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911B1 -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 Google Patents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911B1
KR102361911B1 KR1020210126256A KR20210126256A KR102361911B1 KR 102361911 B1 KR102361911 B1 KR 102361911B1 KR 1020210126256 A KR1020210126256 A KR 1020210126256A KR 20210126256 A KR20210126256 A KR 20210126256A KR 102361911 B1 KR102361911 B1 KR 10236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inseng
saponin extract
saponin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준
Original Assignee
이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준 filed Critical 이화준
Priority to KR1020210126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4Liqu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wash-water, milling fluid,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3/00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인삼꽃봉오리, 인삼잎 등에서 사포닌 등을 추출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사포닌 추출물을 공기 등과 함께 가압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은,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세척하는 단계(S101), 상기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용기에 담아 60°C 내지 80°C의 온도로 180초 내지 360초에 데치는 단계(S103), 상기 데친 인삼꽃봉오리 또는 데친 인삼잎을 건조기에 투입하고, 60°C 내지 90°C로 건조하는 단계(S105), 상기 건조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건조된 인삼잎을 물이 담긴 추출기(抽出器)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 동안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1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S107), 상기 생성된 제1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하는 단계(S109) 및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제1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최종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S117)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MANUFACTURING METHOD OF SAPONIN EXTRACT USING GINSENG BUDS AND GINSENG LEAVES AND SAPONIN EXTRACT SPRAYING DEVICE}
본 발명은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 등에서 사포닌 등을 추출한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된 사포닌 추출물을 공기 등과 함께 가압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하고, 식품 부패 미생물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항균제와 방부제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화학 항균제 및 방부제의 경우, 다양한 세균과 진균에 우수한 항균력을 보이는 반면, 장기간 사용시에는 알러지(allergy)에 의한 발적, 혈관성 부종, 골수 억제, 빈혈, 위염, 퇴행성 뇌질환 등의 많은 부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실제 미국에서는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등의 부작용이 심한 항생제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확보되어 있으면서 장기간 사용 경험이 있는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제 개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생김새는 가늘고 긴 원주형이나 방추형으로 2~5개의 곁뿌리가 나 있고, 바깥 면은 엷은 황갈색이며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 자국이 있다.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던 노두가 있다. 한방에서는 인삼의 뿌리를 주로 약재로 사용하며,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알려진 약리작용으로는 대뇌피질 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 억제, 단백질 합성 촉진, 항상성 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있으며, 인삼 특유의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 인삼은 뿌리뿐만 아니라, 잎, 줄기, 열매, 씨를 모두 식용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히 인삼의 잎을 인삼잎(人蔘葉), 노두(蘆頭)를 인삼로(人蔘蘆), 종자를 인삼자(人蔘子)로 부르기도 하며, 이는 모두 한방에서 귀한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인삼은 인삼뿌리 등 지하부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인삼 꽃봉오리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상태이다. 국내에서 인삼은 여름에 1개의 꽃자루가 생성되고, 그 끝에 4~40개의 연한 녹색의 작은꽃이 산형꽃차례에 달리며, 통상 꽃은 3~4년생부터 피기 시작하여 5월 중순에 개화한다. 인삼꽃은 별도의 용도없이 폐기되는 상황이며, 인삼뿌리보다 경제적이며 공급면에서 안정적이며,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인삼근 보다 인삼꽃봉오리에서 사포닌 함량이 더욱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인삼의 주 효능을 나타내는 사포닌은 뿌리에 4-5% 존재하며 인삼꽃봉오리에는 이보다 4배 가량 높은 18-20% 정도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인삼의 근, 엽 및 경의 사포닌함량 비교, 고려인삼학회, p.118, 1987) 인삼꽃봉오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인삼꽃봉오리와 관련된 연구로는 인삼꽃의 향기성분 분석(우창식, 2009. 아주대학교 석사논문), 인삼 부위별 추출물의 피부개선효과(도희진, 2013, 서경대학교 석사논문), 발효 인삼꽃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마우스 사이토카인 IL-6, TNF-α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정수지 외, 2014.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7: 43-49) 및 발효 미생물에 따른 인삼꽃의 항산화 활성(김경희 외,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2: 663-669)등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이 인삼 꽃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보고이다.
또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인삼 잎(leaf)에도 다양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가 함유된 것으로 밝혀지고 있고, 인삼잎에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의 정제물을 사용하기 위한 뿌리의 진세노사이드와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버려지는 잎에서도 특정 진세노사이드가 정제되어 건강식품 내지는 의약품의 용도의 경제적 상품을 기대할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는 protopanaxadiol (PPD) 내지는 protopanaxatriol(PPT) aglycon 형태과 같은 triterpene 타입과 oleanolic acid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glycosides를 함유한 aglycon을 형성하는 진세노사이드는 glycosides의 이탈에 의해 다른 형태의 진세노사이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은 열, 산 분해, 효소 처리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인삼 잎의 사포닌 함량은 19.58%로 줄기(2.38%)나 뿌리(4.78%)에 비해서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인삼 잎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도 10.84%로 줄기(0.64%) 및 뿌리(2.37%)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다 (Korean J. Ginseng Sci. 11(2). 118-112, 1987).
한편, 사포닌 추출물은, 가금류의 사료나 농작물의 비료에 첨가시킴으로서 천연 사포닌의 기능성 성분에 의한 가금류와 농산물의 성장(생장)촉진, 면역력강화, 폐사율감소 효과와 더불어 기능성 계란과 같은 기능성 식품들의 생산 등에 유효하게 적용 할 수 있다. 즉, 사포닌 추출물을 비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엽채류 재배 시 화학비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화학비료를 과다 사용할 시, 일시적인 지력을 상승시켜 작물에 영양을 공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할 시 토양미생물 및 천적감소로 인한 생태계 교란, 수질오염 및 농산물의 농약잔류문제 야기 등, 농업환경이 악화되어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포닌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비료를 통해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해충이 예방되면서 영양이 풍부한 농업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다량의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는 해수는, 식물에 사용하면 병해충의 면역성, 당도 등을 높여 주는 효능이 있는데, 여기에 사포닌이 갖는 효능을 더하면, 유용한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해수를 병충해 예방 및 영양분 공급을 위해 농업에 사용하는 해수농업에 관하여는,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의 블로그 ‘https://blog.naver.com/koreamof/221578443560’를 참조하면, 바닷물의 무기영양소는 생육촉진, 고품질화, 토양미생물활성화, 유기물분해촉진, 광합성 촉진 등 다양한 능력을 가진 것을 알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해양수산부의 블로그를 참조하면, 바닷물 원액을 분무기로 살포했을 때, 감귤의 해충인 깍지벌레 발생이 34% 감소하였고, 바닷물 30배 희석액을 3회 살포하였을 때, 고추, 파프리카의 흰가루병 발생이 81%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0381호 (2011년10월07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3725호 (2010년04월29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3704호 (2020년08월11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인삼잎 등에서 사포닌 등을 추출하여 그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성된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된 사포닌 추출물을 공기 등과 함께 가압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를 해수의 공급이 원활한 곳에 설치하여, 사포닌 추출물에 공기 및 해수를 함께 가압한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은,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세척하는 단계(S101), 상기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용기에 담아 60°C 내지 80°C의 온도로 180초 내지 360초에 데치는 단계(S103), 상기 데친 인삼꽃봉오리 또는 데친 인삼잎을 건조기에 투입하고, 60°C 내지 90°C로 건조하는 단계(S105), 상기 건조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건조된 인삼잎을 물이 담긴 추출기(抽出器)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 동안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1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S107), 상기 생성된 제1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하는 단계(S109) 및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제1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최종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S117)를 포함한다.
상기 S109 단계 이후, 상기 증숙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증숙된 인삼잎을 다시 건조기에 투입하고, 60°C 내지 90°C로 건조하는 단계(S111), 상기 증숙된 후 다시 건조기에 투입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 동안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2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S113) 및 상기 생성된 제2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저장용기에 저장하는 단계(S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S117 단계는,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최종 추출물을 생성한다.
상기 최종 추출물과 함께 유용미생물제제, 당밀 및 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20°C 내지 30°C에서 5 내지 7일 간 발효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S119)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는, 사포닌 추출물이 수용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포닌 추출물이 유입되며, 외부의 공기와 함께 상기 사포닌 추출물을 가압하여 상기 사포닌 추출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실린더부, 상기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이 저장되는 가압용기부, 상기 저장된 사포닌 추출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에 의해 상기 저장된 사포닌 추출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부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노즐은 각각 일단에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사포닌 추출물은,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세척하고, 상기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용기에 담아 60°C 내지 80°C의 온도로 180초 내지 360초에 데치고, 상기 데친 인삼꽃봉오리 또는 데친 인삼잎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60°C 내지 90°C로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건조된 인삼잎을 물과 함께 추출기(抽出器)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 동안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1 추출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저장용기에 저장하고, 상기 증숙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증숙된 인삼잎을 다시 건조기에 투입하여, 60°C 내지 90°C로 건조하고, 상기 증숙된 후 다시 건조기에 투입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에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2 추출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생성된다.
상기 배출기는, 해수가 저장되는 해수저장부 및 해수를 유입하는 해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사포닌 추출물, 공기 및 해수를 혼합하여 가압한다.
본 발명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에 따르면,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인삼잎 등에서 사포닌 등을 추출하여 그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에 따르면, 그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에 따르면, 제조된 사포닌 추출물을 공기 등과 함께 가압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에 따르면, 사포닌 추출물에 공기 및 해수를 함께 가압한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의 각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가 드론에 탑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은,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인삼잎을 이용해 제조된다. 즉, 사포닌 추출물은 인삼꽃봉오리만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인삼잎만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포닌 추출물은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 모두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은, 항균 조성물은 세정제의 용도로서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용 세제, 식기 세척제, 식품 세정제, 가전제품 세척제일 수 있다. 사포닌 추출물은 천연성분으로 인체에 유해하지 아니하므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주방용품 또는 식품세척 등을 포함하는 각종 생활용품의 세척이나 항균성 부여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포닌 추출물을 이용한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적의 선택된 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정제 등 다른 유효성분이나 색소, 계면활성제, 방부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정제는 그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분말화, 과립화, 정제화 또는 액상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제품화를 위하여 포장을 위해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은,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로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이 우수한 성분을, 예를 들어, 에센스, 영양크림, 바디로션, 린스, 샴푸, 바디클렌저, 로션, 스킨, 마스크팩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태로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조 공정에 따라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은, 도 1을 참조하면,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세척하는 단계(S101), 상기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용기에 담아 60°C 내지 80°C의 온도로 180초 내지 360초에 데치는 단계(S103), 상기 데친 인삼꽃봉오리 또는 데친 인삼잎을 건조기에 투입하고, 60°C 내지 90°C로 건조하는 단계(S105), 상기 건조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건조된 인삼잎을 물이 담긴 추출기(抽出器)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 동안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1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S107), 상기 생성된 제1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하는 단계(S109) 및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제1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최종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S11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은, 상기 S109 단계 이후, 상기 증숙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증숙된 인삼잎을 다시 건조기에 투입하고, 60°C 내지 90°C로 건조하는 단계(S111), 상기 증숙된 후 다시 건조기에 투입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 동안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2 추출물을 생성하는 단계(S113) 및 상기 생성된 제2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저장용기에 저장하는 단계(S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S117 단계에서는,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최종 추출물, 즉 사포닌 추출물을 생성한다.
S101 단계에서는, 인삼꽃봉오리(flower bud of Panax ginseng C. A. Meyer) 및/또는 인삼잎을 찬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S101 단계에서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인삼잎을 세척할 때에는 초음파 세척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꽃봉오리는 꽃의 싹을 보호하고 있는 비늘조각잎(鱗片葉)과 포엽(苞葉) 등을 포함하며, 꽃눈이 상당히 발달하여 개화가 가까워진 상태를 말한다.
S103 단계에서는, 흙냄새나 잡냄새를 없애기 위해 세척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인삼잎을 물이 담긴 용기에 담아 60°C 내지 80°C의 온도로 180초 내지 360초에 데친다.
S105 단계에서는, 데친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데친 인삼잎을 식품건조기에 투입하고, 60°C 내지 90°C로 바삭하게 건조한다.
S107 단계에서는, 식품건조기에서 건조된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건조된 인삼잎을 깨끗하게 정제된 물과 함께 추출기(抽出器)에 담아 서서히 온도를 올리면서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600초 내지 1800초 간 증숙하고 달여 제1 추출물을 생성한다.
S109 단계에서는, 생성된 제1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거름망에 의해 걸러진 제1 추출물을 저장용기에 저장한다. 이때의 거름망은, 0.45 um 내지 0.8 um 필터일 수 있다.
S117 단계에서는 저장용기에 저장된 제1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내 남아있는 슬러지를 더 제거하여 최종 추출물을 생성한다. 원심분리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분이나 비중이 다른 물질들을 분리·정제·농축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은, S109 단계 이후, S111 단계, S113 단계 및 S115 단계를 더 포함한다.
S111 단계에서는, 제1 추출물을 생성하고 남은 잔여물 즉, 증숙된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증숙된 인삼잎을, S105 단계와 같이, 다시 건조기에 투입하고, 60°C 내지 90°C로 바삭하게 건조한다.
S113 단계에서는, 증숙된 후 다시 건조기에 투입된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인삼잎을, S107 단계와 같이, 깨끗하게 정제된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서서히 온도를 올리면서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600초 내지 1800초 간 증숙하여 제2 추출물을 생성한다.
S115 단계에서는, 생성된 제2 추출물을, S109 단계와 같이, 거름망으로 걸러 저장용기에 저장한다. 이때의 거름망도, 0.45 um 내지 0.8 um 필터일 수 있다.
S115 단계 이후, S117 단계는,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제1 추출물과 함께 상기 제2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 내 남아있는 슬러지를 더 제거하여 최종 추출물을 생성한다.
한편, S109 단계 이후, S111, S113 및 S115 단계는, 제1 추출물의 상태에 따라 1 내지 3회 반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건조된 인삼꽃봉오리 및/또는 인삼잎은 1 내지 3회 더 달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은, 최종 추출물과 함께 유용미생물제제, 당밀 및 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20°C 내지 30°C에서 5 내지 7일 간 발효시킨 후, 상기 혼합물을 여과하는 단계(S119)를 더 포함한다. S119 단계에서의 물은, 해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에는 다량의 미네랄이 포함되고, 식물의 병충해 예방과 함께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다.
유용미생물제제(EM, Effective Microoganisms)는 유용미생물만을 모아 혐기적으로 존속시킨 갈색의 액체이다. 이 안에는 5과 10속 80 여종의 유용미생물이 합류 공존하고 있으며, 자연계에서는 EM처럼 유용미생물만이 모아져 있는 예는 찾아볼 수 없다. 광합성세균, 유산균, 효모균이 주축이 되며 3 종중 한 가지만 빠져도 EM의 기능은 없어지게 되고, 3종을 축으로 하여 자연적으로 공생관계를 갖는 미생물은 EM과 한통속이 되며, EM을 구성하는 미생물은 호기·혐기에 관계없이 직·간접적으로 항산화물질을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광합성 균에 연유하는 자기 공명파동은 프리 래디컬 반응(산화. 부식시키는 작용)을 소멸시킨다. 균의 종류가 많고 밀도가 높을수록 효과가 크며, 식품가공과 동식물에 있어 유용하다고 하는 미생물의 대부분이 EM과 공존한다. EM에는 정균, 발효, 합성형 미생물이 함께 들어 있어 조건만 갖추어주면 잘 정착될 뿐만 아니라 기존 토양에 존재하고 있는 유용미생물과도 협력관계를 유지 토양을 개량하고 오염을 정화하며 작물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광합성 세균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세균을 말한다. 엽록소 대신 박테리오클로로필을 가지므로 이산화탄소와 수소화합물을 재료로 광합성이 가능하다.
당밀은 사탕수수 즙을 농축시켜 설탕 결정을 분리하고 남은 액으로서, 주로 럼주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당밀은 고농도의 당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발효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질소 성분이 없기 때문에 당밀을 발효시키기 위해서는 따로 질소원을 첨가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사포닌은, 화학적으로 배당체라 부르는 화합물의 일종으로, 사포닌 수용액은 흔들면 비누처럼 지속성의 미세한 거품을 내는 일반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Saponin(사포닌)이란 어원은 비누처럼 거품을 낸다고 하여 "Sapo : 비누"에서 유래되어진 말이다.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은 사람이나 동물에게 유익할 뿐만 아니라 식물에게도 상당한 효능이 있으며 한방 사포닌을 사용한 식물체는 병충해의 저항성과 자연 공해에 강하여 식물의 활력과 생명력을 불어 넣어주고 과일의 당도 및 광택, 크기 등에 영향력을 가진다. 사포닌 추출물을 농업에 사용하면 현재 농업에 쓰여지는 농약의 양, 회수를 줄이고, 대자연 속에서 작물들이 병충해로부터 저항력을 한층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자연 식물체는 잎의 표면에 파라핀이나 산소(에스텔)을 분비해서 병균이나 해충으로부터 스스로 보호한다. 식물체는 스스로 보호하고, 생리적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외표면에 한층의 단단하고 튼튼한 표피구조를 가지고 있다. 식물의 병균은 크게 사상균(곰팡이), 세균(박테리아), 바이러스로 나누어진다. 식물의 잎 표면에 붙는 병균은 이러한 병균 외에 유익, 무익 잡균으로 가득차있다. 토양 중에 서식하고 있는 균의 대부분이 잎 표면에 붙어 있다. 식물체의 잎은 병에 걸리기 쉬운 잎과 잘 걸리지 않는 잎이 있다. 광택이 있는 잎은 병에 걸리지 않는다. 그 광택의 정체가 왁스층이다. 활력이 있는 잎은 왁스층이 두껍고 단단하다. 왁스층에 구열이 생기거나 벗겨지거나 하여도 그 재생도 빠르다. 병균이 침입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왁스층은 직적 병균의 침입을 막는 방어벽만의 역활뿐만 아니라 물을 튕기는 성질도 강하다. 그렇기 때문에 비나 이슬에 젖어도 물방울로 되어서 잎으로부터 굴러 떨어진다. 이때 곰팡이의 포자나 세균도 물방울과 함께 떨어져 버린다. 또 잎이 빨리 건조하므로 병균은 오래 활동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은 이러한 왁스층을 강화시킨다. 인삼 사포닌 G-Rb1은 식물세포의 DNA, RNA, 단백질, 지질 합성 촉진작용을 하고, 사상균(곰팡이)나 세균(박테리아)이 내뿜는 에스텔(산소)을 차단하는 물체의 단백질, 지질합성을 촉진시키며, 세포의 DNA 합성촉진 식물체의 활성물질 생성촉진작용을 한다. 인삼 사포닌 G-Ro에서는 식물체의 상처부위를 빨리 아물게하여 병균의 침입을 막고, 잎의 노화를 막으며 잎의 피막을 형성하여 표피의 층을 두텁게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을 토양에 살포하면 농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선충이나 토양병해충을 줄이고 토양 안에서 농도가 낮아지면 유용한 미생물의 증식이 쉬워진다. 또한 흙에 뿌리면 뿌리의 발근이 좋아진다. 식물의 뿌리 주변에는 근권 미생물이 다수 생존하고 있으며, 식물에 유용한 물질을 주는 유익균이 번식하고 있고, 그 유익균은 아미노산, 핵산, 비타민, 호르몬 등을 분비하고 식물은 그러한 것들의 유용미생물을 직접, 간접으로 흡수해서 다수확을 초래함과 동시에 수확물의 품질향상 즉 맛, 색택, 향기, 저장성의 증대, 영양소의 함유량이 많고 비타민과 각종 미네랄이 많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 도 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최종 추출물 즉, 사포닌 추출물이 수용되고, 수용된 사포닌 추출물을 고압으로 배출할 수 있다. 사포닌 추출물은 농업에서 방충 및 비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포닌 추출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자체로서도 비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다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는 종래의 농업 작업자에 의한 동력분무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는, 수용된 사포닌 추출물을 가압하여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을 생성하고,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을 고압으로 배출한다. 이때,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은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와 함께 가압되어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버블은 사포닌 추출물 내 고농도로 용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의 각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는, 도 2를 참조하면, 탱크부(110), 실린더부(120), 가압용기부(130), 밸브부(140) 및 배출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부(110)에는,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생성된 사포닌 추출물이 저장된다. 탱크부(110)는 액체의 저장이 가능한 저장소 또는 탱크를 포함한다. 탱크부(110)에 수용된 사포닌 추출물은 사포닌관(111)을 통해 실린더부(120)로 이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부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부(120)는, 탱크부(110)와 연결되어 사포닌 추출물이 유입되며, 외부의 공기와 함께 사포닌 추출물을 가압하여 사포닌 추출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한다.
실린더부(120)는, 도 3을 참조하면, 배출기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관(113) 및 사포닌 추출물이 탱크부(110)에서 유입되는 사포닌관(111)을 포함한다.
공기관(113)은 배출기(100)의 외부에서 실린더부(120)와 연결되고, 사포닌관(111)은 탱크부(110)에서 실린더부(120)와 연결된다. 실린더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의 비율은 2:8일 수 있다. 실린더부(120)는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을 흡입한다. 공기관(113) 및 사포닌관(111)은 각각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이 실린더부(120) 내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동력장치(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실린더부(120)는 흡입된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을 가압하여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유체를 생성한다. 실린더부(120)는 흡입된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을 가압하여 공기를 사포닌 추출물에 용해시켜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유체를 생성하며, 그 유체를 본 명세서에서는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이라 한다.
실린더부(120)는 공기관(113)과 사포닌관(111)에서 유입된 사포닌 추출물 및 공기를 혼합하여 가압할 수 있다. 사포닌 추출물 및 공기가 함께 혼합 및 가압됨에 따라 사포닌 추출물의 압력이 높아진다.
실린더부(120)는, 흡입된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을 가압하는 실린더(123)와 그 실린더(123)를 동작시키는 동력장치부(121)를 포함하며, 실린더(123)의 내부 공간에는 사포닌 추출물 등을 가압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한다. 동력장치부(121)는 공지된 모터일 수 있다. 동력장치부(121)는 실린더(123) 내 실린더 로드 등을 왕복운동 동작시킨다.
실린더(123)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은 왕복운동(피스톤 운동)하는 실린더 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의 압력이 더 높아진다.
한편, 공기관(113) 및 사포닌관(111)과 연결되는 실린더(123)의 입구, 즉 입구관(117)에는 공지된 체크밸브(check valve, 115)가 포함된다. 체크밸브(115)는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이 단방향으로 실린더(123)의 내부로 진입만 가능하고 실린더(123)의 내부에 흡입된 공기 및 사포닌 추출물이 다시 공기관(113) 및 사포닌관(111)으로 역류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용기부(130)는,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실린더부(120)에 의해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을 저장한다.
실린더부(120)는 가압용기부(130)를 향해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을 배출하는 실린더관(127)을 더 포함한다. 실린더(423)와 실린더관(127)의 일단은 공지된 체크밸브(125)로 결합되어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이 다시 실린더(123)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 실린더(123) 내에서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은 가압용기부(130)를 향해서만 이동한다. 실린더부(120)에서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은 가압용기부(130)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가압용기부(130)에 저장된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은 밸브부(140)에 의해 배출이 조절될 수 있다. 가압용기부(130)와 밸브부(140) 간에는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이 밸브부(140)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가압관(131)이 포함된다. 밸브부(140)는 가압관(131)과 후술할 밸브관(141) 사이를 온오프하는 공지된 밸브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150)는, 밸브부(140)의 동작에 의해 가압용기부(130)에 저장된 사포닌 추출물을 배출기의 외부로 배출한다. 밸브부(140)의 동작에 의해 이동한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은 배출부(150)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부(150)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복수개의 연질 노즐(151)을 포함한다. 밸브부(140)와 배출부(150) 간에는 밸브관(141)으로 연결되고, 밸브관(141)은 복수개의 노즐(151)들과 연결된다. 복수개의 노즐(151)은 각각 배출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복수개의 노즐(151)은 각각 일단에 일정 중량을 가진 무게추(153)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노즐(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은 노즐(151)이 포함하는 무게추(153)에 의해 노즐(151)이 자유롭게 운동함에 따라,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의 배출 시 그 배출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부(12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부(120)는, 도 5를 참조하면, 해수를 유입하는 해수관(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수관(114)은 해수가 저장되는 해수저장부(미도시)와 사포닌관(111)을 연결한다. 따라서 실린더부(120)는, 사포닌 추출물과 공기를 가압하여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을 생성할 때, 해수를 더 포함한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는, 식물에 사용하면 병해충의 면역성, 당도 등을 높여 주는 효능이 있는데, 여기에 사포닌이 갖는 효능을 더하면, 유용한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은 사포닌 농업과 함께 해수를 병충해 예방 및 영양분 공급을 위해 농업에 사용하는 해수농업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농업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방제 및 비료 살포 작업의 경우, 작업의 난이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건강에도 위협을 주는 요인이 있어 자동화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방제 및 비료 살포 작업은 작물에 따라서 연간 10회 이상 필요한 것으로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특히, 작업자에 의한 동력분무기를 이용한 노동집약적인 방제 및 비료 살포 작업은 생산비의 절감이 어렵고, 고압용 노즐에서 발생된 미세입자의 비산으로 인한 손실은 물론 근접 작업자의 중독사고가 우려되며, 불균일한 살포로 인하여 방제 및 비료 살포의 효과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과도한 노동력투하와 더불어 전술한 각종 문제점 발생에 따른 방제 및 비료 살포 작업의 기피현상 등이 심화되고 있어, 새로운 작업 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를 농업용 드론(200)에 탑재하고, 원격으로 드론(200)을 조종하면서 사포닌 추출물을 살포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200)은, 작업 면적에 따라 드론(200)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거나 수동으로 조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가 드론에 탑재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200)은 양력을 출력하는 복수의 구동부,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지상의 원격조정자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드론(200)의 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가 탑재된다. 이때, 배출부(150)의 노즐(151)이 하단을 향해 위치하도록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는 드론(200)의 하부에 탑재된다. 드론(200)과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 간에는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공지의 드론 용 짐벌(101, Gimbal)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짐벌(101)의 상부는 드론(200)의 하부와 결합되고, 짐벌(101)의 하부는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는, 드론(200)의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드론(200)의 제어부는 지상의 작업자가 소지하는 컨트롤러,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지상통제장비와 무선통신하여 드론(200)의 비행과 함께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의 밸브부(140)를 동작할 수 있다.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는 드론(200)이 비행할 때 지면을 향해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을 배출할 수 있다. 드론(200)의 제어부는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의 각 구성을 제어하고, 드론(200)의 배터리는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의 각 구성으로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는 탱크부(110)에 수용된 사포닌 추출물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중량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중량센서는 드론(200)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량센서는 탱크부(110)에 수용된 사포닌 추출물의 중량이 기 설정된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한 경우(예를 들어 탱크부(110)에 수용 가능한 전체 액체 중량의 1/5 등), 그 정보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중량센서로부터 액체의 중량이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한 정보를 수신하면, 드론(200)이 사포닌 추출물이 보관되어 있는 위치 상으로 비행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GPS 모듈을 포함하여 비행중인 드론(200)의 위치데이터를 생성하고 지상통제장비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포닌 추출물이 보관되어 있는 위치에도 GPS모듈을 포함하는 위치데이터생성장치가 포함된다. 이 때, 이 위치는 드론(200)의 최초 비행 시작 위치일 수도 있다. 제어부는 현재 비행중인 드론(200)의 위치데이터와 사포닌 추출물이 보관되어 있는 위치의 위치데이터를 비교하여 비행중인 드론(200)을 사포닌 추출물이 보관되어 있는 위치 상으로 복귀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농업용 드론(200)을 활용한 농지 방제 및 비료 작업은 전술한 지상통제장비를 통해 수동으로 비행 경로를 조작하거나, 또는 작업 면적에 따라 드론(200)의 비행 경로를 기 설정할 수 있다. 드론(200)의 이동 경로가 기 설정된 경우, 드론(200)이 이륙하는 위치(즉, 드론(200) 스테이션)에서 드론(200)이 이륙하여 드론(200) 스테이션에서 일정거리 비행할 때까지는 단말기를 통해 드론(200)의 비행을 조작하고, 일정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 드론(200)의 비행 경로는 기 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른다. 또한 제어부는 수신한 액체의 중량이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한 정보를 작업자가 소지한 컨트롤러, 단말기 등 지상통제장비로 송신할 수 있다. 지상통제장비는 드론(20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인 경우, 드론(200)의 비행 경로를 직접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200)에 의한 방제 및 비료 작업을 하는 면적이 큰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드론(200)은 복수개가 동시에 운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작업하는 면적이 큰 경우, 복수개의 드론(200)은 각각 서로 다른 구역에 방제 및 비료 작업을 수행한다. 복수개의 드론(200)은 각각 기 설정된 비행 경로를 따라 비행하며, 방제 및 비료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각 드론(200)은 구비한 중량센서에 의해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100)에 수용된 사포닌 추출물의 중량이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한 경우, 그 정보를 지상통제장비로 송신할 때 다른 인근의 드론(200)으로 그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그 정보를 수신한 다른 드론(200)은 자신의 비행 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즉 그 정보를 수신한 다른 드론(200)은, 그 정보를 송신한 드론(200)의 비행 경로를 합하여 다른 드론(200)의 비행 경로를 수정한다. 따라서 사포닌 추출물의 중량이 일정 중량 이하로 감소하여 드론(200) 스테이션으로 복귀한 드론(200)의 작업 구역은 탱크부(110)에 수용된 사포닌 추출물이 충분한 다른 드론(200)이 맡아 계속 작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통제장비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검색 정보 및 선택 정보의 입력과, 검색된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디지털 정보의 처리가 가능한 구성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통제장비는 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e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무인단말기(kiosk)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상통제장비는 각각이 구비한 통신부 및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망은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신망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말기가 각각 구비한 통신부는, 전술한 통신망을 통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망을 위해 구비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101 : 짐벌
110 : 탱크부 111 : 사포닌관
113 : 공기관 114 : 해수관
115 : 체크밸브 117 : 입구관
120 : 실린더부 121 : 동력장치부
123 : 실린더 125 : 체크밸브
127 : 실린더관 130 : 가압용기부
131 : 가압관 140 : 밸브부
141 : 밸브관 150 : 배출부
151 : 노즐 153 : 무게추
200 : 드론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는,
    사포닌 추출물이 수용되는 탱크부;
    상기 탱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포닌 추출물이 유입되며, 외부의 공기와 함께 상기 사포닌 추출물을 가압하여 상기 사포닌 추출물에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실린더부;
    상기 가압된 사포닌 추출물이 저장되는 가압용기부;
    상기 저장된 사포닌 추출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부; 및
    상기 밸브부에 의해 상기 저장된 사포닌 추출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부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노즐은 각각 일단에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사포닌 추출물은,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세척하고,
    상기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용기에 담아 60°C 내지 80°C의 온도로 180초 내지 360초에 데치고,
    상기 데친 인삼꽃봉오리 또는 데친 인삼잎을 건조기에 투입하여 60°C 내지 90°C로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건조된 인삼잎을 물과 함께 추출기(抽出器)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 동안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1 추출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저장용기에 저장하고,
    상기 증숙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증숙된 인삼잎을 다시 건조기에 투입하여, 60°C 내지 90°C로 건조하고,
    상기 증숙된 후 다시 건조기에 투입된 인삼꽃봉오리 또는 인삼잎을 물과 함께 추출기에 담아 600초 내지 1800초에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증숙하여 제2 추출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추출물을 거름망으로 걸러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원심분리기를 통해 상기 제1 추출물 및 상기 제2 추출물 내 슬러지를 제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는,
    해수가 저장되는 해수저장부; 및
    해수를 유입하는 해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사포닌 추출물, 공기 및 해수를 혼합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KR1020210126256A 2021-09-24 2021-09-24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KR10236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256A KR102361911B1 (ko) 2021-09-24 2021-09-24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256A KR102361911B1 (ko) 2021-09-24 2021-09-24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911B1 true KR102361911B1 (ko) 2022-02-14

Family

ID=8025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256A KR102361911B1 (ko) 2021-09-24 2021-09-24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9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826A (ko) * 2004-09-30 2006-04-04 김귀례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하는 식품조성물
KR100830858B1 (ko) * 2007-12-12 2008-05-22 금산군 인삼사포닌 발효액을 이용한 엽채류 재배방법
KR20100043725A (ko) 2008-10-21 2010-04-29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증숙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KR20110110381A (ko) 2010-04-01 2011-10-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흑인삼꽃봉오리 가공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1923A (ko) * 2015-11-03 2017-05-12 박원규 게르마늄 함유 수경재배 인삼 잎 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2143704B1 (ko) 2018-12-21 2020-08-11 이장한 사포닌을 함유한 액상 첨가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826A (ko) * 2004-09-30 2006-04-04 김귀례 참죽나무와 가죽나무의 추출물 및 분말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하는 식품조성물
KR100830858B1 (ko) * 2007-12-12 2008-05-22 금산군 인삼사포닌 발효액을 이용한 엽채류 재배방법
KR20100043725A (ko) 2008-10-21 2010-04-29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증숙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KR20110110381A (ko) 2010-04-01 2011-10-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흑인삼꽃봉오리 가공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1923A (ko) * 2015-11-03 2017-05-12 박원규 게르마늄 함유 수경재배 인삼 잎 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2143704B1 (ko) 2018-12-21 2020-08-11 이장한 사포닌을 함유한 액상 첨가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07948B (zh) 高效无毒农药广普型杀虫杀菌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2754667B (zh) 一种高效复合植物源农药
CN106542893A (zh) 水稻增产有机喷施剂
Henrietta et al. Coconut tree (Cocos nucifera) products: A review of global cultivation and its benefits
CN105941070A (zh) 一种石榴果树的栽培方法
CN101427692B (zh) 植物农药及其制备方法
CN104798839A (zh) 中草药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4186256A (zh) 一种油茶的病虫害防治方法
CN106718732A (zh) 一种梅菜育苗的专用基质
CN105123801A (zh) 一种复合生物杀虫剂
Đurić et al. Use of different types of extracts as biostimulators in organic agriculture
CN106332921B (zh) 一种植物源杀虫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641853A (zh) 一种胶东地区花生高产栽培技术
CN107593207A (zh) 一种葡萄除虫方法
CN104892146B (zh) 一种适用于橙树壮果期施用的肥料及其制备方法
CN106577806B (zh) 一种蔬菜杀虫剂及其制备方法
CN109258328A (zh) 提高阳春砂仁产量的种植方法以及阳春砂仁的种植方法
CN104430636A (zh) 一种防治芦笋病虫害的组合物
KR102361911B1 (ko) 인삼꽃봉오리와 인삼잎을 이용한 사포닌 추출물 제조방법 및 사포닌 추출물 배출기
CN104472592A (zh) 一种防止黄瓜病虫害组合物制备方法
CN104206574A (zh) 有机米兰花绿茶的制作方法
CN102792977A (zh) 一种防治圣女果蚜虫的配制方法
CN104542737A (zh) 一种防治芦笋病虫害组合物的制备方法
CN107162782A (zh) 苜蓿专用复合灭菌浓缩营养液及其制备方法
CN107372477A (zh) 一种用于玫瑰切花保鲜的农用药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