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665B1 -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665B1
KR102361665B1 KR1020210100070A KR20210100070A KR102361665B1 KR 102361665 B1 KR102361665 B1 KR 102361665B1 KR 1020210100070 A KR1020210100070 A KR 1020210100070A KR 20210100070 A KR20210100070 A KR 20210100070A KR 102361665 B1 KR102361665 B1 KR 102361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nline platform
rule
web pag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10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8Details of hyperlinks; Management of linked anno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온라인 플랫폼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 계정에 관한 SNS 정보를 등록하는 SNS 정보 등록 단계;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서 상기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웹페이지에 업로드할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는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 결정된 타겟 컨텐츠에서 대표 이미지를 결정하는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 결정된 대표 이미지에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를 합성하는 대표 이미지 합성 단계; 상기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에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를 게시하는 대표 이미지 게시 단계;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에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추가하는 하이퍼링크 추가 단계; 및 상기 웹페이지에서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를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WEB P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사용자의 다양한 컨텐츠를 통합 제공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속도, 즉 전송 대역폭의 증가(이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커진다는 의미와 같다)로 인해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커지고 있는데, 이러한 인터넷 관련기술을 빠른 발전으로 인해 생동감 있는 오디오(audio)와 비디오(video)들이 결합된 멀티미디어를 온라인(on-line) 검색을 통해 보고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의 대표적인 것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여기서 스트리밍(streaming)이란 크기가 큰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동영상데이터)를 실행시키는데 있어서 전부 다운(down)받아 실행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개의 파일로 나누어 연이어 실시간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오디오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들을 스트리밍 형식으로 듣거나 화면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단말 장치에 여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오디오 스트리밍/비디오 스트리밍(audio streaming/video streaming)을 위해서는 리얼 오디오 플레이어(real audio player)와 같은 오디오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나 윈도우즈 미디어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은 대부분 실시간(real time)으로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플러그 인(multimedia plug in)이며,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기반으로 하여 동작할 수 있는 부가적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현재 상기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통해 지원될 수 있는 서비스로는, 스포츠나 뉴스나 라이브 콘서트 등의 실시간 중계방송서비스,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OD: Video On Demand) 등이 있으며,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국, 인터넷 영화관 등의 많은 인터넷 서비스 사업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네트워크 대역폭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이고, 더욱 강력한 PC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제한적 서비스라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인터넷 전용선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고 PC도 고성능화 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는 점진적으로 사라지고 있다.
한편 효과적인 소통과 공감대형성을 통해 최근 각광받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는 친구, 직장 동료 또는 정보를 교류하는 관계 등의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연결된 사람이나 조직 혹은 다른 사회적 개체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웹상의 네트워크화된 정보 공간에 이용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정보를 자유 롭게 게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라 칭함)는 근래 어느 장소에서든지 자유로운 웹 접속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 증가를 통해 다양한 정보의 교류뿐만 아니라,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인맥관 계의 형성을 통해 의사결정이나 가치판단을 용이하게 해주고 있다.
또한, 이러한 SNS는 사용자가 자신의 캐릭터, 상품 및 서비스 등을 홍보하는 마케팅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다만, SNS 플랫폼은 각각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복수의 SNS 플랫폼에 게시된 컨텐츠를 통합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SNS 플랫폼의 계정 정보를 웹페이지에 노출시키거나, SNS 플랫폼에 개시한 컨텐츠를 직접 웹페이지에 게시하여 SNS 플랫폼을 통한 마케팅을 할 수 있다.
(001)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125485호 (2010.12.09) (002)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26090호 (2012.03.16)
본 발명은 애니메이션 및/또는 캐릭터 영상을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SNS 계정 정보를 등록 받고, SNS 계정을 통해 게시된 여러 컨텐츠 중에서 소정의 규칙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사용자의 웹페이지에 노출시킬 수 있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온라인 플랫폼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 계정에 관한 SNS 정보를 등록하는 SNS 정보 등록 단계;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서 상기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웹페이지에 업로드할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는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 결정된 타겟 컨텐츠에서 대표 이미지를 결정하는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 결정된 대표 이미지에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를 합성하는 대표 이미지 합성 단계;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에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추가하는 하이퍼링크 추가 단계; 상기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에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를 게시하는 대표 이미지 게시 단계; 및 상기 웹페이지에서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를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1 규칙과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 중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만을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2 규칙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을 확인하는 규칙 확인 단계;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각각을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1 컨텐츠 결정 단계;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2 컨텐츠 결정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이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지 않지만, 관심도가 기준값 이상인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3 컨텐츠 결정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조회수, 댓글 수, 좋아요 수 및 리트윗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각각의 관심도를 산출하는 관심도 산출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는, 상기 타겟 컨텐츠에 시간 링크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시간 링크 확인 단계; 상기 타겟 컨텐츠에 상기 시간 링크가 설정된 경우,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에서 상기 시간 링크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를 추출하는 링크 이미지 추출 단계; 상기 타겟 컨텐츠에 상기 시간 링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설정된 이미지를 추출하는 기설정된 이미지 추출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이미지 또는 상기 링크 이미지를 상기 대표 이미지로 확정하는 대표 이미지 확정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표 이미지 합성 단계는, 상기 대표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컨텐츠 리스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 단계;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일러스트 중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를 결정하는 일러스트 결정 단계; 및 보정된 대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상기 일러스트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일러스트를 합성하는 일러스트 합성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겟 컨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웹페이지 상에 상기 타겟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레이어를 생성하는 레이어 생성 단계; 및 생성된 레이어에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상기 타겟 컨텐츠를 직접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를 운용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웹페이지를 복수의 단말에게 제공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온라인 플랫폼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 계정에 관한 SNS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서 상기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웹페이지에 업로드할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타겟 컨텐츠에서 대표 이미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이미지에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에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추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에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를 게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웹페이지에서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타겟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1 규칙과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 중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만을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2 규칙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을 확인하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각각을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1 컨텐츠 결정하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이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지 않지만, 관심도가 기준값 이상인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조회수, 댓글 수, 좋아요 수 및 리트윗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각각의 관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웹페이지에서 사용자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 게시된 다양한 컨텐츠를 하나의 웹페이지에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캐릭터, 상품 및 서비스 등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에 게시된 다양한 컨텐츠 중 마케팅을 위한 소정의 규칙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선택적으로 웹페이지에 노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중 일부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의 각 단계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중앙서버(40)일 수 있으며, 서버에 의해 운용되는 웹페이지는 본 발명의 온라인 플랫폼을 표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은 애니메이션 및/또는 캐릭터에 대한 영상을 제공(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서버는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단말(10, 20, 30)과 소정의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때 소정의 신호 및/또는 정보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 및/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되는 신호 및/또는 정보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단말(10, 20, 30) 중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완료한 단말에 한하여 상기 온라인 플랫폼 및/또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 및/또는 상기 소정의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또는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NS 정보 등록 단계(S100),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S200),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S300), 대표 이미지 합성 단계(S400), 하이퍼링크 추가 단계(S500), 대표 이미지 게시 단계(S600) 및 타겟 컨텐츠 제공 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SNS 정보 등록 단계(S100)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 계정에 관한 SNS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0, 20, 3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는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게시물이 저장된 온라인 플랫폼과 계정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웹페이지에 게시할 게시물이 저장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과 해당 온라인 플랫폼의 계정 정보(예컨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는 YoutubeTM, InstagramTM 및 TwitterTM 등의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과 해당 온라인 플랫폼의 계정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S200)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서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웹페이지에 업로드할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S200)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에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규칙은,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1 규칙과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 중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만을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2 규칙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마다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는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온라인 플랫폼(또는 제1 SNS 플랫폼)에 대해서는 제1 규칙을 적용하여, 저장된 모든 컨텐츠가 타겟 컨텐츠로 결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2 온라인 플랫폼(또는 제2 SNS 플랫폼)에 대해서는 제2 규칙을 적용하여, 저장된 모든 컨텐츠 중에서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만이 타겟 컨텐츠로 결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S300)는 결정된 타겟 컨텐츠에서 대표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대표 이미지란 웹페이지를 통해서 제공되는 타겟 컨텐츠를 대표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대표 이미지는 타겟 컨텐츠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대표 이미지 합성 단계(S400)는 결정된 대표 이미지에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를 합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컨대,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한 CI(Corporate identity) 이미지, BI(Brand identity) 이미지 및/또는 로고 이미지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다른 온라인 플랫폼에서, 예를 들면, YoutubeTM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계정으로 게시한 동영상이 타겟 컨텐츠로 결정되었다고 가정한다.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르면, 해당 동영상을 나타내는 대표 이미지가 결정되고, 결정된 대표 이미지에 YoutubeTM 플랫폼을 나타내는 로고 이미지가 합성될 수 있다.
하이퍼링크 추가 단계(S500)는 합성된 대표 이미지에 타겟 컨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추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된 대표 이미지에 타겟 컨텐츠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가 하이퍼링크로서 추가될 수 있다.
대표 이미지 게시 단계(S600)는 웹페이지 상에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에 합성된 대표 이미지를 게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가 합성되고, 하이퍼링크가 추가된 이미지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대표 이미지로서 웹페이지에 게시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선 실시예에서, YoutubeTM 플랫폼의 로고 이미지가 합성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YoutubeTM 플랫폼의 URL 주소가 추가된 대표 이미지가 웹페이지에 게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통해서 YoutubeTM 플랫폼에 게시한 동영상이 웹페이지에게 게시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웹페이지를 이용하는 제3자는 사용자가 YoutubeTM 플랫폼을 운영하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으며, YoutubeTM 플랫폼에 게시된 사용자의 컨텐츠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타겟 컨텐츠를 대표하는 대표 이미지에 해당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을 나타내는 일러스트를 합성함으로써, 제3자로 하여금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내용과 해당 컨텐츠가 게시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타겟 컨텐츠 제공 단계(S700)는 웹페이지에서 합성된 대표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하이퍼링크에 기반하여 타겟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컨대, 대표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대표 이미지에 추가된 URL 주소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게시된 타겟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 및 제3자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웹페이지 상에서 타겟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선택된 대표 이미지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웹페이지 상에서 즉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 및/또는 제3자는 해당 컨텐츠를 확인하기 위하여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을 통해서 접근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의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컨셉의 컨텐츠를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게시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컨셉의 컨텐츠가 여러 온라인 플랫폼(SNS 플랫폼)에 분산될 경우, 소비자는 모든 SNS 플랫폼을 일일이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여러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게시한 컨텐츠가 웹페이지를 통해서 통합하여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품 및 서비스 등에 대한 효율적인 마케팅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의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중 일부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S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타겟 컨텐츠 결정 단계(S200)는 단계 S210 내지 단계 S28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은 규칙 확인 단계로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을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마다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는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가 등록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과 계정 정보를 고려하여, 각각의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20은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1 규칙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단계 S220의 결과가 "YES"이면 단계 S230이 수행되고, "NO"이면 단계 S240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1 규칙이면 단계 S230이 수행되고, 제1 규칙이 아니면 단계 S240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30은 제1 컨텐츠 결정 단계로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1 규칙인 경우,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각각을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 규칙은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규칙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설정된 규칙이 제1 규칙인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타겟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40은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2 규칙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단계 S240의 결과가 "YES"이면 단계 S250이 수행되고, "NO"이면 단계 S260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2 규칙이면 단계 S250이 수행되고, 제2 규칙이 아니면 단계 S260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50은 제2 컨텐츠 결정 단계로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2 규칙인 경우,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 규칙은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만을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규칙일 수 있다. 이러한 특정 키워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마다 각각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의 컨셉에 맞춰 특정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컨셉의 컨텐츠가 여러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게시되더라도 웹페이지에는 홍보 마케팅을 위한 타겟 컨텐츠들이 통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브랜드명, 상품명, 홍보 문구, 판매 문구 및 이들의 조합에 따른 해시 태그 등의 키워드가 포함된 경우, 타겟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260은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를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260은 관심도 산출 단계로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2 규칙이고,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지 않지만, 관심도가 기준값 이상인 컨텐츠를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원칙적으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2 규칙인 경우, 단계 S240 및 단계 S250에 따르면 특정 키워드가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는 타겟 컨텐츠로 결정될 수 없다. 하지만, 특정 키워드가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라고 하더라도, 소비자의 관심도가 높은 컨텐츠는 홍보 마케팅을 위한 수단으로서 웹페이지에 게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버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2 규칙에 해당하고, 컨텐츠에 타겟 키워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해당 컨텐츠의 관심도를 산출함으로써 웹페이지에 게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의 관심도란, 해당 컨텐츠가 제3자에게 얼마나 많이 노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조회수, 댓글 수, 좋아요 수 및 리트윗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컨텐츠 각각의 관심도가 산출될 수 있다. 조회수, 댓글 수, 좋아요 수 및 리트윗 수 등은 각각 1점씩 부여되고, 합산 점수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로 산출될 수 있다.
단계 S270은 전술한 단계 S260에서 산출된 관심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기준값은 해당 컨텐츠가 제3자에게 얼마나 많이 노출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척도로서, 웹페이지에서 홍보하는 상품 및 서비스 등에 따라 상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웹페이지를 통해 홍보하는 상품이 캐릭터 디자인 등의 A 상품과 특정 산업에 사용되는 테스트 장비 등의 B 상품이라고 가정한다. A 상품은 B 상품에 비해 수요층이 다양할 수 있다. 즉, B 상품에 대한 컨텐츠는 해당 산업의 종사자에게만 노출되더라도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A 상품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와 B 상품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가 100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A 상품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는 산업의 제한 없이 다양한 수요자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지만, B 상품의 컨텐츠에 대한 관심도는 해당 산업 종사자 또는 해당 산업에 대한 관심이 있는 수요자에 의해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관심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상품의 성격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수요자의 관심도의 가치는 달리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홍보 대상의 성격을 고려하여, 타겟 컨텐츠로 결정될 수 있는 기준값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270의 비교 결과가 "YES"이면 단계 S280이 수행되고, "NO"이면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관심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단계 S280이 수행되고, 관심도가 기준값 미만이면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80은 제3 컨텐츠 결정 단계로서, 관심도가 기준값 이상인 컨텐츠를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컨텐츠 결정 단계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제2 규칙이고,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에 제2 규칙을 만족하는 특정 키워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제3자에게 많이 노출된 컨텐츠를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단계이다. 즉, 단계 S280을 통해 결정된 타겟 컨텐츠는,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것으로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제3자에 의해 많이 노출되어 홍보 마케팅을 위한 컨텐츠로써의 가치가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타겟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3자에 의해 많이 노출된 컨텐츠 또한 타겟 컨텐츠로 결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상품 등을 홍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S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S300)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0은 시간 링크 확인 단계로서, 타겟 컨텐츠에 시간 링크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링크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서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동영상의 전체 재생 시간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시각 정보(Time information)를 의미한다. 동영상은 복수의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형태의 데이터 포맷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이미지가 나타나는 시각을 시간 링크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재생 길이가 5분인 동영상에 대해서, 사용자는 "2분 30초"의 시간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320은 타겟 컨텐츠에 시간 링크가 설정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단계 S320의 확인 결과가 "YES"이면 단계 S330이 수행되고, "NO"이면 단계 S340이 수행될 수 있다. 즉, 타겟 컨텐츠에 시간 링크가 설정된 경우 단계 S330이 수행되고, 시간 링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계 S340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시간 링크가 설정되지 않은 동영상 컨텐츠나 시간 링크가 설정될 수 없는 이미지 컨텐츠에 대해서는 단계 S340이 수행되고, 시간 링크가 설정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서는 단계 S330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30은 링크 이미지 추출 단계로서, 타겟 컨텐츠에 시간 링크가 설정된 경우, 타겟 컨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된 시간 링크에 기반하여, 타겟 컨텐츠에서 시간 링크에 대응되는 링크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 링크에 대응되는 이미지 프레임이 해당 타겟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로서 추출될 수 있다.
단계 S340은 기 설정된 이미지 추출 단계로서, 타겟 컨텐츠에 시간 링크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타겟 컨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 설정된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컨대, 시간 링크가 설정되지 않은 동영상 컨텐츠의 경우, 해당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게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설정된 이미지가 추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시간 링크가 설정될 수 없는 이미지 컨텐츠의 경우, 해당 이미지 자체가 추출될 수 있다.
단계 S350은 대표 이미지 확정 단계로서, 기 설정된 이미지 또는 링크 이미지를 대표 이미지로 확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타겟 컨텐츠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를 웹페이지에 게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대표 이미지를 확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대표 이미지는 타겟 컨텐츠의 내용을 가장 잘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고, 제3자(수요자)는 웹페이지를 통해서 사용자가 홍보하고자 하는 상품 및 서비스 등을 보다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대표 이미지 합성 단계(S4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을 참조하면, 대표 이미지 합성 단계(S400)는 단계 S410 내지 단계 S43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10은 이미지 보정 단계로서, 대표 이미지의 크기를 컨텐츠 리스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보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리스트는 웹페이지를 통해서 나타나는 리스트를 의미한다.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S300)를 통해서 확정된 대표 이미지의 크기는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410에서 서로 다른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서 획득된 대표 이미지의 크기를 일괄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단계 S420은 일러스트 결정 단계로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일러스트 중에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를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는 해당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의 CI, BI 또는 로고일 수 있다. 서버에는 각각의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대한 일러스트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대표 이미지 결정 단계(S300)를 통해서 확정된 대표 이미지에 대응되는 일러스트가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430은 일러스트 합성 단계로서, 보정된 대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일러스트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일러스트를 합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S430을 통해서, 대표 이미지에 해당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의 일러스트가 합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및 수요자는 웹페이지에 게시되는 컨텐츠의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 측면에서는 웹페이지에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이 정리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를 관리하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수요자 측면에서는 웹페이지에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서 사용자의 계정에 접근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다수의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게시된 컨텐츠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자에게도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으로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품 및 서비스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타겟 컨텐츠 제공 단계(S7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타겟 컨텐츠 제공 단계(S700)는 단계 S710 및 단계 S7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10은 레이어 생성 단계로서, 웹페이지 상에 타겟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레이어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컨대, 레이어는 웹페이지 상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팝업 창의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단계 S720은 디스플레이 단계로서, 생성된 레이어에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저장된 타겟 컨텐츠를 직접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수요자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타겟 켄텐츠가 선택되면, 새로 생성된 레이어에서 타겟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타겟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생성된 레이어에서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으며, 타겟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생성된 레이어에서 해당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단순히 타겟 컨텐츠의 URL을 제공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으로의 접속을 유도하지 않고, 직접 생성한 레이어에서 해당 타겟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타겟 컨텐츠를 보다 쉽게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타겟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직접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접속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타겟 컨텐츠를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절약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웹페이지에는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서 추출한 타겟 컨텐츠들이 제공되기 때문에, 웹페이지를 통해서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게시된 컨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접속하여 게시된 컨텐츠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품 및 서비스 등을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으며, 수요자는 웹페이지를 통해서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또는 SNS 플랫폼)에 게시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단말(10, 20, 30) 및 중앙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1000)은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및/또는 장치)일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 20, 30)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 20, 3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서버(4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중앙서버(40)는 제1 제어 모듈(810), 제1 통신 모듈(820), 제1 입력 모듈(830), 제1 출력 모듈(840) 및 제1 저장 모듈(8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단말(10, 20, 30) 각각은 제2 제어 모듈(910), 제2 통신 모듈(920), 제2 입력 모듈(930), 제2 출력 모듈(940) 및 배터리 모듈(9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810, 9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단말(10, 20, 30) 및/또는 중앙서버(40)를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810, 9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820, 920)은 복수의 단말(10, 20, 30) 및/또는 중앙서버(4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820, 9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820, 92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모듈(830, 930)은 복수의 단말(10, 20, 30) 및/또는 중앙서버(4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810, 9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복수의 단말(10, 20, 30) 및/또는 중앙서버(4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본 발명의 중앙서버(4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830, 930)은 복수의 단말(10, 20, 30) 및/또는 중앙서버(4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840, 940)은 복수의 단말(10, 20, 30) 및/또는 중앙서버(40)의 제어 모듈(810, 91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820, 92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840, 9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850)은 복수의 단말(10, 20, 30) 및/또는 중앙서버(4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85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은 복수의 단말(10, 20, 30) 및/또는 중앙서버(4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및/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 모듈(810)은 저장 모듈(8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제공되는 애니메이션 및/또는 캐릭터 관련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중앙서버(40)는, 애니메이션 및/또는 캐릭터에 대한 영상을 제공(및/또는 재생)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운용하는 제1 제어 모듈(810)(즉,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40)(및/또는 제1 제어 모듈(810))은 단말(10, 20, 3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전달 받고,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40)(및/또는 제1 제어 모듈(810))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방식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810)은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bitrate) 및/또는 해상도를 조절하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스킵 여부를 판단하고,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10, 20, 30)은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서버(40)(및/또는 제1 제어 모듈(810))는 단말(10, 20, 30)에 구비되어 있는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태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40)(및/또는 제1 제어 모듈(810))는 제1 온라인 플랫폼(또는 제1 SNS 플랫폼) 및/또는 제2 온라인 플랫폼(또는 제2 SNS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또는 타겟 컨텐츠)에 기반하여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810)은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소정의 시간 및/또는 소정의 용량을 갖는 블록으로 분할하여 청크 파일 및 상기 청크 파일과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시간 및/또는 소정의 용량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지 또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 경우에 설정되는 소정의 시간(즉 제1 기준 시간)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 경우에 설정되는 소정의 시간(즉 제2 기준 시간)보다 더 길게 설정되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 경우에 설정되는 소정의 용량(즉 제1 기준 용량)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 경우에 설정되는 소정의 용량(즉 제2 기준 시간)보다 더 큰 용량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및/또는 생성)하지만, ②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 중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만을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및/또는 생성)하기에, ①에 해당하는 경우 중앙서버(40)에 발생하는 부담이 ②에 해당하는 경우 중앙서버(40)에 발생하는 부담보다 더 높을 것이기에, 이 점을 고려하여 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②에 해당하는 경우보다 더 적은 부담(예; 더 낮은 CPU 사용량(또는 점유율), 더 적은 전력 소모, 더 적은 네트워크 자원 소모)이 상기 중앙서버(40)에 발생하도록 하여 밸런스를 맞추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 및/또는 소정의 용량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지 또는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지에 따라 상이한 기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 경우에 설정되는 소정의 시간(즉 제1 기준 시간)은 중앙서버(40)에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되나, ⓑ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 경우에 설정되는 소정의 시간(즉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및/또는 상기 중앙서버(40))에 등록된 임시 미디어 파일의 개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는, ⓐ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및/또는 생성)하지만, ⓑ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 중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만을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및/또는 생성)하기에, ⓐ에 해당하는 경우 중앙서버(40)에 발생하는 부담이 ⓑ에 해당하는 경우 중앙서버(40)에 발생하는 부담보다 더 높을 것이기에, 이 점을 고려하여 ⓐ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에 해당하는 경우보다 더 적은 부담이 상기 중앙서버(40)에 발생하도록 하여 밸런스를 맞추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다. 중앙서버(40)가 기 설정된 값으로 제1 기준 시간 및/또는 제1 기준 용량을 설정하는 것이, 상기 온라인 플랫폼(및/또는 상기 중앙서버(40))에 등록된 임시 미디어 파일의 개수를 고려하여 제2 기준 시간 및/또는 제2 기준 용량을 설정하는 것보다는 더 적은 부담(예; 더 낮은 CPU 사용량(또는 점유율), 더 적은 전력 소모, 더 적은 네트워크 자원 소모)이 발생할 것이다.
중앙서버(40)(및/또는 제1 제어 모듈(810))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업로드 속도와 기설정된 소정의 업로드 속도 기준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업로드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업로드 속도 기준 값보다 작으면,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 및/또는 해상도를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40)(및/또는 제1 제어 모듈(810))는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를 카운트(및/또는 식별) 할 수 있으며, 상기 카운트된(및/또는 식별된)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와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업로드 대기중인 잔여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가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이면 스킵(skip)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40)(및/또는 제1 제어 모듈(810))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과 소정의 기준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소정의 기준 지속 시간보다 크면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가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영상 정보를 입력 받는 영상 정보 수신 단계와, 상기 입력 받은 영상 정보를 소정의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임시 미디어 파일 생성 단계와, 상기 임시 미디어 파일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로 변환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와,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업로드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정보 수신 단계는, 단말(10, 20, 3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가공되지 않은 영상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받은 영상 정보는 임시 미디어 생성 파일 생성 단계에서, 단말(10, 20, 30) 내에 탑재되어 있는 인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이용하여 소정의 정해진 파일 형식의 임시 미디어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변환 단계는 청크 파일(chunk file)을 생성하는 청크 파일 생성 단계와, 상기 청크 파일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하는 인덱스 파일 생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크 파일 생성 단계는, 상기 임시 미디어 생성 파일을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n개의 청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덱스 파일 생성 단계는 상술한 과정으로 생성된 청크 파일과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인덱스 파일은 청크 파일의 순서, 크기 등과 같은 청크 파일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의 블록으로 분할된 하나의 청크 파일 및 상기 소정의 시간 또는 용량의 블록으로 분할된 하나의 청크 파일에 대응되는 인덱스 파일을 합친 것을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이라 한다.
한편, 상기 업로드 조절 단계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 및/또는 해상도를 낮추는 비트레이트 감소 단계와, 업로드 되지 못한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스킵하고, 새로 생성된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을 우선적으로 업로드 하는 스킵 단계와, 업로드가 중단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스트리밍 서비스를 종료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레이트 감소 단계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이 업로드 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업로드 속도 측정 단계와,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이 업로드 되는 속도가 기 설정된 소정의 값 이하의 값인지 판단하는 업로드 속도 판단 단계와,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업로드 속도가 기설정된 소정의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의 비트레이트 및/또는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비트레이트 감소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킵 단계는, 업로드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카운트 단계와, 상기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가 기설정된 소정의 개수보다 많은지를 판단하는 대기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개수 판단 단계와, 상기 대기중인 스트리밍 파일 블록 개수 판단 단계에서 대기 중인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의 개수가 기 설정된 소정의 개수보다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킵 할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설정하는 스킵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 설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한 번에 업로드 되는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이 3개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정상적으로 업로드 한 후, 다음 업로드 과정에서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제4, 제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이 업로드 되지 못하면, 상기 업로드 대기중인 제4, 제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은 스킵하여, 제3, 제6, 제7의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업로드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에, 제8 내지 제1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업로드 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제8 내지 제1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업로드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8 내지 제15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스킵하고, 제7, 제16, 제17 스트리밍 미디어 파일 블록을 업로드하여, 영상이 끊김 없이 이어지도록 업로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종료 단계는, 업로드가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 단계,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 판단 단계에서, 업로드 중단 상태 지속 시간이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보다 큰 경우,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Claims (5)

  1.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를 운용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웹페이지를 복수의 단말에게 제공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온라인 플랫폼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등록된 계정에 관한 SNS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서 상기 계정에 저장된 컨텐츠 중에서 웹페이지에 업로드할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타겟 컨텐츠에서 대표 이미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이미지에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일러스트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에 상기 타겟 컨텐츠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추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웹페이지 상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에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를 게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웹페이지에서 상기 합성된 대표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상기 하이퍼링크에 기반하여 상기 타겟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마다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타겟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1 규칙과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 중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 만을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제2 규칙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을 확인하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1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각각을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인 경우,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되,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대응되는 규칙이 상기 제2 규칙이고,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지 않지만, 관심도가 기준값 이상인 컨텐츠를 상기 타겟 컨텐츠로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저장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조회수, 댓글 수, 좋아요 수 및 리트윗 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각각의 관심도를 산출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KR1020210100070A 2021-07-29 2021-07-29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361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70A KR102361665B1 (ko) 2021-07-29 2021-07-29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070A KR102361665B1 (ko) 2021-07-29 2021-07-29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665B1 true KR102361665B1 (ko) 2022-02-14

Family

ID=8025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070A KR102361665B1 (ko) 2021-07-29 2021-07-29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6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485A (ko) 2009-05-21 2010-12-01 조용권 디스플레이용 특장차
KR20120026090A (ko) 2009-05-28 2012-03-16 해리스 코포레이션 비디오 소스 데이터와 동기화된 오디오 트리거 마커를 발생시키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관련 방법
KR20140054486A (ko) * 2012-10-26 2014-05-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6479A (ko) * 2014-03-11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그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16970A (ko) * 2014-04-08 2015-10-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61229B1 (ko) *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485A (ko) 2009-05-21 2010-12-01 조용권 디스플레이용 특장차
KR20120026090A (ko) 2009-05-28 2012-03-16 해리스 코포레이션 비디오 소스 데이터와 동기화된 오디오 트리거 마커를 발생시키는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관련 방법
KR20140054486A (ko) * 2012-10-26 2014-05-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6479A (ko) * 2014-03-11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그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116970A (ko) * 2014-04-08 2015-10-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콘텐츠 재생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특성 기반의 광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261229B1 (ko) * 2020-10-29 2021-06-04 권상언 운동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8637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highlight detection from live streaming media and rendering within a specialized media player
US8928810B2 (en) System for combining video data streams into a composite video data stream
KR102264613B1 (ko) 메시지 파라미터에 의한 메시지들의 라우팅
CN105701217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服务器
CN110366013B (zh) 推广内容推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5988500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置基準の指定
CN105635764B (zh) 视频直播中播放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30325601A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US20100121912A1 (en) Terminal device, comment distribution server, comment transmission method, comment distribu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at houses comment distribution program
WO2013055945A1 (en) Arrangements involving content identification, social graph data and image processing
JP2012118919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783431B1 (ko)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관련 펀딩 정보 및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2995759A (zh) 互动业务处理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969093B (zh) 互动业务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827029B2 (en) Event management and presentation
KR102578024B1 (ko) 광고 표시 방법, 광고 표시 장치, 광고 표시 프로그램
US20150341541A1 (en) Methods and systems of remote acquisition of digital images or models
KR102361665B1 (ko) 웹페이지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40043860A (ko) 채팅방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시스템
CN111885139B (zh) 内容分享方法、装置及系统、移动终端、服务器
KR102250135B1 (ko) 추천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004116B (zh) 用于确定对象添加方式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20200055576A (ko) 개인화된 광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US9430447B1 (en) Presenting media content based on parsed text
KR102299505B1 (ko) 지역이 검증된 지역 콘텐츠를 제공하는 로컬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