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248B1 -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 Google Patents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248B1
KR102361248B1 KR1020210188554A KR20210188554A KR102361248B1 KR 102361248 B1 KR102361248 B1 KR 102361248B1 KR 1020210188554 A KR1020210188554 A KR 1020210188554A KR 20210188554 A KR20210188554 A KR 20210188554A KR 102361248 B1 KR102361248 B1 KR 102361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vest
article
traction bel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구
Original Assignee
김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구 filed Critical 김중구
Priority to KR102021018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25J1/04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rigid, e.g. shelf-reach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을 위해 물품을 견인하도록 된 조끼로서, 조끼본체와, 상기 조끼본체의 배면시트에 마련되고 관통되게 중공홀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관통되게 끼움되며 양단부가 외부에 배치되는 견인벨트와, 상기 견인벨트의 양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물품이 연결되는 연결유닛으로 이루어져, 조끼본체에 지지부재 및 연결유닛을 갖는 견인벨트를 마련하여, 견인벨트의 연결유닛으로 운반할 물품을 연결한 후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운반시 팔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하여 피로감을 줄이고 부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 Vest with traction structure }
본 발명은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끼본체에 지지부재 및 연결유닛을 갖는 견인벨트를 마련하여, 견인벨트의 연결유닛으로 운반할 물품을 연결한 후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운반시 팔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하여 피로감을 줄이고 부상을 방지하게 되는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작업용 조끼는 동일한 면적의 전면부와 등판부로 이루어지고 통상 조끼의 전면부에 다수의 포켓이 구비되어 상기 포켓에 다양한 물품이나 작업도구를 각각 분리 수납한 후 작업을 수행 하게 된다.
이러한, 조끼는 물류센터, 화물배송기사, 마트 및 공장 노동자 등이 착용시 조끼의 포켓에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각종 포장도구 또는 포장된 물품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도구를 주로 수납하게 된다.
그러나, 물류센터, 화물배송기사, 마트 및 공장의 노동자들은 상품의 배송이나 진열 등을 위해 물품들을 반복적으로 이동해야하는데 운반시 주로 팔의 힘을 이용하게 되므로, 팔에 집중적으로 피로도가 누적되고 반복적인 운반에 따른 부상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08797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조끼본체에 지지부재 및 연결유닛을 갖는 견인벨트를 마련하여, 견인벨트의 연결유닛으로 운반할 물품을 연결한 후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운반시 팔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하여 피로감을 줄이고 부상을 방지하게 되는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송을 위해 물품을 견인하도록 된 조끼로서, 조끼본체와, 상기 조끼본체의 배면시트에 마련되고 관통되게 중공홀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관통되게 끼움되며 양단부가 외부에 배치되는 견인벨트와, 상기 견인벨트의 양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물품이 연결되는 연결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중공홀에 배치되는 상기 견인벨트를 지지하도록 중공의 탄성패드부재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견인벨트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견인후크와 견인장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곡선의 안내지지관이 끼움되고, 상기 안내지지관은 양끝단이 중간부분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끼움되며, 상기 안내지지관에는 상기 견인벨트를 지지하는 탄성패드부재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벨트에는 탄성형걸림제어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걸림제어수단은 상기 견인벨트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간격홀들과, 상기 견인벨트에 끼움되는 한쌍의 스토퍼부재와, 상기 스토퍼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공의 체결홀과, 상기 스토퍼부재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견인벨트에 형성된 간격홀을 연결하여, 상기 스토퍼부재를 상기 견인벨트에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스토퍼부재에 형성되는 걸림앵글부재와, 상기 스토퍼부재에 마련되는 탄성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는 조끼본체에 지지부재 및 연결유닛을 갖는 견인벨트를 마련하여, 견인벨트의 연결유닛으로 운반할 물품을 연결한 후 운반하도록 함으로써, 운반시 팔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하여 피로감을 줄이고 부상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지지부재와 견인벨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지지부재와 견인벨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지지부재와 견인벨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지지부재와 견인벨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지지부재와 견인벨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지지부재와 견인벨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끼라 명명함)는 이송을 위해 물품을 견인하도록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하도록 된 조끼(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조끼(10)는 조끼본체(20)와 지지부재(30)와 견인벨트(40)와 연결유닛(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끼본체(20)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통상의 조끼이며, 재질은 합성섬유재 또는 천연섬유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끼본체(20)는 전면시트(21)들에는 주머니가 마련되고, 상기 전면시트(21)들은 단추 또는 지퍼에 의해 탈부착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조끼본체(20)의 배면시트(22)에 마련되고 관통되게 중공홀(3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30)는 합성섬유재 또는 천연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시트를 말아 양단부를 박음질할 수 있으며 한쌍의 시트의 양측단부를 박음질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지지부재(30)를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조끼본체(20)의 배면시트(22) 상측에 박음질 또는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견인벨트(40)는 상기 지지부재(30)에 관통되게 끼움되며 양단부가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견인벨트(4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양단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견인벨트(40)의 중간부분이 상기 지지부재(30)에 끼워지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견인벨트(40)는 상기 지지부재(30)에 관통되게 끼움된 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견인벨트(40)에는 양단부에 " 日 "자 형성의 길이조절편을 더 체결하여, 상기 견인벨트(4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벨트(40)를 지지부재(30)에 관통되게 끼운 후 접착 또는 박음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50)은 상기 견인벨트(40)의 양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물품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유닛(50)은 상기 견인벨트(4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견인후크(51)와 견인장갑(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견인후크(51)와 상기 견인장갑(52)은 상기 견인벨트(40)에 부착 또는 박음질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견인후크(51)와 상기 견인장갑(52) 및 상기 견인벨트(40)의 양단부에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들을 상호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물품의 견인 및 이동을 위해 무릎은 접어 상체를 낮춘 상태에서 상기 연결유닛(50)의 견인후크(51)로 물품을 연결하거나 사용자가 견인장갑(52)을 착용한 상태에서 물품을 파지한 후 일어서게 되면 상기 견인벨트(40)를 상기 조끼본체(20)에 연결된 상기 지지부재(30)가 지지하여 팔과 함께 전신(상체, 하체 및 팔)의 힘으로 물품을 견인함과 아울러 이동시킬 수 있어, 물품을 견인 및 이동을 위해 팔이나 허리에 부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끼본체(20)의 전면시트(21)에는 고정고리들을 부착하여, 상기 견인벨트(40)의 일단의 견인후크(51)로만 물품을 견인시 타단의 견인후크를 상기 고정고리에 끼워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견인벨트(40)가 상기 지지부재(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30)에는 상기 중공홀(31)에 배치되는 상기 견인벨트(40)를 지지하도록 중공의 탄성패드부재(32)가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패드부재(32)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홀(31)은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패드부재(32)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30)에 끼움된 후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0)에 탈착가능하게 억지끼움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부재(32)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견인벨트(40)를 지지하여 이물감을 줄이고 견인시 사용자에게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패드부재(32)의 내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걸림가압돌기들을 더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가압돌기들이 상기 탄성패드부재(32)에 관통되게 끼움된 상기 견인벨트(40)를 탄성에 의해 가압함과 아울러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견인벨트(40)를 탄성에 의해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30)에는 역 " U "자 형상으로 곡선의 안내지지관(60)이 끼움되고, 상기 안내지지관(60)은 양끝단이 중간부분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30)에 끼움되며, 상기 안내지지관(60)에는 상기 견인벨트(40)를 지지하는 탄성패드부재(32)가 끼움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0)도 상기 안내지지관(60)의 형상과 같이 양끝단이 중간부분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역 " U "자 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즉, 상기 안내지지관(60)에 의해 상기 견인벨트(40)가 물품을 견인시 상기 안내지지관(60) 및 상기 지지부재(30)의 전체에 균일하게 하중이 전달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도면상 수평구조의 지지부재(30)에 상기 견인벨트(40)를 체결 후 물품을 견인시 상기 지지부재(30)의 양단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상기 지지부재(30)의 양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견인벨트(40)에는 탄성형걸림제어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걸림제어수단(70)은 상기 견인벨트(4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간격홀(71)들과, 상기 견인벨트(40)에 끼움되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스토퍼부재(72)와, 상기 스토퍼부재(72)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공의 체결홀(73)과, 상기 스토퍼부재(72)에 형성된 체결홀(73)과 상기 견인벨트(40)에 형성된 간격홀(71)을 연결하여, 상기 스토퍼부재(72)를 상기 견인벨트(4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74)과, 상기 스토퍼부재(72)의 외면에 일단이 나사체결 또는 부착되어 고정되는 절곡된 구조의 걸림앵글부재(75)와, 상기 스토퍼부재(72)의 일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완충부재(76)로 이루어져, 상기 물품을 견인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견인벨트(40)가 이동시 상기 지지부재(30)의 단부에 상기 스토퍼부재(72) 및 상기 걸림앵글부재(75)가 걸림되어 지속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견인벨트(40)의 양단부가 아닌 한쪽 단부의 연결유닛(50)으로 물품을 견인하여 이동시 무게에 의해 견인벨트(40)가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재(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쪽 연결유닛(50)으로 물품을 견인하여 이동 후 한쪽의 연결유닛(50)에서 물품을 분리시 쏠림현상이 발생되어 견인벨트(40)가 이동되는 것을 재차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재(72)가 상기 지지부재(30)에 걸림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완충부재(76)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재(72)는 외부에 노출된 상기 견인벨트(40)의 양단부에 끼움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0)에는 지지샤프트(80)의 하단을 더 부착하고, 상기 지지샤프트(80)의 상단에 사용자의 어깨부분에 걸림되도록 곡선의 걸림고리(81)를 더 일체로 형성하거나 융착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걸림고리(81)로 사용자의 어깨부분에 걸어, 상기 지지부재(30)를 지지하여 하중으로 인해 상기 지지부재(30)가 처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고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샤프트(80)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30)에 부착하거나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걸림고리(81)는 상기 지지샤프트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융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유닛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고리(81)의 내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완충패널(88)을 더 부착하여 상기 걸림고리(81)가 어깨를 가압시 충격과 마찰을 탄성에 의해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조끼
20 : 조끼본체
21 : 전면시트
22 : 배면시트
30 : 지지부재
31 : 중공홀
32 : 탄성패드부재
40 : 견인벨트
50 : 연결유닛
51 : 견인후크
52 : 견인장갑
60 : 안내지지관
70 : 탄성형걸림제어수단
71 : 간격홀
72 : 스토퍼부재
73 : 체결홀
74 : 고정핀
75 : 걸림앵글부재
76 : 탄성완충부재
80 : 지지샤프트
81 : 걸림고리
82 : 탄성완충패널

Claims (5)

  1. 이송을 위해 물품을 견인하도록 된 조끼로서,
    조끼본체와, 상기 조끼본체의 배면시트에 마련되고 관통되게 중공홀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관통되게 끼움되며 양단부가 외부에 배치되는 견인벨트와, 상기 견인벨트의 양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물품이 연결되는 연결유닛으로 이루어진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에 있어서,
    상기 견인벨트에는 탄성형걸림제어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걸림제어수단은,
    상기 견인벨트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간격홀들과,
    상기 견인벨트에 끼움되는 한쌍의 스토퍼부재와,
    상기 스토퍼부재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중공의 체결홀과,
    상기 스토퍼부재에 형성된 체결홀과 상기 견인벨트에 형성된 간격홀을 연결하여, 상기 스토퍼부재를 상기 견인벨트에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스토퍼부재에 형성되는 걸림앵글부재와,
    상기 스토퍼부재에 마련되는 탄성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중공홀에 배치되는 상기 견인벨트를 지지하도록 중공의 탄성패드부재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견인벨트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견인후크와 견인장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곡선의 안내지지관이 끼움되고,
    상기 안내지지관은 양끝단이 중간부분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끼움되며,
    상기 안내지지관에는 상기 견인벨트를 지지하는 탄성패드부재가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5. 삭제
KR1020210188554A 2021-12-27 2021-12-27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KR10236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554A KR102361248B1 (ko) 2021-12-27 2021-12-27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554A KR102361248B1 (ko) 2021-12-27 2021-12-27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248B1 true KR102361248B1 (ko) 2022-02-09

Family

ID=8026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554A KR102361248B1 (ko) 2021-12-27 2021-12-27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2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747U (ja) * 2008-09-17 2008-11-27 美津濃株式会社 下衣のウエスト部紐通し機構
KR100879766B1 (ko) 2008-08-12 2009-01-21 임완택 기능성 조끼
KR20100050861A (ko) * 2008-11-06 2010-05-14 박용운 일인용 화물 운반장치
KR20160031603A (ko) * 2014-09-12 2016-03-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66B1 (ko) 2008-08-12 2009-01-21 임완택 기능성 조끼
JP3146747U (ja) * 2008-09-17 2008-11-27 美津濃株式会社 下衣のウエスト部紐通し機構
KR20100050861A (ko) * 2008-11-06 2010-05-14 박용운 일인용 화물 운반장치
KR20160031603A (ko) * 2014-09-12 2016-03-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근력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316B2 (en) Baby carrier
EP2706885B1 (en) Strap lifter for use between two persons
US10016633B2 (en) Utility belt
US20110163136A1 (en) Infant carrying device
WO2010123446A1 (en) A baby carri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lifting of a child into and out of the same
EP3072413B1 (en) A device for carrying an object
EP2850965B1 (en) Shoulder harness for portable work machine
CA2334427C (en) Hose support system
US9060590B2 (en) Backpack frame
JP2009066259A (ja) ハーネス型安全帯
KR102361248B1 (ko) 물품견인구조를 갖는 조끼
US20130277408A1 (en) Shoulder Harness For Portable Working Machine
JP2005514538A (ja) スリング
CN101652088A (zh) 用于幼儿的携带背带
US20130036535A1 (en) Carrying system
US20180037442A1 (en) Lifting harness
US20100300803A1 (en) Harness for personal safety
EP2653062A1 (en) Shoulder harness for portable working machine
US20070262105A1 (en) Dual-strap carrying structure
US6101637A (en) Shoulder protector
AU2976301A (en) Soft link for connecting a group of parachute suspension lines to harness via risers
WO2021003441A1 (en) Integrated fall-protection harnesses and exoskeletons and methods for use
CN202161715U (zh) 一种背护安全带
CN210114156U (zh) 一种自适应背包
EP2240046B1 (en)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agricultural machinery, particularly for blowers, tree shakers and similar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