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947B1 -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 Google Patents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947B1
KR102360947B1 KR1020210071647A KR20210071647A KR102360947B1 KR 102360947 B1 KR102360947 B1 KR 102360947B1 KR 1020210071647 A KR1020210071647 A KR 1020210071647A KR 20210071647 A KR20210071647 A KR 20210071647A KR 102360947 B1 KR102360947 B1 KR 10236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ed
housing
light
heat dissipation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이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현 filed Critical 이성현
Priority to KR1020210071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광원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모듈의 방열체 하부를 실외용 등기구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방열체에 하우징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형성함으로써 실외용 등기구 하우징에 통풍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실외용 등기구의 통풍구를 개선함과 동시에 빛의 각도를 제한하고 제한한 광을 조사범위로 응집, 집약시키는 빛 공해방지기능을 수행 할 수 있어 등기구의 성능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하우징의 부식을 촉진하는 외부요인을 차단하며 자연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외용 등기구의 광원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light source module for outdoor lamp}
본 발명은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광원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모듈의 방열체 하부를 실외용 등기구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방열체에 하우징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형성함으로써 실외용 등기구 하우징에 통풍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실외용 등기구의 통풍구를 개선함과 동시에 빛의 각도를 제한하고 제한한 광을 조사범위로 응집, 집약시키는 빛 공해방지기능을 수행 할 수 있어 등기구의 성능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하우징의 부식을 촉진하는 외부요인을 차단하며 자연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외용 등기구의 광원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외용 등기구는 자동차 도로, 광장, 공원, 주택단지, 공장단지 등에 수은등, 백열등, 할로겐, LED조명등이 설치되어 그 지역을 환하게 비춰주는 조명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실외용 등기구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수은등, 백열등, 할로겐등은 전력의 소비가 상대적으로 많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고휘도, 소비전력 저감 및 긴 수명의 장점을 가진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s, LED)가 실외용 등기구의 광원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실외형 등기구는 실외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기밀성(airtightness), 내수성(water resistance), 내먼지성(dust resistance) 및 열발산(heat dissipating)에 대한 요건이 실내 조명 장치보다 엄격하다.
LED광원의 경우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LED에 의해 생성되는 열을 발산시키기 위하여 LED칩이 실장된 기판과 방열체를 일체로 결합하여 모듈화시킨 LED 광원모듈이 실외용 등기구에 사용된다.
최근 소비전력이 5W이상의 파워 LED가 개발되어 구동 시 일정온도 상승하면 광 출력이 저하되고, 파장이 변화하여 색상이 달라지며, 방열 처리가 미흡하면 1시간 내에 LED가 소손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파워 LED는 방열 처리가 미흡하여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전기적 저항값이 줄어들어 파워 LED를 흐르는 전류량이 증가함으로써 소비전력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증가하여 소손이 빠르게 진행된다.
이와 같이 실외용 등기구에서 LED 광원모듈의 방열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LM80'은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주관하는 에너지스타(Energy Star) 프로그램의 LED조명 신뢰성 평가기준으로, 제품별로 총 6000시간(하루 24시간 기준 약 9개월)의 혹독한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해 일정 기준 이상으로 빛의 양이 저하되지 않고 유지되는 제품에만 LM80이 부여된다. LM80 성적서는 외부 온도에 따른 수명이 기재되어 있어 방열의 중요성이 나타나 있는 지표이다.
보편적인 LED Package LM80 성적서에 의하면 등기구 케이스의 온도를 55℃, 85℃, 10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동일한 전류를 인가할 때 온도에 따른 LED칩의 수명은 하기 표 1과 같다.
No 케이스온도 인가전류 Reported TM-21
L90 Lifetime
수명(1일 12시간 기준) %
Data Set 4 55℃ 400mA 71000hr 5917일 16.21 100
Data Set 5 85℃ 400mA 57000hr 4750일 13.01 80
Data Set 6 105℃ 400mA 44000hr 3667일 10.05 62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케이스 온도를 55℃, 85℃, 105℃로 각각 유지시킬 경우 71000시간, 57000시간, 44000시간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D칩의 온도에 따른 수명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105℃일 경우 55℃와 비교하여 LED칩의 수명이 38%나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는 LED칩에서 방열의 중요성을 확인시켜 주는 지표이다.
통상적으로 실외용 등기구에 장착되는 LED 광원모듈은 LED칩이 실장된 기판과, 기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열을 방출하는 방열체와,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렌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상적인 LED 광원모듈이 적용된 가로등기구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594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가로등기구에 적용된 LED모듈은 방열체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므로 케이스 내부에는 많은 양의 열이 발생한다. 케이스 내부에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케이스에는 다수의 공기유통공들이 형성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7364호에 개시된 LED 조명기구는 헤드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LED패키지의 방열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헤드부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헤드부에 다수의 통풍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LED 실외용 등기구는 LED 광원모듈이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홀을 통해 렌즈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LED 광원모듈의 방열체는 하우징 내부에서 국한된 방열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에 통풍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하우징 내부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있다.
실외용 등기구의 하우징의 내부의 방열적 문제로 통풍구가 하우징의 상부나 측면부에 가장 많이 형성된다. 하우징의 렌즈부가 형성된 하우징의 하부 측에 통풍구의 돌출형성 시 렌즈부의 조사면적의 배광에 영향을 주어 그림자화 되어 조사범위의 조건 충족이 어려울 수 있으며, 양성(+) 주광성의 벌레들이 광원체의 빛을 보고 모여들어 하부의 통풍구로 수많은 벌레들이 유입되어 서식하며 많은 벌레의 사체가 쌓이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에 따라 바람의 유입이 가장 쉬운 하우징의 상부와 좌우의 측면에 통상적으로 통풍구를 형성한다.
하지만 실외용 등기구의 통풍구를 하우징의 측면이나 상부에 구현함으로써 외부의 빗물이나 눈등으로 인해 악천우때는 엄청난 양의 빗물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야기되므로 다른 방책이 필요하다.
위의 특허문헌은 실외용등기구의 하우징 내부의 전원장치 및 광원모듈로 인해 하우징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대적으로 가벼워 상승하고 기압이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공기가 하측보다 상측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지니게 되어 상대적으로 방출이 쉽다는 장점이 있고 측면은 바람유입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실외용등기구 통풍구를 하우징의 측면이나 상부에 구현함으로써 외부의 빗물이나 눈등으로 인해 악천우때는 엄청난 양의 빗물이 유입되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다른 방책이 필요하다. 실외용등기구 하우징의 내부는 광원체 및 전기 장치로 구성되므로 하우징의 내부 공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기압이 높아지고, 높아진 기압은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은 하우징의 외부로 이동한다. 기압이 높은 곳(고기압)에서 낮은 곳(저기압)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현상이 바람이다. 실외용등기구 또한 하우징의 내부요인으로 가열된 공기는 기압이 높아져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은 외부로 자연스럽게 방출된다. 기후조건의 많은 영향을 받는 하우징의 상부나 측면부에 통풍구를 형성하는 것은 방열의 효율성에서 불가피할 수 있으나 기후조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의 통풍구를 하부측으로 생성하는 방법이 필요 할 것이다.
또한 광원으로부터 조사면적 외 산발적 빛으로 인한 주택에 침입광의 문제로 숙면과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농작물의 피해, 자연녹지 및 가축에도 크나큰 피해를 보이고 있어 빛공해의 문제해결 또한 필요하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7364호: 자연대류식 방열기능을 갖는 가로등기구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7364호: 자연방열형 LED 조명기구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광원모듈의 방열체 일부를 등기구의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하우징에 통풍구를 형성하지 않고도 방열체가 외부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는 방식을 통해 자연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외용 등기구의 광원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된 방열체에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통로인 외부노출통풍구을 형성하여 빗물 유입은 차단하면서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 간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는 실외용 등기구의 광원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기구의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방열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조명이 필요한 영역으로만 빛의 조사범위를 제한할 수 있어서 빛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실외용 등기구의 광원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광원모듈은 실외용 등기구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실외용 등기구의 광원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방열체와; 상기 방열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광원이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을 감싸는 렌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체는 상기 기판이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방열리브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방열체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노출방열체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는 외부노출통풍구가 형성된다.
상기 노출방열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벌어지도록 형성된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노출통풍구는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상기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고 좌우 양측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바람이 발생하여 상기 외부노출통풍구로 공기가 통과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가속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상부가 좁아지도록 상기 방열체에는 병목부가 형성된다.
상기 노출방열체는 전후좌우 사방에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상기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 각각에는 상기 외부노출통풍구과 연결되는 다수의 통기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상기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중간을 가로막는 가이드 격벽을 더 구비한다.
상기 외부노출통풍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곤충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체에는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상부를 덮는 곤충유입차단패드가 설치된다.
상기 노출방열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전사광의 각도를 제한하는 전방노출방열체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후사광의 각도를 제한하는 후방노출방열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노출방열체 또는 상기 후방노출방열체는 제한각도를 초과하여 확산하는 빛을 제한각도 이내로 반사시켜 조명을 필요한 영역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반사층이 형성된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전사광 또는 후사광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노출방열체 또는 상기 후방노출방열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국한된 방열을 하던 종래의 광원모듈과는 달리 광원모듈의 방열체를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 노출시켜 통풍구를 형상화함으로써 외부공기와 직접적 방열이 가능하며, 하우징에 통풍구를 형성하지 않고도 방열체에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형성하여 신속한 열방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된 방열체에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통로인 외부노출통풍구를 형성함으로써 빗물 유입은 차단하면서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 간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 대류에 의한 바람이 외부노출통풍구를 통과 시 병목부에서 큰 기압차를 유발시켜 내부공기의 방출을 가속화시켜 신속한 열의 방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노출방열체의 전후측에 자연대류에 의한 바람의 이동통로가 될 수 있는 통기홀이나 유입구 형성이 가능하며, 이를 형성시 전후좌우에서 자유로운 방열이 이루어진다. 통기홀을 통해 외부바람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 공기를 희석시키며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과 외부노출통풍구 좌우측의 바람 유입 시 내부의 공기를 빨아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노출통풍구의 중앙에 바람의 이동을 막는 가이드격벽 설치 시에는 자연대류에 의한 바람의 방향에 따라 외부노출통풍구 좌우측으로 가이드격벽을 경계로 통풍의 인입부와 방출부로 나누어진다. 외부노출통풍구는 바람의 방향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바람의 반대 방향측으로 하우징의 내부공기를 희석시키며 방출시킨다. 바람의 이동을 막아주는 가이드격벽 형성 시 외부노출통풍구의 좌우측에서 바람의 유입과 방출이 일어나면서 자유로운 방열이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통풍구로 외부요인(빗물, 눈, 곤충 등) 침입에 의해 고장의 원인 및 부식이 촉진되었으나, 본 발명은 광원모듈의 방열체에 외부노출통풍구를 형성하여 기후조건으로 인한 빗물, 눈의 침입을 차단하고, 곤충유입차단패드의 설치로 벌레의 서식 및 유입의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기구의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광원의 방열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조명이 필요한 영역으로만 빛의 조사범위를 제한할 수 있어서 빛 공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모듈의 방열체의 형상으로 빛공해의 유발 인자의 빛을 차단하여 조사범위로 반사시킴으로써 조명이 필요한 영역으로 빛을 수렴시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노출방열체 또는 후방노출방열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빛의 전사광 또는 후사광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광원모듈이 장착된 실외용 등기구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외용 등기구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외용 등기구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외용 등기구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실외용 등기구의 하우징에 광원모듈이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발췌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실외용 등기구에 장착된 광원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적용된 방열체의 측면도이고,
도 9는 하나의 광원모듈이 전사광 및 후사광의 조사 범위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0은 다수의 광원모듈이 전사광 및 후사광의 조사 범위를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11은 광원모듈이 장착된 실외용 등기구 조명의 시각적 표현을 나타낸 실험결과이고,
도 12는 도 11의 지정역영의 빛의 조사도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고,
도 13은 도 12에서 지정영역의 빛의 조사도의 중앙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결과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의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의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광원모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원모듈(20)은 가로등, 보안등, 터널등과 같은 실외용 등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외용 등기구(1)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광원모듈(2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 지주(5)의 암(7)에 결합된다. 암은 하우징(10)의 후면에 연결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광원모듈(20)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의 저면(11)에는 장착홀(13)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광원모듈(20)의 하부는 장착홀(13)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광원모듈(20)은 하나 이상이 하우징(10)에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광원모듈(20)이 하우징(1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달리 하나 또는 둘 또는 넷 이상의 광원모듈(20)이 하우징(1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광원모듈의 일 예로 LED 광원모듈을 나타내었다.
도시된 본 발명의 광원모듈(20)은 하우징(10)의 저면(11)에 지지되는 방열체(30)와, 방열체(20)의 하부에 결합되며 광원(47)이 실장된 기판(45)과, 기판(45)의 하부에 결합되어 광원(47)을 감싸는 렌즈부(49)를 구비한다.
방열체(30)는 열전달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다. 방열체(30)는 광원(47)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열체(30)는 하부에 기판(45)이 결합되는 베이스부(31)와, 베이스부(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방열리브(33)(34)와, 베이스부(3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방열체(35)(39)를 구비한다.
베이스부(31)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1)의 상부에는 다수의 방열핀들(3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방열핀(32)은 광원(47)으로부터 발생된 열 중 일부를 하우징(10)의 내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부(31)는 고정브라켓(40)에 의해 하우징(10)의 저면(11)에 지지된다. 고정브라켓(40)은 베이스부(3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베이스부(31)에 결합된 고정브라켓(40)은 나사에 의해 하우징(10)의 저면(1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40)에는 나사가 삽입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40)에는 다수의 결합돌기들이 형성된다. 결합돌기들 중 2개의 메인결합돌기(42)는 베이스부(31)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31a)의 좌우측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머지 1개의 서브결합돌기(43)는 후술할 외부노출통풍구(38)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베이스부(31)는 고정브라켓(40)에 결합된 상태로 장착홀(13)에 위치한다. 베이스부(31)의 상부는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하고, 베이스부(31)의 하부는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한다.
내부방열리브(33)(34)는 베이스부(31)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내부방열리브는 베이스부(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내부방열리브는 광원(47)으로부터 발생된 열 중 일부를 하우징(10)의 내부로 방출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된 노출방열체(35)(39)로 열을 전도시켜 외부로 열 방출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내부방열리브는 내부통풍방열리브(33)와 내부후방방열리브(34)를 포함한다. 내부통풍방열리브(33)는 베이스부(31)의 전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내부후방방열리브(34)는 베이스부(31)의 후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내부통풍방열리브(33)와 내부후방방열리브(34)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출방열체(35)(39)는 베이스부(31)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노출방열체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노출방열체는 광원(47)으로부터 발생된 열 중 일부의 열을 하우징(10)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시켜 열을 하우징(10)의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노출방열체는 전방노출방열체(35)와 후방노출방열체(39)로 구비될 수 있다. 가령, 노출방열체는 베이스부(31)의 전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전방노출방열체(35)와, 베이스부(31)의 후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방노출방열체(39)로 나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전방노출방열체(35)와 후방노출방열체(37)가 모두 구비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둘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할 수 있다.
전방노출방열체(35)는 렌즈부(35)의 전방에 위치한다. 전방노출방열체(35)는 베이스부(31)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전방노출방열체(35)의 하단부는 렌즈부(49)보다 더 낮게 위치한다. 전방노출방열체(35)는 열 방출과 함께 광원(47)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전사광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전방노출방열체(35)는 베이스부(31)의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와,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단부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로 이루어진다.
후방노출방열체(39)는 렌즈부(49)의 후방에 위치한다. 후방노출방열체(39)는 베이스부(31)의 하방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후방노출방열체(39)의 하단부는 렌즈부(49)보다 더 낮게 위치한다. 후방노출방열체(39)는 열 방출과 함께 광원(47)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후사광의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기판(45)은 베이스부(3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전방노출방열체(35)와 후방노출방열체(39) 사이에 위치한다. 기판(45)에는 다수의 광원(47)이 실장된다.
렌즈부(49)는 기판(45)의 하부에 결합된다. 렌즈부(49)에는 볼록한 다수의 확산렌즈들이 형성된다. 확산렌즈마다 광원(47)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확산렌즈가 광원(47)을 감싼다. 렌즈부(49)는 전방노출방열체(35)와 후방노출방열체(39) 사이에 위치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광원모듈(20)에 적용된 방열체(30)는 베이스부(31)를 경계로 하여 베이스부(31)의 윗 부분은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고, 베이스부(31)의 아래 부분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우징(10)에 통풍구를 형성하지 않고도 노출방열체(35)(39)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공기와 직접 열교환하므로 자연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열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노출방열체에 외부노출통풍구(38)가 형성된다.
외부노출통풍구(38)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하우징(10)의 내부와 연결된다. 외부노출통풍구(38)를 통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하우징(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노출통풍구(38)를 통해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와 내부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외부노출통풍구(38)는 전방노출방열체(35)와 후방노출방열체(39)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외부노출통풍구(38)는 전방노출방열체(35)에 형성된다.
전방노출방열체(35)는 베이스부(31)의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와,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단부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를 구비한다.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는 하부로 갈수록 후방노출방열체(39)와 점차 멀어진다.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는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의 하부에서 굽어져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는 베이스부(31)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의 단부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는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와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와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 사이에 외부노출통풍구(38)가 형성된다.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와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로 이루어진 전방노출방열체(35)는 상부를 향해 벌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노출통풍구(38)의 상부는 하우징(1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전방노출방열체(35)의 좌우 양측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노출통풍구(38)의 좌우 양측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된 전방노출방열체(35)에 하우징(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공기통로인 외부노출통풍구(38)를 형성함으로써 빗물 유입은 차단하면서 하우징(10)의 내부와 외부 간에 공기를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열체에 외부노출통풍구과 같은 통풍구조를 마련하므로 하우징에 별도의 통풍구가 필요하지 않아 하우징의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등기구 하우징 자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등기구 고장의 주원인이 되는 빗물 또는 눈 등의 유입을 차단 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40)의 서브결합돌기(43)를 방열체(3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부(31)와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에는 제 1 및 제 2지지턱(51)(53)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지지턱(51)은 베이스부(31)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 2지지턱(53)은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 1지지턱(51)에 의해 베이스부(31)에 제 1삽입슬롯(52)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 2지지턱(53)에 의해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에 제 2삽입슬롯(54)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고정브라켓(40)의 서브결합돌기(43)는 양 가장자리가 제 1 및 제 2삽입슬롯(52)(54)에 삽입되어 방열체(30)에 결합된다.
한편, 외부노출통풍구(38)의 상부가 좁아지도록 방열체(30)에는 병목부가 형성된다.
병목부는 내부통풍방열리브(33)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1돌출부(55)와,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2돌출부(56)를 구비한다. 제 1돌출부(55)와 제 2돌출부(56)는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제 1돌출부(55)와 제 2돌출부(56)에 의해 외부노출통풍구(38)의 상부는 폭이 좁아지는 병목부가 형성되므로 하우징(10)의 외부에서 바람이 발생하여 공기가 외부노출통풍구(38)를 통과시 병목부에서 압력 차이를 유발시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노출통풍구(38)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광원모듈(20)의 노출방열체(35)(39)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방열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광원(47)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조사범위를 제한하여 빛공해를 방지기능을 함께 가진다.
종래의 가로등 등기구는 인도 및 차도와 같이 조명이 필요한 영역으로만 빛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변에 조명이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도 빛을 조사함으로써 빛공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조명이 필요한 영역을 벗어난 조명은 모두 불필요한 조명이기 때문에 그만큼의 광 손실이 발생하여 전사광(광원의 전면방향으로 확산되는 빛) 및 후사광(광원의 후면방향으로 확산되는 빛)의 조사각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가로등은 조명이 필요한 영역의 갓길에 설치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특히 후사광의 경우, 일부 배광만이 조명이 필요한 영역에 포함되고 대부분의 배광은 조명이 불필요한 영역에 포함되기 때문에 전사광에 비교하여 더욱 큰 광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방열체(30)의 구조만으로 후사광 및 전사광의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적절한 배광곡선을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영역의 조사에 의한 빛공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노출방열체(39)는 렌즈부(49)의 후방에 위치하여 광원(47)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후사광의 각도를 제한하며, 전방노출방열체(35)는 렌즈부(49)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47)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전사광의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빛공해 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방 및 후방노출방열체(35)(39)의 돌출길이는 렌즈부(49)의 돌출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전방 및 후방노출방열체(35)(37)의 돌출길이 및 형태에 의해 후사광의 및 전사광의 각도가 조절된다.
2개의 광원 사이를 기준점(A)으로 할 경우, 기준점(A)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후사광은 46°이내, 전사광은 57°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열체(30) 자체만으로 후사광 및 전사광의 제어가 가능하여 적절한 배광곡선을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영역의 조사에 의한 빛공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광원모듈(20)마다 후방노출방열체(39)와 전방노출방열체(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광원모듈(20)로부터 발생된 빛의 확산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빛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후방의 빛을 광원에 가장 근접된 거리에서 광원모듈의 방열체를 외부로 노출 형상화하여 빛가림막으로 활용함으로써 빛의 제어가 가능하여 방열의 효율성과 빛공해의 방지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제한각도를 초과하여 확산하는 빛을 제한각도 이내로 반사시켜 조명이 필요한 영역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전방노출방열체 또는 후방노출방열체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전방노출방열부(35)의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의 내측면 및 후방노출방열체(39)의 내측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된다. 반사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의 내측면 및 후방노출방열체(39)의 내측면에 반사필름을 부착하거나,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의 내측면 및 후방노출방열체(39)의 내측면에 고광택 크롬 도금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방노출방열부(35)의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 및 후방노출방열체(39)를 반사율이 높은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광원모듈이 장착된 등기구의 배광모습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인 광원모듈을 장착한 경우, 본 발명의 광원모듈을 장착한 경우, 일반적인 광원모듈을 장착하고 빛가림막을 설치한 경우를 비교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난 야간기준 조명의 시각적 표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광원모듈을 장착한 경우 빛이 정확한 라인을 전후방 경계로 구분되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광원모듈에 빛가림막(높이 300mm, 폭 350mm)을 형성한 경우 빛의 완전한 차단이 되지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빛가림막에 의해 전방의 빛을 차단하면 등기구로서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빛가림막의 구현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도 12는 도 11의 실험에서 지정역영의 빛의 조사도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13의 지정영역의 빛의 조사도를 참고하면 중앙에서부터 타원형으로 퍼져나가는 색 타원을 볼 수 있다. 이 색의 타원 영역은 중심점을 경계로 강한 빛을 의미하며, 동일한 색상의 타원 영역은 빛의 강도가 동일한 영역을 표시하고 있다. 이는 도로에 조사되는 빛의 강도와 조사영역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도로조명 3차로를 경계로 도로길이 30m지점의 영역을 비교시 본 발명의 광원모듈을 장착한 경우 강도가 가장 강한 빛의 영역이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발명의 광원모듈의 경우 방열체의 노출방열체에 의해 후사광 및 전사광이 차단되고 조명이 필요한 영역인 도로로 빛이 집약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을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와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 사이에 가이드 격벽(60)이 설치된다. 가이드격벽(60)은 외부노출통풍구(38)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외부노출통풍구(38)의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격벽(60)은 외부노출통풍구(38)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다. 가이드격벽(60)은 외부노출통풍구(38)를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외부노출통풍구(38)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격벽(60)과 부딪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외부노출통풍구(38)의 타측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을 도 16에 도시하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방노출방열체(35)에 곤충유입차단패드(65)가 설치된다.
곤충유입차단패드(65)는 전방노출방열체(35)에 설치되어 외부노출통풍구(38)의 상부를 덮는다. 곤충유입차단패드(65)의 양 가장자리는 제 1삽입슬롯(52)과 제 2삽입슬롯(54)에 삽입된다.
곤충유입차단패드(65)는 외부노출통풍구(38)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곤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곤충유입차단패드(65)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물망 구조의 곤충유입차단패드(65)는 공기만 통과시키고 곤충은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과 같이 곤충유입차단패드(65)는 다수의 관통홀들(69)이 형성된 타공판(6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를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와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 각각에는 외부노출통풍구(38)와 연결되는 다수의 통기홀들(36a)(37a)이 형성된다.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36)에 일정 간격으로 통기홀들(3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37)에도 일정 간격으로 통기홀들(37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노출방열체(35)는 전후좌우 사방에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의 모습을 도 20에 도시하고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내부통풍방열리브(33)와 전방노출방열체(35)는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부(31)와 분리가능하다. 그리고 내부후방방열리브(34)와 후방노출방열체(39)는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부(31)와 분리가능하다.
베이스부(31)의 전면에는 전면돌기(71)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통풍방열리브(33)의 후면에는 전면돌기(71)가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들(73)이 형성된다. 결합홈들(73)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전면돌기(71)가 삽입되는 결합홈(73)의 위치를 바꾸면 전방노출방열체(3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31)의 후면에는 후면돌기(75)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후방방열리브(34)의 전면에는 후면돌기(75)가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들(77)이 형성된다. 결합홈들(77)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후면돌기(75)가 삽입되는 결합홈(77)의 위치를 바꾸면 후방노출방열체(39)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결합구조에 의해 전방노출방열체(35) 또는 후방노출방열체(39)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베이스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노출방열체(35) 또는 후방노출방열체(39)가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화시켜 전사광 및 후사광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광원모듈에 적용된 방열체의 모습을 도 21에 도시하고 있다.
도 21를 참조하면, 전방노출방열체(35)의 상부와 내부후방방열리브(34)의 상부는 상부방열플레이트(80)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열체 구조는 방열면적을 크게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다른 광원모듈을 도 22에 도시하고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2개의 외부노출통풍구(38)(88)가 형성된다.
내부방열리브로서 2개의 내부통풍방열리브(33)(84)가 마련된다. 내부통풍방열리브(33)(84)는 베이스부(31)의 전면측 가장자리 및 베이스부(31)의 후면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2개의 내부통풍방열리브(33)(84)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2개의 내부통풍방열리브(33)(84)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방노출방열체(35)와 후방노출방열체(85)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후방노출방열체(85)는 베이스부(31)의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86)와,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86)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단부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8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86)와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87) 사이에 외부노출통풍구(88)가 형성된다.
도시된 광원모듈의 방열체는 전방노출방열체(35)와 후방노출방열체(85)에 외부노출통풍구(38)(88)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방열체의 전후면 양측에 통풍구조를 실현함으로써 광원모듈의 방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전방노출방열체(35)와 후방노출방열체(85)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전방노출방열체(35) 또는 후방노출방열체(85)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베이스부(31)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도 23에 도시하고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전방측 내부통풍방열리브(33)와 전방노출방열체(35)는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부(31)와 분리가능하다. 그리고 후방측 내부통풍방열리브(84)와 후방노출방열체(85)는 일체로 형성되어 베이스부(31)와 분리가능하다.
베이스부(31)의 전면에는 전면돌기(7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측 내부통풍방열리브(33)의 후면에는 전면돌기(71)가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들(73)이 형성된다. 결합홈들(73)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전면돌기(71)가 삽입되는 결합홈(73)의 위치를 바꾸면 전방노출방열체(3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31)의 후면에는 후면돌기(75)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측 내부통풍방열리브(84)의 전면에는 후면돌기(75)가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들(77)이 형성된다. 결합홈들(77)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후면돌기(75)가 삽입되는 결합홈(77)의 위치를 바꾸면 후방노출방열체(8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노출방열체(35)의 상부와 후방노출방열체(85)의 상부는 상부방열플레이트(90)로 연결되어 방열면적을 크게 넓힐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실외용 등기구 10: 하우징
20: 광원모듈 30: 방열체
31: 베이스부 33: 내부통풍방열리브
34: 내부후방방열리브 35: 전방노출방열체
36: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 37: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
38: 외부노출통풍구 39: 후방노출방열체
40: 고정브라켓 45: 기판
47: 광원 49: 렌즈부

Claims (9)

  1. 실외용 등기구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실외용 등기구의 LED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고정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방열체와;
    상기 방열체의 하부에 결합되며 광원이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을 감싸는 렌즈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체는 상기 기판이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방열리브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방열체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노출방열체에는 좌우 양측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는 공기통로인 외부노출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바람이 발생하여 상기 외부노출통풍구로 공기가 통과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상부가 좁아지도록 상기 방열체에는 병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방열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벌어지도록 형성된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노출통풍구는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상기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결되고 좌우 양측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방열체는 전후좌우 사방에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상기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 각각에는 상기 외부노출통풍구과 연결되는 다수의 통기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외부통풍방열리브와 상기 제 2외부통풍방열리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중간을 가로막는 가이드 격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노출통풍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곤충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방열체에는 상기 외부노출통풍구의 상부를 덮는 곤충유입차단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방열체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전사광의 각도를 제한하는 전방노출방열체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후사광의 각도를 제한하는 후방노출방열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노출방열체 또는 상기 후방노출방열체는 제한각도를 초과하여 확산하는 빛을 제한각도 이내로 반사시켜 조명을 필요한 영역으로 수렴시키기 위한 반사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빛의 전사광 또는 후사광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노출방열체 또는 상기 후방노출방열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KR1020210071647A 2021-06-02 2021-06-02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KR10236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47A KR102360947B1 (ko) 2021-06-02 2021-06-02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647A KR102360947B1 (ko) 2021-06-02 2021-06-02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947B1 true KR10236094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647A KR102360947B1 (ko) 2021-06-02 2021-06-02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9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922A (ko) * 2008-03-21 2009-09-24 장인성 자연 통풍을 이용한 led 램프
KR101297340B1 (ko) * 2010-01-19 2013-08-14 명범영 엘이디 조명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787364B1 (ko) 2015-10-14 2017-11-16 주식회사 창성씨앤엘 자연방열형 led 조명기구
KR102069776B1 (ko) * 2018-04-27 2020-01-23 권순기 빛 반사/차단유닛을 갖는 led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0922A (ko) * 2008-03-21 2009-09-24 장인성 자연 통풍을 이용한 led 램프
KR101297340B1 (ko) * 2010-01-19 2013-08-14 명범영 엘이디 조명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787364B1 (ko) 2015-10-14 2017-11-16 주식회사 창성씨앤엘 자연방열형 led 조명기구
KR102069776B1 (ko) * 2018-04-27 2020-01-23 권순기 빛 반사/차단유닛을 갖는 led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461B2 (en) Directly viewable luminaire
KR100998247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장치
KR101106225B1 (ko) Led 램프
KR101406515B1 (ko) 엘이디 조명모듈
KR20110035514A (ko)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등기구
KR102263298B1 (ko) 열 방출구조를 개선한 자연방열형 led모듈
US8511862B2 (en) Optical unit and lighting apparatus
KR102200073B1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1610618B1 (ko) 투광등
KR20080092575A (ko) 가로등 등기구
KR101072598B1 (ko) Led 조명 장치
KR10108689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KR20100007093A (ko) 광 조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모듈
KR102360947B1 (ko) 외부노출통풍구를 구비한 빛공해방지 기능의 실외용 등기구 led모듈
KR101496225B1 (ko) 엘이디 가로등기구
KR100907950B1 (ko) 엘이디 등기구
KR101826260B1 (ko) 개선된 led 조명 등기구
KR200456082Y1 (ko) 엘이디 등기구
KR20170026756A (ko) 가로등 헤드
KR101098296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1608972B1 (ko) 엘이디등용 헤드
KR101109142B1 (ko) 가로등용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1050086B1 (ko) 습기, 벌레 및 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 기구
KR102632672B1 (ko) 보안등용 엘이디모듈
KR101659592B1 (ko) 가로등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