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982B1 -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 Google Patents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982B1
KR102362982B1 KR1020210146413A KR20210146413A KR102362982B1 KR 102362982 B1 KR102362982 B1 KR 102362982B1 KR 1020210146413 A KR1020210146413 A KR 1020210146413A KR 20210146413 A KR20210146413 A KR 20210146413A KR 102362982 B1 KR102362982 B1 KR 102362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condenser
condensate
evaporato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이엘
Priority to KR102021014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2Removal by evaporation using condenser heat or heat of desuper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20)의 외부에 설치된 응축기(100)의 전방에 냉각팬(110)이 설치되고, 본체(20)의 실내공간부(30)의 증발기(200)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210))가 형성된 저온저장고(10)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210))에서 집수된 응축수를 응축기(100) 상측으로 유도하여 응축기 냉각장치(120)에 분산하여 낙하시키는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와 증발기(200)의 집수부(210)는 연결파이프(220)로 연결된 저온저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 Low-temperature storage with increased condenser cooling efficiency with evaporator-generated condensate }
본 발명은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저장고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포집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의 냉각장치 상단으로 분산 낙하시켜, 낙하된 응축수에 의해 원활한 냉각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온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농산물을 신선하게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기 온도보다 낮은 곳에 식품이나 농산물을 보관하여 선도의 연장을 유도하는 방식이 저온저장이고, 이러한 저온저장을 위해서 방열기능을 갖추고 적정 용량의 냉동 기계설비가 구비된 저온저장창고를 저온저장고라하고, 이러한 구성의 저온저장고는 통상의 에어컨과 유사하게, 압축된 냉매가스가 응축기를 통하여 냉각되면서 액화되고, 액화된 액화 냉매가스는 배관으로 연결된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기체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열을 대량으로 빼앗아 증발기의 온도를 냉각시키게 되고, 이후 증발기측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송풍팬의 가동으로 증발기측 토출구를 통해 저온저장고 실내에서 순환되도록 공급되어 실내 온도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저온저장고는 열교환장치 또는 공기조화설비를 항시 사용해야 하므로 전기 소모량이 많아서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5274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5031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60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온저장고에 구비된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를 응축기의 냉각장치 상단으로 분산 낙하시켜, 낙하된 응축수가 응축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흐르면서 기화에 의해 원활한 냉각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증대시키는 저온저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20)의 외부에 설치된 응축기(100)의 전방에 냉각팬(110)이 설치되고, 본체(20)의 실내공간부(30)의 증발기(200)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210))가 형성된 저온저장고(10)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210))에서 집수된 응축수를 응축기(100) 상측으로 유도하여 응축기 냉각장치(120)에 분산하여 낙하시키는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와 증발기(200)의 집수부(210)는 연결파이프(22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는 하부측에는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단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간부(310)와, 상기 연결파이프(22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상단부(130)로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부(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에는 상기 연결파이프(22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330)와,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판(340)과 상기 안내판(340) 일측(341)에는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분산구(分散口; 350)가 다수 개로 천공되고,
상기 분산구(350)로 배출되지 못한 응축수를 응축기 냉각장치(120) 하측에 구비되는 응축수 배출통(500)과 연결된 오버플로(600)를 구비한다.
또한, 응축기 냉각장치(120)를 기준으로 냉각팬(110)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측면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칭하였을 때,
상기 안내판(340)은 응축수 공급부(320) 내측 정면에서 후면 쪽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면 단부에 상기 분산구(35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간부(310)의 정면 체결부(360)를 후면 체결부(370) 보다 길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에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응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응축수분배판(4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분배판(400)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와 연결되는 수직판(410)과, 상기 수직판(410)과 연결된 수평판(420)과, 상기 수평판(420)에는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가 안내판(340)의 타측(342)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응축수를 분배하는 다수개의 판으로 형성된 응축수 분배구(430)를 더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입구쪽의 간격(L1, L2, L3)은 중앙부는 폐쇄되고,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간격이 넓어지도록(L1〈 L2〈 L3)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출구의 단부는 상기 수평판(420)의 측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직선부(S)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출구의 단부에는 하부로 관통된 응축수 배출홀(440)을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홀(440)에서 공급된 응축수는 안내판(340)의 타측(342) 상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600)의 높이는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판(340)의 분산구(350) 사이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받침대(380)와, 상기 안내판(34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부재(381)가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분배판(400)은 상기 받침대(380)와 받침부재(381)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산구(350)의 하측(351)에는 안내판(340)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41)와, 안내판(340) 하측에서 돌출되는 하측받침부재(342)가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가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단부(130)에 지지되고, 안내판(340)으로 유도된 응축수가 상기 돌출부(341)를 타고 상단부(130)로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저온저장고에 구비된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응축수를 응축기의 냉각장치 상단으로 분산 낙하시켜, 낙하된 응축수가 응축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흐르면서 기화에 의해 원활한 냉각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응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급된 응축수를 응축기 냉각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응축수분배판을 더 구비하여 응축기 냉각장치 상부면에 고르게 낙하시켜 냉각장치가 균등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온저장고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가 설치된 응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가 설치된 열교환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3의 열교환기 장치 구성들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5의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분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7의 응축수분배판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온저장고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가 설치된 응축기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가 설치된 열교환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도3의 열교환기 장치 구성들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5의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응축기 냉각장치(120)를 기준으로 냉각팬(110)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측면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타측은 일측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각종 농산물이나 신선식품의 저장을 위한 저온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세부적으로 내부 공기의 순환을 통해 내부 저장 공간의 적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와 외부 공기의 열 교환을 통한 온도편차를 줄여 농산물이나 신선식품의 선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저온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저온저장고(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온저장고(10)의 본체(20) 외부에 설치된 응축기(100)가 설치되고, 본체(20)의 실내공간부(30)에 열 교환을 위한 증발기(2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의 실내공간부(30)의 증발기(200)에서 집수된 응축수를 연결파이프(220)를 통하여 응축기(100) 상측으로 유도하여 응축기 냉각장치(120)에 분산하여 낙하시키는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를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의 하부에는 응축기 냉각장치(120)와 결합되어 있고, 증발기(200)의 집수부(210)는 연결파이프(220)로 연결된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증발기(200)가 저장고의 상측에 설치되고, 응축기(100)가 지상에 설치되어 증발기(200)의 집수부(210)에서 연결파이프(220)를 통하여 자연낙하식으로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에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응축기의 위치에 따라 집수부(210)에 펌프를 설치하여 강제 공급할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는 하부측에는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단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간부(310)와, 상기 연결파이프(22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상단부(130)로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부(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에는 상기 연결파이프(22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330)와,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판(340)과, 상기 안내판(340) 일측(341)에는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분산구(分散口; 350)가 다수 개로 천공되어 상기 분산구(350)를 통하여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단부(130)로 응축수를 낙하시킨다.
또한, 상기 분산구(350)가 이물질 등으로 막혔을 때에 상기 분산구(350)로 배출되지 못한 응축수를 응축기 냉각장치(120) 하측에 구비되는 응축수 배출통(500)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통(500)과 파이프로 연결된 오버플로(600)를 구비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는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의 안내판(340) 방향으로 하측 반원부로 돌출되어 파이프 연결부(330)로 공급된 응축수가 안내판(340)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340)은 응축수 공급부(320) 내측 정면에서 후면 쪽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면 단부에 상기 분산구(35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간부(310)의 정면 체결부(360)를 후면 체결부(370) 보다 길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정면 체결부(360)가 후면 체결부(370) 보다 길게 형성되어 냉각팬(110)에 의해 정면 체결부(360)를 통과한 바람이 후면 체결부(370)에 의하여 하측으로 굴절되어 상기 분산구(350)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바로 응축기 냉각장치(120)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 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에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응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응축수분배판(4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분배판(400)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와 연결되는 수직판(410)과, 상기 수직판(410)과 직각으로 연결된 수평판(420)과, 상기 수평판(420)에는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가 안내판(340)의 타측(342)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응축수를 분배하는 다수개의 판으로 형성된 응축수 분배구(430)를 더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입구쪽의 간격(L1, L2, L3)은 중앙부는 폐쇄되고,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간격이 넓어지도록(L1〈 L2〈 L3)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출구의 단부는 상기 수평판(420)의 측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직선부(S)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출구의 단부에는 하부로 관통된 응축수 배출홀(440)을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홀(440)에서 공급된 응축수는 안내판(340)의 타측(342) 상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판(410)과 연결된 수평판(420)의 외주면에는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부측으로 돌출된 돌출면(42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410)에는 파이프 연결부(330)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홀(4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600)의 높이는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판(340)의 분산구(350) 사이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받침대(380)와, 상기 안내판(34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받침부재(381)가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분배판(400)은 상기 받침대(380)와 받침부재(381)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산구(350)의 하측(351)에는 안내판(340)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41)와, 안내판(340) 하측에서 돌출되는 하측받침부재(342)가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가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단부(130)에 지지되고, 안내판(340)으로 유도된 응축수가 상기 돌출부(341)를 타고 상단부(130)로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저온저장고 20 : 본체
100 : 응축기 110 : 냉각팬
120 : 응축기 냉각장치 200 : 증발기
210 : 집수부 220: 연결파이프
300 : 응축수분사용 드레인장치 310 : 체결공간부
320 : 응축수 공급부 330 : 파이프 연결부
340 : 안내판 350 : 분산구
400 : 응축수분배판 420 : 수평판
430 : 응축수 분배구 440 : 응축수 배출홀
500 : 응축수 배출통 600 : 오버플로

Claims (5)

  1. 본체(20)의 외부에 설치된 응축기(100)의 전방에 냉각팬(110)이 설치되고, 본체(20)의 실내공간부(30)의 증발기(200)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210))가 형성된 저온저장고(10)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210))에서 집수된 응축수를 응축기(100) 상측으로 유도하여 응축기 냉각장치(120)에 분산하여 낙하시키는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와 증발기(200)의 집수부(210)는 연결파이프(220)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응축수 분사용 드레인장치(300)는
    하부측에는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단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간부(310)와,
    상기 연결파이프(22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상단부(130)로 공급하는 응축수 공급부(320)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에는
    상기 연결파이프(22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330)와,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안내하는 안내판(340)과 상기 안내판(340) 일측(341)에는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분산구(分散口; 350)가 다수 개로 천공되고,
    상기 분산구(350)로 배출되지 못한 응축수를 응축기 냉각장치(120) 하측에 구비되는 응축수 배출통(500)으로 배출되는 오버플로(600)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수 공급부(320)에는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를 응축기의 길이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응축수분배판(4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분배판(400)은
    상기 파이프 연결부(330)와 연결되는 수직판(410)과
    상기 수직판(410)과 연결된 수평판(420)과
    상기 수평판(420)에는 파이프 연결부(330)에서 공급된 응축수가 안내판(340)의 타측(342)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응축수를 분배하는 다수개의 판으로 형성된 응축수 분배구(430)를 더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입구쪽의 간격(L1, L2, L3)은 중앙부는 폐쇄되고,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간격이 넓어지도록(L1〈 L2〈 L3)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응축기 냉각장치(120)를 기준으로 냉각팬(110)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응축기 냉각장치(120)의 상측면을 기준으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칭하였을 때,
    상기 안내판(340)은 응축수 공급부(320) 내측 정면에서 후면 쪽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분산구(35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간부(310)의 정면 체결부(360)를 후면 체결부(370)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출구의 단부는 상기 수평판(420)의 측면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직선부(S)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응축수 분배구(430)의 출구의 단부에는 하부로 관통된 응축수 배출홀(440)을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홀(440)에서 공급된 응축수는 안내판(340)의 타측(342) 상부로 공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4. 삭제
  5. 삭제
KR1020210146413A 2021-10-29 2021-10-29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KR102362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13A KR102362982B1 (ko) 2021-10-29 2021-10-29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13A KR102362982B1 (ko) 2021-10-29 2021-10-29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982B1 true KR102362982B1 (ko) 2022-02-15

Family

ID=8032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413A KR102362982B1 (ko) 2021-10-29 2021-10-29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9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510U (ko) * 1998-06-26 2000-01-25 전주범 패캐지 에어컨의 열교환기 세척장치
KR20060065031A (ko)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응축수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JP2009292318A (ja) * 2008-06-05 2009-12-17 Sanden Corp 熱交換装置
KR20120087609A (ko) 2011-01-28 2012-08-07 (주)농산연구소 저온저장고의 열교환장치
KR101775274B1 (ko) 2016-05-03 2017-09-05 김우근 절전형 저온저장고
KR20200093840A (ko) * 2019-01-29 202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510U (ko) * 1998-06-26 2000-01-25 전주범 패캐지 에어컨의 열교환기 세척장치
KR20060065031A (ko) 2004-12-09 2006-06-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응축수패드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JP2009292318A (ja) * 2008-06-05 2009-12-17 Sanden Corp 熱交換装置
KR20120087609A (ko) 2011-01-28 2012-08-07 (주)농산연구소 저온저장고의 열교환장치
KR101775274B1 (ko) 2016-05-03 2017-09-05 김우근 절전형 저온저장고
KR20200093840A (ko) * 2019-01-29 202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205B2 (en) Hydronic rooftop cooling systems
KR101082792B1 (ko) 고효율 냉각탑
US20190186763A1 (en) Two Stage Cooler
KR20110110428A (ko) 냉매응축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식 에어컨
US11639800B2 (en) Dehumidification drainage system with mist eliminator
CN105917189A (zh) 集水槽组件
CN110411046B (zh) 一种蒸发冷凝直膨式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362982B1 (ko) 증발기 발생 응축수로 응축기 냉각효율을 증대시킨 저온저장고
KR102197842B1 (ko) 이동식 에어컨
KR101913720B1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CN204904432U (zh) 自动售货机制冷系统
CN103234248B (zh) 压入式立管间接-流体动力喷水室复合型蒸发冷却空调
US2995018A (en) Evaporative condenser
KR200294756Y1 (ko) 일체형 기화식 냉풍기
CN207599870U (zh) 具有冷凝水利用及新风排气利用的中央空调系统
CN109186003A (zh) 恒温恒湿机
KR102099422B1 (ko) 에너지 절약형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CN218455264U (zh) 前置除湿型间接蒸发冷却空调机组
KR100456910B1 (ko) 배수관이 없는 수냉각 에어컨디셔너
CN219243762U (zh) 除湿机
CN221076640U (zh) 一种空调室外机
KR102340562B1 (ko) 기계실이 별도로 구비되고 복합 냉각이 가능한 축사용 실외기
CN215209094U (zh) 箱式污泥烘干除湿系统
CN210980127U (zh) 空调室外机冷凝水分水装置
CN219014493U (zh) 一种恒温恒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