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381B1 - 수납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수납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381B1
KR102362381B1 KR1020200054691A KR20200054691A KR102362381B1 KR 102362381 B1 KR102362381 B1 KR 102362381B1 KR 1020200054691 A KR1020200054691 A KR 1020200054691A KR 20200054691 A KR20200054691 A KR 20200054691A KR 102362381 B1 KR102362381 B1 KR 102362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op plate
upper plate
folded
s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440A (ko
Inventor
준 혁 박
Original Assignee
박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혁 filed Critical 박준혁
Priority to KR102020005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8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6Extensi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다단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를 쉽게 인출하게 하고 그 위에 다단으로 접은 상판을 펼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게 편리하게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판을 펼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납형 테이블을 제공한다. 특히, 적어도 3단으로 구성한 가이드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위에 단수보다 하나 적게 구성한 상판을 펼쳐서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2배 이상의 넓이로 연장하여 원하는 넓이로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납형 테이블을 제공한다. 이때, 여러 개의 상판을 경첩으로 연결하고, 이들 상판을 지그재그 형태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여러 개의 상판을 접었을 때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펼쳤을 때는 넓은 상판 크기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수납형 테이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납형 테이블{PULL-OUT TABLE}
본 발명은 수납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3단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를 이용하여 테이블의 폭 방향으로 적어도 2배만큼 크기를 확장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테이블에 수납한 상판의 개수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상판을 쉽고 편리하게 확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확장형 테이블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할 때만 펼쳐서 넓게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한 테이블을 말한다. 이러한 확장형 테이블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게 제작하여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803436호
기능성 확장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지지다리를 갖는 고정 테이블의 상판 프레임에 슬라이드 상판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상판의 인출측 단부에 폴딩 상판이 결합된 기능성 확장 테이블에서, 상기 상판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부재의 양단부에 가로 프레임 부재의 일측 단부가 결합구에 의하여 직각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세로 프레임 부재의 일측 하부에 지지다리가 착탈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로 프레임 부재는 각각 내측에 길이 방향을 갖는 요부 가이드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 상판은 세로방향의 양측에 각각 철부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요부 가이드에 슬라이드 인,입출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드 상판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지지다리가 착탈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폴딩 상판은 일측 하부에 구비된 요부 힌지편이 슬라이드 상판의 타측 하부에 구비된 철부 힌지편에 폴딩 힌지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폴딩 상판의 타측 하부에 각각 지지다리가 착탈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필요한 만큼의 테이블의 확장과 보관 및 운반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공간활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5726호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가 개시된다. 상기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 슬라이딩 수납되고 확장 가능한 확장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테이블은, 수평 배치되고 수평 선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절첩되는 상판; 및 상기 상판 하부에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고 수직 선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절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지지판은 직각으로 접하는 일측 부분만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판 및 지지판이 접혀진 상태로 수납부에 슬라이딩되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4194호
필요에 따라 테이블의 넓이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의 편의성을 한층 도모할 수 있는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제1상판을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2상판을 우측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링크가 같이 움직이게 되며, 그와 동시에 받침몸체의 공간부에 위치한 중간판이 링크의 움직임에 의해 받침몸체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상판과 제2상판 사이에 중간판이 위치하여 테이블의 넓이가 넓어짐으로써 더 많은 물건을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다시 넓이를 좁히고자 할 경우에는 제1상판을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2상판을 좌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링크의 움직임으로 중간판을 공간부 안으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의 넓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넓이거나 좁혀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확장형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확장할 수 있는 면적의 크기에 한계가 있다.
(2) 즉, 테이블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판을 빼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이 테이블의 폭 이상의 크기로 테이블을 확장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3) 이는, 테이블과 확장한 상판 사이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크기는 상판 크기로 확장한 방향이 바뀌었을 뿐 테이블의 크기를 확장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4) 이러한 넓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배 정도 크기로 확장할 수 있는 확장형 테이블이 있으나, 이러한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다.
(5) 커진 만큼 상판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안내하는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사용할 때 불편하다.
(6) 예를 들어서, 낱개로 구성한 상판을 하나씩 펼쳐서 상판 크기를 확장하거나, 여러 개의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을 수동으로 위치 조절하거나 펼쳐야 하므로 불편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3436호 (등록일: 2017.11.24)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5726호 (공개일: 2018.03.09)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54194호 (공개일: 2019.05.2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다단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를 쉽게 인출하게 하고 그 위에 다단으로 접은 상판을 펼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게 편리하게 다단으로 이루어진 상판을 펼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납형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3단으로 구성한 가이드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위에 단수보다 하나 적게 구성한 상판을 펼쳐서 사용함으로써, 적어도 2배 이상의 넓이로 연장하여 원하는 넓이로 쉽게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수납형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상판을 경첩으로 연결하고, 이들 상판을 지그 재그 형태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여러 개의 상판을 접었을 때는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펼쳤을 때는 넓은 상판 크기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수납형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테이블은, 측면에 개폐할 수 있는 마감문(111)을 갖춘 수용공간(110)을 형성한 본체(100); 적어도 3단으로 연장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110)에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할 수 있도록 서로 나란하게 장착한 적어도 3개의 가이드(200); 및 여러 개로 이루어지되, 첫 번째 상판이 상기 가이드(200)의 두 번째 가이드 위에 고정 설치하여 수용공간(110)에 수납하며, 상기 가이드(200)를 연장했을 때 그 위에 펼쳐서 사용하는 상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200)는 3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300)은 2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200)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판(300)의 한쪽 면이 상기 가이드(200)의 두 번째 가이드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00)는 3단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300)은 상기 가이드(200)의 단수보다 하나 적은 개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200)의 길이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경첩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하고, 상판(300)의 첫 번째 면이 상기 가이드(200)의 두 번째 가이드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00)에는, 첫 번째 가이드의 바깥쪽 끝에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완전하게 인출한 상판(3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10)을 갖추되, 상기 고정수단(210)은 상기 가이드(200)에 탄성 지지를 받아 돌출한 한쪽 끝이 상판(300)에 걸림 작용하고, 상기 상판(300)을 강제로 밀면 걸림 작용이 해제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00)에는, 상기 상판(300)을 펼쳤을 때 맞닿는 면에는 충격 흡수용 완충 부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200)는,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완전하게 인출했을 때 가이드(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 다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테이블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가이드를 이용하여 상판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꺼내고, 그 위에 상판을 펼쳐서 사용함으로, 누구든지 쉽게 상판의 크기를 연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가이드의 단수보다 하나 적은 개수로 상판을 구성함으로, 상판의 전체 면적을 쉽게 연장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이러한 상판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만 확보할 수 있으면 원하는 만큼 넓은 상판을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상판을 경첩과 같이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함으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상판을 쉽게 회전시켜 펼쳐서 사용하거나 반대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다.
(4) 3단 이상으로 상판을 구성했을 때는 지그재그 형태로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 수납공간에서 인출한 상태에서 제일 위에 놓인 상판을 잡아서 펼치는 간단한 방법으로 쉽게 여러 개로 구성한 상판을 펼치거나 접어서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테이블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테이블에서 마감문을 열고 가이드를 인출한 상태에서 상판을 젖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인출한 가이드 위에 상판을 완전히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 구성에서 수용공간을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분리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에 가이드를 2열로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에 2열로 장착한 가이드 위에 상판을 배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공간에 2열로 장착한 가이드 위에 배치한 상판을 고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에 설치하여 수납공간에서 상판이 완전히 인출했을 때 상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확대한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수납형 테이블은,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본체(100), 적어도 3개의 가이드(200), 그리고 상판(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상판(300)은 상기 본체(100)에서 인출한 다단으로 이루어진 가이드(200) 위에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본체(100)에서 쉽게 가이드(200)를 인출하여 그 위에 상판(300)을 펼쳐서 쉽게 상판(300) 크기를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200)는 적어도 3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판(300)은 가이드(200)의 단수보다 하나 적게 구성함으로써, 가이드의 단수보다 하나 적은 배수만큼 상판(300) 크기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본체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8]과 같이, 테이블의 전체 크기와 형상을 구성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통상적으로 테이블을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함으로, 여기서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특히, 상기 본체(100)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수납공간(110)을 형성한다. 수납공간(110)은 후술할 가이드(200)와 상판(300)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11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상판(300)을 펼쳤을 때 의자를 이용하여 앉거나 의자 없이 바로 앉아서 상판(300)을 이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11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그 측면으로 마감문(111)을 개폐할 수 있게 장착하고, 이 마감문(111)을 통해 상판(300)을 인출하여 그 넓이를 확장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수납공간(110)에는, [도 2]·[도 5] 및 [도 6]과 같이, 후술할 상판(300)을 지지하여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200)를 장착한다.
나. 가이드
가이드(2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술한 수납공간(110)에 적어도 한 쌍을 나란하게 장착한다. 이는, 후술할 상판(3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300)의 한쪽 가장자리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판(300)이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가이드(200)는 상판(300)의 길이와 넓이를 고려하여 두 개 이상 나란하게 설치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200)는, 서랍장용 슬라이더(Drawer Sliders)로 잘 알려진 가이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여러 개의 슬라이더를 연결하고, 이들 슬라이드를 나란하게 움직이게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길이만큼 쉽게 확장할 수 있고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200)는, [도 2]·[도 3]·[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적어도 3단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첫 번째 슬라이더는 상술한 수납공간(110)에 고정 설치하여 가이드(200)와 상판(300)의 전체 중량을 지지할 수 있게 하고, 두 번째 슬라이더에는 첫 번째 상판(300)을 고정하게 하며, 나머지 슬라이더에는 이렇게 고정한 첫 번째 상판(300)에 고정한 다른 상판을 펼쳤을 때 펼친 상태를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가이드(200)는 적어도 3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수납공간(110)에 고정한 첫 번째 슬라이더를 제외한 나머지 가이드(200)를 통해 여러 개의 상판(300)을 지지할 수 있어 그만큼 상판(300)의 면적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200)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3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장착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보다 단수가 더 많게 제작한 가이드(2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0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후술할 상판(300)을 펼쳤을 때 상판이 맞닿는 부분, 특히 상판의 가장자리나 모서리 등이 맞닿는 부분에는 고무나 실리콘 그리고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용 완충 부재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판(300)이 가이드(200) 위에 급격하게 펼쳐지더라도 소음을 줄이면서 가이드(200)나 상판(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20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납공간(110)에서 인출했을 때 전체 길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 다리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 다리는 수납공간(110)에서 완전하게 인출한 가이드(200)의 길이와 넓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200)에는, [도 5]·[도 6] 및 [도 8]과 같이, 첫 번째 슬라이더의 바깥으로 돌출한 끝 부분에는 고정수단(210)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210)은 가이드(200)를 완전하게 인출했을 때 후술할 상판(300)이 쉽게 수납공간(110) 안으로 밀려 들어오지 않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일종의 스토퍼이다. 이러한 고정수단(210)은 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한쪽이 상판(300)에 형성함 홈 등에 걸려 걸림 작용을 하고, 상판(300)이나 인출한 가이드(200) 끝에 힘을 가하면 상판(300)이 고정수단(210)을 강제로 밀어내면서 걸림이 해제되게 상판(300)이 수납공간(110) 안으로 수납할 수 있게 한다.
다. 상판
상판(300)은, [도 1] 내지 [도 3]·[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여러 개를 접을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이들 상판(300)은 경첩으로 고정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연결함으로써, 쉽게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2개를 접을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30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가이드(200)를 완전히 수납하게 했을 때 두 개의 가이드(200) 사이의 넓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러 개의 상판(300)을 접었을 때 나란하게 설치한 두 개의 가이드(200) 위에 올려 수납할 수 있게 하고, 가이드(200)를 펼쳤을 때는 가이드(200)를 구성하는 각 슬라이더가 각각 하나씩 상판(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판(300)은, [도 2]·[도 3]·[도 6] 및 [도 7]과 같이, 첫 번째 상판이 가이드(200)의 두 번째 슬라이더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상판(300)은 가이드(200)를 구성하는 단수보다 하나 적은 개수로 구성하여 경첩 등으로 접을 수 있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판(300)은 적어도 3개로 구성했을 때는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경첩으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상판(300)을 세워서 쉽게 펼치거나 접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여기서, 지그재그 형태는 여러 개의 상판(300)을 경첩을 이용하여 길게 띠 형태로 조립하되, 이웃하게 조립한 두 개의 상판(300)이 서로 마주하게 접을 수 있게 조립한 형태를 말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를 인출하고 그 위에 상판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적어도 2배로 상판의 크기를 확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본체
110: 수납공간
111: 마감문
200: 가이드
210: 고정수단
300: 상판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측면에 개폐할 수 있는 마감문(111)을 갖춘 수용공간(110)을 형성한 본체(100);
    적어도 3단으로 연장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110)에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할 수 있도록 서로 나란하게 장착한 적어도 3개의 가이드(200); 및
    여러 개로 이루어지되, 첫 번째 상판이 상기 가이드(200)의 두 번째 가이드 위에 고정 설치하여 수용공간(110)에 수납하며, 상기 가이드(200)를 연장했을 때 그 위에 펼쳐서 사용하는 상판(30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200)에는,
    첫 번째 가이드의 바깥쪽 끝에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완전하게 인출한 상판(30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210)을 갖추되, 상기 고정수단(210)은 상기 가이드(200)에 탄성 지지를 받아 돌출한 한쪽 끝이 상판(300)에 걸림 작용하고, 상기 상판(300)을 강제로 밀면 걸림 작용이 해제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형 테이블.
  5. 삭제
  6. 제4항에서,
    상기 가이드(200)는,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완전하게 인출했을 때 가이드(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 다리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형 테이블.
KR1020200054691A 2020-05-07 2020-05-07 수납형 테이블 KR10236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91A KR102362381B1 (ko) 2020-05-07 2020-05-07 수납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91A KR102362381B1 (ko) 2020-05-07 2020-05-07 수납형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40A KR20210136440A (ko) 2021-11-17
KR102362381B1 true KR102362381B1 (ko) 2022-02-11

Family

ID=7870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691A KR102362381B1 (ko) 2020-05-07 2020-05-07 수납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738A (ja) * 2003-06-02 2004-12-24 Michiko Sakuma スライド式補助カウンター
KR101949100B1 (ko) * 2018-09-27 2019-02-15 신경희 보조 테이블 출입형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436B1 (ko) 2015-09-08 2017-12-28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기능성 확장 테이블
KR20180025726A (ko)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디아이티랩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KR20190054194A (ko) 2017-11-12 2019-05-22 주명준 넓이 확장형 가변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738A (ja) * 2003-06-02 2004-12-24 Michiko Sakuma スライド式補助カウンター
KR101949100B1 (ko) * 2018-09-27 2019-02-15 신경희 보조 테이블 출입형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40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758B2 (en) Folding cabinet bed with telescoping slide-out support platform
CA2621529C (en) Stowable fold-out/roll-out dinette table assembly
US3394666A (en) Foldable utility table
US4829910A (en) Folding table for a recreational vehicle
KR100795170B1 (ko) 슬라이딩 테이블
US2535646A (en) Combination cabinet and extensible table
US6053116A (en) Foldable table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102362381B1 (ko) 수납형 테이블
AU716512B2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101902549B1 (ko) 슬라이딩식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장 겸용 테이블
KR10261479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US3072453A (en) Folding extension table device
US2353331A (en) Cabinet structure
KR200492097Y1 (ko) 가변형 보조테이블이 구비된 가구
US20130269574A1 (en) Expandable and collapsible tables and related methods
US3636548A (en) Self-storing extension table
CN211242114U (zh) 折叠桌子
CN112641212A (zh) 折叠桌子
KR20170000391U (ko) 접이식 이동선반
US10028579B2 (en) Collator
US2004896A (en) Folding furniture
KR101916917B1 (ko) 패널 간 높이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 확장형 테이블
KR200287512Y1 (ko) 책상이 결합된 책장
KR101384275B1 (ko) 책상용 방음칸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