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186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186B1
KR102362186B1 KR1020150003529A KR20150003529A KR102362186B1 KR 102362186 B1 KR102362186 B1 KR 102362186B1 KR 1020150003529 A KR1020150003529 A KR 1020150003529A KR 20150003529 A KR20150003529 A KR 20150003529A KR 102362186 B1 KR102362186 B1 KR 102362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layer
thin film
film transistor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502A (ko
Inventor
박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186B1/ko
Priority to US14/977,592 priority patent/US9837474B2/en
Publication of KR2016008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4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3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different thicknesses of the active layer i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hape of the interlayer dielectric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01L27/3258
    • H01L27/326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e.g. multichannel, transverse or longitudinal shape, length or width, doping structure, or the overlap or alignment between the channel and the gate, the source or the drain, or the contacting structure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액티브층을 덮으며,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 영역 대비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에 더 많은 복수의 컨택홀들이 형성된 제1 절연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에 연결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이 있다.
이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한다.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 등의 멤스(MEMS) 기술을 이용해 기판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도하지 않게 기판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액티브층의 너비에 차이가 발생되더라도, 기판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각각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값에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액티브층을 덮으며, 상기 표시 영역의 중앙 영역 대비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에 더 많은 복수의 컨택홀들이 형성된 제1 절연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액티브층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의 너비는 상기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의 너비 대비 더 길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컨택홀들은 하나 이상의 더미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컨택홀은 상기 액티브층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더미 컨택홀은 상기 액티브층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을 덮는 제2 절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 컨택홀 내부에는 상기 제2 절연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된 데이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이웃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제1 절연층이 덮여 있는 상태로 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층의 채널 영역은 한 번 이상 절곡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의도하지 않게 기판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액티브층의 너비에 차이가 발생되더라도, 기판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각각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값에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1 화소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화소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화소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화소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SUB), 복수의 화소들(PXn),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A), 데이터 구동부(DD)를 포함한다.
기판(SUB)은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DIA) 및 표시 영역(DIA)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IA)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기판(SUB)은 유리, 폴리머 또는 스테인리스 강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이다. 기판(SUB)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기판(SUB)이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렛쳐블(stret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전체가 플렉서블(flexible)하거나, 스트레처블(stretchable)하거나, 폴더블(foldable)하거나, 벤더블(bendable)하거나, 롤러블(rollable)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n)은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에 대응하여 기판(SUB) 상에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화소들(PXn)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A) 각각과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라인들(DA) 각각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에 상응하는 휘도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들(PXn) 각각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 상에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및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위치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의 화소들(PXn) 각각은 서로 다른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연결된 복수의 스캔 라인들 각각과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전원 라인 및 초기화 전원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들(PXn) 각각에 포함된 유기 발광 소자의 캐소드 전극인 제2 전극은 공통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화소들(PXn) 각각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게이트 구동부, 복수의 스캔 라인들, 구동 전원 라인, 초기화 전원 라인은 후술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복수의 화소들(PXn)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n)은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 및 표시 영역(DIA)의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외곽 영역(EA)은 데이터 구동부(DD)와 이웃하는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과 이웃하는 영역이라면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 내에서 어떠한 영역에도 해당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A) 각각은 기판(SUB)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화소들(PXn)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부(DD)는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A)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부(DD)는 타이밍 제어부 등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A) 각각으로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DD)로부터 데이터 라인(DA)으로 공급된 데이터 신호는 선택된 일 화소(PXn)에 스캔 라인으로부터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스캔 신호에 의해 선택된 일 화소(PXn)로 공급된다. 그러면, 일 화소(PXn)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하고 이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화소(PXn)의 회로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화소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화소(PXn)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배선(Sn, Sn-1, Sn-2, EM, Vin, DA, ELVDD), 커패시터(Cst),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를 포함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 전극(G1)은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제3 드레인 전극(D3) 및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4 드레인 전극(D4) 각각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소스 전극(S1)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2 드레인 전극(D2) 및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제5 드레인 전극(D5)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드레인 전극(D1)은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제3 소스 전극(S3) 및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6 소스 전극(S6)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2 게이트 전극(G2)은 제1 스캔 라인(Sn)과 연결되어 있고, 제2 소스 전극(S2)은 데이터 라인(DA)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드레인 전극(D2)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소스 전극(S1)과 연결되어 있다.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제3 게이트 전극(G3)은 제1 스캔 라인(Sn)과 연결되어 있고, 제3 소스 전극(S3)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드레인 전극(D1)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드레인 전극(D3)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 전극(G1)과 연결되어 있다.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4 게이트 전극(G4)은 제2 스캔 라인(Sn-1)과 연결되어 있고, 제4 소스 전극(S4)은 초기화 전원 라인(Vin)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4 드레인 전극(D4)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 전극(G1)과 연결되어 있다.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제5 게이트 전극(G5)은 발광 제어 라인(EM)과 연결되어 있고, 제5 소스 전극(S5)은 구동 전원 라인(ELVDD)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5 드레인 전극(D5)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소스 전극(S1)과 연결되어 있다.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6 게이트 전극(G6)은 발광 제어 라인(EM)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6 소스 전극(S6)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드레인 전극(D1)과 연결되어 있다.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제7 게이트 전극(G7)은 제3 스캔 라인(Sn-2)과 연결되어 있고, 제7 소스 전극(S7)은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7 드레인 전극(D7)은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4 소스 전극(S4)과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복수의 스캔 라인들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 및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 각각의 제2 게이트 전극(G2) 및 제3 게이트 전극(G3) 각각에 제1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스캔 라인(Sn),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4 게이트 전극(G4)에 제2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스캔 라인(Sn-1),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제7 게이트 전극(G7)에 제3 스캔 신호를 전달하는 제3 스캔 라인(Sn-2),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및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각각의 제5 게이트 전극(G5) 및 제6 게이트 전극(G6) 각각에 발광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발광 제어 라인(EM)을 포함한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전원 라인(ELVDD)과 연결된 일 전극 및 제1 게이트 전극(G1) 및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제3 드레인 전극(D3)과 연결된 타 전극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은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제7 소스 전극(S7) 및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6 드레인 전극(D6) 각각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전극은 공통 신호가 전달되는 공통 전원(ELVSS)과 연결된다.
이러한 화소 회로는 구동의 일례로서, 우선, 제3 스캔 라인(Sn-2)에 제3 스캔 신호가 전달되어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가 턴 온(turn on)되면,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에 흐르는 잔류 전류가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를 통해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로 빠져나감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에 흐르는 잔류 전류에 의한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의도치 않은 발광이 억제된다.
다음, 제2 스캔 라인(Sn-1)에 제2 스캔 신호가 전달되고, 초기화 전원 라인(Vin)에 초기화 신호가 전달되면,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가 턴 온되어 초기화 신호에 의한 초기화 전압이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를 통해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 전극(G1) 및 커패시터(Cst)의 타 전극에 공급되며, 이로 인해 제1 게이트 전극(G1) 및 커패시터(Cst)가 초기화된다. 이때, 제1 게이트 전극(G1)이 초기화되면서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가 턴 온된다.
다음, 제1 스캔 라인(Sn)에 제1 스캔 신호가 전달되고, 데이터 라인(DA)에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면,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 및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 각각이 턴 온되어 데이터 신호에 의한 데이터 전압(Vd)이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를 통해 제1 게이트 전극(G1)에 공급된다. 이때, 제1 게이트 전극(G1)에 공급되는 전압은 최초 데이터 라인(DA)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전압(Vd)으로부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 Vth)만큼 감소한 보상 전압{Vd+Vth, Vth는 (-)의 값}이 공급된다. 제1 게이트 전극(G1)에 공급되는 보상 전압(Vd+Vth)은 제1 게이트 전극(G1)에 연결된 커패시터(Cst)의 타 전극에도 공급된다.
다음,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에는 구동 전원 라인(ELVDD)으로부터 구동 신호에 의한 구동 전압(Vel)이 공급되고, 타 전극에는 상술한 보상 전압(Vd+Vth)이 공급됨으로써, 커패시터(Cst)에는 양 전극에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 차에 대응하는 전하가 저장되어 일정 시간 동안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가 턴 온된다.
다음, 발광 제어 라인(EM)에 발광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및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각각이 턴 온되어 구동 전원 라인(ELVDD)으로부터 구동 신호에 의한 구동 전압(Vel)이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를 통해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로 공급된다.
그러면, 구동 전압(Vel)이 커패시터(Cst)에 의해 턴 온되어 있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를 통과하면서, 커패시터(Cst)에 의해 제1 게이트 전극(G1)에 공급되는 전압과 구동 전압(Vel) 간의 전압차에 대응하는 구동 전류(Id)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드레인 전극(D1)을 흐르게 되고, 이 구동 전류(Id)가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OLED)로 공급되어 유기 발광 소자(OLED) 일정 시간 동안 발광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내지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 커패시터(Cst), 제1 스캔 라인(Sn) 내지 제3 스캔 라인(Sn-2), 데이터 라인(DA), 구동 전원 라인(ELVDD), 초기화 전원 라인(Vin)으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하나 이상의 스캔 라인 및 하나 이상의 구동 전원 라인을 포함하는 배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복수의 화소들(PXn) 중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 및 표시 영역(DIA)의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 각각의 배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구성들 사이에는 절연층들이 위치하며, 이 절연층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층 또는 유기 절연층일 수 있다. 또한, 이 절연층들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1 화소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 제1 스캔 라인(Sn), 제2 스캔 라인(Sn-1), 제3 스캔 라인(Sn-2), 발광 제어 라인(EM), 커패시터(Cst), 데이터 라인(DA), 구동 전원 라인(ELVDD), 게이트 브릿지(GB), 초기화 전원 라인(Vin),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화소(PX1)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는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에 위치하는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는 기판(SUB) 상에 위치하며, 제1 액티브층(A1) 및 제1 게이트 전극(G1)을 포함한다.
제1 액티브층(A1)은 제1 소스 전극(S1), 제1 채널(C1), 제1 드레인 전극(D1)을 포함한다. 제1 소스 전극(S1)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2 드레인 전극(D2) 및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제5 드레인 전극(D5) 각각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드레인 전극(D1)은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제3 소스 전극(S3) 및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6 소스 전극(S6)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전극(G1)과 중첩하는 제1 액티브층(A1)의 채널 영역인 제1 채널(C1)은 한 번 이상 절곡 연장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1 채널(C1)이 한정된 공간인 제1 게이트 전극(G1)과 중첩하는 공간 내에서 한 번 이상 절곡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제1 채널(C1)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게이트 전극(G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의 구동 범위(driving range)를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게이트 전극(G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의 크기를 넓은 구동 범위 내에서 변화시켜 유기 발광 소자(OLED)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계조를 보다 세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부터 표시되는 이미지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액티브층(A1)은 그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역S', 'S', 'M', 'W'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액티브층(A1)은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티타늄(Ti), 하프늄(Hf),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탄탈륨(Ta), 게르마늄(Ge), 아연(Zn), 갈륨(Ga), 주석(Sn) 또는 인듐(In)을 기본으로 하는 산화물,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O4), 인듐-아연 산화물(Zn-In-O), 아연-주석 산화물(Zn-Sn-O) 인듐-갈륨 산화물 (In-Ga-O), 인듐-주석 산화물(In-Sn-O), 인듐-지르코늄 산화물(In-Zr-O), 인듐-지르코늄-아연 산화물(In-Zr-Zn-O), 인듐-지르코늄-주석 산화물(In-Zr-Sn-O), 인듐-지르코늄-갈륨 산화물(In-Zr-Ga-O), 인듐-알루미늄 산화물(In-Al-O), 인듐-아연-알루미늄 산화물(In-Zn-Al-O), 인듐-주석-알루미늄 산화물(In-Sn-Al-O), 인듐-알루미늄-갈륨 산화물(In-Al-Ga-O), 인듐-탄탈륨 산화물(In-Ta-O), 인듐-탄탈륨-아연 산화물(In-Ta-Zn-O), 인듐-탄탈륨-주석 산화물(In-Ta-Sn-O), 인듐-탄탈륨-갈륨 산화물(In-Ta-Ga-O), 인듐-게르마늄 산화물(In-Ge-O), 인듐-게르마늄-아연 산화물(In-Ge-Zn-O), 인듐-게르마늄-주석 산화물(In-Ge-Sn-O), 인듐-게르마늄-갈륨 산화물(In-Ge-Ga-O), 티타늄-인듐-아연 산화물(Ti-In-Zn-O), 하프늄-인듐-아연 산화물(Hf-In-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티브층(A1)이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온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한 산화물 반도체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이 추가될 수 있다.
제1 액티브층(A1)의 제1 채널(C1)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될 수 있으며, 제1 소스 전극(S1) 및 제1 드레인 전극(D1) 각각은 제1 채널(C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제1 채널(C1)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과 반대 타입의 도핑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전극(G1)은 제1 액티브층(A1)의 제1 채널(C1)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섬(island)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제1 게이트 전극(G1)은 컨택홀(contact hole)(CNT)을 통하는 게이트 브릿지(GB)에 의해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4 드레인 전극(D4) 및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제3 드레인 전극(D3)과 연결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전극(G1)은 커패시터 전극(CE)과 중첩하고 있으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커패시터(Cst)의 타 전극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즉, 제1 게이트 전극(G1)은 커패시터 전극(CE)과 함께 커패시터(Cst)를 형성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는 기판(SUB) 상에 위치하며, 제2 액티브층(A2) 및 제2 게이트 전극(G2)을 포함한다. 제2 액티브층(A2)은 제2 소스 전극(S2), 제2 채널(C2), 제2 드레인 전극(D2)을 포함한다. 제2 소스 전극(S2)은 컨택홀(CNT)을 통해 데이터 라인(DA)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드레인 전극(D2)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소스 전극(S1)과 연결되어 있다. 제2 게이트 전극(G2)과 중첩하는 제2 액티브층(A2)의 채널 영역인 제2 채널(C2)은 제2 소스 전극(S2)과 제2 드레인 전극(D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 액티브층(A2)은 제1 액티브층(A1)과 연결되어 있다.
제2 액티브층(A2)의 제2 채널(C2)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될 수 있으며, 제2 소스 전극(S2) 및 제2 드레인 전극(D2) 각각은 제1 채널(C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제1 채널(C1)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과 반대 타입의 도핑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제2 액티브층(A2)은 제1 액티브층(A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제1 액티브층(A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제1 액티브층(A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게이트 전극(G2)은 제2 액티브층(A2)의 제2 채널(C2)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스캔 라인(Sn)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는 기판(SUB) 상에 위치하며, 제3 액티브층(A3) 및 제3 게이트 전극(G3)을 포함한다.
제3 액티브층(A3)은 제3 소스 전극(S3), 제3 채널(C3), 제3 드레인 전극(D3)을 포함한다. 제3 소스 전극(S3)은 제1 드레인 전극(D1)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드레인 전극(D3)은 컨택홀(CNT)을 통하는 게이트 브릿지(GB)에 의해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 전극(G1)과 연결되어 있다. 제3 게이트 전극(G3)과 중첩하는 제3 액티브층(A3)의 채널 영역인 제3 채널(C3)은 제3 소스 전극(S3)과 제3 드레인 전극(D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3 액티브층(A3)은 제1 액티브층(A1)과 제1 게이트 전극(G1)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3 액티브층(A3)의 제3 채널(C3)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될 수 있으며, 제3 소스 전극(S3) 및 제3 드레인 전극(D3) 각각은 제3 채널(C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제3 채널(C3)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과 반대 타입의 도핑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제3 액티브층(A3)은 제1 액티브층(A1) 및 제2 액티브층(A2)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제1 액티브층(A1) 및 제2 액티브층(A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제1 액티브층(A1) 및 제2 액티브층(A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게이트 전극(G3)은 제3 액티브층(A3)의 제3 채널(C3)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1 스캔 라인(Sn)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게이트 전극(G3)은 듀얼 게이트(dual gate) 전극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는 기판(SUB) 상에 위치하며, 제4 액티브층(A4) 및 제4 게이트 전극(G4)을 포함한다.
제4 액티브층(A4)은 제4 소스 전극(S4), 제4 채널(C4), 제4 드레인 전극(D4)을 포함한다. 제4 소스 전극(S4)은 컨택홀을 통해 초기화 전원 라인(Vin)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4 드레인 전극(D4)은 컨택홀을 통하는 게이트 브릿지(GB)에 의해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게이트 전극(G1)과 연결되어 있다. 제4 게이트 전극(G4)과 중첩하는 제4 액티브층(A4)의 채널 영역인 제4 채널(C4)은 제4 소스 전극(S4)과 제4 드레인 전극(D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4 액티브층(A4)은 초기화 전원 라인(Vin)과 제1 게이트 전극(G1) 사이를 연결하는 동시에, 제3 액티브층(A3)과 제1 게이트 전극(G1)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제4 액티브층(A4)의 제4 채널(C4)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될 수 있으며, 제4 소스 전극(S4) 및 제4 드레인 전극(D4) 각각은 제4 채널(C4)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제4 채널(C4)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과 반대 타입의 도핑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제4 액티브층(A4)은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4 게이트 전극(G4)은 제4 액티브층(A4)의 제4 채널(C4)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스캔 라인(Sn-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4 게이트 전극(G4)은 듀얼 게이트(dual gate) 전극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는 기판(SUB) 상에 위치하며, 제5 액티브층(A5) 및 제5 게이트 전극(G5)을 포함한다.
제5 액티브층(A5)은 제5 소스 전극(S5), 제5 채널(C5), 제5 드레인 전극(D5)을 포함한다. 제5 소스 전극(S5)은 컨택홀(CNT)을 통해 구동 전원 라인(ELVDD)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5 드레인 전극(D5)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소스 전극(S1)과 연결되어 있다. 제5 게이트 전극(G5)과 중첩하는 제5 액티브층(A5)의 채널 영역인 제5 채널(C5)은 제5 소스 전극(S5)과 제5 드레인 전극(D5)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5 액티브층(A5)은 구동 전원 라인(ELVDD)과 제1 액티브층(A1)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5 액티브층(A5)의 제5 채널(C5)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될 수 있으며, 제5 소스 전극(S5) 및 제5 드레인 전극(D5) 각각은 제5 채널(C5)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제5 채널(C5)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과 반대 타입의 도핑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제5 액티브층(A5)은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5 게이트 전극(G5)은 제5 액티브층(A5)의 제5 채널(C5)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발광 제어 라인(EM)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는 기판(SUB) 상에 위치하며, 제6 액티브층(A6) 및 제6 게이트 전극(G6)을 포함한다.
제6 액티브층(A6)은 제6 소스 전극(S6), 제6 채널(C6), 제6 드레인 전극(D6)을 포함한다. 제6 소스 전극(S6)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드레인 전극(D1)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6 드레인 전극(D6)은 컨택홀(CNT)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과 연결되어 있다. 제6 게이트 전극(G6)과 중첩하는 제6 액티브층(A6)의 채널 영역인 제6 채널(C6)은 제6 소스 전극(S6)과 제6 드레인 전극(D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6 액티브층(A6)은 제1 액티브층(A1)과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6 액티브층(A6)의 제6 채널(C6)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될 수 있으며, 제6 소스 전극(S6) 및 제6 드레인 전극(D6) 각각은 제6 채널(C6)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제6 채널(C6)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과 반대 타입의 도핑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제6 액티브층(A6)은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6 게이트 전극(G6)은 제6 액티브층(A6)의 제6 채널(C6)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발광 제어 라인(EM)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는 기판(SUB) 상에 위치하며, 제7 액티브층(A7) 및 제7 게이트 전극(G7)을 포함한다.
제7 액티브층(A7)은 제7 소스 전극(S7), 제7 채널(C7), 제7 드레인 전극(D7)을 포함한다. 제7 소스 전극(S7)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화소(도 2에 도시된 화소의 상측에 위치하는 화소일 수 있다.)의 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7 드레인 전극(D7)은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4 소스 전극(S4)과 연결되어 있다. 제7 게이트 전극(G7)과 중첩하는 제7 액티브층(A7)의 채널 영역인 제7 채널(C7)은 제7 소스 전극(S7)과 제7 드레인 전극(D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7 액티브층(A7)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제1 전극과 제4 액티브층(A4)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7 액티브층(A7)의 제7 채널(C7)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로 채널 도핑될 수 있으며, 제7 소스 전극(S7) 및 제7 드레인 전극(D7) 각각은 제7 채널(C7)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제7 채널(C7)에 도핑된 도핑 불순물과 반대 타입의 도핑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제7 액티브층(A7)은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7 게이트 전극(G7)은 제7 액티브층(A7)의 제7 채널(C7)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3 스캔 라인(Sn-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소(PX1)의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들인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액티브층(A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2 액티브층(A2),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제3 액티브층(A3),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4 액티브층(A4),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제5 액티브층(A5),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6 액티브층(A6),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제7 액티브층(A7)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 각각은 제1 너비(W1)를 가진다.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 상으로 순차적으로, 제1 절연층(IL1), 제2 절연층(IL2), 제3 절연층(IL3)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절연층(IL1), 제2 절연층(IL2), 제3 절연층(IL3) 각각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층 또는 유기 절연층일 수 있다. 또한, 이 절연층들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컨택홀들(CNT)은 제1 절연층(IL1), 제2 절연층(IL2), 제3 절연층(IL3) 각각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제1 절연층(IL1)은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 각각과 접하고 있다.
제1 스캔 라인(Sn)은 제2 액티브층(A2) 및 제3 액티브층(A3) 상에 위치하여 제2 액티브층(A2) 및 제3 액티브층(A3)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2 게이트 전극(G2) 및 제3 게이트 전극(G3)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2 게이트 전극(G2) 및 제3 게이트 전극(G3)과 연결되어 있다.
제2 스캔 라인(Sn-1)은 제1 스캔 라인(Sn)과 이격되어 제4 액티브층(A4) 상에 위치하며, 제4 액티브층(A4)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4 게이트 전극(G4)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4 게이트 전극(G4)과 연결되어 있다.
제3 스캔 라인(Sn-2)은 제2 스캔 라인(Sn-1)과 이격되어 제7 액티브층(A7) 상에 위치하며, 제7 액티브층(A7)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7 게이트 전극(G7)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7 게이트 전극(G7)과 연결되어 있다.
발광 제어 라인(EM)은 제1 스캔 라인(Sn)과 이격되어 제5 액티브층(A5) 및 제6 액티브층(A6) 상에 위치하며, 제5 액티브층(A5) 및 제6 액티브층(A6)을 가로지르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5 게이트 전극(G5) 및 제6 게이트 전극(G6)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5 게이트 전극(G5) 및 제6 게이트 전극(G6)과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발광 제어 라인(EM), 제3 스캔 라인(Sn-2), 제2 스캔 라인(Sn-1), 제1 스캔 라인(Sn), 제1 게이트 전극(G1), 제2 게이트 전극(G2), 제3 게이트 전극(G3), 제4 게이트 전극(G4), 제5 게이트 전극(G5), 제6 게이트 전극(G6), 제7 게이트 전극(G7)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제어 라인(EM), 제3 스캔 라인(Sn-2), 제2 스캔 라인(Sn-1), 제1 스캔 라인(Sn), 제1 게이트 전극(G1), 제2 게이트 전극(G2), 제3 게이트 전극(G3), 제4 게이트 전극(G4), 제5 게이트 전극(G5), 제6 게이트 전극(G6), 제7 게이트 전극(G7) 각각은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Cst)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일 전극 및 타 전극을 포함한다. 상술한 일 전극은 커패시터 전극(CE)이며, 타 전극은 제1 게이트 전극(G1)일 수 있다. 커패시터 전극(CE)은 제1 게이트 전극(G1) 상에 위치하며, 컨택홀을 통해 구동 전원 라인(ELVDD)과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 전극(CE)은 제1 게이트 전극(G1)과 함께 커패시터(Cst)를 형성하며, 제1 게이트 전극(G1)과 커패시터 전극(CE) 각각은 서로 다른 층에서 서로 다르거나 서로 동일한 메탈로 형성되어 있다.
커패시터 전극(CE)은 제1 게이트 전극(G1)의 일 부분을 노출하는 개구부(OA)를 포함하며, 이 개구부(OA)를 통해 게이트 브릿지(GB)가 제1 게이트 전극(G1)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라인(DA)은 제1 스캔 라인(Sn) 상에 위치하여 제1 스캔 라인(Sn)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컨택홀(CNT)을 통해 제2 액티브층(A2)의 제2 소스 전극(S2)과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라인(DA)은 제1 스캔 라인(Sn), 제2 스캔 라인(Sn-1), 제3 스캔 라인(Sn-2), 발광 제어 라인(EM)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구동 전원 라인(ELVDD)은 데이터 라인(DA)과 이격되어 제1 스캔 라인(Sn) 상에 위치하여 제1 스캔 라인(Sn)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컨택홀(CNT)을 통해 커패시터 전극(CE) 및 제1 액티브층(A1)과 연결된 제5 액티브층(A5)의 제5 소스 전극(S5)과 연결되어 있다. 구동 전원 라인(ELVDD)은 제1 스캔 라인(Sn), 제2 스캔 라인(Sn-1), 제3 스캔 라인(Sn-2), 발광 제어 라인(EM)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게이트 브릿지(GB)는 제1 스캔 라인(Sn) 상에 위치하여 구동 전원 라인(ELVDD)과 이격되어 있으며, 컨택홀(CNT)을 통해 제3 액티브층(A3)의 제3 드레인 전극(D3) 및 제4 액티브층(A4)의 제4 드레인 전극(D4) 각각과 연결되어 컨택홀을 통해 커패시터 전극(CE)의 개구부(OA)에 의해 노출된 제1 게이트 전극(G1)과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데이터 라인(DA), 구동 전원 라인(ELVDD), 게이트 브릿지(GB)는 동일한 층에 위치하며,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라인(DA), 구동 전원 라인(ELVDD), 게이트 브릿지(GB) 각각은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초기화 전원 라인(Vin)은 제2 스캔 라인(Sn-1) 상에 위치하며, 컨택홀을 통해 제4 액티브층(A4)의 제4 소스 전극(S4)과 연결되어 있다. 초기화 전원 라인(Vin)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여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초기화 전원 라인(Vin)은 제1 전극(E1)과 다른 층에 위치하여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E1), 유기 발광층(OL), 제2 전극(E2)을 포함한다. 제1 전극(E1)은 컨택홀(CNT)을 통해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6 드레인 전극(D6)과 연결되어 있다. 유기 발광층(OL)은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전극(E2)은 유기 발광층(OL)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중 하나 이상의 전극은 광 투과성 전극, 광 반사성 전극, 광 반투과성 전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유기 발광층(OL)으로부터 발광된 빛은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를 덮는 캡핑층(capping layer)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 캡핑층을 사이에 두고 유기 발광 소자(OLED) 상에는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이 위치하거나, 또는 봉지 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와 이격되어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외곽 영역(EA)에 제2 화소(PX2)가 위치하고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화소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화소(PX1)와 대비한 제2 화소(PX2)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 제1 스캔 라인(Sn), 제2 스캔 라인(Sn-1), 제3 스캔 라인(Sn-2), 발광 제어 라인(EM), 커패시터(Cst), 데이터 라인(DA), 구동 전원 라인(ELVDD), 게이트 브릿지(GB), 초기화 전원 라인(Vin),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는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의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2 화소(PX2)의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들인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액티브층(A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2)의 제2 액티브층(A2), 제3 박막 트랜지스터(T3)의 제3 액티브층(A3), 제4 박막 트랜지스터(T4)의 제4 액티브층(A4), 제5 박막 트랜지스터(T5)의 제5 액티브층(A5), 제6 박막 트랜지스터(T6)의 제6 액티브층(A6), 제7 박막 트랜지스터(T7)의 제7 액티브층(A7)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 각각은 상술한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액티브층의 제1 너비(W1) 대비 긴 제2 너비(W2)를 가진다.
제2 화소(PX2)의 제1 액티브층(A1)이 제1 화소(PX1)의 제1 액티브층(A1)의 제1 너비(W1) 대비 긴 제2 너비(W2)를 가지는 이유는, 제2 화소(PX2)가 표시 영역(DIA)의 외곽 영역(EA)에 위치함으로써, 하나의 반도체층으로부터 제1 액티브층(A1)을 형성하는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 중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물질이 중앙 영역(CA) 대비 외곽 영역(EA)에서 덜 노광되거나 더 노광되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구동부(DD)와 이웃하는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액티브층은 다른 외곽 영역 대비 액티브층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분에 대응하기 때문에 다른 영역 대비 더 긴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제2 화소(PX2)는 복수의 컨택홀들(CNT)을 포함하며, 복수의 컨택홀들(CNT)은 하나 이상의 더미 컨택홀(DCNT)을 포함한다.
더미 컨택홀(DCNT)은 제1 액티브층(A1) 및 제6 액티브층(A6)과 중첩하고 있으며, 이 더미 컨택홀(DCNT) 내부에는 제1 절연층(IL1)을 덮는 제2 절연층(IL2)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더미 컨택홀(DCNT)은 제1 액티브층(A1) 및 제6 액티브층(A6)과 중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더미 컨택홀(DCNT)은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중첩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제1 화소(PX1) 및 제2 화소(PX2) 각각의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은 제조 공정 중 제1 절연층(IL1)이 덮여 있는 상태에서 열처리가 수행되며, 제2 화소(PX2)의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은 제1 절연층(IL1)에 더미 컨택홀(DCNT)이 형성된 상태에서 열처리가 수행된다.
이상과 같이, 제2 화소(PX2)의 복수의 컨택홀들(CNT)이 하나 이상의 더미 컨택홀(DCNT)을 포함함으로써, 제2 화소(PX2)는 제1 화소(PX1) 대비 더 많은 복수의 컨택홀들(CNT)을 포함한다. 즉, 제1 절연층(IL1)은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 및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액티브층을 덮고 있으며, 제1 절연층(IL1)에는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 대비 외곽 영역(EA)에 더 많은 복수의 컨택홀들(CNT)이 형성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에서 X축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Vgs)을 나타내고, Y축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흐르는 구동 전류(Id)를 나타낸다. 두 개의 실 선 중 하나는 비교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나타내며, 다른 하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를 나타낸다. 비교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대비 더미 컨택홀(DCNT)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 컨택홀(DCNT)을 포함하는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트랜지스터 특성이 비교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TFT) 대비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1 액티브층(A1)을 덮는 제1 절연층(IL1)에 더미 컨택홀(DCNT)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액티브층(A1)을 열처리함으로써, 제1 액티브층(A1)의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s)가 원활하게 제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는 더미 컨택홀(DCNT)에 의해 트랜지스터 특성이 저하된 박막 트랜지스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인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액티브층(A1)이 제1 너비(W1)를 가지고 있고,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의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인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제1 액티브층(A1)이 제1 너비(W1) 대비 긴 제2 너비(W2)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가 제1 화소(PX1)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대비 트랜지스터 특성이 향상되나, 제2 화소(PX2)에 대응하는 제1 절연층(IL1)에 더미 컨택홀(DCNT)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의 트랜지스터 특성이 저하되어 제1 화소(PX1)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및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 각각의 트랜지스터 특성 차이가 최소화된다.
즉,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에 위치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중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오차에 따라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에 위치하는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의 트랜지스터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고려하여, 외곽 영역(EA)에 대응하는 제1 절연층(IL1)에 더미 컨택홀(DCNT)을 더 형성하여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 대비 외곽 영역(EA)에 더 많은 복수의 컨택홀들(CNT)을 형성함으로써,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의 트랜지스터 특성을 저하시켰기 때문에,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간의 트랜지스터 특성 차이가 최소화되어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의 휘도 차이가 최소화된다. 이로 인해, 이미지의 표시 품질 저하가 최소화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요컨대, 의도하지 않게 기판(SUB)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액티브층의 너비에 차이가 발생되더라도, 기판(SUB)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OLED) 각각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값에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화소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화소(PX2)는 복수의 컨택홀들(CNT)을 포함하며, 복수의 컨택홀들(CNT)은 하나 이상의 더미 컨택홀(DCNT)을 포함한다.
더미 컨택홀(DCNT)은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과 비중첩하고 있으며, 이 더미 컨택홀(DCNT) 내부에는 제1 절연층(IL1)을 덮는 제2 절연층(IL2)이 위치하고 있다.
서로 연결된 제1 화소 및 제2 화소(PX2) 각각의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은 제조 공정 중 제1 절연층(IL1)이 덮여 있는 상태에서 열처리가 수행되며, 제2 화소(PX2)의 제1 액티브층(A1), 제2 액티브층(A2), 제3 액티브층(A3), 제4 액티브층(A4), 제5 액티브층(A5), 제6 액티브층(A6), 제7 액티브층(A7)은 제1 절연층(IL1)에 더미 컨택홀(DCNT)이 형성된 상태에서 열처리가 수행된다.
이상과 같이, 제2 화소(PX2)의 복수의 컨택홀들(CNT)이 하나 이상의 더미 컨택홀(DCNT)을 포함함으로써, 제2 화소(PX2)는 제1 화소 대비 더 많은 복수의 컨택홀들(CNT)을 포함한다. 즉, 제1 절연층(IL1)에는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CA) 대비 외곽 영역(EA)에 더 많은 복수의 컨택홀들(CNT)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2 화소(PX2)의 제1 박막 트랜지스터(T1)는 더미 컨택홀(DCNT)에 의해 트랜지스터 특성이 저하된 박막 트랜지스터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에 위치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중 포토리소그래피 공정 오차에 따라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의 트랜지스터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고려하여, 외곽 영역(EA)에 대응하는 제1 절연층(IL1)에 더미 컨택홀(DCNT)을 더 형성하여 표시 영역(DIA)의 중앙 영역 대비 외곽 영역(EA)에 더 많은 복수의 컨택홀들(CNT)을 형성함으로써, 외곽 영역(EA)에 위치하는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의 트랜지스터 특성을 저하시켰기 때문에, 기판(SUB)의 표시 영역(DIA)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간의 트랜지스터 특성 차이가 최소화되어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OLED)의 휘도 차이가 최소화된다. 이로 인해, 이미지의 표시 품질 저하가 최소화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요컨대, 의도하지 않게 기판(SUB)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액티브층의 너비에 차이가 발생되더라도, 기판(SUB) 전체에 걸쳐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들(OLED) 각각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값에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여러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기판(SUB), 유기 발광 소자(OLED), 박막 트랜지스터(T1), 컨택홀(CNT), 제1 절연층(IL1)

Claims (10)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을 덮는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을 덮는 제2 절연층
    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은 제1 화소가 위치하는 중앙 영역 및 제2 화소가 위치하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에서 상기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보다 많은 컨택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컨택홀은 하나 이상의 더미 컨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컨택홀 내부에는 상기 제2 절연층이 위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액티브층과 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외곽 영역에 위치하는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의 너비는 상기 중앙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의 너비보다 넓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삭제
  5.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며, 각각이 상기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 각각과 연결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을 덮는 제1 절연층
    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은 제1 화소가 위치하는 중앙 영역 및 제2 화소가 위치하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층에서 상기 제2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 화소에 대응하는 영역보다 많은 컨택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컨택홀은 하나 이상의 더미 컨택홀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컨택홀은 상기 액티브층과 중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더미 컨택홀은 상기 액티브층과 비중첩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기판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데이터 구동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와 이웃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제1 절연층이 덮여 있는 상태로 열처리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액티브층의 채널 영역은 한 번 이상 절곡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50003529A 2015-01-09 2015-01-0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62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529A KR102362186B1 (ko) 2015-01-09 2015-01-0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977,592 US9837474B2 (en) 2015-01-09 2015-12-2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529A KR102362186B1 (ko) 2015-01-09 2015-01-0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502A KR20160086502A (ko) 2016-07-20
KR102362186B1 true KR102362186B1 (ko) 2022-02-11

Family

ID=5636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529A KR102362186B1 (ko) 2015-01-09 2015-01-09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37474B2 (ko)
KR (1) KR102362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426B1 (ko) * 2015-07-23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205248279U (zh) * 2016-01-05 2016-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显示面板、显示装置
KR102047513B1 (ko) * 2016-04-29 2019-1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4900B1 (ko) * 2016-05-11 202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0573B1 (ko) * 2016-08-08 2023-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68634A (ko) * 2016-12-14 2018-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99974A (ko) 2017-02-27 2018-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10411204B2 (en) * 2017-07-05 2019-09-10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200000513A (ko) * 2018-06-22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0890387A (zh) * 2019-11-26 2020-03-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610884B (zh) * 2020-05-20 2023-10-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及触控显示面板、显示面板
KR20220060031A (ko) * 2020-11-02 2022-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04453A (ko) * 2021-12-31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1245A (ja) * 2001-09-18 2003-03-2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KR100934842B1 (ko) * 2003-05-15 2009-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
JP4520226B2 (ja) 2003-06-27 2010-08-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作製方法
KR100611158B1 (ko) 2003-11-29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261601B1 (ko) * 2006-05-30 2013-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03816B1 (ko) 2006-06-30 2013-09-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모기판,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및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022652B1 (ko) * 2009-04-02 2011-03-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제조방법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KR101771562B1 (ko) 2011-02-14 2017-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23172B1 (ko) * 2011-05-16 2018-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8760B1 (ko) * 2012-07-26 2019-0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4254B1 (ko) * 2013-04-04 2019-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48487B1 (ko) * 2014-05-08 2020-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리페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37474B2 (en) 2017-12-05
KR20160086502A (ko) 2016-07-20
US20160204172A1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18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519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6288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314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5952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87109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42542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3887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733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0040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08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KR1023727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