시킨다. 변형 예로, 삽입프레임(123b)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통공이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프레임(123a)에 삽입프레임(123b)을 소정 깊이로 삽입할 때, 삽입프레임(123b)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통공과 홀더프레임(123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여 단일 유로를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단일 유로에 체결부재(123c)를 체결시킴으로써, 삽입프레임(123b)이 특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삽입프레임(123b)의 외측면에는 정확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눈금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수평프레임부(124)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수평프레임부(124)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는 의자(10)의 폭 방향 양측으로 이격되고 수직프레임부(121)의 길이 방향 하단부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양측의 받침부(122)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2 수평프레임부(124)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는 제2 수평프레임부(124)와 받침부(122)를 연결하는 브라켓(124d)이 구비되고, 이 브라켓(124d)과 받침부(122)에는 볼트(125)가 체결된다. 제2 수평프레임부(124)는 이러한 브라켓(124d)을 통해 받침부(122)와 결합된다.
제2 수평프레임부(124)는 양측 받침부(122)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수평프레임부(124)는 길이(폭)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제2 수평프레임부(124)는 양측 받침부(122)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2 수평프레임부(124)는 홀더프레임(124a)과, 삽입프레임(124b)과, 체결부재(124c)를 포함한다. 홀더프레임(124a)은 속이 빈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삽입프레임(124b)은 홀더프레임(124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체결부재(124c)는 홀더프레임(124a)의 길이 방향 개구된 단부에 삽입프레임(124b)이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프레임(124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삽입프레임(124b)을 가압하여 삽입프레임(124b)을 고정시킨다. 변형 예로, 삽입프레임(124b)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통공이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프레임(124a)에 삽입프레임(124b)을 소정 깊이로 삽입할 때, 삽입프레임(124b)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통공과 홀더프레임(124a)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여 단일 유로를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단일 유로에 체결부재(124c)를 체결시킴으로써, 삽입프레임(124b)이 특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삽입프레임(124b)의 외측면에는 정확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눈금이 구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 110; 베이스부
110a; 베이스하판 110b; 베이스상판
110c; 제1 탄성지지부 111; 실린더케이스
112; 실린더로드 113; 탄성부재
114; 볼트 110d; 제2 탄성지지부
120; 팔걸이부 120a; 팔걸이
121; 수직프레임부 122; 받침부
123; 제1 수평프레임부 124; 제2 수평프레임부

Claims (6)

  1. 피조사자가 착석하게 되는 의자(10)가 상측에 놓여지는 베이스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1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의자(1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팔걸이(120a)를 구비하는 팔걸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110)는 상기 의자(10)에 착석한 피조사자의 하중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110)는 베이스하판(110a)과, 상기 베이스하판(110a)으로터 상향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하판(110a)과 마주하는 베이스상판(110b)과, 상기 베이스하판(110a)과 베이스상판(110b) 사이에 복수로 구비되며 탄성부재(113)를 가지는 제1 탄성지지부(110c)와, 상기 베이스하판(110a)과 베이스상판(110b)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 제2 탄성지지부(110d)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하판(110a)은 사각형태의 판상으로 바닥면에 놓여지고, 상기 베이스상판(110b)는 사각형 형태의 판상으로 의자(10)가 놓여지고 의자(10)에 착석하는 피조사자의 발판이 되며, 피조사자에 의해 중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 하중이 가해지면 탄성부재(113)가 압축되면서 베이스상판(110b)의 그 일측이 베이스하판(110a)을 향해 기울어지며;
    상기 제2 탄성지지부(110d)는 베이스하판(110a)의 상면에서 상향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는 상기 베이스상판(110b)과 이격되며 하강되는 상기 베이스상판(110b)과의 접촉 시 압축되고, 상승되는 베이스상판(110b)과 분리되면 탄성 복원되며;
    상기 제2 탄성지지부(110d)와 탄성부재(113)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탄성지지부(110d)의 스프링 상수는 탄성부재(113)보다 스프링 상수가 커서 베이스상판(110b)의 과도한 기울임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지지부(110c)는 상기 베이스하판(110a)과 베이스상판(110b)의 중심부와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지지부(110c)는 상기 베이스하판(110a)의 상면에 고정되는 실린더케이스(111)와, 상기 베이스상판(110b)의 하면에 고정되며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케이스(111) 내부에 배치되는 실린더로드(1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113)는 실린더케이스(111)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로드(112)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로드(112)의 하강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실린더로드(112)에 가해지던 하중이 제거되면,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실린더로드(112)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120)는,
    상기 의자(10)의 폭 방향 양측에 상향 배치되고 상단에 상기 팔걸이(120a)가 고정 설치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부(121)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놓여지고, 상기 수직프레임부(121) 각각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부(121)를 지지하는 받침부(122)와,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양측의 상기 팔걸이(120a)에 각각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프레임부(123), 및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양측의 상기 받침부(122)에 각각 결합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프레임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100).
KR1020190080425A 2019-07-04 2019-07-04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 KR10236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425A KR102364018B1 (ko) 2019-07-04 2019-07-04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425A KR102364018B1 (ko) 2019-07-04 2019-07-04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61A KR20210004261A (ko) 2021-01-13
KR102364018B1 true KR102364018B1 (ko) 2022-02-17

Family

ID=7414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425A KR102364018B1 (ko) 2019-07-04 2019-07-04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0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9294A1 (en) * 2003-12-15 2005-08-18 Be Aerospace, Inc. Passenger seat with tilting seat botto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037B1 (ko) * 2009-06-15 2011-03-23 대한민국 거짓말 탐지용 의자
KR20090091096A (ko) * 2009-08-06 2009-08-26 구자홍 중심축유동장치를 구비한 움직이는 의자
KR20110045844A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아쿠브코리아 체험 의자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9294A1 (en) * 2003-12-15 2005-08-18 Be Aerospace, Inc. Passenger seat with tilting seat bott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61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11844B2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10634549B2 (en) Hospital bed scale calibration methods and patient position monitoring methods
US20170181920A1 (en) Massage machine
KR200424912Y1 (ko) 등판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좌판 및 허리받침부를포함하는 의자
JPH05508331A (ja) 身体障害者椅子
BR9611906A (pt) Dispositivo para o manuseio de pacientes incapacitados
WO2001070071A3 (en) Adjustable chair and method of use
US11906486B2 (en) Mattress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KR102364018B1 (ko) 거짓말 탐지용 의자 거치기구
US11491065B2 (en) Standing aid for helping a person stand up
US10602849B2 (en) Active sitting device with central pivot
US3985323A (en) Leg extender for chairs and other furniture
Rama-Lopez et al. Dynamic posture assessment in patients with peripheral vestibulopathy
Bain et al. A new method of assess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atient support systems (PSS) using a phantom. A preliminary communication
KR101024037B1 (ko) 거짓말 탐지용 의자
Hartung et al. Measuring Soft Tissue Compliance of the Human Thigh
KR101865867B1 (ko) 앉은 자세 검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629697Y2 (ja) 椅子型体重計
KR200490944Y1 (ko) 디지털헬스케어 및 의료기기 측정장치가 마련된 린 체어
Stinson et al. Measuring Change in Interface Pressure: Effect of Repositioning and Time
DE202022000490U1 (de) Vorrichtung zum Stützen des Oberkörpers einer sitzenden Person
FR2717366A1 (fr) Dispositif de contrôle des postures anatomiques.
KR20230096188A (ko) 요추 만곡과 골반 수평위치 교정용 의자
JPH0642510Y2 (ja) 椅 子
JPH11244344A (ja) スタンディングテ−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