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392B1 -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 Google Patents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392B1
KR102362392B1 KR1020210092382A KR20210092382A KR102362392B1 KR 102362392 B1 KR102362392 B1 KR 102362392B1 KR 1020210092382 A KR1020210092382 A KR 1020210092382A KR 20210092382 A KR20210092382 A KR 20210092382A KR 102362392 B1 KR102362392 B1 KR 10236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quality
sewage
buoy
pair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용
구종회
Original Assignee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4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OR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0Solids, e.g. total solids [TS], total suspended solids [TSS] or volatile solids [V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1Turb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3O3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수조 하우징내에 유입되는 하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부표를 배치하고, 이러한 상기 부표에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는, 하수 유입구 및 하수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조 하우징; 상기 수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부력에 의해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하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하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수질측정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들; 및 상기 부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탄성력에 의해 탈부착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WATER-QUALITY MEASURING APPARATUS FOR PRETREATING WASTE WAT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수조 하우징에 유입되는 하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는 수처리 과정에서 전처리 공정으로 하수등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과 흙이나 모래등의 침사물을 분리 제거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예컨데, 통상적인 하수 전처리 장치는 고정 스크린으로 하수에 포함된 대형 협잡물을 제거하고, 그 다음 하수에 포함된 소형 협잡물은 다시 2차 스크린에 의해 제거하며, 그리고, 하수에 포함된 모래등 침사물을 원심 분리기등으로 분리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하수 전처리 장치는 하수의 수질을 측정하는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수의 수질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용존산소(DO)나 수소이온농도(pH)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통상 용존산소(DO) 및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은 용존산소(DO) 센서나 수소이온농도(pH)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예컨데, 측정 하수가 담겨진 수조내에 상기 센서들을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된 센서들은 측정 하수에 담겨짐과 동시에 접촉되어 용존산소(DO) 및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센서들은 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측정 하수의 용존산소(DO) 및 수소이온농도(pH)을 측정하는 구조이다.
예컨데, 측정 하수는 수조내에 상기 센서들의 고정된 위치까지 채워야함으로 상기 센서들은 하수의 수질 측정을 신속하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고, 더불어 상기 센서들은 유입되는 하수가 적을 경우, 하수와 상기 센서들이 접촉되지 않아 하수의 수질을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센서들은 수조내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나사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센서들의 고정에 따른 수리를 위해 교체할 경우, 상기 볼트와 너트를 모두 풀어야함으로 상기 센서들의 교체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5697호(2012.04.13 공고)가 있으면, 상기 선행문헌에는 "복합 센싱기술을 이용한 수질계측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수의 수질을 신속하고 빠르게 측정하기 위해 수조 하우징내에 유입되는 하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탈부착시키는 부표를 구성할 수 있는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부표에서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탄성력에 의해 간편하게 탈부착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는, 하수 유입구 및 하수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조 하우징; 상기 수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부력에 의해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하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하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수질측정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들; 및 상기 부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탄성력에 의해 탈부착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부표의 길이방향의 양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부표를 상기 제 1, 2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한쌍의 부표 가이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탈착구조는, 상기 부표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복수개의 관통홀들;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들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력에 의해 직선이동하여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키는 한쌍의 걸이부; 및 상기 부표에 형성된 한쌍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걸이부가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수질측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하수의 수질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수조 하우징의 내부에 하수의 유입과 동시에 하수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이 배치된 부표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상기 부표는 수조 하우징에 유입된 하수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부표에 배치된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에 의해 하수의 수질을 신속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표는 하수의 수질 측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표에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탄성력에 의해 탈부착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들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표는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이 고정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서들의 교체 작업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측단면도로서, 탈부착 구조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 측단면도로서, 탈부착 구조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100)는, 수조 하우징(110)내에 유입되는 하수(C1)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부표(120)를 구성하고, 이러한 상기 부표(120)에 하수(C1)의 수질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수 전처리 장치(미도시됨)는 하수(C1)에 포함된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침사물과 슬러지 등과 같은 협잡 물을 걸러내기 위한 장치로서, 하수(C1)를 유입시키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C1)에 포함되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필터와, 상기 스크린 필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스크린 필터를 지나 하우징의 바닥으로 가라앉은 침사물을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으로 이송된 침사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송시켜 침사물을 탈수시키는 탈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상기 하수 전처리 장치(미도시됨)의 구성인 상기 하우징, 상기 스크린 필터,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상기 탈수부는 미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100)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측단면도로서, 탈부착 구조(140)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며,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 측단면도로서, 탈부착 구조(140)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100)는, 수조 하우징(110), 부표(120),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 및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조 하우징(110)은 에 채워진 하수(C1)를 유입하기 위해 하수 유입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수조 하우징(110)의 하수 유입구(111)는 상기 하수 전처리 장치용의 하우징(미도시됨)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조 하우징(110)은 상기 하수 유입구(111)를 통해 상기 하수 전처리 장치용의 상기 하우징에 채워진 하수(C1)를 유입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조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상기 부표(120)의 길이방향의 양일단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부표(120)를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한쌍의 부표 가이드부(113)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한쌍의 부표 가이드부(113)는 상기 수조 하우징(110)의 내측에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부표 가이드부(113)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방향(①) 또는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부표(120)의 양일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수조 하우징(110)내에 측정 하수(C1)가 유입될 경우, 상기 부표(120)는 상기 유입된 하수(C1)의 부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표(120)의 양일단은 상기 한쌍의 부표 가이드부(1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조 하우징(110)에 배치된 하수 배출구(112)를 통해 상기 수조 하우징에 유입된 상기 하수(C1)를 배출할 경우, 상기 부표(120)는 배출된 하수(C1)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표(120)의 양일단은 상기 한쌍의 부표 가이드부(1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표(120)는 상기 수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부표(120)는 상기 하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상기 측정 하수(C1)의 부력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하강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부표(120)는 상기 수조 하우징(110)에 유입되는 하수(C1)의 유입량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부표(120)는 상기 수조 하우징(110)에 하수(C1)량이 적어도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표(120)는 적은향의 하수(C1)로도 하수의 수질을 상기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은 유입된 하수(C1)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부표(120)에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은 상기 하수(C1)의 수질을 측정하고, 수질측정 신호를 후술하는 프로세서(150)에 인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들은 상기 부표(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들은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을 탄성력에 의해 탈부착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들은 복수개의 관통홀(141)들, 한쌍의 걸이부(142) 및 한쌍의 탄성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들은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과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관통 결합되거나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분리되도록 상기 부표(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에 형성된 걸림홈(131)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②)의 수직인 제 3 방향(③)을 향하여 직선 이동하여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을 상기 부표(120)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들에 결합시킬 경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에 형성된 반구형의 결합부(132)가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에 접촉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반구형의 결합부는 상기 한쌍의 걸이부의 사이에 배치됨과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반구형의 결합부(132)를 좀 더 밀면, 상기 반구형의 결합부(132)는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를 상기 제 3 방향(③)을 향하여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반구형의 결합부(13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반구형의 결합부(132)가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에 접촉되고,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반구형의 결합부(132)의 양측으로 상기 제 3 방향(③)을 향하여 직선 이동시킴과 동시에 후술하는 한쌍의 탄성 부재(143)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반구형의 결합부(132)를 좀 더 밀어서 이동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도 함께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걸림홈(131)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가 상기 걸림홈(131)에 위치할 경우,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한쌍의 탄성 부재(143)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3 방향(③)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걸림홈(13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걸림홈(131)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을 상기 부표(120)에 걸려 고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탄성 부재(143)는 상기 부표(120)에 형성된 한쌍의 수용 공간(121)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한쌍의 탄성 부재(143)는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가 상기 제 3 방향(③)을 향하여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쌍의 수용 공간(121)에는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에 형성된 걸림 돌기(142b)와 걸려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가 상기 한쌍의 수용 공간(121)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에는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가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반구형의 결합부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제 3 방향(③)을 향하여 직선 이동하는 접촉부(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접촉부(142a)는 상기 한쌍의 수용 공간(121)에 형성된 인입/인출홀(122)에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접촉부(142a)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결합부(132)에 접촉될 경우, 상기 인입/인출홀(122)에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42a)는 상기 결합부(132)를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에 형성된 걸림홈(13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부(142a)는 상기 한쌍의 탄성 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입/인출홀(122)에서 인출되어 상기 걸림홈(131)에 결합되어 걸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에 형성된 걸림 돌기(142b)는 상기 한쌍의 수공 공간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재(121a)에 걸려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가 상기 걸림홈(131)에서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가 상기 걸림홈(13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수온 (Water Temperature) 을 측정하는 수온 측정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탁도 (Turbidity) 를 측정하는 탁도 측정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잔류 연소 (Chlorine)를 측정하는 잔류염소 측정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는 수소이온농도 측정센서(130),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산화 환원전위 (ORP)를 측정하는 산화 환원전위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용존산소(DO)를 측정하는 용존산소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전기전도도 (Conductivity)를 측정하는 전기전도도 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염분도(Salinity)를 측정하는 염분도 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총용존고형물 (TDS)을 측정하는 총용존고형물 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유물질농도(MLSS)를 측정하는 유물질농도 센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부유물질농도(SS)를 측정하는 부유물질농도 센서 및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오존(Ozone)을 측정하는 오존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앞서 개시한 모든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상기 개시된 센서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상기 개시된 수질이외에 하수(C1)에 포함된 다른 수질을 측정하는 센서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 중 하기 탁도 측정센서 및 용존산소센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하수(C1) 수질 측정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로부터 인가된 측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수온, 탁도, 잔류 연소, 수소이온농도, 산화 환원전위,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염분도, 총용존고형물, 유물질농도, 부유물질농도 및 오존등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조작부(170), 디스플레이부(160) 및 메모리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조작부(170)는 지원되는 기능을 프로세서(150)의 지원하에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상기 프로세서(150)에 제어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조작부(170)로부터 수질 측정수행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복수개의 광검출기(미도시됨)들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수온, 탁도, 잔류 연소, 수소이온농도, 산화 환원전위,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염분도, 총용존고형물, 유물질농도, 부유물질농도 및 오존등이 기록된 복수개의 테이블(미도시됨)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프로세서(150)는 복수개의 광원(미도시됨)들을 구동하여 복수개의 광원(미도시됨)들에서 출사된 광에 대응되어 복수개의 광검출기(미도시됨)들로부터 수신된 값을 복수개의 테이블(미도시됨)들과 비교하여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수온, 탁도, 잔류 연소, 수소이온농도, 산화 환원전위,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염분도, 총용존고형물, 유물질농도, 부유물질농도 및 오존등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데, 앞서 개시한 상기 탁도 및 상기 용존산소의 측정을 구체적인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제 1 광원(미도시됨)을 구동하여 제 1 광원에서 출사된 광에 대응되어 제 1 광검출기(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값을 제 1 테이블(미도시됨)과 비교하여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탁도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50)는 제 2 광원(미도시됨)을 구동하여 제 2 광원에서 출사된 광에 대응되어 제 2 광검출기(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값을 제 2 테이블(미도시됨)과 비교하여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용존 산소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산출된 상기 탁도값 또는 용존 산소값을 확인하여 하수(C1)의 탁도 상태 또는 용존 산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수온, 상기 잔류 연소, 상기 수소이온농도, 상기 산화 환원전위, 상기 전기전도도, 상기 염분도, 상기 총용존고형물, 상기 유물질농도, 부유물질농도 및 오존도 앞서 설명한 상기 탁도 또는 상기 용존 산소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테이블들은 실험에 의해 광수신값과 수온, 탁도, 잔류 연소, 수소이온농도, 산화 환원전위,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염분도, 총용존고형물, 유물질농도, 부유물질농도 및 오존들의 관계를 미리 구해 기록해 놓은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10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100)는, 수조 하우징(110), 부표(120),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 및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수조 하우징(110)은 하수 전처리 장치의 구성인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수조 하우징(110)는 하수 유입구(111) 및 하수 배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수 유입구(111)는 상기 하수 전처리 장치의 하우징에 채워진 하수(C1)를 유입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수조 하우징(110)의 하수 유입구(111)는 유입되는 하수(C1)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하수 전처리 장치(미도시됨)의 하우징(미도시됨)과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조 하우징(110)내에는 상기 하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C1)의 부력에 의해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상기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하강하는 부표(12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부표(120)의 길이방향의 양일단은 상기 수조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된 부표 가이드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표(120)에는 복수개의 관통홀(141)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들에는 상기 하수(C1)의 수질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을 탈부착가능하도록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내에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을 탄성력에 의해 탈부착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들은 복수개의 관통홀(141)들, 한쌍의 걸이부(142) 및 한쌍의 탄성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들은 상기 부표(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들에 상기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130)들을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앞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들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이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들내에 삽입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반구형의 결합부(132)가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에 접촉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반구형의 결합부(132)는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의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을 좀 더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내에 삽입시키면, 상기 반구형의 결합부(132)도 함께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반구형의 결합부(132)는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를 상기 제 2 방향의 수직인 제 3 방향(③)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부표(120)의 한쌍의 수용 공간(121)에 배치된 한쌍의 탄성 부재(14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 좀 더 밀어서 이동시키면,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에 형성된 걸림홈(131)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홈(131)은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와 대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가압되어 있던 상기 한쌍의 탄성 부재(143)가 인장됨과 동시에 걸림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한쌍의 탄성 부재(143)의 인장에 따라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는 상기 걸림홈(131)에 삽입됨과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에 형성된 걸림 돌기(142b)는 상기 한쌍의 수공 공간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재(121a)에 걸려 상기 한쌍의 걸이부(142)가 상기 걸림홈(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들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반구형의 결합부(132)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141)의 외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이 결합된 부표(120)는 상기 수조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된 부표 가이드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부표(120)의 길이방향의 양일단은 상기 부표 가이드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수(C1)를 상기 수조 하우징(110)의 상기 하수 유입구(111)를 통해 상기 수조 하우징(110)내에 유입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하수(C1)가 상기 하수 유입구(111)를 통해 상기 수조 하우징(110)내에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부표(120)는 유입된 하수(C1)의 부력에 의해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포에 걸려 고정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유입된 하수(C1)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유입된 하수(C1)의 수질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하수(C1)는 상기 수조 하우징(110)에 유입됨과 동시에 바로 상기 부표(120)에 걸려 고정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에 의해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수온, 탁도, 잔류 연소, 수소이온농도, 산화 환원전위,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염분도, 총용존고형물, 유물질농도, 부유물질농도 및 오존등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수(C1)의 수질에 대한 수온, 탁도, 잔류 연소, 수소이온농도, 산화 환원전위,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염분도, 총용존고형물, 유물질농도, 부유물질농도 및 오존등의 측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설명된 상기 프로세서(150), 상기 조작부(170), 상기 디스플레이부(160) 및 상기 메모리부(180)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하수(C1)가 수조 하우징(110)의 하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수조 하우징(110)내에 배치된 부표(120)를 상기 하수(C1)의 부력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부표(120)에 걸려 고정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유입된 하수(C1)와 바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은 하수(C1)의 수질을 신속하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표(120)는 한쌍의 탄성 부재(14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을 탈부착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들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표(120)는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140)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을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표(120)에서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130)들의 보수 및 수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수질 계측기 110: 수조 하우징
120 : 부표 130 : 수질 측정센서
140 : 탈부착 구조 150 : 프로세서
160 : 디스플레이부 170 : 조작부
180 : 메모리부
C1 : 하수

Claims (4)

  1.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에 있어서,
    하수 유입구 및 하수 배출구를 포함하는 수조 하우징;
    상기 수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의 부력에 의해 제 1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여 하강하는 부표;
    상기 부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하수의 수질을 측정하고, 수질측정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복수개의 수질 측정센서들; 및
    상기 부표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탄성력에 의해 탈부착시키는 복수개의 탈부착 구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탈착구조는,
    상기 부표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복수개의 관통홀들;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들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에 형성된 걸림홈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의 수직인 제 3 방향을 향하여 직선이동하여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키는 한쌍의 걸이부; 및
    상기 부표에 형성된 한쌍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걸이부가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들에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결합할 경우, 상기 한쌍의 걸이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의 반구형의 결합부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제 3 방향을 향하여 상기 한쌍의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경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 3 방향을 향하여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결합되어 걸림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을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들에 고정시키고,
    상기 한쌍의 수용 공간에는 상기 한쌍의 걸이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와 걸려 상기 한쌍의 걸이부가 상기 한쌍의 수용 공간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형성되는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부표의 길이방향의 양일단과 결합되고, 상기 부표를 상기 제 1, 2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한쌍의 부표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질측정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수질측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하수의 수질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KR1020210092382A 2021-07-14 2021-07-14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KR10236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382A KR102362392B1 (ko) 2021-07-14 2021-07-14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382A KR102362392B1 (ko) 2021-07-14 2021-07-14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392B1 true KR102362392B1 (ko) 2022-02-14

Family

ID=8025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382A KR102362392B1 (ko) 2021-07-14 2021-07-14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97B1 (ko) * 2011-09-14 2012-04-13 (주)썬텍엔지니어링 복합 센싱기술을 이용한 수질계측기
KR101503030B1 (ko) * 2013-05-27 2015-03-1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센서 교체가 용이한 워터 센서 프로브
KR101723095B1 (ko) * 2015-10-14 2017-04-05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교체가 용이한 프로브 장치
KR20190012834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무선통신 기반 양식장 환경 모니터링 장치
KR20210060041A (ko) * 2019-11-18 2021-05-26 이레엔빛 주식회사 수질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97B1 (ko) * 2011-09-14 2012-04-13 (주)썬텍엔지니어링 복합 센싱기술을 이용한 수질계측기
KR101503030B1 (ko) * 2013-05-27 2015-03-19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센서 교체가 용이한 워터 센서 프로브
KR101723095B1 (ko) * 2015-10-14 2017-04-05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교체가 용이한 프로브 장치
KR20190012834A (ko) *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디바이스넷 무선통신 기반 양식장 환경 모니터링 장치
KR20210060041A (ko) * 2019-11-18 2021-05-26 이레엔빛 주식회사 수질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7508B2 (ja) 排水処理を監視するための装置
JP4817100B2 (ja) 水質モニタリング装置
AU2007320194B2 (en) Apparatus for sensing precipitation density of sludge in waste water treatment tank and method therefor
CN106053720B (zh) 校准系统
KR20150143863A (ko) 전류측정식 센서 시스템
JP2006194775A (ja) 光路長可変型セル、それを使用した吸光度測定方法、並びにそれらを使用したcod測定方法及び装置
KR102362392B1 (ko) 하수 전처리 장치용 수질 계측기
EP2746751A1 (de) Vorrichtung zur optischen Überwachung eines Parameters einer Flüssigkeitsprobe
JP2000131310A (ja) 水質計の自己診断機能
KR100939969B1 (ko) 부유물질 자동 측정장치
FI70329B (fi) Anordning foer maetning av sedimentationsegenskaperna foer fasta aemnespartiklar
CA2569347A1 (en) Optical measuring device
CN207623217U (zh) 一种水质自动检测设备
KR101753453B1 (ko) 중공사막 여과장치 및 그의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KR100904918B1 (ko) 온라인 탁도 측정기
JP2010091309A (ja) 非接触水質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102620429B1 (ko) 이물질과 기포의 제거기능을 가진 다항목 수질 계측기
JP4204712B2 (ja) カチオン検出装置、カチオン検出方法、水処理装置、及び超純水製造装置
KR102167013B1 (ko) Tro 디텍터 및 이를 위한 다채널 솔레노이드 기반 액체 펌프
JP3575341B2 (ja) 水質計,水質測定方法、及び水質監視システム
SU1002916A1 (ru) Прибор дл экспресс-анализа жидкостей
KR101270852B1 (ko) 소프트웨어 센서를 이용한 총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CN108732982B (zh) 一种污泥含量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51059B1 (ko) 여과수 입자 감시시스템
AT513774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ptischen Überwachung eines Parameters einer Flüssigkeitspr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