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67B1 -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 Google Patents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67B1
KR102362067B1 KR1020200128544A KR20200128544A KR102362067B1 KR 102362067 B1 KR102362067 B1 KR 102362067B1 KR 1020200128544 A KR1020200128544 A KR 1020200128544A KR 20200128544 A KR20200128544 A KR 20200128544A KR 102362067 B1 KR102362067 B1 KR 10236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ire
neckband
unit
inc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규 filed Critical 이동규
Priority to KR102020012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2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이다. 그의 구체적인 구성은, 목에 거는 밴드부(31)가 마련되고, 밴드부(31)의 양측면을 따라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밴드부(31)의 양측면을 따라 물결부(41)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단식증감홈(40)이고, 상기 다단식증감홈(40)에는 이동식걸림구(50)가 끼워지되, 상기 이동식걸림구(50)는 다단식증감홈(40)의 물결부(41)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이동구(52)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52)의 상면에는 계지구(51)가 형성되며, 상기 계지구(51)에 고정끈(11)을 끼워 이동식걸림구(50)를 다단식증감홈(40)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The neckband for mask mounting}
본 발명은 넥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 착용시 착용자의 선호에 따른 밀착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스크 미착용시 마스크를 목에 걸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마스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로서, 마스크(10)의 고정끈(11)을 귀에 걸어 입과 코 및 턱 주위를 감싸도록 착용하고, 마스크의 상단과 코의 윤곽선 사이에서 생성되는 틈으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코의 윤곽선을 따라 절곡되는 노즈클램프를 삽입하여 착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마스크(10)의 밀착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고자 귀에 착용하는 고정끈(11)을 착용자의 뒤통수에 착용할 수 있도록, 도 1의 원내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S"자 형상의 연결구(20)를 마련하였다.
상기 연결구(20)를 착용자의 뒤통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끈(11)을 연결구(20)를 매개체로 서로 연결하면, 마스크(10)를 잡아당기는 힘이 증가되면서 마스크(10)의 밀착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고정끈(11)을 귀에 걸어 착용할 때 귀에서 발생되는 통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구(20)를 뒤통수에 위치시켜 고정끈(11)을 연결하는 것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연결구(20)를 별도로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마스크(10)를 착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고정끈(11)을 귀에 걸어 사용할 뿐이다.
한편,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한 다음,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해 한적한 곳에서 마스크를 제거하는 경우 마스크를 마땅히 보관하는 수단이 없어, 마스크를 손에 들고 있거나, 별도 장소에 잠시 올려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목에 착용하는 넥밴드(30)를 마련하고, 마스크의 고정끈(11)을 넥밴드(30)에 거치한 후 고정끈(11)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증감시킴으로써, 착용자의 선호에 따른 마스크의 편안한 밀착력을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스크 미착용시에 마스크를 목에 걸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의 구체적인 구성은, 목에 거는 밴드부(31)가 마련되고, 밴드부(31)의 양측면을 따라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이 형성되되,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밴드부(31)의 양측면을 따라 물결부(41)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단식증감홈(40)이고, 상기 다단식증감홈(40)에는 이동식걸림구(50)가 끼워지되, 상기 이동식걸림구(50)는 다단식증감홈(40)의 물결부(41)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이동구(52)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52)의 상면에는 계지구(51)가 형성되며, 상기 계지구(51)에 고정끈(11)을 끼워 이동식걸림구(50)를 다단식증감홈(40)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를 사용하게 되면, 마스크(10)의 고정끈(11)을 귀에 직접 걸지 않아 귀의 통증이 사전에 예방될 뿐 아니라, 착용자의 선호에 따라 마스크(10)의 밀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다, 휴식 시간중 마스크(10)를 잠시 보관할 때 목에 건 상태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마스크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중 다단식증감홈 및 이동식걸림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다단식증감홈 및 이동식걸림구가 적용된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중 고정식걸림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중 고정식걸림구가 적용된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중 벨크로테이프 및 수납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중 무단식증감와이어가 적용된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중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적용된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되,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와 부합되지 않는 부연 설명에 지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고정끈(11)의 길이를 착용자의 선호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스크(10) 미착용시 마스크(10)를 목에 걸어 보관을 용이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도 2는 본 발명중 다단식증감홈(40) 및 이동식걸림구(5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중 다단식증감홈(40) 및 이동식걸림구(50)가 적용된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의 사용 상태도로서,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중 다단식증감홈(40) 및 이동식걸림구(5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30, Neckband)가 마련되되, 상기 넥밴드(30)는 "C"자 고리 형상의 밴드부(31)가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31)의 양측면을 따라 다단식증감홈(40)이 형성되며, 상기 다단식증감홈(40)에는 물결부(4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단계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즉, 도 2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다단식증감홈(40)에는 이동식걸림구(50)가 끼워지되, 상기 이동식걸림구(50)는 다단식증감홈(40)의 물결부(41)에 대응되어 위치되는 이동구(52)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구(52)의 상면에는 계지구(51)가 형성되어, 상기 계지구(51)에 마스크(10)의 고정끈(11)이 끼워진다.
따라서, 도 1에 ①번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걸림구(50)는 다단식증감홈(40)의 물결부(41)를 따라 움직일 수 있으므로, 도 3에서 보듯이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정끈(11)을 이동식걸림구(50)의 계지구(51)에 끼운 다음, 이동식걸림구(50)를 다단식증감홈(40)의 물결부(41)를 따라 다단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끈(11)의 길이를 착용자의 선호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10)의 미착용시에는 고정끈(11)이 이동식걸림구(50)의 계지구(51)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자연스럽게 마스크(10)를 목에 걸어 잠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중 고정식걸림구(53)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중 고정식걸림구(53)가 적용된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의 사용 상태도로서,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중 고정식걸림구(53)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에서 보듯이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30)가 마련되되, 상기 넥밴드(30)는 "C"자 고리 형상의 밴드부(31)가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31)의 양측면을 따라 고정식걸림구(53)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 장착되어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단계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즉, 도 4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밴드부(31)의 양측면에는 고정식걸림구(53)가 부착되되, 상기 고정식걸림구(53)는 밴드부(31)에 부착되는 부착구(54)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구(54)의 상면에는 계지구(51)가 형성되어, 상기 계지구(51)에 마스크(10)의 고정끈(11)이 끼워진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듯이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선호에 따라 다수개의 고정식걸림구(53)중 하나를 선택하여 고정끈(11)을 계지구(51)에 걸어주면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편리한 마스크(10)의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마스크(10)의 미착용시에는 고정끈(11)이 고정식걸림구(53)의 계지구(51)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자연스럽게 마스크(10)를 목에 걸어 잠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중 벨크로테이프(60) 및 수납부(7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중 벨크로테이프(6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에서 보듯이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30)가 마련되되, 상기 넥밴드(30)는 "C"자 고리 형상의 밴드부(31)가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31)의 양측면을 따라 벨크로테이프(60)가 장착되어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즉,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재질은 탄성력이 있는 나일론 재질의 끈임을 고려할 때, 벨크로테이프(60)의 표면에 고정끈(11)을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끈(11)의 부착 위치를 착용자의 선호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10)의 미착용시에는 고정끈(11)이 벨크로테이프(60)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자연스럽게 마스크(10)를 목에 걸어 잠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보듯이 밴드부(31)의 내측에는 수납부(70)가 형성되어 수납부(70)의 내부에 냉방재 또는 난방재를 삽입한 다음, 커버(71)를 닫으면 겨울 또는 여름에 목을 따뜻하거나 시원하게 감싸는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 수납부(70)는 벨크로테이프(60)가 적용된 도 6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밴드부(31)가 형성된 넥밴드(30)에 모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8은 본 발명중 무단식증감와이어(80)가 적용된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중 무단식증감와이어(80) 및 코드락(81)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에서 보듯이 목에 걸 수 있는 넥밴드(30)가 마련되되, 상기 넥밴드(30)는 "C"자 고리 형상의 무단식증감와이어(80)가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따라 무단식으로 이동되는 코드락(81, Cord Lock)이 장착되어 마스크(10)에서 고정끈(11)의 가압력을 무단식으로 증감시킬 수 있다.
도 7에서 보듯이 무단식증감와이어(80)에는 코드락(81)이 끼워지되, 상기 코드락(81)의 일측면에 형성된 계지구(51)를 손으로 잡고 누르면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계지구(51)에서 손을 떼면 코드락(81)에 내장된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되는 구성이며, 상기 계지구(51)에 마스크(10)의 고정끈(11)이 끼워진다.
따라서,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정끈(11)을 코드락(81)의 계지구(51)에 끼운 다음, 코드락(81)을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따라 무단식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끈(11)의 길이를 착용자의 선호에 따라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10)의 미착용시에는 고정끈(11)이 코드락(81)의 계지구(51)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자연스럽게 마스크(10)를 목에 걸어 잠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은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2단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마스크(10) 착용시 고정끈(11)의 거치 위치를 귀높이에 맞추기 위한 구성이다. 즉, "C"자 고리 형상을 갖는 무단식증감와이어(80)의 개방부에서 수직하게 2단형성구(82)를 만들어 2단형성구(82)를 매개체로 무단식증감와이어(80)가 2단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귀높이에 위치된 상단의 무단식증감와이어(80)의 코드락(81)의 계지구(51)에 고정끈(11)을 끼우면 고정끈(11)의 가압력은 더욱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도 9는 본 발명중 제1절곡부(83)와 제2절곡부(84)가 적용된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앞서 도 8에서는 2단형성구(82)를 매개체로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2단으로 구성하였으나, 도 9에서는 2단형성구(82)를 대신하여 자유 절곡이 가능한 제1절곡부(83)를 형성하여 각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단에 위치한 무단식증감와이어(80)의 1개소 이상에 자유 절곡이 가능한 제2절곡부(84)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자가 선호하는 착용 각도를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킨다.
한편, 무단식증감와이어(80)가 적용된 넥밴드(30)를 비롯하여 다단식증감홈(40)이 적용된 넥밴드(30), 이동식걸림구(50)가 적용된 넥밴드(30), 고정식걸림구(53)가 적용된 넥밴드(30)의 형상이 "C"자 고리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개방된 곳을 자석 또는 통상적인 이음구를 통해 폐합된 고리 형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를 사용하게 되면, 마스크(10)의 고정끈(11)을 귀에 직접 걸지 않아 귀의 통증이 사전에 예방될 뿐 아니라, 착용자의 선호에 따라 마스크(10)의 밀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다, 휴식 시간중 마스크(10)를 잠시 보관할 때 목에 건 상태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마스크
11 : 고정끈
20 : 연결구
30 : 넥밴드
31 : 밴드부
40 : 다단식증감홈
41 : 물결부
50 : 이동식걸림구
51 : 계지구
52 : 이동구
53 : 고정식걸림구
54 : 부착구
60 : 벨크로테이프
70 : 수납부
71 : 커버
80 : 무단식증감와이어
81 : 코드락
82 : 2단형성구
83 : 제1절곡부
84 : 제2절곡부

Claims (8)

  1. 목에 거는 무단식증감와이어(80)가 마련되되, 무단식증감와이어(80)의 개방부에서 2단형성구(82)를 형성하여, 상기 2단형성구(82)를 매개체로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2단으로 형성하고, 2단으로 형성된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따라 무단식으로 이동되는 코드락(81)이 장착되며, 상기 코드락(81)의 일측면에 계지구(51)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구(51)에 고정끈(11)을 끼워 코드락(81)을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끈(11)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단식증감와이어(80)의 개방부에서 수직하게 형성된 2단형성구(82) 대신 자유 절곡이 가능한 제1절곡부(83)를 형성하여 무단식증감와이어(80)를 2단으로 형성하되, 상단에 위치되는 무단식증감와이어(80)의 1개소 이상에 자유 절곡이 가능한 제2절곡부(84)를 형성하여 착용 각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28544A 2020-10-06 2020-10-06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KR10236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44A KR102362067B1 (ko) 2020-10-06 2020-10-06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44A KR102362067B1 (ko) 2020-10-06 2020-10-06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067B1 true KR102362067B1 (ko) 2022-02-11

Family

ID=8026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544A KR102362067B1 (ko) 2020-10-06 2020-10-06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0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4910A (ja) * 2009-06-25 2011-01-13 J D Network Co Ltd マスク用装着補助具
KR20120074871A (ko) * 2010-12-28 2012-07-06 김용학 걸이를 갖는 안전모
KR101554132B1 (ko) * 2014-04-17 2015-09-18 최종수 호흡공기 가온에 의한 체온 유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4910A (ja) * 2009-06-25 2011-01-13 J D Network Co Ltd マスク用装着補助具
KR20120074871A (ko) * 2010-12-28 2012-07-06 김용학 걸이를 갖는 안전모
KR101554132B1 (ko) * 2014-04-17 2015-09-18 최종수 호흡공기 가온에 의한 체온 유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6026B2 (ja) 呼吸マスクシステム
JP5504224B2 (ja) 非伸張性ヘッドギアおよびcpapまたはこれらを備えたベンチレータ・マスク
US5164987A (en) Personal stereo speaker assembly
EP1404146A4 (en) HEADPHONE HEADSET FOR BONE CONDUCTION
CA2991866C (en) Wireform attachment mechanism
WO2014004418A1 (en) A system for reduction of air leaks with use of cpap masks
KR102362067B1 (ko) 마스크 거치용 넥밴드
KR20200121258A (ko) 안면 마스크용 걸이장치
US6981569B2 (en) Ear clip
US202100684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Hair Style
KR20120074871A (ko) 걸이를 갖는 안전모
WO2006009545A1 (en) Ear clip
US11567343B2 (en) Ear adapter apparatus for distributing force against an ear
US20210093033A1 (en) Headwear
KR101771157B1 (ko) 사이즈 가변형 모자
US20210289277A1 (en) Character Comfort Headphones
KR102669936B1 (ko) 사용자 사이즈 맞춤형 기능성 마스크
CN209283453U (zh) 可穿戴式耳机
CN108683967A (zh) 一种头戴设备
CN210962538U (zh) 口呼吸睡眠矫正器
KR20220103277A (ko) 길이조절 목걸이끈 마스크
KR200444155Y1 (ko) 포니테일용 모자
KR200304090Y1 (ko) 방한용 마스크
US20190231579A1 (en) Wrinkle preventing device
KR20220049733A (ko) 마스크 끈 길이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