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702B1 -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702B1
KR102362702B1 KR1020210114417A KR20210114417A KR102362702B1 KR 102362702 B1 KR102362702 B1 KR 102362702B1 KR 1020210114417 A KR1020210114417 A KR 1020210114417A KR 20210114417 A KR20210114417 A KR 20210114417A KR 102362702 B1 KR102362702 B1 KR 102362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rvey
data
user
g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록
이명화
정성우
박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한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한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한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21011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영상촬영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일반인들이 플랫폼에 접속하여 대상지를 조회하면, 해당 대상지의 도로조사 등급과 1년에 몇 회의 조사를 해야하는지를 나타내는 조사 주기 및 언제 촬영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촬영시기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로부터 해당 대상지에 대한 촬영 신청 접수를 받고, 사용자는 해당 대상지를 관할하는 조사장비 관리업체에서 조사장비를 제공받아 자가차량에 장착한 후 본인이 신청한 대상지역의 도로 영상촬영을 수행하고, 영상촬영 조사거리에 따라 조사비용을 지급받을 수 있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A SYSTEM AND SERVICE PROVISION METHOD FOR VIDEO SHOOTING MATCHING SERVICE AROUND THE ROAD USING AN INDIVIDUAL'S OWN VEHICLE}
본 발명은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로주변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것으로서, 촬영하고 싶은 도로를 사전에 인터넷을 통해서 조회 및 신청하고, 저가의 조사장비를 신청자 본인의 개인 차량에 장착하여 지정된 기간 내에 촬영하여 제공하면, 촬영 거리에 비례하여 비용을 지급 받는 방식의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조사방식의 경우 조사 전문기업이 고가의 전문 기기를 이용하여 전국을 조사하고 서비스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 속도가 느리고 전국 조사차량 운행에 따른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한계가 있다.
고가의 전문조사 장비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조사속도가 30km 이하로 느리며, 전문기술자를 필요로 함에 따라 데이터 갱신 주기가 길며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기존 조사방식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취득 방식의 한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주변 영상정보(로드뷰 및 거리뷰)를 취득하는 경우, 조사주체는 네이버, 다음, 자동차 회사 등이며, 조사 대상은 전국을 대상으로 한다. 조사장비는 MMS(Mobile Mapping System)를 이용하며, 조사장비의 가격은 5~7억 정도이다. 조사방식은 조사 전문기업이 조사 전문차량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조사속도는 30km 이다.
또한 도로포장상태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조사주체는 서울시, 경기도 등 지자체이며, 조사대상은 국도와 서울시 및 경기도 등 수도권의 도로를 대상으로 한다. 조사장비는 포장상태조사장비 로드스캐너를 이용하며, 조사장비의 가격은 5~6억원 정도이다. 조사방식은 조사 전문기업 및 공기업/민간기업이 조사차량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조사속도는 30km 이다.
이와 같이 도로주변 영상정보 취득을 위해서는 고비용의 로드뷰 및 거리뷰용 조사장비(5~7억)와 도로포장상태 조사를 위한 조사장비(5~6억)를 별도로 운행해야 한다. 모두 조사 속도가 30km 이하의 저속 운행에 따른 갱신 주기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고, 고가의 전문장비를 이용함에 따른 조사 전문가 및 전문기업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렴한 조사장비를 이용하며, 일반인이 자가차량에 해당 조사장비를 장착하고, 출퇴근길이나 평소 운행하는 도로를 촬영하고 비용을 지급 받는 방식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문 조사기관의 조사가 필요없으며, 데이터의 갱신 주기가 빠르고 적은 예산으로도 사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촬영된 영상은 주변 상가 및 간판정보, 로드뷰, 전화번호 취득, 도로시설물 관리, 도로 균열 및 포트홀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활용된다.
공개특허 제2009-0053623호 공개특허 제2021-0081983호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 영상촬영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일반인들이 플랫폼에 접속하여 대상지를 조회하면, 해당 대상지의 도로조사 등급과 1년에 몇 회의 조사를 해야하는지를 나타내는 조사 주기 및 언제 촬영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촬영시기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로부터 해당 대상지에 대한 촬영 신청 접수를 받고, 사용자는 해당 대상지를 관할하는 조사장비 관리업체에서 조사장비를 제공받아 자가차량에 장착한 후 본인이 신청한 대상지역의 도로 영상촬영을 할 수 있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대상지에 대한 도로 영상촬영을 완료한 후 조사장비 관리업체에 반납하면 조사장비에 저장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하며, 서버는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의 조사구간에 따른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고, 사용자가 조사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2D 배경 이미지 및 3D 모델링 데이터로 변환하여 도로포장상태 분석 서비스와 로드뷰 및 거리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은, 도로 영상촬영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도로 기반의 영상촬영을 위한 대상지역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대상지역 정보에서 사용자가 조회 및 선택하여 촬영을 원하는 지역에 대한 신청을 접수하고, 접수한 내역에 대해 촬영 여부를 승인하는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 촬영이 승인된 사용자가 자가차량에 장착된 조사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 서버에 업로드 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영상촬영 결과를 승인하고, 조사구간에 따라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며, 조사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정제하고 변환하며, 변환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 전화번호,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 및 데이터 변환/분석모듈이 분석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에 대해 유통 판매 서비스와 웹 서비스를 통해 도로포장상태와 로드뷰 및 거리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유통 서비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은, 사용자에게 촬영 신청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국의 도로를 기반으로 블록별 구간단위로 가공한 데이터를 최종 촬영일자와 도로명 및 조사 주기의 속성 정보와 함께 기록 및 관리하는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 상기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가 관리하는 도로 기반 데이터에 대해 각 도로가 속한 지역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촬영 가능한 대상지와 시기에 대한 조회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해당 도로의 최종 촬영일자와 상기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가 산출한 해당 대상지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기반으로 촬영 대상지의 촬영시기를 제공하는 도로 조사등급별 촬영시기 제공부; 상기 도로 조사등급별 촬영시기 제공부와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촬영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신청하는 조사구간 선정 신청부; 및 상기 조사구간 선정 신청부에서 신청한 촬영 지역에 대한 신청 내역을 확인하고 승인하는 조사구간 신청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는,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으로 대상 구간에 포함되는 읍면동별 주거 인구수, 사업체수, 편도차로수, 지하철역사와 버스정류장 수, 간판변동율, 사용자갱신요청, 용도지역 항목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적용하되, 각 항목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항목별 중요도 반영을 위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도로지수를 산출하고, 도로지수인 MRI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은, 상기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에서 승인된 촬영 신청자 정보 및 촬영 지역 정보를 접수하면 해당 지역을 관리하는 지자체별 조사장비 관리업체에서 촬영 신청자의 자가차량에 조사장비를 장착하고, 조사가 끝난 후 조사장비를 수거하는 것을 관리하는 조사장비 관리부; 및 상기 조사장비 관리부에서 수거된 조사장비에 저장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촬영자의 정보와 함께 서버에 업로드하는 데이터 업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은, 상기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이 업로드 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GPS 기반으로 위치와 매핑하고, 사용자의 조사 결과를 승인처리하며, 승인처리 내역을 상기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에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이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조사 데이터 승인부; 상기 조사 데이터 승인부가 매핑한 데이터를 정제하고, 2차원 배경 이미지 및 3차원 모델링(3D modeling)을 통해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 및 상기 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가 변환한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의 분석엔진을 이용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전화번호 추출,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조사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은, 상기 조사 데이터 승인부에서 승인처리 내역을 전달받으면, 사용자의 도로 영상촬영 거리에 조사단가를 곱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할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계산한 후 사용자의 등록 계좌로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지급하는 조사 비용 계산/지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사단가는 기준 차량의 연비와 기준 에너지 가격을 이용하여 산출한 km 당 기준 에너지 가격과 km 당 택시요금을 고려하여 그 사이에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로 영상촬영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대상지역을 조회하고 선택하여 촬영을 원하는 지역에 대한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 사용자의 접수 내역을 확인하여 촬영 여부를 승인하는 단계; 사용자는 조사 신청 대상지역을 관리하는 해당 지자체의 조사장비 관리업체에서 조사장비를 제공받아 자가차량에 장착한 후 조사 신청 대상지역의 도로 영상촬영을 시작하는 단계; 도로 영상촬영 후 조사장비 관리업체에 조사장비를 반납하는 단계; 조사장비 관리업체는 조사장비에 저장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촬영자의 정보와 함께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 서버에 업로드 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영상촬영 결과를 승인하고, 조사구간에 따라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 조사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정제하고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의 분석엔진을 이용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 전화번호 추출,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분석 작업이 완료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에 대해 유통 판매 서비스와 웹 서비스를 통해 도로포장상태와 로드뷰 및 거리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에게 촬영 신청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국의 도로를 기반으로 블록별 구간단위로 가공한 데이터를 최종 촬영일자와 도로명 및 조사 주기의 속성 정보와 함께 탑재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탑재된 도로 기반 데이터에 대해 각 도로가 속한 지역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가능한 대상지와 시기에 대한 조회를 입력받는 단계; 해당 도로의 최종 촬영일자와 해당 대상지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기반으로 촬영 대상지의 촬영시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촬영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신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으로 대상 구간에 포함되는 읍면동별 주거 인구수, 사업체수, 편도차로수, 지하철역사와 버스정류장 수, 간판변동율, 사용자갱신요청, 용도지역 항목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적용하되, 각 항목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항목별 중요도 반영을 위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도로지수인 MRI 값을 산출하고, 도로지수인 MRI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도로 영상촬영 거리에 조사단가를 곱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할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계산한 후 사용자의 등록 계좌로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지급하되, 상기 조사단가는 기준 차량의 연비와 기준 에너지 가격을 이용하여 산출한 km 당 기준 에너지 가격과 km 당 택시요금을 고려하여 그 사이에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조사 전문가와 전문 조사기관이 아닌 일반인이 자가차량에 저렴한 조사장비를 장착하여 도로 영상촬영을 할 수가 있으며, 일반인은 도로 영상촬영 거리에 따른 보상을 받을 수가 있다.
따라서 고가의 조사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적은 예산으로도 사업을 진행할 수가 있으며, 일반인 누구나 신청하여 도로 영상촬영을 할 수가 있어 도로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갱신 주기가 빨라 최신의 주변 상가 및 간판정보, 로드뷰, 거리뷰, 도로시설물 객체정보, 도로포장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대상 구간에 포함되는 읍면동별 주거 인구수, 사업체수, 편도차로수, 지하철역사와 버스정류장 수, 간판변동율, 사용자갱신요청, 용도지역 항목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항목별 중요도 반영을 위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도로지수를 산출하고, 도로지수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도로 영상촬영 조사 주기를 합리적으로 산출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일반인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기반으로 대상지역에 대한 조사를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지급할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은 택시요금보다는 저렴하되 유류비 보다는 충분히 크도록 적정한 가격을 책정함으로써, 자가차량으로 출퇴근하는 일반인 뿐만 아니라 택시기사들도 손님이 없는 시간에 본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여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일반인이 저렴한 조사장비를 자가차량에 장착하여 도로 영상촬영을 수행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드뷰 서비스, 상가정보 취득, 2D 또는 3D기반 도로 및 교통 시설물 관리 서비스, 도로포장상태 분석 서비스, 메타버스 배경맵, 게임 배경맵 등 다양한 최신의 데이터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와 조사장비 관리업체(서버)의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도
도 3c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 도로주변의 영상정보를 취득할 때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와 보정계수를 나타낸 예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도로주변의 영상정보를 취득할 때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에 보정계수를 적용한 예
도 5c는 본 발명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에 보정계수를 적용한 도로지수(MRI : Muhan Road Index)의 구간에 따른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나타낸 예
도 5d는 본 발명에 따라 각 촬영자(촬영지역)별로 보정 후 도로지수(MRI)와 도로조사 등급 및 주기를 나타낸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정 후 도로지수(MRI)별로 도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예와 도로중심선 속성 테이블에 저장 및 관리되는 값들을 나타낸 예
도 7a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정보 취득 현장조사 비용을 산정하는 기준을 나타낸 예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정보 취득 현장조사 비용을 산정하는 기준을 적용하여 도로별 영상정보 취득 현장조사 비용을 산정한 예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도로정보 분석 및 서비스 예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은 본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운영하는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와 사용자의 차량에 저가의 조사장비를 장착하고 관리하는 조사장비 관리업체(200) 그리고 촬영된 도로 주변 영상 데이터를 서비스 하기 위한 웹 사이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사장비 관리업체(200)는 조사장비를 사용자에게 무상으로 임대한다.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는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110),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120), 도로정보 유통 서비스 모듈(130)을 포함한다.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110)은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111),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112), 도로 조사등급별 촬영시기 제공부(113), 조사구간 선정 신청부(114), 조사구간 신청 확인부(115) 및 조사비용 계산/지급부(116)의 구체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120)은 조사 데이터 승인부(121), 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122) 및 조사 데이터 분석부(123)의 구체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조사장비 관리업체의 서버(또는 컴퓨터)(200)는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210)을 포함한다.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210)은 조사장비 관리부(211)와 데이터 업로드부(212)로 구성된다.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110)은 도로 영상촬영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도로 기반의 영상촬영을 위한 대상지역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대상지역 정보에서 사용자가 조회 및 선택하여 촬영을 원하는 지역에 대한 신청을 접수하고, 접수한 내역에 대해 촬영 여부를 승인한다,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210)은 촬영이 승인된 사용자가 자가차량(10)에 장착된 조사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서버(100)에 업로드한다.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120)은 서버(100)에 업로드 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영상촬영 결과를 승인하고, 조사구간에 따라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며, 조사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정제하고 변환하며, 변환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 전화번호,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한다.
도로정보 유통 서비스 모듈(130)은 데이터 변환/분석모듈(120)이 분석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에 대해 유통 판매 서비스와 웹 서비스를 통해 도로포장상태와 로드뷰 및 거리뷰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110)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111)는 사용자에게 촬영 신청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국의 도로를 기반으로 블록별 구간단위로 가공한 데이터를 최종 촬영일자와 도로명 및 조사 주기의 속성 정보와 함께 기록 및 관리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지역코드, 편도차로수, 조사레벨, 조사 주기, MRI, 최근조사일자, 최근조사자코드 등의 정보가 포함된 도로중심선 속성 테이블의 예를 볼 수가 있는데,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111)는 이와 같은 형태로 전국의 도로를 관리한다.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112)는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111)가 관리하는 도로 기반 데이터에 대해 각 도로가 속한 지역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한다.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로 조사등급별 촬영시기 제공부(113)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가능한 대상지와 시기에 대한 조회 입력을 받으면,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111)에서 관리하는 해당 도로의 최종 촬영일자와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112)가 산출한 해당 대상지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기반으로 촬영 대상지의 촬영시기를 제공한다.
조사구간 선정 신청부(114)는 도로 조사등급별 촬영시기 제공부(113)와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112)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촬영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신청한다.
조사구간 신청 확인부(115)는 조사구간 선정 신청부(114)에서 신청한 촬영 지역에 대한 신청 내역을 확인하고 승인한다.
구체적으로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112)는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으로 대상 구간에 포함되는 읍면동별 주거 인구수, 사업체수, 편도차로수, 지하철역사와 버스정류장 수, 간판변동율, 사용자갱신요청, 용도지역 항목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적용하되, 각 항목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항목별 중요도 반영을 위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도로지수인 MRI 값을 산출하고, 도로지수인 MRI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확인한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영상정보 취득 우선순위 판단을 위해 복수 개의 항목과 항목별 값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고, 항목별 중요도를 고려한 보정계수를 적용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로지수(MRI : Muhan Road Index)를 구하며, 도로지수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가 결정된다.
① 해당 위치의 유동인구/배후 소비집단 판단을 위한 항목 : 동별 주거 인구수, 사업체수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통계청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plus)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인구수는 10K이하, 10K초과~20K이하, 20K초과~30K이하, 30K초과 단위로 가중치 구분하고, 사업체수는 0.5K이하, 0.5K초과~1K 이하, 1K초과~5K이하, 5K초과 단위로 구분하여 가중치 적용한다.
② 대상도로 주변 상업지역 형성 판단 항목 : 편도차로수(4차로초과, 2차로초과~4차로이하, 1차로초과~2차로이하, 1차로이하), 주변 지하철역사+버스정류장 수(10개이하, 10개초과~15개이하, 15개초과~20개이하, 20개 초과) 기반으로 간접 정량 판단을 하며, 사용자가 촬영하여 업로드 한 영상 분석을 통해 추출된 오브젝트(편도차로수, 주변 지하철역사, 버스정류장) 수를 적용한다. 차로수 가중치는 편도 1차로가 가장 높으며 4차로 초과 차선은 낮게 적용한다.
③ 상가 변동 항목 : 간판 변동(율)(5%이하, 5%초과~10%이하, 10%초과~15%이하, 15%초과)을 판단하는데, 사용자가 촬영하여 업로드 한 영상 분석을 통해 대상 구간 내 추출된 오브젝트(간판) 수정 빈도에 따라 가중치 적용한다.
④ 사용자 갱신 요청 항목 : 신규등록, 변경요청을 의미하며, 취득 대상 구간 내 사용자로부터 신규등록, 변경요청 발생 건 수에 대해 가중치 부여한다.
⑤ 용도지역 항목 : 상업지역, 주거지역, 공업지역, 녹지/관리지역을 의미하며, 유동인구 및 상가 등록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상업지역 가중치가 가장 높으며 녹지/관리지역을 낮게 적용한다.
또한 영상정보 취득 우선순위 판단을 위해 복수 개의 고려 항목은 상호 판단 중요도가 다르므로 이에 대한 보정계수를 적용해야 한다. 인구수(보정계수 0.15), 사업체수(보정계수 0.10), 편도차로수(보정계수 0.10), 지하철역+버스(보정계수 0.15), 간판변동율(보정계수 0.20), 사용자갱신요청(보정계수 0.20), 용도지역(보정계수 0.10) 각각에 중요도를 반영한 보정계수를 적용한다. 즉, 도로 중요도는 주변 상권형성에 대한 중요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인구수, 간판변동율, 사용자갱신요청을 높게 적용한다.
도 5c 및 도 5d를 참고하면, 영상취득 대상 거리의 동수는 2개동으로 각각 50% 거리로 영상 취득한 예를 나타내며, 각 촬영자의 도로 영상촬영에 대해 보정 후 도로지수(MRI)를 구하고, 이에 따라 도로등급 및 조사 주기가 반영된 메트릭스를 구한 것이다. 촬영자1은 서울시 역삼1동과 논현1동을 촬영 대상지로 선택하고 도로 영상촬영을 수행하였다. 역삼1동과 논현1동의 거리비중은 각각 50%를 적용하였다.
역삼1동의 인구수 MRI는 인구수에 따른 가중치 1.4와 보정계수 0.15를 곱하면 0.21이 되며, 지하철역+버스 MRI는 지하철역 및 버스 정류장 개수에 따른 가중치 1.4와 보정계수 0.15를 곱하면 0.21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인구수부터 용도지역까지 총 7개의 항목에 대한 MRI 값을 각각 구하여 더하고 여기에 거리비중 50%를 적용한다. 논현1동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구한다. 역삼1동과 논현1동의 MRI값을 더하면 1.35가 된다. 도 5c를 참고하면, MRI 값이 1.35 인 경우 도로조사 등급은 1등급, 조사개월수(연)는 12가 된다. 즉, 인구수, 사업체수, 지하철역 및 버스 정류장 등이 많은 지역에 해당하여 등급이 높고, 1년에 12번, 즉 1개월에 한번씩 조사를 해야 하는 지역이라는 의미이다.
위에서 설명한 7가지 구분항목은 인구수 = Pn, 사업체수 = Cn, 편도차로수 = Rn, 지하철역+버스 = Tn, 간판변동율 = Sn, 사용자갱신요청 = Un, 용도지역 = Ln으로 정의하며 MRI 산정 내용은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으로 나타낼 수 있다.
ROUND(((P1*1/2 + P2*1/2) + (C1/1/2 + C2*1/2) + (R1*1/2 + R2*1/2) + (T1*1/2 + T2*1/2) + (S1*1/2 + S2*1/2) + (U1*1/2 + U2*1/2) + (L1*1/2 + L2*1/2)), 2)
P ~ L까지 총 7개의 항목을 나타내고, 거리비중을 50% 적용하였기 때문에 모든 값에 대해 1/2를 곱하였다. 위 알고리즘에서 고려해야할 항목 증가 시 적용 (구분항목n * 대상거리/전체거리) 비율로 산술 적용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에 따라 각 도로별로 도로지수(MRI)를 구하고, 이에 따라 도로 별 조사등급과 조사개월수를 구한 후 이를 해당 도로에 반영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 도로에 대한 정보는 도로중심선 속성 테이블로 관리된다.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210)은 조사장비 관리부(211)와 데이터 업로드부(212)를 포함한다.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210)은 조사장비 관리업체(200)의 서버나 컴퓨터 등에서 동작한다. 지자체별 조사장비 관리업체를 선정하여, 각 지자체별로 조사장비를 관리하고 해당 지역의 도로 영상촬영을 신청한 사용자의 자가차량에 조사장비를 장착하는 일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도로 영상촬영이 끝나면 조사장비를 수거하여 조사장비에 저장된 도로 영상 데이터를 서버(100)에 업로드 한다.
조사장비 관리부(211)는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110)에서 승인된 촬영 신청자 정보 및 촬영 지역 정보를 접수하면 해당 지역을 관리하는 지자체별 조사장비 관리업체(200)에서 촬영 신청자의 자가차량(10)에 조사장비를 장착하고, 조사가 끝난 후 조사장비를 수거하는 것을 관리한다. 사용자는 자가차량(10)을 가지고 조사장비 관리업체(200)를 방문하여 자가차량(10)에 조사장비를 장착한다. 조사가 끝난 다음에도 조사장비 관리업체(200)를 방문하여 조사장비를 반납한다.
데이터 업로드부(212)는 조사장비 관리부에서 수거된 조사장비에 저장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촬영자의 정보와 함께 서버(100)에 업로드 한다.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120)은 조사 데이터 승인부(121)와 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122) 및 조사 데이터 분석부(123)를 포함한다.
조사 데이터 승인부(121)는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210)이 업로드 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GPS 기반으로 위치와 매핑하고, 사용자의 조사 결과를 승인처리하며, 승인처리 내역을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110)에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이 지급되도록 처리한다.
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122)는 조사 데이터 승인부(121)가 매핑한 데이터를 정제하고, 2차원 배경 이미지 및 3차원 모델링(3D modeling)을 통해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 정체 및 3차원 모델링(3D modeling) 기술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조사 데이터 분석부(123)는 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122)가 변환한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의 분석엔진을 이용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전화번호 추출,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한다. 딥러닝 기반의 분석엔진을 이용하여 문자 및 숫자를 추출하고, 시설물 등 객체를 인식하는 기술 역시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조사 비용 계산/지급부(116)는 조사 데이터 승인부(121)에서 승인처리 내역을 전달받으면, 사용자의 도로 영상촬영 거리에 조사단가를 곱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할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계산한 후 사용자의 등록 계좌로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지급한다. 여기서 조사단가는 기준 차량의 연비와 기준 에너지 가격을 이용하여 산출한 km 당 기준 에너지 가격과 km 당 택시요금을 고려하여 그 사이에서 결정한다.
도 7a를 참고하면, 연비 10km/L, 휘발유 1,600원/L 기준으로 1km 당 160원이며, 택비요금은 기본요금 1km 당 1,900원, 주행요금 1km 당 758원에 해당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조사 비용 계산/지급부(116)는 휘발유 가격과 택시요금의 사이에 해당하는 적정 가격인 1km 당 500~1,000원 사이에서 결정하여 사용자의 도로 영상촬영 거리에 적정 가격을 곱하여 조사비용을 계산한 후 사용자의 등록계좌로 지급한다.
도 7b를 참고하면, 조사 단가를 500원, 700원, 1000원으로 한 경우 도로별 현장 촬영 조사비용 합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먼저, 도로 영상촬영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대상지역을 조회하고 선택하여 촬영을 원하는 지역에 대한 신청을 접수한다(S410).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의 접수 내역을 확인하여 촬영 여부를 승인한다(S420).
사용자는 조사 신청 대상지역을 관리하는 해당 지자체의 조사장비 관리업체(200)에서 조사장비를 제공받아 자가차량(10)에 장착한 후 조사 신청 대상지역의 도로 영상촬영을 시작한다(S430).
사용자는 도로 영상촬영 후 조사장비 관리업체(200)에 조사장비를 반납한다(S440).
조사장비 관리업체(200)는 조사장비에 저장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촬영자의 정보와 함께 서버(100)에 업로드 한다(S450).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는 업로드 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영상촬영 결과를 승인하고, 조사구간에 따라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한다(S460).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는 조사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정제하고 변환한다(S470).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는 변환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의 분석엔진을 이용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 전화번호 추출,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한다(S480).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는 분석 작업이 완료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에 대해 유통 판매 서비스와 웹 서비스를 통해 도로포장상태와 로드뷰 및 거리뷰 서비스를 제공한다(S490).
상기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S410) 이전에,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촬영 신청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국의 도로를 기반으로 블록별 구간단위로 가공한 데이터를 최종 촬영일자와 도로명 및 조사 주기의 속성 정보와 함께 탑재하여 관리하고, 상기 탑재된 도로 기반 데이터에 대해 각 도로가 속한 지역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S41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가능한 대상지와 시기에 대한 조회를 입력받는 단계와 해당 도로의 최종 촬영일자와 해당 대상지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기반으로 촬영 대상지의 촬영시기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촬영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신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으로 대상 구간에 포함되는 읍면동별 주거 인구수, 사업체수, 편도차로수, 지하철역사와 버스정류장 수, 간판변동율, 사용자갱신요청, 용도지역 항목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적용하되, 각 항목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항목별 중요도 반영을 위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도로지수인 MRI를 산출하고, 도로지수인 MRI가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확인한다.
상기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S460)는 사용자의 도로 영상촬영 거리에 조사단가를 곱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할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계산한 후 사용자의 등록 계좌로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지급하되, 상기 조사단가는 기준 차량의 연비와 기준 에너지 가격을 이용하여 산출한 km 당 기준 에너지 가격과 km 당 택시요금을 고려하여 그 사이에서 결정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라 일반인이 자가차량에 장착한 조사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한 도로 영상을 정제하고 변환 후 전국 도로정보 유통 및 웹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샘플들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도로정보, 맵정보, 시설물 정보, 도로포장상태 정보 등을 최신의 상태로 빠르게 업데이트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자가차량이 있는 일반인이 저렴한 장비를 이용하여 출퇴근길이나 평소 운행하는 도로를 촬영하고 비용을 지급 받는 방식으로서, 차량을 공유하고 비용을 지급받는 개념과 도로 영상정보를 빠르게 업데이트 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자가차량
100...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서버
110...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
111...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
112...도로 조사등급 관리부
113...도로 조사등급별 촬영시기 제공부
114...조사구간 선정 신청부
115...조사구간 신청 확인부
116...조사 비용 계산/지급부
120...데이터 변환/분석 모듈
121...조사 데이터 승인부
122...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
123...조사 데이터 분석부
130...도로정보 유통 서비스 모듈
200...조사장비 관리업체
210...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
211...조사장비 관리부
212...데이터 업로드부
300...웹 사이트

Claims (10)

  1. 도로 영상촬영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도로 기반의 영상촬영을 위한 대상지역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대상지역 정보에서 사용자가 조회 및 선택하여 촬영을 원하는 지역에 대한 신청을 접수하고, 접수한 내역에 대해 촬영 여부를 승인하는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
    촬영이 승인된 사용자가 자가차량에 장착된 조사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서버에 업로드하는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
    서버에 업로드 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영상촬영 결과를 승인하고, 조사구간에 따라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며, 조사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정제하고 변환하며, 변환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 전화번호,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 및
    데이터 변환/분석모듈이 분석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에 대해 유통 판매 서비스와 웹 서비스를 통해 도로포장상태와 로드뷰 및 거리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유통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은,
    사용자에게 촬영 신청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국의 도로를 기반으로 블록별 구간단위로 가공한 데이터를 최종 촬영일자와 도로명 및 조사 주기의 속성 정보와 함께 기록 및 관리하는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
    상기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가 관리하는 도로 기반 데이터에 대해 각 도로가 속한 지역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
    사용자로부터 촬영 가능한 대상지와 시기에 대한 조회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전국 도로 데이터 탑재 관리부에서 관리하는 해당 도로의 최종 촬영일자와 상기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가 산출한 해당 대상지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기반으로 촬영 대상지의 촬영시기를 제공하는 도로 조사등급별 촬영시기 제공부;
    상기 도로 조사등급별 촬영시기 제공부와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가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촬영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신청하는 조사구간 선정 신청부; 및
    상기 조사구간 선정 신청부에서 신청한 촬영 지역에 대한 신청 내역을 확인하고 승인하는 조사구간 신청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 조사등급 관리부는,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으로 대상 구간에 포함되는 읍면동별 주거 인구수(Pn), 사업체수(Cn), 편도차로수(Rn), 지하철역사와 버스정류장 수(Tn), 간판변동율(Sn), 사용자갱신요청(Un), 용도지역(Ln) 항목을 적용하되, 각 항목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항목별 중요도 반영을 위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도로지수를 산출하고, 도로지수인 MRI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확인하되,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대상지마다 상기 7개의 항목(Pn, Cn, Rn, Tn, Sn, Un, Ln)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7개의 항목(Pn, Cn, Rn, Tn, Sn, Un, Ln) 각각에 대한 MRI 값을 산출하고 이를 모두 더한 값에 각 촬영 대상지의 거리비중을 적용하여 각 촬영 대상지별 MRI 값을 구하며, 각 촬영 대상지별 MRI 값을 모두 더하여 구한 촬영 대상지 전체의 MRI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은,
    상기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에서 승인된 촬영 신청자 정보 및 촬영 지역 정보를 접수하면 해당 지역을 관리하는 지자체별 조사장비 관리업체에서 촬영 신청자의 자가차량에 조사장비를 장착하고, 조사가 끝난 후 조사장비를 수거하는 것을 관리하는 조사장비 관리부; 및
    상기 조사장비 관리부에서 수거된 조사장비에 저장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촬영자의 정보와 함께 서버에 업로드하는 데이터 업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분석 모듈은,
    상기 촬영 장비 관리/업로드 모듈이 업로드 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GPS 기반으로 위치와 매핑하고, 사용자의 조사 결과를 승인처리하며, 승인처리 내역을 상기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에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이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조사 데이터 승인부;
    상기 조사 데이터 승인부가 매핑한 데이터를 정제하고, 2차원 배경 이미지 및 3차원 모델링(3D modeling)을 통해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 및
    상기 조사 데이터 정제/변환부가 변환한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의 분석엔진을 이용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전화번호 추출,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조사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영상촬영 매칭 서비스 모듈은,
    상기 조사 데이터 승인부에서 승인처리 내역을 전달받으면, 사용자의 도로 영상촬영 거리에 조사단가를 곱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할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계산한 후 사용자의 등록 계좌로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지급하는 조사 비용 계산/지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사단가는 기준 차량의 연비와 기준 에너지 가격을 이용하여 산출한 km 당 기준 에너지 가격과 km 당 택시요금을 고려하여 그 사이에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7. 도로 영상촬영 조사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대상지역을 조회하고 선택하여 촬영을 원하는 지역에 대한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
    사용자의 접수 내역을 확인하여 촬영 여부를 승인하는 단계;
    사용자는 조사 신청 대상지역을 관리하는 해당 지자체의 조사장비 관리업체에서 조사장비를 제공받아 자가차량에 장착한 후 조사 신청 대상지역의 도로 영상촬영을 시작하는 단계;
    도로 영상촬영 후 조사장비 관리업체에 조사장비를 반납하는 단계;
    조사장비 관리업체는 조사장비에 저장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촬영자의 정보와 함께 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
    서버에 업로드 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영상촬영 결과를 승인하고, 조사구간에 따라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
    조사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정제하고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를 딥러닝 기반의 분석엔진을 이용하여 상가 및 간판정보 추출, 문자, 전화번호 추출, 도로시설물 객체 인식 및 도로포장상태 분석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및
    분석 작업이 완료된 도로 영상촬영 데이터에 대해 유통 판매 서비스와 웹 서비스를 통해 도로포장상태와 로드뷰 및 거리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에게 촬영 신청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전국의 도로를 기반으로 블록별 구간단위로 가공한 데이터를 최종 촬영일자와 도로명 및 조사 주기의 속성 정보와 함께 탑재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탑재된 도로 기반 데이터에 대해 각 도로가 속한 지역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청을 접수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가능한 대상지와 시기에 대한 조회를 입력받는 단계;
    해당 도로의 최종 촬영일자와 해당 대상지의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기반으로 촬영 대상지의 촬영시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촬영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 신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 결정을 위한 복수 개의 항목으로 대상 구간에 포함되는 읍면동별 주거 인구수(Pn), 사업체수(Cn), 편도차로수(Rn), 지하철역사와 버스정류장 수(Tn), 간판변동율(Sn), 사용자갱신요청(Un), 용도지역(Ln) 항목을 적용하되, 각 항목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항목별 중요도 반영을 위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도로지수를 산출하고, 도로지수인 MRI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확인하되,
    사용자가 선택한 촬영 대상지마다 상기 7개의 항목(Pn, Cn, Rn, Tn, Sn, Un, Ln)별 값에 따른 가중치와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7개의 항목(Pn, Cn, Rn, Tn, Sn, Un, Ln) 각각에 대한 MRI 값을 산출하고 이를 모두 더한 값에 각 촬영 대상지의 거리비중을 적용하여 각 촬영 대상지별 MRI 값을 구하며, 각 촬영 대상지별 MRI 값을 모두 더하여 구한 촬영 대상지 전체의 MRI 값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도로조사 등급과 조사 주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비용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도로 영상촬영 거리에 조사단가를 곱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할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계산한 후 사용자의 등록 계좌로 도로 영상촬영 조사비용을 지급하되,
    상기 조사단가는 기준 차량의 연비와 기준 에너지 가격을 이용하여 산출한 km 당 기준 에너지 가격과 km 당 택시요금을 고려하여 그 사이에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114417A 2021-08-30 2021-08-30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62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417A KR102362702B1 (ko) 2021-08-30 2021-08-30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417A KR102362702B1 (ko) 2021-08-30 2021-08-30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702B1 true KR102362702B1 (ko) 2022-02-14

Family

ID=8025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417A KR102362702B1 (ko) 2021-08-30 2021-08-30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623A (ko) 2007-11-23 2009-05-27 (주)엠앤소프트 도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94405A (ko) * 2016-12-09 2019-08-13 톰톰 글로벌 콘텐트 비.브이. 비디오 기반 위치결정 및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8408A (ko) * 2019-11-14 2021-05-24 이시완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81983A (ko) 2019-12-24 2021-07-02 한국도로공사 카메라 기반의 자동화된 정밀도로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3623A (ko) 2007-11-23 2009-05-27 (주)엠앤소프트 도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94405A (ko) * 2016-12-09 2019-08-13 톰톰 글로벌 콘텐트 비.브이. 비디오 기반 위치결정 및 매핑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8408A (ko) * 2019-11-14 2021-05-24 이시완 통신망을 이용한 보행도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81983A (ko) 2019-12-24 2021-07-02 한국도로공사 카메라 기반의 자동화된 정밀도로지도 생성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425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sion of physical movements to carbon units
RU2649847C2 (ru) Способ считывания регистрационных номеров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201500090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parking spaces management using image processing
US11308734B2 (en) Mobile device and navigation device toll paying system and method
CN106846517B (zh) 一种基于路径识别的高速公路收费方法
US9665991B2 (en) Tolling using mobile device
JP2021047887A (ja) 合法な駐車の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US8432297B2 (en) Parking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006725A1 (en) Tolling integration technology
US201601553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voidance of parking violations
US202001520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ing parking occupancy
Yan et al. Crowdpark: A crowdsourcing-based parking reservation system for mobile phones
KR102187313B1 (ko)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JP2004094699A (ja) 車両共同利用の仲介システム
KR20200127842A (ko) 실시간 공유주차 서비스시스템
Alharbi et al. Web-based framework for smart parking system
JP2013214265A (ja) 空き駐車場管理システム
Hössinger et al. Development of a real-time model of the occupancy of short-term parking zones
KR100811176B1 (ko) 주차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6622B1 (ko) Lbs 기반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사고 민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Huang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vailable parking slots on the roadsides in urban areas
KR102362702B1 (ko) 개인의 자가차량을 이용한 도로주변 영상 촬영 매칭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N205158653U (zh) 一种开放区域无人值守的智能停车管理系统
CN116665476A (zh) 一种智能停车场标准化信息采集方法、系统、设备及终端
Bahrami et al. Developing a solution for intelligent urban transportation manage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