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261B1 - 이동 기지국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기지국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261B1
KR102362261B1 KR1020200122647A KR20200122647A KR102362261B1 KR 102362261 B1 KR102362261 B1 KR 102362261B1 KR 1020200122647 A KR1020200122647 A KR 1020200122647A KR 20200122647 A KR20200122647 A KR 20200122647A KR 102362261 B1 KR102362261 B1 KR 102362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haul network
base station
mobile base
interface
backha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준
강신하
이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캐스트
Priority to KR102020012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04L61/2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45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and backbone network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기지국 및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기지국은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코어망과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망과 접속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동 기지국은 복잡한 설치 또는 설정 절차없이 빠르고 용이하게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백홀망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기지국 및 동작 방법{Mobile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다양한 실시 예는 이동 기지국 및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코어 망(core network)과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LTE, 5G 등의 이동통신의 엑세스 네트워크와 휴대전화를 연결하는 기지국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기지국과 코어 망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연결되는 망을 백홀망(backhaul)이라고 부른다.
한편 최근에 재난망 또는 군 무선 통신을 위해 이동 기지국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동기지국은 군부대와 함께 이동하면서 군부대 내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거나 또는 재난에 의해 기지국 시설이 모두 소실된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기지국 또한 정상적인 동작을 위하여 코어 망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백홀망이 요구되는데 이동기지국 특성상 백홀망 연결 환경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이동기지국과 연결되는 백홀망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환경에서 용이하고 빠르게 백홀망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 기지국 및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동 기지국은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코어망과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망과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동 기지국은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관리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값 중의 하나를 제공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 또는 NFC, 블루투스, WiFi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검색된 상기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각각에서 사용될 IP를 할당받아 저장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한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동작은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기지국에 구비된 선택 스위치를 상기 관리자가 설정함에 의해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또는, NFC, 블루투스, WiFi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자가 입력하는 값에 의해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관리자가 입력하는 값에 의해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검색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검색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는 동작은 검색된 상기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 기지국 및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복잡한 설치 또는 설정 절차없이 빠르고 용이하게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백홀망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이동 기지국이 이동 시에 백홀망이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백홀망을 변경할 수 있는 이동 기지국(1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백홀망 선택과 관련된 이동 기지국(1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이동 기지국(100)이 자동으로 백홀망을 선택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이동 기지국이 이동 시에 백홀망이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기지국(100)은 차량에 탑재되거나 인력에 의하여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연결된 백홀망(예: 백홀망 A(310))과의 연결은 소실되고 다른 백홀망(예: 백홀망 B(320))으로 변경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기지국(100)이 동일한 위치에 있더라도 현재 연결된 백홀망(예: 백홀망 B(320))이 고장 또는 재난 등으로 인하여 연결이 불가할 수 있고, 이 경우 다른 백홀망(예: 백홀망 C(330))으로 변경이 필요할 수 있다.
도 1에서 이동 기지국(100)이 사용할 수 있는 백홀망은 위성망, 유선망, 사설망, 또는 무선망일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기지국(100)은 상이한 백홀망에 접속하기 위하여 각각의 백홀망에 따른 서로 상이한 접속 IP를 구비할 수 있다.
백홀망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위성망, 유선망, 사설망 또는 무선망은 서로 상이한 IP 망에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위성망은 10.10.10.0의 IP 망에 존재하고, 유선망은 20.20.10.0의 IP망에 존재하고, 사설망은 30.30.10.0의 IP망에 존재하고, 무선망은 40.40.10.0의 IP망에 존재할 수 있다. 이동 기지국(100)이 이처럼 서로 상이한 IP 망에 존재하는 백홀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해당 IP 망에 속하는 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10.10.10.0의 IP 망에 속한 위성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10.10.10.1의 접속 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20.20.20.0의 IP 망에 속한 유선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20.20.20.1의 접속 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30.30.10.0의 IP 망에 속한 사설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30.30.10.4의 접속 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40.40.10.0의 IP 망에 속한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40.40.10.1의 접속 IP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언급한 IP 어드레스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해당 IP 망에 속하는 다른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일 것이다. 이와 같은 각 백홀망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접속 IP 어드레스들은 이동 기지국(1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동 기지국(100)에 다수의 사업자의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100)에 재난 안전 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 초고속 해상무선 통신망의 코어 네트워크 및 철도통합 무선망의 코어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코어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백홀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관리자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자동으로 접속하고자 하는 코어 네트워크를 결정하고, 해당 코어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백홀망을 선택하여 해당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백홀망을 변경할 수 있는 이동 기지국(1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백홀망을 변경할 수 있는 이동 기지국(100)은 무선 인터페이스(110), 프로세서(120), 관리자 인터페이스(130), 스위치(140) 및 다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151, 152, 153)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10)는 단말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WiMAX, LTE 또는 5G 무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관리자 인터페이스(130)는 관리자로부터 접속할 백홀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인터페이스(130)는 기지국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고, 관리자가 용이하게 설정을 변경하여 제1번에서 제N번까지를 입력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131)일 수 있다. 관리자는 선택 스위치(131)의 접점을 변경시킴으로써 백홀망 선택 정보를 이동 기지국(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인터페이스(130)는 NFC, 블루투스,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35)일 수 있다. 관리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35)와 연결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백홀망 선택 정보를 이동 기지국(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인터페이스(130)는 터치스크린(133)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스크린을 통해 관리자에게 사용 가능한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알려주고, 사용자는 스크린에 표시된 백홀망 인터페이스들 중에서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터치함으로써 접속할 백홀망에 대한 정보를 이동 기지국(10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동 기지국(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관리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획득한 접속할 백홀망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140)를 제어하여 무선 인터페이스(110)와 접속할 백홀망(예: 백홀망 인터페이스 #2(152) 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교환은 프로세서(12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교환은 스위치(140)를 통해 무선 인터페이스(110)와 접속할 백홀망(예: 백홀망 인터페이스 #2(152) 간에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위치(140)는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그 목적지를 결정할 수 있는 L3 스위치일 수 있다. 스위치(140)에 접속되어 있는 각 장치들은 IP 패킷을 스위치(140)로 전송하고, 스위치(140)는 수신한 IP 패킷의 목적지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해당 목적지로 IP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백홀망 인터페이스들(151, 152, 153)은 서로 상이한 백홀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홀망 인터페이스가 사설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면 이더넷 인터페이스, 광 인터페이스 또는 RJ45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사설망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백홀망 인터페이스가 위성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라면 위성 안테나를 구비하고, 위성 데이터 통신에 따라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는 위성 모뎀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백홀망 인터페이스가 유선망인 경우에는 T1 인터페이스 또는 E1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전화선 또는 광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유선망과 접속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백홀망 인터페이스가 무선 인터페이스라면, LTE 통신 또는 5G 통신의 단말 기능을 구비하고 다른 LTE 통신용 기지국 또는 5G 통신용 기지국과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관리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획득한 관리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접속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자동으로 접속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20)는 접속 가능한 백홀망 인터페이스가 있는 지를 찾을 수 있다. 사설망 또는 유선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적으로 LAN 선이라 광 케이블이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외부 망과 하드웨어적인 연결이 없는 경우에는 해당 백홀망과는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무선망의 경우에도 주변에 다른 기지국이 있어야만 백홀망으로 사용되는 해당 무선망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주기적으로 또는 현재 접속하고 있는 인터페이스에서의 데이터 통신이 소실된 경우에, 접속가능한 다른 백홀망이 있는 지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접속가능한 다른 백홀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미리 설정된 각 백홀망에 대한 접속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접속가능한 복수의 백홀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동 기지국(100) 블록도는 본 개시와 관련된 부분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것 이외의 블록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인터페이스,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DC/DC 변환기, 또는 이동 기지국(100)이 모든 백홀망을 통한 코어 망 연결이 실패한 경우에도 홀로 무선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EPC(enhanced packet core) 또는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PTT(push to talk) 블록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백홀망 선택과 관련된 이동 기지국(100)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S100에서, 이동 기지국(100)은 구비되어 있는 백홀망 종류별로 접속할 수 있는 IP를 할당받아 저장할 수 있다.
동작 S200에서, 이동 기지국(100)은 백홀망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기지국(100)는 다양한 방법으로 백홀망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기지국(100)은 관리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백홀망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기지국(100)에 구비되어 있는 선택 스위치를 관리자가 조정함에 의하여 백홀망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접속할 백홀망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터치스크린 상에서 관리자가 터치함에 의하여 백홀망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인터페이스(130)는 상술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중 2개 이상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기지국(100)은 자동으로 백홀망 선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이동 기지국(100)이 자동으로 백홀망을 선택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S210에서, 이동 기지국(100)은 접속 가능한 백홀망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기지국(100)은 구비된 모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핑(ping) 메시지 또는 μ얼라이브(keep-alive)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이 오는 지를 확인하여 접속 가능한 백홀망을 검색할 수 있다.
동작 S220에서, 이동 기지국(100)은 접속 가능한 백홀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기지국(100)은 접속 가능한 백홀망 중 하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이동 기지국(100)은 접속 가능한 백홀망 중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백홀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S300에서, 이동 기지국(100)는 백홀망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백홀망 접속용 IP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해당 IP 정보는 동작 S100에서 미리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어, 메모리에서 선택된 백홀망에 대응하는 접속 IP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S300에서, 선택된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 수신함으로써 코어망(200)과 접속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이동 기지국은 복수 개의 접속 가능한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복잡한 설치 또는 설정 절차없이 빠르고 용이하게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백홀망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군사 작전 또는 재난 시에 용이하게 사용자들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기 이동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코어망과 접속할 수 있는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한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코어망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동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관리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이동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값 중의 하나를 제공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 또는
    NFC, 블루투스, WiFi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터치 스크린인,
    이동 기지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는,
    이동 기지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검색된 상기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는,
    이동 기지국.
  6. 코어망과 접속가능한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각각에서 사용될 IP를 할당받아 저장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한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단말과 상기 코어망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동작은,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이동 기지국에 구비된 선택 스위치를 상기 관리자가 설정함에 의해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또는
    NFC, 블루투스, WiFi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자가 입력하는 값에 의해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관리자가 입력하는 값에 의해 선택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코어망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를 검색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는 동작은,
    검색된 상기 접속 가능 백홀망 인터페이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하나를 사용할 백홀망 인터페이스로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이동 기지국의 동작 방법.
KR1020200122647A 2020-09-23 2020-09-23 이동 기지국 및 동작 방법 KR102362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47A KR102362261B1 (ko) 2020-09-23 2020-09-23 이동 기지국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647A KR102362261B1 (ko) 2020-09-23 2020-09-23 이동 기지국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261B1 true KR102362261B1 (ko) 2022-02-15

Family

ID=80325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647A KR102362261B1 (ko) 2020-09-23 2020-09-23 이동 기지국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2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214A (ko) * 1998-02-23 2001-05-15 밀러 럿셀 비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송수신기 시스템의 구성
KR20130061410A (ko) * 2011-12-01 2013-06-11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및 이동 중계 방법
KR20190131422A (ko) * 2018-05-16 2019-11-26 인텔 코포레이션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게이트웨이 스케일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214A (ko) * 1998-02-23 2001-05-15 밀러 럿셀 비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송수신기 시스템의 구성
KR20130061410A (ko) * 2011-12-01 2013-06-11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중계 시스템 및 이동 중계 방법
KR20190131422A (ko) * 2018-05-16 2019-11-26 인텔 코포레이션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게이트웨이 스케일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6617A1 (en) Session management function entity sele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393005B1 (ko) Ue의 정책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20110126359A (ko)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테더링 서비스 수행 방법
US8885504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bandwidth aggregation of mobile internet access node
CN107318141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KR20120052092A (ko) 네트워크 중계 방법,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 그룹
CN110392448B (zh) 一种会话重建方法、装置和系统
JP2012169971A (ja) 通信経路選択装置、通信経路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84320A (ko) 무선 랜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장치 및 그방법
CN110752975A (zh) 一种网络共享方法及装置
KR20120106292A (ko) 위치별 액세스 포인트의 품질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무선 단말 시스템, 무선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접속 방법
JP2020512734A (ja) 通信方法及び通信機器
KR2014009419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 선택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410477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11838969B2 (en) Method for accessing local network, and related device
KR102362261B1 (ko) 이동 기지국 및 동작 방법
US1035682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access device using channel avoidance between processors of the wireless access device
JP2001069176A (ja) 移動体通信網
US10694553B2 (en) Connection method of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KR20210051259A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US9307077B2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64954A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무선 접속점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WO2014141639A1 (ja) 端末装置、翻訳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62307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16039478A (ja) WiFi接続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情報管理装置、WiFi接続端末、アクセスポイント決定方法、WiFi接続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決定プログラム及びWiFi接続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