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570B1 -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 Google Patents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570B1
KR102360570B1 KR1020200093559A KR20200093559A KR102360570B1 KR 102360570 B1 KR102360570 B1 KR 102360570B1 KR 1020200093559 A KR1020200093559 A KR 1020200093559A KR 20200093559 A KR20200093559 A KR 20200093559A KR 102360570 B1 KR102360570 B1 KR 10236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material
improved
bent
reinforcing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열
Original Assignee
이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열 filed Critical 이정열
Priority to KR1020200093559D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4017A/ko
Priority to KR1020200093559A priority patent/KR102360570B1/ko
Priority to KR1020210128670A priority patent/KR102462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되어 상승부(10)와 하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승부(10)의 단부에는 단턱(11)이 형성되며 상기 하강부(20)의 중앙에는 도브테일(21)이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D)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도브테일(21)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도브테일체결부(110);
하부 양단에 상기 단턱(11) 하부를 지지하며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단턱체결부(120);
중공재(H)가 삽입되는 중공재삽입부(130)가 형성되도록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2개의 중공재지지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된 후 상기 중공재(H)를 설치하여 중공슬래브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100)를 제공한다.
더불어 일단에 수직부(31), 상기 수직부(31)에서 절곡된 수평부(33)로 구성된 내부결합부(30)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1수직부(41), 상기 제1수직부(41)에서 절곡된 수평부(43), 상기 수평부(43)에서 수직하부로 절곡된 제2수직부(45)로 구성된 외부결합부(40)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D)가 상호 연결된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판(410);
상기 수평판(410) 양단에서 하부로 형성된 지지대(420);
상기 수평판(4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부(45) 하단에 걸쳐 체결되는 고정부(430);
상기 수평판(410) 상부에 형성되는 철근거치부(4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철근 거치구(4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the improved mounted device of hollow member and the improved holder of reinforcing bar}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에 중공재를 설치하여 중공슬래브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플레이트의 하강부에 중공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쉽게 건식으로 시공할 수 있고 중공재에 작용하는 부력에 대응하여 중공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스페이서 기능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를 견고히 결합시키는 개량형 철근 거치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슬래브 중량을 줄이고 타설되는 콘크리트 물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공슬래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데크플레이트에 중공재를 설치하여 중공슬래브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플레이트의 하강부에 중공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쉽게 건식으로 시공할 수 있고 중공재에 작용하는 부력에 대응하여 중공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스페이서 기능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를 견고히 결합시키는 개량형 철근 거치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8721호 '다기능레일을 이용한 중공슬래브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2013년10월10일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1114호 '슬래브 중공재의 부상 방지 구조', 2018년04월23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데크플레이트에 중공재를 설치하여 중공슬래브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플레이트의 하강부에 중공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쉽게 건식으로 시공할 수 있고 중공재에 작용하는 부력에 대응하여 중공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스페이서 기능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를 견고히 결합시키는 개량형 철근 거치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절곡되어 상승부(10)와 하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승부(10)의 단부에는 단턱(11)이 형성되며 상기 하강부(20)의 중앙에는 도브테일(21)이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D)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도브테일(21)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도브테일체결부(110);
하부 양단에 상기 단턱(11) 하부를 지지하며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단턱체결부(120);
중공재(H)가 삽입되는 중공재삽입부(130)가 형성되도록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2개의 중공재지지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된 후 상기 중공재(H)를 설치하여 중공슬래브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100)를 제공한다.
더불어 일단에 수직부(31), 상기 수직부(31)에서 절곡된 수평부(33)로 구성된 내부결합부(30)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1수직부(41), 상기 제1수직부(41)에서 절곡된 수평부(43), 상기 수평부(43)에서 수직하부로 절곡된 제2수직부(45)로 구성된 외부결합부(40)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D)가 상호 연결된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판(410);
상기 수평판(410) 양단에서 하부로 형성된 지지대(420);
상기 수평판(4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부(45) 하단에 걸쳐 체결되는 고정부(430);
상기 수평판(410) 상부에 형성되는 철근거치부(4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철근 거치구(4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플레이트에 중공재를 설치하여 중공슬래브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데크플레이트의 하강부에 중공재를 결합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쉽게 건식으로 시공할 수 있고 중공재에 작용하는 부력에 대응하여 중공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스페이서 기능과 동시에 상기 결합부를 견고히 결합시키는 개량형 철근 거치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량형 철근 거치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설치예이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개량형 철근 거치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은 도 14의 설치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본 발명의 개량형 철근 거치구는 별개로 적용되거나 병행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Ⅰ.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100)는,
절곡되어 상승부(10)와 하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승부(10)의 단부에는 단턱(11)이 형성되며 상기 하강부(20)의 중앙에는 도브테일(21)이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D)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도브테일(21)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도브테일체결부(110);
하부 양단에 상기 단턱(11) 하부를 지지하며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단턱체결부(120);
중공재(H)가 삽입되는 중공재삽입부(130)가 형성되도록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2개의 중공재지지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된 후 상기 중공재(H)를 설치하여 중공슬래브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재(H)는 파이프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의 중공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재지지대(140)는,
상기 중공재(H)가 부력에 의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중공재(H)를 하부에서 상부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재지지대(140)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중공재(H)를 밀착하여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와 같이, 작은 단면의 텐션부(145)를 형성하여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2개의 중공재지지대(140) 상단 사이에는 지지구(200)가 설치되어, 상기 중공재(H)가 콘크리트 부력에 의해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구(200)는 와이어, 밴드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양단부는 도 2와 같이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재지지대(140)에는 상기 볼록부와 대응하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단턱체결부(120)와 상기 중공재지지대(140) 사이의 공간은 철근을 삽입하여 배근할 수 있으며, 배근된 상기 철근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을 가진 철근고정대(141)를 상기 중공재지지대(140)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3의 실시예는 상기 지지구(200)의 일단은 상기 중공재지지대(140)에 일체로 고정하고, 타단을 다른 중공재지지대(140)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방식은 통상적인 케이블타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공재(H)를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설명한 것이다.
이와 달리 도 4의 실시예는 중공재(H)를 상부에서 하부로 사선방향으로 설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중공재(H)가 콘크리트 부력에 의해 상승하지 않도록 상부에서 중공재지지대(140)가 누르는 구조를 실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의 실시예는,
중공재지지대(140) 상단에 고리부(142)를 형성하여 상기 고리부(142)에 상기 지지구(200)로써 통상적인 철사 또는 와이어를 결속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중공재지지대(140)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공재(H)를 감싸는 슬라이딩지지대(14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의 실시예는 상술한 상기 지지구(200)의 기능을 상기 슬라이딩지지대(144)가 대신 수행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의 실시예는 상기 2개의 중공재지지대(140)를 구성하는 본체 중간에 상부에서 철근을 삽입하여 배근할 수 있는 공간인 철근삽입부(147)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삽입부(147) 하부에 상기 도브테일(21)과 결속할 수 있는 피스 또는 나사 등의 결속구(C)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도브테일체결부(110)와 상기 단턱체결부(120)는 일체로 하부본체(500)를 형성하고,
상기 2개의 중공재지지대(140)는 일체로 상부본체(600)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본체(500)와 상기 상부본체(600)는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500)와 상기 상부본체(600) 사이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길이조절대(700)가 1개 이상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본체(500), 상기 상부본체(600) 및 상기 길이조절대(700)의 결합방식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주먹장부를 형성하여 옆으로 슬라이딩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상하로 인발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Ⅱ. 개량형 철근 거치구
도 10은 본 발명의 개량형 철근 거치구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도 10의 설치예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철근 거치구(400)는,
일단에 수직부(31), 상기 수직부(31)에서 절곡된 수평부(33)로 구성된 내부결합부(30)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1수직부(41), 상기 제1수직부(41)에서 절곡된 수평부(43), 상기 수평부(43)에서 수직하부로 절곡된 제2수직부(45)로 구성된 외부결합부(40)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D)가 상호 연결된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판(410);
상기 수평판(410) 양단에서 하부로 형성된 지지대(420);
상기 수평판(4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부(45) 하단에 걸쳐 체결되는 고정부(430);
상기 수평판(410) 상부에 형성되는 철근거치부(4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판(410) 중앙에는 상부로 수직대(46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410) 양단에는 상부로 거치대(470)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대(460)와 상기 거치대(470)로 이루어진 공간에 상기 철근거치부(45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대(460) 단부에는 탄성을 가진 철근고정대(461)를 형성하여 배근된 철근의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판(410)에는 상기 수평부(43)와 상기 수평부(33)를 관통하여 피스 또는 나사 등의 결속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결속구삽입홈(4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결속구삽입홈(413)은 전면으로 개방된 형태로 하는 것이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개량형 철근 거치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은 도 14의 설치예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철근 거치구(400)의 다른 실시예는,
일단에 수직부(31), 상기 수직부(31)에서 절곡된 수평부(33)로 구성된 내부결합부(30)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1수직부(41), 상기 제1수직부(41)에서 절곡된 수평부(43), 상기 수평부(43)에서 수직하부로 절곡된 제2수직부(45)로 구성된 외부결합부(40)가 형성된 데크플레이트(D)가 상호 연결된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판(410);
상기 수평판(410) 양단에서 하부로 형성된 지지대(420);
상기 수평판(4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수직부(45) 하단에 걸쳐 체결되는 고정부(430);
상기 수평판(410) 중앙에 상부로 형성된 수직대(460);
상기 수평판(410) 양단에 상부로 형성된 거치대(470);
상호 마주보는 형상으로 상기 수직대(460)와 상기 거치대(470)에 각각 중단이 일체로 결합하면서 상기 수직대(460)와 상기 거치대(470) 사이에서 탄성을 가지고 철근을 고정하는 2개의 철근고정대(46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철근고정대(462)는 전체적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소정의 직경(직경 약 10~16mm)을 기준으로,
(1) 직경이 큰 철근이 삽입될 경우, 상기 철근고정대(462)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철근을 눌러 상기 수평판(410) 상부에 고정하고,
(2) 직경이 작은 철근이 삽입될 경우, 상기 철근고정대(462)의 하단이 상기 철근을 눌러 상기 수평판(410) 상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판(410)에는 상기 수평부(43)와 상기 수평부(33)를 관통하여 피스 또는 나사 등의 결속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결속구삽입홈(41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결속구삽입홈(413)은 전면으로 개방된 형태로 하는 것이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D: 데크플레이트
H: 중공재
C: 결속구
10: 상승부
11: 단턱
20: 하강부
21: 도브테일
30: 내부결합부
31: 수직부
33: 수평부
40: 외부결합부
41: 제1수직부
43: 수평부
45: 제2수직부
100: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110: 도브테일체결부
120: 단턱체결부
130: 중공재삽입부
140: 중공재지지대
141: 철근고정대
142: 고리부
144: 슬라이딩지지대
145: 텐션부
147: 철근삽입부
200: 지지구
400: 개량형 철근 거치구
410: 수평판
413: 결속구삽입홈
420: 지지대
430: 고정부
450: 철근거치부
460: 수직대
461: 철근고정대
470: 거치대
500: 하부본체
600: 상부본체
700: 길이조절대

Claims (8)

  1. 절곡되어 상승부(10)와 하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승부(10)의 단부에는 단턱(11)이 형성되며 상기 하강부(20)의 중앙에는 도브테일(21)이 형성되는 데크플레이트(D)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도브테일(21)이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도브테일체결부(110);
    하부 양단에 상기 단턱(11) 하부를 지지하며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단턱체결부(120);
    중공재(H)가 삽입되는 중공재삽입부(130)가 형성되도록 상부 양단에 형성되는 2개의 중공재지지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중공재지지대(140)는 탄성을 가지고 상기 중공재(H)를 밀착하여 감싸며,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된 후 상기 중공재(H)를 상기 중공재삽입부(130)에 설치하여 중공슬래브 구조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공재지지대(140)에는 슬라이딩되어 상기 중공재(H)를 감싸는 슬라이딩지지대(14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93559A 2020-07-28 2020-07-28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KR10236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59D KR20220014017A (ko) 2020-07-28 2020-07-28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KR1020200093559A KR102360570B1 (ko) 2020-07-28 2020-07-28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KR1020210128670A KR102462359B1 (ko) 2020-07-28 2021-09-29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559A KR102360570B1 (ko) 2020-07-28 2020-07-28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670A Division KR102462359B1 (ko) 2020-07-28 2021-09-29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570B1 true KR102360570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559A KR102360570B1 (ko) 2020-07-28 2020-07-28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KR1020200093559D KR20220014017A (ko) 2020-07-28 2020-07-28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KR1020210128670A KR102462359B1 (ko) 2020-07-28 2021-09-29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559D KR20220014017A (ko) 2020-07-28 2020-07-28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KR1020210128670A KR102462359B1 (ko) 2020-07-28 2021-09-29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605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842B1 (ko) * 2018-07-31 2019-01-28 최창식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354Y1 (ko) * 1996-10-04 1999-06-15 강석재 철근 간격 유지구
KR101318721B1 (ko) 2013-06-10 2013-10-16 (주)광장구조기술사사무소 다기능레일을 이용한 중공슬래브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78953Y1 (ko) * 2014-10-27 2015-12-04 박시환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스페이서
KR101783035B1 (ko) * 2016-03-10 2017-10-10 (주)엔아이스틸 역삼각 트러스 거더 삽입형 데크
KR20180001114U (ko) 2016-10-13 2018-04-23 서울주택도시공사 슬래브 중공재의 부상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842B1 (ko) * 2018-07-31 2019-01-28 최창식 장스팬용 데크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017A (ko) 2022-02-04
KR20220014320A (ko) 2022-02-04
KR102462359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841B1 (ko) 파이프를 이용한 조립식하우스용 골조
CN100998303A (zh) 树木保护支架
KR200428765Y1 (ko) 거푸집 지지대
KR102360570B1 (ko) 개량형 중공재 설치구 및 개량형 철근 거치구
CN211114067U (zh) 装配式建筑减震结构
CN211259463U (zh) 一种建筑工地施工设备的缓冲底座
KR100719466B1 (ko) 건축물 전기 단자함구조
CN201431729Y (zh) 一种固定装置
KR200397826Y1 (ko) 일체형 거푸집 지지장치
CN211815583U (zh) 一种用于景观桥的桥梁护栏装置
CN218569748U (zh) 具有束线功能的线缆走线装置
KR101976352B1 (ko) 멍에 고정용 탄성 클립
KR101145905B1 (ko) 클램프 모듈이 설치된 조립형 가동휀스
CN219218946U (zh) 一种沙障用连接固定结构
CN220247394U (zh) 一种建筑横梁内的钢筋固定结构
CA2188230C (en) Apparatus for supporting cooling pipes and reinforcing bars for an ice rink
CN212957262U (zh) 一种建筑工程用钢筋连接结构
CN211690404U (zh) 一种垫层模板支架
CN219862867U (zh) 一种拱形骨架护坡结构
KR20120006373U (ko) 건축용 서포트
CN216406193U (zh) 应用于吊模结构的吊杆及吊模结构
CN215760371U (zh) 一种吊篮悬挂机构
CN210888292U (zh) 新型建筑施工用围挡装置
KR200364278Y1 (ko) 거푸집 받침대
CN214994595U (zh) 装配式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