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169B1 - 유도탄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탄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169B1
KR102361169B1 KR1020200139854A KR20200139854A KR102361169B1 KR 102361169 B1 KR102361169 B1 KR 102361169B1 KR 1020200139854 A KR1020200139854 A KR 1020200139854A KR 20200139854 A KR20200139854 A KR 20200139854A KR 102361169 B1 KR102361169 B1 KR 102361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control unit
terminal
guided missile
performanc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현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001Devices or systems for testing or che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01Arrangements thereon for guidance 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탄 보관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는 하우징, 유도탄을 보관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수용 공간, 수용 공간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수용 공간의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성능 점검 명령이 수신되면 유도탄의 성능 점검을 수행하고, 그러한 성능 점검 명령에 대한 응답을 외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탄 보관 장치{GUIDED MISSILE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유도탄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탄은 일반적으로 보관상자에 저장된 상태로 장기간 탄약고에 보관된다. 보관된 상태의 유도탄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마다 그 성능을 확인(즉, 정상유무의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점검은 탄약고에서 정해진 시설로 이동된 유도탄이 보관상자에서 꺼낸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를 위한 과정, 예를 들어 이동 및 점검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인원이 필요하다. 또한, 그러한 과정에 투입되는 인원들은 폭발물로 인한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 및/또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도탄의 불필요한 이동 및 취급 소요를 없앰으로써 유도탄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시간 및 인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도탄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도탄의 성능 점검을 위하여 일정 기간 도래 시 수행되어야 하는 많은 고려사항들을 제고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원하는 때마다 보관 중인 유도탄의 성능 정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유도탄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규격으로 정하여진 유도탄의 보관 환경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환경규격 안전범위 이탈 시 운용자에게 관련 내용을 피드백하여 유도탄 점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유도탄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는 하우징; 유도탄을 보관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수용 공간; 수용 공간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수용 공간의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성능 점검 명령이 수신되면 유도탄의 성능 점검을 수행하고, 그러한 성능 점검 명령에 대한 응답을 외부 단말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는 신규 유도탄 분야 및/또는 이미 개발된 유도탄 분야에서 그러한 유도탄의 예방정비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및 인원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는 보안을 이유로 공용 Wi-Fi를 사용하지 못하는 방산 분야에서, 공용 Wi-Fi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IoT 디바이스와 다른 독자적인 통신 시스템으로 더욱 개선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는 규격으로 정하여진 유도탄의 보관 환경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환경규격 안전범위 이탈 시 운용자에게 관련 내용을 피드백하여 유도탄 점검 활동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의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100)는 하우징(111), 수용 공간(113), 송수신부(120), 제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유도탄 보관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유도탄 보관 장치(100)의 내부와 외부 환경을 구분한다. 수용 공간(113)은 유도탄을 보관하기 위한 일 공간으로서, 하우징(111) 내부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 공간(113)의 제1 측면에는 송수신부(120)가 배치되고, 제2 측면에는 제어부(130)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유도탄 보관 장치(100) 내부에서 유도탄의 점검을 위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것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20)는 수용 공간(113)의 제3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20)는 송수신부(120) 및 제어부(130) 각각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면은, 예를 들어, 수용 공간(113)을 형성하는 하우징(111)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 제2 측면은, 예를 들어, 수용 공간(113)을 형성하는 하우징(111) 내부면의 다른 적어도 일부, 제3 측면은, 예를 들어, 수용 공간(113)을 형성하는 하우징(111) 내부면의 또 다른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즉, 제1, 제2 및 제3 측면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1, 제2 및 제3 측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구성 및/또는 소자들 간에서 데이터,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케이블에 제공되거나 무선으로 상술한 데이터,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25)를 통해 외부 단말(200)로부터 성능 점검 명령이 수신되면 유도탄의 성능 점검을 수행하고, 그러한 성능 점검 명령에 대한 응답을 외부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25)를 통해 유도탄의 성능 점검 명령을 수신하면 그 명령을 집계하여 제어부(130)로 성능 점검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유도탄 보관 장치(100)는 제어부(130)가 응답으로서 점검 결과를 생성하면, 제어부(130)는 이러한 점검 결과를 외부 단말(200)로 전송하기 위해서 송수신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20) 및 유도탄에 직접적으로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성능 점검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된 점검 결과를 암호화하여 송수신부(120)로 전달하며, 여기서 암호화는 성능 점검 명령에 포함된 키 정보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보관 장치(100)는 송수신부(120)와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 계측 센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측 센서부(150)는 수용 공간(113)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획득된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값이 안전 범위를 벗어나면, 송수신부(120)로 경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정보는 온도, 습도, 압력, 및/또는 가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정보는 유도탄의 성능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서, 유도탄과 서로 다른 기술분야에의 환경 정보와는 기술적 관련성이 낮다.
제어부(130)는 외부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단말(200)이 미리 설정된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면 인증 단말, 포함되지 않은 단말이면 비인증 단말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리스트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에 연관된 정보들에 기반하여 카테고리화된 리스트를 말한다.
일 례로, 제1 단말은 제1 위치에 있고, 제2 단말은 제2 위치(제2 위치는 제1 위치와 다른 지리적 장소임)에 있다면, 각각의 경우에 서로 다른 위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유도탄 보관 장치(100)가 제1 위치 또는 제1 위치에 설치되거나 배치된 제1 단말과 통신 가능한 위치에 있다면, 유도탄 보관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제1 단말과 서로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할 수 있다. 이후에, 유도탄 보관 장치(10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단말 리스트를 확인하여, 단말 리스트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제1 단말의 위치 정보가 대응되면 제1 단말은 인증된 단말로 결정된다. 대조적으로, 단말 리스트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제1 단말의 위치 정보가 서로 대응되지 않는다면 제1 단말은 비인증된 단말로 결정된다.
여기서,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단말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는 유도탄의 점검이 수행되는 점검룸의 지리적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100)는 점검룸, 또는 그와 인접하여 점검룸에 있는 단말과 통신 가능한 장소에서만 제어부(130)에 의한 유도탄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방위 산업 분야의 특성상 유도탄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보안의 강화 측면에서 그 점검 위치를 제한한 것이다.
이때, 제어부(130)는 외부 단말(200)이 인증 단말인 경우에만 성능 점검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고, 비인증 단말이라면 소정의 추가적인 확인 절차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유도탄 보관 장치(100)는 상기 계측 센서부(도 3의 150b) 외에 다른 계측 센서부(도 3의 150a)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20)와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계측 센서부(150b)는 제1 계측 센서부, 상기 다른 계측 센서부(150a)는 제2 계측 센서부로 언급될 수 있다. 제1 계측 센서부(150b)와 제2 계측 센서부(도 3의 150a)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2 계측 센서부(150a)는, 특히, 유도탄의 머리 방향과 마주보는 하우징(111)의 내부면에 위치된다. 제1 계측 센서부(150b)는 제2 계측 센서부(150a)와 완전히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대신, 제1 계측 센서부(150b)는 유도탄의 꼬리에 인접한 측면에 배치된다(도 2, 도 3 참조). 즉, 제1 계측 센서부(150b)는 유도탄의 꼬리 영역에 연관된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제2 계측 센서부(150a)는 유도탄의 머리 영역에 연관된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제2 계측 센서부(150a)에서 획득된 다양한 환경 정보에 따른 정확한 점검 결과가 도출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제어부(13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상기 제어부(130)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메시지, 정보, 프로그램, 코드, 지시 및/또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메모리(140), 하드 드라이브,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140),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3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송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에게 본 발명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들에서 언급되는 데이터,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들 및/또는 동작들에서 언급되는 데이터,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송수신부(120)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25)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125)를 통해 상술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송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125)는 복수의 물리 안테나(125)이거나, 복수의 논리 안테나(125)(예, 안테나(125) 포트)일 수 있다. 송수신부(120)는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제어부(130)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해, 수신된 무선 신호/채널 등을 RF 밴드 신호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Convert)할 수 있다. 송수신부(120)는 제어부(130)를 이용하여 처리된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베이스밴드 신호에서 RF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송수신부(120)는 (아날로그) 오실레이터 및/또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100)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탄 보관 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도탄 보관 장치(100)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도탄(119)을 분리시키는 하우징(111) 및 그러한 하우징(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일 예로, 유도탄 보관 장치(1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어부(130), 하나 이상의 송수신부(120), 하나 이상의 계측 센서부(150), 및/또는 유도탄(119)을 포함한다.
송수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25)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125)는 유도탄 보관 장치(100) 외부로서, 송수신부(120)와 직접 인접한 하우징(111)의 외부 벽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125)와 송수신부(120)는 서로 연결된다.
제1, 제2 계측 센서부(150a, 150b)는 하우징(111) 내부에서의 환경 정보를 얻기 위한 센서를 말한다. 제1 계측 센서부(150a)는 유도탄(119)의 머리 영역과 인접한 측면에 설치된다. 제2 계측 센서부(150b)는 유도탄(119)의 꼬리 영역과 인접한 측면에 설치된다. 제1, 제2 계측 센서부(150a, 150b)는 모두 하우징(111)의 내부 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송수신부(120)는 유도탄(119)의 꼬리에 인접한 영역들 중 일 코너에 설치되고, 제어부(130)는 유도탄(119)의 꼬리에 인접한 영역들 중 다른 다른 코너에 설치된다. 그 결과, 제어부(130)와 송수신부(120)의 두 면은 하우징(111)의 내면과 밀착하여 다른 요소들과 접촉하거나, 케이블(117a, 117b)을 통해 연결되거나, 다른 요소가 설치될 공간을 제공할 수 없다. 그리고, 송수신부(120)의 남은 일 면로부터 시작하여 제어부(130)의 그와 마주보는 일 면까지 두 요소들은 케이블(117b)을 통해 연결된다. 제1 계측 센서부(150b)는 송수신부(120)의 남은 다른 면에 설치된다. 이때, 제1 계측 센서부(150b)가 제어부(130)의 마지막 일 면에 배치되는 것은 구조적으로 어렵다. 왜냐하면, 제어부(130)의 마지막 일 면에는 유도탄(119)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117a)이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우징(111)은 하나 이상의 지지부(115a, 115b)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1)은 2 이상의 지지부(115a, 11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5a, 115b)의 형상은 유도탄(119)의 몸통부 형상의 적어도 일부와 서로 합치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유도탄(119)의 몸통부가 실리더형이라면, 지지부(115a, 115b)는 그러한 유도탄(119)의 몸통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그에 합치하는 오목형으로 제공된다. 이때, 지지부(115a, 115b)의 합치되는 영역이 유도탄(119)의 몸통부 전체와 접촉될 필요는 없으며, 몸통부 전체의 적어도 일부와 지지부(115a, 115b)의 합치되는 영역 전체가 접촉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유도탄 보관 장치, 200 : 외부 단말

Claims (5)

  1. 하우징;
    유도탄을 보관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부로 형성되는 수용 공간;
    수용 공간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송수신부;
    송수신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수용 공간의 제2 측면에 배치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성능 점검 명령이 수신되면 유도탄의 성능 점검을 수행하고, 그러한 성능 점검 명령에 대한 응답을 외부 단말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외부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단말이 미리 설정된 단말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이면 인증 단말, 포함되지 않은 단말이면 비인증 단말로 구분하고, 인증 단말인 경우에만 성능 점검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유도탄 보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송수신부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유도탄의 성능 점검 명령을 수신하면 그 명령을 집계하여 제어부로 성능 점검 명령을 전달하고,
    제어부는 성능 점검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서 점검 결과를 생성하여, 생성된 점검 결과를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탄 보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성능 점검 명령에 응답하여 생성된 점검 결과를 암호화하여 송수신부로 전달하며, 여기서 암호화는 성능 점검 명령에 포함된 키 정보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유도탄 보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용 공간 내측 방향으로 송수신부에 연결된 계측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계측 센서부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부는, 획득된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값이 설정된 안전 범위를 벗어나면, 송수신부를 통해 경고 신호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는, 유도탄 보관 장치.
  5. 삭제
KR1020200139854A 2020-10-27 2020-10-27 유도탄 보관 장치 KR102361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854A KR102361169B1 (ko) 2020-10-27 2020-10-27 유도탄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854A KR102361169B1 (ko) 2020-10-27 2020-10-27 유도탄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169B1 true KR102361169B1 (ko) 2022-02-14

Family

ID=8025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854A KR102361169B1 (ko) 2020-10-27 2020-10-27 유도탄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0A (ja) * 1991-06-24 199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誘導弾コンテナ装置
JPH0933198A (ja) * 1995-06-07 1997-02-07 Hughes Missile Syst Co ミサイル試験方法及び装置
KR101718051B1 (ko) * 2015-11-19 2017-03-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기체계의 암호키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00A (ja) * 1991-06-24 1993-01-08 Mitsubishi Heavy Ind Ltd 誘導弾コンテナ装置
JPH0933198A (ja) * 1995-06-07 1997-02-07 Hughes Missile Syst Co ミサイル試験方法及び装置
KR101718051B1 (ko) * 2015-11-19 2017-03-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기체계의 암호키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4251B2 (en) Automating device testing using RFID
US77213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curity in wireless network
US1031166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locking/unlocking and/or starting of a vehicle
US11316211B2 (en) Intrinsically safe battery
US2013017201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dressing Operating Devices for Luminaires
US10129272B2 (en) Network apparatus for pairing with user device and pairing method thereof
KR102246430B1 (ko) 릴레이 어택으로부터의 보호방법
US103729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ates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CN109410537A (zh) 一种可监测偷拍设备的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61169B1 (ko) 유도탄 보관 장치
US20170024997A1 (en) Smart Wireless Asset Tracking
US20160249162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3632148B (zh) 用于提供运行数据的系统
CN104917574A (zh) 短距离电力通信用无线通信测试系统自校准方法
JP698370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
KR101625437B1 (ko) 비인가 무선 신호 탐지 체계를 이용한 무선 장비 분석 방법 및 시스템
Basic et al. Towards trustworthy NFC-based sensor readout for battery packs in battery management systems
US84682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requency diversity in security transmitters
KR20150007636A (ko) 세포 운송기 및 세포 운송기의 이송 관리 시스템
AU20202582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policy retention
US9578067B2 (en) Intercepting user equipment and lawful interception method thereof for use in 3GPP direct mode communication
CN106921446B (zh) 检测多天线馈电网络的系统和设备
US11537804B2 (en) Wireless tag system
US20220185038A1 (en) Tyre pressure monitoring devices enforcing range limitation on communication
JP6699899B2 (ja) 無線伝送装置及び無線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