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45B1 -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645B1
KR102363645B1 KR1020210097988A KR20210097988A KR102363645B1 KR 102363645 B1 KR102363645 B1 KR 102363645B1 KR 1020210097988 A KR1020210097988 A KR 1020210097988A KR 20210097988 A KR20210097988 A KR 20210097988A KR 102363645 B1 KR102363645 B1 KR 10236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butment
hole
screw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천석
Original Assignee
장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천석 filed Critical 장천석
Priority to KR102021009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645B1/ko
Priority to US18/012,940 priority patent/US20230301754A1/en
Priority to PCT/KR2022/005104 priority patent/WO20230086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1Abutment monobloc with rest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이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베이스;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결합 홀에 나사산 결합하는 것으로,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홀이 관통 형성된 커넥터; 상기 스크류 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홀 및 픽스쳐와 나사산 결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의하면, 어버트먼트를 베이스와 커넥터의 조립식 구조로 제작하여 제작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커넥터가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결합되는 홀의 직경을 줄여 임플란트 전체적인 심미감을 상승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Abutments for implants with connector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screw hole}
본 발명은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어버트먼트를 베이스와 이 상부에 결합하는 커넥터의 조립식 구조로 구성하되 상면에 형성된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여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강화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란 티타늄과 같은 강도 있고 생체친화적인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 이를 상실된 치아 부위의 잇몸 뼈에 식립하고 그 위에 인공 치아를 장착하여 수복하는 치료 방법으로서 본래 자연 치아와 유사한 형태와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자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인공 치아와 어버트먼트(abutment) 및 픽스쳐(fixture)로 구성될 수 있는바, 픽스쳐는 잇몸 뼈에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고 어뷰트먼트는 인공 치아와 픽스쳐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도 1은 공지의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어버트먼트는 몸체 역할을 하는 베이스와 픽스쳐와의 결합을 위한 스크류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피스 타입과, 베이스와 스크류가 분리된 투피스 타입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투피스 타입을 듀얼 어버트먼트(dual abutment)라고 명명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듀얼 어버트먼트는 스크류 홀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는 원피스 타입과 달리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된 스크류 홀 내에 직접 스크류를 삽입해야 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스크류가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의 상부에서 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진 헤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 스크류를 수용하기 위해 듀얼 어버트먼트의 상면에는 스크류의 헤드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스크류 홀이 제작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스크류 홀의 직경이 커지면 스크류의 헤드 직경은 당연히 더 커질 뿐 아니라 헤드 직경이 커짐에 따라 인공 치아의 교합면에 형성되는 홀(픽스쳐에 스크류를 고정하기 위해 드라이버와 같은 결합 공구를 삽입해야 하는 홀. 스크류 홀)에 레진 등의 충진재를 충진한다 하여도 교합면 또는 이에 형성된 홀이 작은 어버트먼트(주로 원피스 타입)에 비해 심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은 소구치와 같이 교합면이 작은 임플란트에서 그 문제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국내 등록 특허 제 1899284호인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의 제 1 삽입공으로 삽입된 볼트를 압박시키도록 하는 압착소켓을 구성하여, 상기 압착소켓의 압박력이 상기 볼트에 계속적으로 작용함에 따라 자작운동에 의한 진동 등이 계속적으로 어버트먼트에 작용하여도 상기 압착소켓의 압박력에 의해 볼트의 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고 공개되어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을 압착소켓을 베이스(어버트먼트)의 상부에 결합한 구조를 제시하는데, 볼트(스크류)를 상부에서 눌러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스크류) 자체의 직경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여전히 큰 직경의 스크류 홀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남는다.
따라서, 어버트먼트, 특히 듀얼 어버트먼트에서 베이스의 높이를 낮추면서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매개체를 베이스에 조립식으로 결합한 개선된 구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베이스의 상부에 커넥터를 결합하고 이 커넥터의 스크류 홀을 통해 스크류를 결합하되 커넥터의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여 구조적 안정성을 추구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향상하는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를 헤드와 몸체로 구성한 다음 헤드의 외주면은 베이스의 외주면과 상응한 경사각으로 테이퍼 처리하여 어버트먼트 전체적인 일체성을 추구하면서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상면에 슬릿을 형성하여 외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커넥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을 추가하여 인공 치아와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이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베이스;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결합 홀에 나사산 결합하는 것으로,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홀이 관통 형성된 커넥터; 상기 스크류 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홀 및 픽스쳐와 나사산 결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결합 홀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산 결합하는 것으로 제 1 직경으로 관통된 제 1 홀과, 상기 스크류와 나사산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으로 관통된 제 2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는, 픽스쳐와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에 위치하여 인공 치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결합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협하광(上狹下廣)하게 테이퍼 처리된 테이퍼 면을 구비한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외주면에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에 결합 시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의하면,
1) 어버트먼트를 베이스와 커넥터의 조립식 구조로 제작하여 제작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커넥터가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결합되는 홀의 직경을 줄여 임플란트 전체적인 심미감을 상승할 수 있고,
2) 헤드와 몸체로 커넥터를 구성하여 베이스와의 일체적 조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3) 커넥터의 상면에 함입 형성된 슬릿을 매개로 외력 조절 및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커넥터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인공 치아와의 강인한 결합 관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공지의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와 커넥터를 포함한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헤드와 몸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베이스 및 스크류와 결합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슬릿에 보강 필름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가 캡을 추가로 포함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와 커넥터를 포함한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10)는 베이스(100)와 커넥터(200)를 포함한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100)는 공지의 어버트먼트와 비슷한 구조와 형상을 취하는 것으로서, 픽스쳐(2)와 결합하는 하부 결합부(110) 및, 하부 결합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인공 치아(1)와 결합하는 상부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즉, 베이스(100)는 공지의 상부/하부 결합부를 구비한 어버트먼트와 비슷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나, 후술할 커넥터(200)와의 결합 구조를 고려하여 공지의 어버트먼트의 상부 결합부보다 높이가 낮은 구조를 취한다. 다시 말해, 커넥터(200)와 결합되는 베이스(100)에서 상부 결합부(120)는 하부 결합부(110)의 기립 수치보다 작아, 커넥터(200)가 베이스(100)의 상부 결합부(12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결합 시 커넥터(200)와 상부 결합부(120)가 결합한 전체 높이가 불필요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홀(130)은 공지의 픽스쳐(2)와 스크류(400)가 결합하기 위하여 스크류(4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지의 어버트먼트의 스크류 홀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스크류(400) 뿐 아니라 후술할 커넥터(2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겸비한다.
이러한 결합 홀(130)은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10)가 원피스 타입과 투피스 타입으로 제작되었는지에 상관없이 형성될 수 있는 의의를 가진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넥터(200)를 수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원피스 타입은 일체형으로 설치된 스크류(400)를 픽스쳐에 고정하기 위해서 스크류(400)의 헤드를 조이기 위한 드라이버 등의 결합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투피스 타입은 스크류(400)는 물론 앞서 언급한 결합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결합 홀(130)은 원피스 타입의 어버트먼트에서는 베이스(100)의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정 깊이로 함입 형성되고, 투피스 타입에서는 베이스(100)의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결합 홀(130)은 함입 및 관통 방식으로 형성되는 홀의 개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200)는 결합 홀(130)의 직경에 상응한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상술한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과 나사산 결합을 하면서 결합 홀(130) 내에 수용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커넥터(200)는 기본적으로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홀(230)이 형성(관통 형성 또는 함입 형성)되어 있다. 이때, 후술할 캡(300)이 함께 결합되는 경우 커넥터(200)의 스크류 홀(230)은 관통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정 길이로 함입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넥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뿔 또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원기둥이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200)가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 내에 전부 수용될 수도 있으나, 후술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상부로 커넥터(200)의 일 부위가 노출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스크류 홀(230)은 스크류(400)를 체결하기 위한 드라이버와 같은 결합 공구가 진입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후술할 캡(30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류 홀(230)이 관통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공구가 진입하는 공간 및 캡(30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고, 도 2의 단면도와 같이 스크류 홀(230)이 관통되지 않고 함입된 경우 커넥터(200)를 체결하기 전에 먼저 결합 홀(130)에 수용된 스크류(400)(싱글 타입이나 듀얼 타입 모두 적용)를 결합 공구를 매개로 패스너(2)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공지의 어버트먼트에서 스크류(400)와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결합 홀(130)의 직경, 특히 어버트먼트(10)의 상면에 형성된 홀의 직경이 커짐으로써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공지의 어버트먼트의 상면에 형성된 홀은 스크류 체결을 위한 용도 이상으로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되어 심미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의 커넥터(200)는 이러한 홀, 즉 스크류 홀(230)의 사이즈를 다양한 환경에 따라 치수를 조절하면서 작게 만들 수 있으면서 스크류(400)를 체결하기 위한 결합 공구가 진입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어버트먼트, 즉 베이스(100))의 상면의 자연스러운 심미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서, 임플란트가 식립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 스크류가 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커넥터(200)의 스크류 홀(230)을 통해 결합 공구를 진입시켜 스크류(400)를 편리하게 조일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만일 공지의 어버트먼트의 스크류 홀 및 스크류의 직경을 줄일 경우 전체적인 어버트먼트의 체적에 비해 스크류 홀의 체적이나 직경이 작아져 스크류의 픽스쳐 결합력이나 어버트먼트의 결합 홀 내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20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의 직경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스크류(400)와 베이스(100) 간의 결합력을 보장함과 아울러 베이스(100)의 강성, 즉 비파절성과 같은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0)와 커넥터(200)가 일체형이 아닌 조립 가능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의 직경을 작게 하여 만든 일체적 구조에 비하여 베이스(100)와 커넥터(200)의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작은 틈으로 응력이나 외력을 분산할 수 있어 베이스(100) 자체가 파절되거나 깨지는 문제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커넥터(200)(일체형 구조에서는 베이스에서 커넥터에 차지하는 일 부위)가 손상되면 굳이 임플란트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이 커넥터(200)만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유지 보수의 장점을 겸비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10)는 통상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보다 직경이 큰 헤드를 구비한 스크류(400)는 물론 어버트먼트(10)의 스크류 홀(230)의 직경을 억지로 줄여 심미감을 강화하는 경우보다, 커넥터(200)의 존재로 인하여 전체적인 어버트먼트(10)의 구조적 안정성 및 제작의 편의성(커넥터가 베이스와 일체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제작하는 경우보다 조립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금형 등의 비용 절감을 추구할 수 있음)을 보장하면서 어버트먼트(10)의 상면으로 불필요하게 큰 구멍이 형성되어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헤드와 몸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베이스 및 스크류와 결합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투피스 타입의 어버트먼트에서, 커넥터(200)가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 전체 높이에 이를 정도로 길지 않은 경우(굳이 커넥터를 결합 홀의 높이에 상응한 긴 구조로 제작할 필요는 없음) 커넥터(200)는 베이스(100)의 상부나 중간에 위치할 것이고, 이 경우 베이스(100)의 하부 잔여 부위의 결합 홀(130)에는 스크류(400)와 빈 공간이 남게 된다. 이때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의 잔여 부위는 커넥터(200)를 수용하기 위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커넥터(20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스크류(400)가 이 결합 홀(130)의 잔여 부위에 위치하면 직경 차이에 의해 스크류(400)가 결합 홀(130)의 잔여 부위에서 불필요하게 유동될 수 있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물론 스크류(400)의 헤드 직경이 커넥터(200)의 스크류 홀(230)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를 줄일 수 있으나, 스크류(400)가 헤드와 몸체로 이루어지되 통상의 헤드/몸체로 이루어진 스크류와 마찬가지로 스크류(400)의 헤드가 몸체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이 직경 차이에 의해 상술한 문제가 잔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은 직경 차이를 가진 제 1,2 홀(131,13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 1 홀(131)은 결합 홀(130)의 상부 영역으로서 커넥터(200)의 전부 또는 일부와 나사산 결합을 하는 부위이자 스크류(400)의 헤드를 수용할 수 있는 부위이다. 즉, 제 1 홀(131)을 커넥터(200)의 외경은 물론 스크류(400)의 헤드에 상응한 직경을 가진다.
제 2 홀(132)은 결합 홀(130)의 하부 영역으로서 스크류(400)가 수용된 상태에서 더 나아가 스크류(400)에서 헤드를 제외한 몸체(나사산 형성 부위)와 나사산 결합을 하는 것으로, 제 1 홀(131)의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 즉 스크류(400)의 몸체의 외경에 상응한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넥터(200)가 결합 홀(130)의 전체 높이에 상응한 높이를 가지지 않는 구조에서 커넥터(200)가 결합하고 남은 결합 홀(130)의 하부 잔여 부위에서 스크류(400)가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결합부(120)와 하부 결합부(110)로 이루어진 베이스(100)에서 상부 결합부(120)가 하부 결합부(110)가 낮은 높이를 가진 상태에서 상협하광(上狹下廣)하게 테이퍼 처리된 테이퍼 면(121)을 가진 구조를 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 면(121)은 공지의 어버트먼트의 상부 결합부의 외면 형상과 비슷한 것으로서, 인공 치아와의 결합 면적이나 안정적으로 인공 치아와의 결합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형성된 구조이다.
이에 대응하여, 도 3에 따른 커넥터(200)는 몸체(220)와 헤드(210)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몸체(220)는 외주면에 결합 홀(130)과 나사산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부위이고, 헤드(210)는 이 몸체(220)의 상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커넥터(200)가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에 결합 시 베이스(100)의 상부로 노출되는 부위이다.
특히 헤드(210)는 몸체(220)보다 큰 직경을 가져, 커넥터(200)가 전체적으로 화살표와 유사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따른 커넥터(200)는 헤드(210)와 몸체(220)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헤드(210)가 외부로 노출되는데 커넥터(200)가 결합 홀(130) 내에 전부 수용되는 경우보다 커넥터(200)의 외주면이 인공 치아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 면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특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베이스(100)의 상부 결합부(120)의 높이를 하부 결합부(110)의 높이보다 많이 줄여 커넥터(200) 자체의 높이를 낮추면서도 상술한 이유로 커넥터(200)의 헤드(210)가 인공 치아와의 결합 면적을 수월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외부로 노출된 헤드(210)의 외주면은 베이스(100)에서 상부 결합부(120)의 테이퍼 면(121)과 같거나 유사한 경사각을 가져 단차 또는 단턱(즉, 경사각 차이) 발생 없이 일자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하게 테이퍼 처리된 헤드 테이퍼 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10)에 대한 전체적인 형상이 마치 단일체로 이루어진 외관을 가지면서 인공 치아(1)와 결합되는 부위(상부 결합부에서 외주면의 일부 및 커넥터의 외주면)의 일체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헤드 테이퍼 면(211)의 하부 영역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별도의 드라이버 홀을 형성하여 드라이버와 같은 결합 공구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반드시 스크류 홀을 통해서만 드라이버를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헤드 테이퍼 면(211)과의 결합에 의해서도 드라이버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편의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슬릿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커넥터(200)의 상면에서 스크류 홀(230)이 관통된 부위와 외부 둘레 사이 영역에는 슬릿(240)이 함입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슬릿(240)은 도 4의 부분확대도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커넥터(200)의 상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것으로, 특히 수직 함입된 것이 아니라 스크류 홀(230) 방향(커넥터 상면의 중심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함입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릿(240)은 커넥터(200)를 기준으로 외측으로는 인공 치아(1), 내측으로는 스크류(400)가 결합하면서 양측 방향으로 동시 압박을 받을 때 효율적으로 압박력을 분산 처리하거나, 아니면 내측으로 스크류(400)가 삽입 낙하함으로써 스크류 홀(230)의 잔여 공간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술한 압박력을 스크류 홀(400)로 효율적으로 분산 또는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커넥터(200)의 헤드(210)가 인공 치아(1)와의 견고한 결합을 할 때 통상적으로 인공 치아(1)의 결합 또는 교합 시에 수직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는데, 이 외력을 슬릿(240)의 연장 방향, 즉 스크류 홀(230) 방향인 경사 방향으로 분산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로써, 인공 치아(1)의 수직 외력에 의해 픽스쳐(2)나 치조골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는 현상을 스크류(400)가 수용되고 남은 공간인 스크류 홀(230)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어버트먼트(10)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스크류 홀(230) 방향이 커넥터(200)의 중심 방향이므로 외력의 편차가 발생하여도 이를 효율적으로 분산 및 완화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슬릿(240)은 헤드(210)를 구비한 커넥터(200)에서 헤드(210)의 내외 측으로 인공 치아(1)와 스크류(400)가 위치하여 양자가 압박을 주는 구조에서 더 유용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커넥터(200)는 강성을 가진 금속재이므로 휨성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슬릿(24)이 형성됨으로 인해 헤드(210)의 일 부위에 미세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이를 통해 커넥터(200)(특히 헤드)에 제공되는 외력을 분산할 수 있는 특성을 겸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슬릿(240)의 내측 단부에는 슬릿(24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확장공(241)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치아가 약하게 교합되어 교합력이 크지 않거나 인공 치아(1)의 결합력이 약할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240)만으로 충분히 교합력 등의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지만 만일 상대적으로 큰 교합력이 작용하면 응력이 중앙 부위 또는 양단으로 집중되어 해당 부위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어버트먼트(10)를 장시간 사용하였을 때 해당 부위부터 파절될 우려가 따를 수 있으나, 슬릿(240)보다 직경이 커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확장공(241)이 슬릿(240)의 내측 단으로 집중한 응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어버트먼트(10)를 더욱 장시간 사용해도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확장공(241)은 가늘고 길게 절개된 슬릿(240)의 단점을 최대한 보완하여 제공된 개선된 구조로서, 어버트먼트(10)는 물론 임플란트의 전체적인 내구성 보장은 물론 교합력과 응력 분산 기능을 충분히 강화할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한다.
도 5는 도 4의 슬릿에 보강 필름이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상술한 슬릿(240)에는 외력에 대한 완충 작용을 강화하기 위하여 보강 필름(250)이 추가로 끼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강 필름(250)은 종단면 형상이 U 형상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슬릿(240)이 입체적으로 육면체나 원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보강 필름(250)은 상부가 개방된 역 방향 돔(dome) 또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보강 필름(250)은 인체에 친화적인 탄성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은 물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흡수될 수 있는 PDO(Polydionaxone), PLLA, PCL와 같은 생체 친화성 물질로 이루어져 행여 슬릿(240)에서 소량 이탈되거나 분리되어도 사용자가 입에서 뱉거나 무의식적으로 체내에서 녹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강 필름(25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릿(240)에 의해 그 주변 부위에 미량의 탄성력이 작용할 때 이 탄성력을 극대화하여 슬릿(240)의 소량 수축이나 응축 시 보강 필름(250)의 탄성에 의해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보강 필름(250)이 단일 블록이나 필름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U 형상의 종단면 형상, 즉 슬릿(240)의 입구 측이 개방된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슬릿(240)의 내측단(하부)로 집중되는 외력을 보강 필름(250)의 하단이 마치 힌지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보강 필름(250)의 양단을 소량 회동시킬 수 있어 효율적으로 슬릿(240)의 입구(상부) 측으로 분산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강 필름(250)의 양 단부에는 슬릿(240)의 입구 주변의 커넥터(200)의 상면 영역까지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슬릿(2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크랙(crack)(252) 사이에 확장부(251)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강 필름(250)은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슬릿(24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된 입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슬릿(240) 바깥으로 노출된 부위를 단순히 접게 되면 접히지 않게 되므로, 일정 간격을 두고 크랙(252)을 형성하여 이 크랙(252)을 기준으로 분할된 절편을 커넥터(20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접을 수 있고 이같이 접힌 부위를 확장부(251)라 명명한 것이다. 이러한 크랙(252)을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확장부(251)의 전체적 형상이 링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이로써 인공 치아(1)와의 긴밀한 접촉 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
이 확장부(251)의 상면에는 인공 치아(1)와의 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안착 홈이 일정 깊이와 형상으로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즉, 인공 치아(1)의 하부는 둥근 입체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안착 홈 역시 둥글게, 즉 라운딩 처리되어 함입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부분확대도에서 크랙(252)을 기준으로 5개로 분할된 확장부(251)에서 인공 치아(1)의 접촉 부위에 따라 상면의 일부 영역 또는 전부 영역을 디자인하여 인공 치아(1)의 형상에 맞게 안착 홈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확장부(251) 및 이 상면에 형성된 안착 홈에 의하여 인공 치아(1)를 안전하게 받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인공 치아(1)와 확장부(251) 간의 긴밀한 접촉 관계를 보장하여 보강 필름(250)의 기본적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공 치아(1)로 발생된 결합력 또는 교합력을 확장부(251)에서 1차적으로 흡수 처리하여 커넥터(200)는 물론 어버트먼트(10)의 구조적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가 캡을 추가로 포함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10)는 베이스(100)와 커넥터(2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였는데, 여기서 더 나아가 캡(300)이 추가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헤드(210)와 몸체(220)를 포함한 커넥터(200)의 상부에 캡(300)이 결합되는데, 이때 헤드(210)에 형성된 스크류 홀(230) 영역의 상부 또는 전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캡(300)은 헤드(210)의 스크류 홀(230)에 결합되어 헤드(210)의 상부로 노출된 구조로서, 이때 스크류 홀(230)의 적어도 상부 영역 및 캡(3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커넥터(200)에서 헤드(210)의 스크류 홀(230)과 나사산 결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캡(300)은 내부가 밀폐되어 어버트먼트(10)의 상부, 자세히는 커넥터(20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캡(300)을 포함한 커넥터(200)를 베이스(100) 등에 장착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스크류(400)를 매개로 베이스(100)와 픽스쳐(2)를 결합한 다음 베이스(100)의 결합 홀(130)에 커넥터(200)를 수용하고 이후 커넥터(200)의 스크류 홀(230)에 캡(300)을 수용 결합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300)은 커넥터(200)와 마찬가지로 캡 헤드(310)와 캡 몸체(320)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캡 몸체(320)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고 커넥터(200)에 캡(300)이 결합 시 캡 헤드(310)가 커넥터(200)의 상부로 노출되어 인공 치아(1)와의 결합 면적을 높이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캡(300)은 단일체로 구성된 어버트먼트(10)(또는 듀얼 어버트먼트)의 높이를 높이도록 제작하기 어려울 때 조립식으로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인공 치아(1)와의 결합 면적을 증가하여 인공 치아(1)와 어버트먼트(10)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추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공 치아(1)와의 결합 면적을 높임과 아울러 인공 치아(1)가 상 방향으로 벗어나는 성질을 차단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대로 헤드(210)의 외주면이 상부 결합부(120)의 테이퍼 면(121)에 대응되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하게 테이퍼 처리된 헤드 테이퍼 면(211)이 형성된 상태에서, 캡(300)의 외주면은 헤드 테이퍼 면(211)의 경사각에 대칭(가상의 수평선인 X축 대칭)되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하게 테이퍼 처리된 캡 테이퍼 면(34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커넥터(200)의 헤드(210)와 캡(300)이 '리본'을 90도 회전시킨 것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는바, 이를 통해 인공 치아(1)와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캡(300)의 역 방향 테이퍼 구조(상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에 의하여 인공 치아(1)가 상 방향으로 벗어나려는 문제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인공 치아(1)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인공 치아 2 : 픽스쳐
10: 어버트먼트 100: 베이스
110: 하부 결합부 120: 상부 결합부
121: 테이퍼 면 130: 결합 홀
131: 제 1 홀 132: 제 2 홀
200: 커넥터 201 : 나사산
210: 헤드 211: 헤드 테이퍼 면
220: 몸체 230: 스크류 홀
231: 나사산 240: 슬릿
241: 확장공 250: 보강 시트
251: 확장부 252: 크랙
300: 캡 301 : 나사산
310: 캡 헤드 320: 캡 몸체
330: 캡 홀 340: 캡 테이퍼 면
400: 스크류

Claims (10)

  1.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로서,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이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서, 픽스쳐와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에 위치하여 인공 치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결합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협하광(上狹下廣)하게 테이퍼 처리된 테이퍼 면을 구비한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중앙 부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스크류 홀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결합 홀에 결합되는 상기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에 결합 시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커넥터;
    상기 스크류 홀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 홀 및 픽스쳐와 나사산 결합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 결합부의 테이퍼 면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하게 테이퍼 처리된 헤드 테이퍼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결합 홀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산 결합하는 것으로 제 1 직경으로 관통된 제 1 홀과,
    상기 스크류와 나사산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직경보다 작은 제 2 직경으로 관통된 제 2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서 상기 스크류 홀과 외부 둘레 사이 영역에는,
    상기 커넥터의 상면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스크류 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입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확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에는,
    종단면이 U 형상으로 연장된 탄성 재질의 보강 필름이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필름의 양 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입구 주변의 상기 커넥터의 상면 영역까지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슬릿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크랙(crack) 사이에 인공 치아가 안착되도록 함입된 안착홈을 상면에 구비한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는,
    상기 헤드의 스크류 홀에 결합되어 상기 헤드의 상부로 노출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 결합부의 테이퍼 면에 대응되도록 상협하광(上狹下廣)하게 테이퍼 처리된 헤드 테이퍼 면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외주면은,
    상기 헤드 테이퍼 면의 경사각에 대칭되도록 상광하협(上廣下狹)하게 테이퍼 처리된 캡 테이퍼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0210097988A 2021-07-26 2021-07-26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363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88A KR102363645B1 (ko) 2021-07-26 2021-07-26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US18/012,940 US20230301754A1 (en) 2021-07-26 2022-04-08 Abutment for implant with connector reducing diameter of screw hole
PCT/KR2022/005104 WO2023008686A1 (ko) 2021-07-26 2022-04-08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88A KR102363645B1 (ko) 2021-07-26 2021-07-26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645B1 true KR102363645B1 (ko) 2022-02-15

Family

ID=8032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88A KR102363645B1 (ko) 2021-07-26 2021-07-26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01754A1 (ko)
KR (1) KR102363645B1 (ko)
WO (1) WO202300868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272B1 (ko) * 2022-03-08 2022-07-07 이노덴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스크루 홀 가이더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WO2023008686A1 (ko) * 2021-07-26 2023-02-02 장천석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568819B1 (ko) * 2023-03-13 2023-08-22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852B1 (ko) * 2021-07-26 2022-02-14 장천석 인공 치아 간 결합력을 강화한 캡을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3022A1 (en) * 1999-10-28 2002-09-05 Nicola Pilla System of securement of dental abutments to dental implants
JP2018502681A (ja) * 2015-05-19 2018-02-01 イエスバイオ ゴール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用アバットメントとクラウンの結合構造
KR101881421B1 (ko) * 2018-04-13 2018-07-24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899284B1 (ko) * 2018-03-07 2018-10-31 이대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099062B1 (ko) * 2019-12-10 2020-04-08 장천석 교합고경의 안정적인 치수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의 어뷰트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380A (ko) * 2021-06-03 2024-01-18 풀 아치 솔루션즈, 엘엘씨 나사 부착형 치과 보철물을 위한 전방향 다중 유닛 어버트먼트 시스템
KR102363645B1 (ko) * 2021-07-26 2022-02-15 장천석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3022A1 (en) * 1999-10-28 2002-09-05 Nicola Pilla System of securement of dental abutments to dental implants
JP2018502681A (ja) * 2015-05-19 2018-02-01 イエスバイオ ゴール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用アバットメントとクラウンの結合構造
KR101899284B1 (ko) * 2018-03-07 2018-10-31 이대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881421B1 (ko) * 2018-04-13 2018-07-24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099062B1 (ko) * 2019-12-10 2020-04-08 장천석 교합고경의 안정적인 치수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의 어뷰트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686A1 (ko) * 2021-07-26 2023-02-02 장천석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418272B1 (ko) * 2022-03-08 2022-07-07 이노덴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스크루 홀 가이더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KR102568819B1 (ko) * 2023-03-13 2023-08-22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1754A1 (en) 2023-09-28
WO2023008686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645B1 (ko)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EP1713412B1 (en) Dental implant arrangement
KR200386621Y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140106305A1 (en) Dental implant
KR10230386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90136480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00121406A (ko) 풀림방지기능 및 미적 효과를 갖는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
US7351060B2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KR10211803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1608176B1 (ko) 임플란트 유닛
JP6080569B2 (ja) アバットメント及びインプラント
KR101126525B1 (ko)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2264A (ko) 교합력 완충기능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130045462A1 (en) Dental implant fixing system
KR20140003243A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080057477A1 (en) Dental implant screw system
KR10255603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상부구조물 침하방지 및 어버트먼트 스크류 풀림방지를 위한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KR102418006B1 (ko) 포스트 및 커프의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362852B1 (ko) 인공 치아 간 결합력을 강화한 캡을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082120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KR10234320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740181B1 (ko) 임플란트 유닛
KR200374841Y1 (ko) 치과용 인공 치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