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448B1 -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 - Google Patents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448B1
KR102359448B1 KR1020200053102A KR20200053102A KR102359448B1 KR 102359448 B1 KR102359448 B1 KR 102359448B1 KR 1020200053102 A KR1020200053102 A KR 1020200053102A KR 20200053102 A KR20200053102 A KR 20200053102A KR 102359448 B1 KR102359448 B1 KR 102359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nsport
cage
transfer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5016A (en
Inventor
정현희
Original Assignee
정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희 filed Critical 정현희
Priority to KR102020005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448B1/en
Publication of KR2021013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ifts associated wit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지 내부에 이송 수단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지의 내부 바닥에 다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 대응하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다수의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화물이 놓인 후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서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이송수단을 상승시키면 상기 화물이 소정 상승하고, 상기 화물이 소정 상승하면 상기 이송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화물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지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화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며, 캐리어에 화물을 용이하게 옮겨 실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elevator having a transport means inside the cage, in the cargo elevator equipped with a transport means in which a plurality of long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cage,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and protruding from the long hole or A plurality of incoming transfer means, a plurality of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transfer mean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means and the elevating means, after the cargo is placed in the cage, the elevating means through the controller It is achieved by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convey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veying means is raised by operating a predetermined rise, and the cargo rises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operating the conveying means to transfer the cargo.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cargo loaded in the cage can be grasped, the cargo can be easily taken out, and the cargo can be easily transferred to the carrier.

Description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케이지 내부에 이송 수단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for cargo having a conveying means inside the cage.

최근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많은 승객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엘리베이터(승강기)가 개발 및 설치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인 승강로(피트)를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하며 승객이나 화물 등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운반수단이다.Recently, as buildings become taller, various types of elevators (elevators) that can move many passengers quickly and efficiently are being developed and installed. As is well known, an elevator is a transport means that can safely transport passengers or cargo by moving vertically along a hoistway (pit),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vertically inside a building.

종래의 일반적인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의 승강로 양측 벽면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GR)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케이지(E)와, 일단이 케이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미도시)와, 와이어로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케이지의 이동경로와 중복되지 않게 승강로의 일 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케이지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균형추(미도시)와, 승강로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와 마찰 접촉하여 정/역회전에 의해 케이지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A conventional general freight elevator includes a guide rail (GR) that is vertically and securely installed on both walls of a hoistway in a building, a cage (E)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and a wire rope (not shown)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cage. , a counterweight (not show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and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ge along a guide rail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hoistway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moving path of the cage, and at the top of the hoistway It consists of a driving motor (not shown) that is installed and makes friction contact with the wire rope to elevate the cage and counterweight by forward/reverse rotation.

그런데 케이지의 내부에 화물을 넣을 때는 캐리어 등을 이용하여 케이지에 화물을 한 번에 적재하지만, 케이지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꺼낼 때에는 화물을 하나씩 옮기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when loading the cargo inside the cage, the cargo is loaded into the cage using a carrier, etc., but when taking out the cargo loaded inside the cage,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moving the cargo one by one.

즉, 캐리어에 화물을 옮겨 담을 때 가벼운 화물은 시간은 걸리지만 옮겨 담는데 별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무거운 화물일 경우에는 캐리어에 화물을 옮겨 싣는 게 매우 힘들고 불편하며, 옮겨 싣는 과정에서 화물을 떨어트려 화물이 파손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other words, when moving cargo to a carrier, it takes time for light cargo, but there is no difficulty in moving it. However, in the case of heavy cargo, it is very difficult and inconvenient to transfer the cargo to the carri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rgo is damaged by dropping the cargo in the process of loading.

특히, 화물을 다층으로 옮겨야 할 때에는 더욱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케이지에 실린 상태에서 화물을 밀거나 끌고 나오는 과정에서 케이지의 바닥이 손상되거나 케이지의 도어 또는 층간에 마련된 도어가 손상되는 문제도 발생한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more cumbersome and takes a long time to move the cargo to multiple floors, and the bottom of the cage is damaged or the door of the cage or the door provided between floors is damaged in the process of pushing or pulling out the cargo while it is loaded in the cage. also occur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4380(공고일자 2014. 05. 27)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394380 (Announcement Date 2014. 05. 2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지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화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며, 캐리어에 화물을 용이하게 옮겨 실을 수 있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cargo loaded inside the cage, to take out the cargo easily, and to transfer the cargo to the carrier easi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elevator equipped with thi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지의 내부 바닥에 다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 대응하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다수의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화물이 놓인 후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서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이송수단을 상승시키면 상기 화물이 소정 상승하고, 상기 화물이 소정 상승하면 상기 이송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화물을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 의해 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rgo elevator provided with a transport means in which a plurality of long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cage, a plurality of transport means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s and protruding or drawn in from the long holes, a plurality of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transfer mean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means and the elevating means, wherein after the cargo is placed in the cage, the elevating means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ler to raise the transfer means It is achieved by a cargo elevator equipped with a transpor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argo rises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when the cargo rises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transportation means is operated to transfer the cargo.

또, 상기 이송수단은,In addition, the transport means,

복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이송롤러에 끼워지고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 and a conveying belt fitted to the conveying roller and operated by rotation of the conveying roller.

또한, 상기 장공을 개폐하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ng hole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introduced from the long hole.

또한,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실린 화물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스캔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ge may include a scann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go loaded in the cage.

또, 상기 컨트롤러는,In addition, the controller,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승강수단 및 상기 스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transport means, the lifting means, and the scanning unit.

또, 상기 컨트롤러는,In addition, the controller,

상기 스캔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물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이송수단 및 승강수단을 선택하며, 선택된 이송수단 및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화물 중 이송할 화물을 선택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It receives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can unit, outputs the position of the cargo to the display unit, selects the conveying means and the elevating mean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operates the selected conveying means and elevating means to transfer the cargo. You can select and transport the cargo.

또, 상기 개폐수단은,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상기 장공에 대응하 관통공이 형성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door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and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door.

또, 상기 장공은,In addition, the long hole,

홀수 열과 짝수 열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Odd-numbered columns and even-numbered column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지의 내부에 화물을 적재한 후 이를 스캔하여 화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최전방의 열에 배치된 화물 중 원하는 화물을 케이지로부터 손쉽게 꺼내거나 캐리어에 손쉽게 옮겨 실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oading the cargo inside the cage, it is possible to scan i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argo, and to easily take out the desired cargo from the cage or easily transfer it to the carrier among the cargoes disposed in the frontmost row.

또한, 상부로 적재된 화물을 한 번에 옮길 수 있어서 화물을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go loaded on the top can be moved at once, so that the cargo can be transferred quickly.

또한, 바닥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floor.

또한, 컨트롤러의 디스플레이부에 화물의 위치 및 이송수단을 출력하고, 화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송수단을 컨트롤 함으로써 화물을 정확하게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by outputting the position and transport means of the cargo on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transport mea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rgo, the cargo can be accurately trans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서 케이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서 이송수단의 한 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서 이송수단의 일부를 절개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서 컨트롤러의 연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서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서 개폐수단, 이동수단 및 승강수단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서 화물의 이송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ge in a cargo elevator equipped with a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w of transport means in the elevator for cargo provided with a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the transfer means in the elevator for cargo provided with a transfer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locking state of the controller in the cargo elevator equipped with a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the elevator for cargo equipped with a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front views schematically showing operating states of the opening/closing means, the moving means, and the lifting means in the cargo elevator equipped with a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of transport of cargo in a cargo elevator equipped with a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lready 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brevity of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는, 케이지(1), 이송수단(2), 승강수단(3), 개폐수단(4), 스캔부(5) 및 컨트롤러(6)를 포함한다.1 to 9, the cargo elevator equipped with a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ge (1), a transport means (2), a lifting means (3), and an opening/closing means (4). , a scan unit 5 and a controller 6 .

케이지(1)는, 화물(C) 및 사람을 층간 이동시키는 것으로, 내부바닥(11)에 이송수단(2)에 대응하는 다수의 장공(12)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지(1)는 평면상에서 장공(12)이 다수의 열로 배치되되 홀수 열과 짝수 열이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이에 따라, 화물(C)이 케이지(1)의 내부에 적재되면 더욱 많은 장공(12)을 화물(C)에 걸쳐서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The cage (1) is to move the cargo (C) and people between floors, a plurality of long holes (12) corresponding to the transfer means (2) are formed in the inner floor (11). In addition, in the cage 1, the long holes 12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on a plane, and odd rows and even rows are alternately arranged. Accordingly, when the cargo (C) is loaded inside the cage (1), more long holes (12) can be matched over the cargo (C).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이송수단(2)은, 케이지(1)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C)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장공(12)의 수에 대응하고, 평상시에는 장공(12)의 내부에 인입되며, 본체(21), 이송롤러(22), 이송벨트(23) 및 구동모터(24)를 포함한다.The transport means (2) is to transport the cargo (C) loaded in the cage (1), and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he long holes (12), and is usually drawn into the interior of the long holes (12), the main body (21) ), a conveying roller 22 , a conveying belt 23 and a driving motor 24 .

본체(21)는, 이송롤러(22)를 지지하는 것으로, 대략 상부가 개된 "ㄷ" 모양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케이지(1)의 장공(12)에 대응하도록 다수가 마련되며 후술할 승강수단(3)과 결합한다.The main body 21 is to support the conveying roller 22,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shaped frame with an open upper part, and a plurality of elevating means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long hole 12 of the cage 1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mbine with (3).

이송롤러(22)는, 이송벨트(23)를 회전시키고 지지하는 것으로, 제1이송 롤러(221) 및 제2이송 롤러(222)를 포함한다.The transfer roller 22 rotates and supports the transfer belt 23 , and includes a first transfer roller 221 and a second transfer roller 222 .

제1이송 롤러(221)는, 이송벨트(2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한 쌍이 마련되고, 이송벨트(23)에 대응하며, 본체(21)의 내부에 삽입되되 본체(21)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이송 롤러(221)는 이송벨트(23)가 화물(C)과 밀착하도록 제1이송 롤러(221)의 최상단이 본체(21)의 최상단보다 높게 배치된다. 또한, 제1이송 롤러(221)는 2개 중 하나는 후술할 구동모터(2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4)가 작동하면 구동모터(24)와 연결된 제1이송 롤러(221)가 회전한다.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is to rotate the transfer belt 23, and a pair is provided, and corresponds to the transfer belt 23, is inserted into the body 21,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main body 21.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on each. In this case, the uppermost end of 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is disposed high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main body 21 so that the transfer belt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rgo (C). In addition, one of the two first transfer rollers 221 is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24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otor 24 operates, 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4 rotates.

제2이송 롤러(222)는, 이송벨트(23)를 지지하는 것으로, 제1이송 롤러(221) 사이에 배치되되 최상단이 제1이송 롤러(221)의 최상단과 동일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2이송 롤러(222)는 복수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이송 롤러(222)가 이송벨트(23)를 지지하고 있어서, 이송벨트(23)가 화물(C)과 견고하게 밀착할 수 있고 이송벨트(23)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veying roller 222 is to support the conveying belt 23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veying rollers 221 , and the uppermost end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most of the first conveying roller 221 . . Here, a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rollers 222 may be provided.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transfer roller 222 supports the transfer belt 23, the transfer belt 23 can firmly adhere to the cargo C and prevent the transfer belt 23 from sagging. .

이송벨트(23)는, 케이지(1)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C)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제1이송 롤러(221)에 대응하고 제1이송 롤러(221)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제1이송 롤러(221)가 회전하면 이송벨트(23)가 회전한다.The transfer belt 23 transfers the cargo C loaded inside the cage 1 , and corresponds to 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and is fitted to 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 Accordingly, when 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rotates, the transfer belt 23 rotates.

구동모터(24)는, 제1이송 롤러(22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후술할 컨트롤러(6)에 의해 제어되고, 본체(21)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구동모터(24)는 중량의 화물(C)을 이송할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의 기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4)가 작동하면 제1이송 롤러(221)가 회전하고, 제1이송 롤러(221)가 회전하면 이송벨트(23)가 회전한다.The driving motor 24 rotates 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6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 . 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24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ears (not shown) therein to transport the heavy cargo (C).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otor 24 operates, 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rotates, and when the first transfer roller 221 rotates, the transfer belt 23 rotates.

승강수단(3)은, 이송수단(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 대략 유입실린더 방식을 이용하고, 후술할 컨트롤러(6)에 의해 제어되며, 본체(21) 하부에 배치되되 로드(31)가 본체(21)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승강수단(3)이 작동하면 로드(31)가 상승하면서 이송수단(2)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이송벨트(23)가 장공(12)의 상부로 돌출한다. 따라서, 케이지(1)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C)과 이송벨트(23)가 밀착하고, 로드(31)가 더욱 상승하면 이송수단(2)이 화물(C)을 소정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화물(C)은 케이지(1)의 내부바닥(11)면으로부터 소정 이격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수단(3)을 통해 이송수단(2)을 순차적으로 상승시킬 수도 있고, 동시에 상승시킬 수도 있다. 이송수단(2)을 순차적으로 상승키는 경우에는, 이송수단(2)의 상승높이를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화물(C)이 케이지(1)의 내부바닥(11)으로부터 소정각도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The elevating means 3 is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onveying means 2, approximately using an inflow cylinder method, controlled by a controller 6 to be described later, and disposed under the main body 21, the rod 31 is coupled to the body 21 . Accordingly, when the lifting means 3 is operated, the rod 31 rises while the transfer means 2 rises, thereby protruding the transfer belt 23 to the upper part of the long hole 12 . Accordingly, when the cargo C loaded in the cage 1 and the transport belt 23 are in close contact, and the rod 31 further rises, the transport means 2 can lift the cargo C by a predetermined amount. At this time, the cargo (C)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11) surface of the cage (1). More specifically, the transfer means 2 may be sequentially raised through the elevating means 3, or may be raised at the same time. When the transfer means (2) is sequentially raised, the height of the transfer means (2) can be sequentially formed so that the cargo (C)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inner floor (11) of the cage (1). may b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개폐수단(4)은, 장공(12)을 개폐하는 것으로, 케이지(1)의 내부바닥(11) 하부에 배치되고, 도어(41) 및 구동부(42)를 포함한다.The opening/closing means 4 opens and closes the long hole 12 , is disposed under the inner bottom 11 of the cage 1 , and includes a door 41 and a driving unit 42 .

도어(41)는, 장공(12)을 개폐하는 것으로, 대략 직육면체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되 다수의 장공(12)에 대응하는 관통공(411)이 형성되고, 케이지(1)의 내부바닥(11) 저면에 밀착되되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도어(41)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장공(12)과 관통공(411)이 일치하여 장공(12)이 열리고, 도어(41)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장공(12)과 관통공(411)이 서로 엇갈려 장공(12)이 폐쇄된다. 여기서, 장공(12)으로 이물질 또는 작업자의 물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상시에는 도어(41)가 장공(12)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The door 41 opens and closes the long hole 12,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rough holes 411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ong holes 12 are formed, and the inner bottom 11 of the cage 1 ) It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but can be moved from side to side. Accordingly, when the door 41 moves to the left, the long hole 12 and the through hole 411 coincide and the long hole 12 is opened, and when the door 41 moves to the right, the long hole 12 and the through hole 411 are opened. ) cross each other and the long hole 12 is closed. Here, the door 41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long hole 12 in normal tim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r the worker's object from flowing into the long hole 12 .

구동부(42)는, 도어(4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케이지(1)의 내부바닥(11) 하부에 배치되고, 도어(41)와 연결되며, 후술할 컨트롤러(6)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42)가 작동하면 도어(41)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케이지(1)에 화물(C)이 적재된 상태에서 구동부(42)를 작동시키면 도어(41)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장공(12)이 개방되고, 화물(C) 이송이 끝나면 다시 구동부(42)를 작동시켜 도어(41)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장공(12)이 폐쇄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도어(41)에 의해 장공(12)이 폐쇄되어 장공(12)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42 operates the door 41 , is disposed under the inner bottom 11 of the cage 1 , is connected to the door 41 , and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6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unit 42 operates, the door 41 may be moved left and right. That is, when the driving unit 42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argo C is loaded in the cage 1, the door 41 moves to the left and the long hole 12 is opened, and when the cargo C is transported, the driving unit ( When the door 41 is moved to the right by operating 42 , the long hole 12 is closed. Accordingly, the long hole 12 is normally closed by the door 41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long hole 12 .

스캔부(5)는, 케이지(1)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C)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케이지(1)의 천장에 설치되고, 케이지(1)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C)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며, 컨트롤러(6)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케이지(1)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C)의 위치를 검출하여 이송할 화물(C)에 대응하는 이송수단(2) 및 승강수단(3)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scanning unit 5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rgo C loaded inside the cage 1 , and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cage 1 , and the cargo C loaded inside the cage 1 . It generates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6). Accordingly,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go (C) loaded inside the cage (1),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transfer means (2) and the lifting means (3) corresponding to the cargo (C) to be transferred.

컨트롤러(6)는, 이송수단(2), 승강수단(3), 개폐수단(4) 및 스캔부(5)를 제어하는 것으로, 케이지(1)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송수단(2), 승강수단(3), 개폐수단(4) 및 스캔부(5)를 제어하는 다수의 버튼(61)과 이송수단(2), 승강수단(3), 개폐수단(4), 스캔부(5)의 상태와 화물(C)의 위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62)가 마련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62)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6)를 통해 이송수단(2), 승강수단(3), 개폐수단(4) 및 스캔부(5)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62)에 출력된 화물(C)의 위치를 보면서 이송할 화물(C)에 대응하는 승강수단(3) 및 이송수단(2)을 제어함으로써, 선택한 화물(C)을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6)를 통해 스캔부(5)를 작동하면, 컨트롤러(6)는 스캔부(5)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62)에 화물(C)의 위치 및 장공(12)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장공(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62)에 출력된 장공(12) 중 선택한 화물(C)에 대응하는 장공(12)을 선택하면 장공(12)에 대응하는 이송수단(2) 및 승강수단(3)이 작동한다. 따라서, 선택한 화물(C)을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6)는 이송수단(2)을 반대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화물(C)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이송수단(2)과 우측에 배치된 이송수단(2)의 작동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키면 화물(C)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수단(2)의 속도를 각각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가령, 화물(C)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배치된 이송수단(2)과 주변부에 배치된 이송수단(2)의 이송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데, 중심부에 배치된 이송수단(2)보다 주변부에 배치된 이송수단(2)의 이송속도를 빠르게 제어함으로써, 화물(C)을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중심부에 배치된 이송수단(2)은 승강시키지 않고 주변부에 배치된 이송수단(2)만을 승강시켜 화물(C)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는,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화물(C)의 박스 저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화물(C)의 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The controller 6 controls the transfer means 2, the elevating means 3, the opening/closing means 4 and the scanning unit 5,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ge 1, the transfer means 2, A plurality of buttons 61 for controlling the lifting means (3),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 and the scanning unit (5), the transfer means (2), the lifting means (3),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 the scanning unit (5) A display unit 62 for outputting the state and the position of the cargo (C)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62 may use a touch screen.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ans 2 , the elevating means 3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4 and the scanning unit 5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6 , and the cargo C output to the display unit 62 . By controlling the lifting means (3) and the transfer means (2) corresponding to the cargo (C) to be transferred while watching the position of,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ransfer the selected cargo (C). For example, when the scan unit 5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ler 6 , the controller 6 receives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can unit 5 and displays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cargo C on the display unit 62 . (12) is output.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long hole 12 is open,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long hole 12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argo (C) among the long holes 12 output on the display unit 62, the transport means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12 ( 2) and the lifting means (3) ope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ransport the selected cargo (C). Here, the controller 6 may operate the transfer means 2 in reverse. That is, when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ans 2 disposed on the left and the transfer means 2 disposed on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cargo C is oper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cargo C may rotate in place. More specifically, the speed of the transfer means 2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For example, the transport speed of the transport means 2 disposed in the center and the transport means 2 disposed in the periphery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based on the center of the cargo C, compared to the transport means 2 disposed in the center. By quickly controlling the transport speed of the transport means (2) disposed on the periphery, the cargo (C) can be easily rotated. In addition, the transport means (2) disposed in the center may rotate the cargo (C) by lifting and lowering only the transport means (2) disposed in the peripheral portion without raising and lowering. This is to prevent abrasion of the box bottom of the cargo (C)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argo (C).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for cargo provided with a transpor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케이지(1)의 내부에 화물(C)을 적재시킨 후 케이지(1)를 층간 이동시킨다.After loading the cargo (C) inside the cage (1), the cage (1) is moved between floors.

케이지(1)가 층간 이동한 후 작업자가 컨트롤러(6)를 이용하여 스캔부(5)를 통해 화물(C)의 위치를 검출한다.After the cage 1 moves between floors, the operator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argo C through the scan unit 5 using the controller 6 .

화물(C)의 위치가 검출되면 컨트롤부의 디스플레이부(62)에 화물(C)의 위치 및 장공(12)이 출력되고, 컨트롤부를 통해 도어(41)를 작동시키면 케이지(1)의 내부바닥(11)에 형성된 장공(12)이 열린다.When the position of the cargo (C) is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cargo (C) and the long hole 12 are output on the display unit 62 of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door 41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inner floor ( The long hole 12 formed in 11) is opened.

작업자가 케이지(1)로부터 인출할 화물(C)에 해당하는 장공(12)을 선택하면 선택한 장공(12)에 대응하는 승강수단(3) 및 이송수단(2)의 작동 기능이 디스플레이부(62)에 출력된다.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long hole 12 corresponding to the cargo C to be withdrawn from the cage 1, the operating functions of the lifting means 3 and the transfer means 2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ng hole 12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2 ) is output in

디스플레이부(62)를 통해 승강수단(3)을 작동시키면 인출할 화물(C)이 케이지(1)의 내부바닥(11)으로부터 소정 이격된다.When the lifting means 3 is operated through the display 62 , the cargo C to be taken ou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loor 11 of the cage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인출할 화물(C)을 캐리어(미도시)를 이용하여 운반할 경우에는 승강수단(3) 중 전방에 배치된 승강수단(3)의 로드(31)를 후방에 배치된 승강수단(3)보다 더 높게 돌출시킨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ransporting the cargo (C) to be taken out using a carrier (not shown), the rod 31 of the elevating means 3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elevating means 3 is moved by the elevating means 3 disposed in the rear. ) to protrude higher than

전방에 배치된 승강수단(3)의 로드(31)가 더 높게 돌출시키면 인출할 화물(C)의 전방이 들어 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이송수단(2)을 작동시키면 인출할 화물(C)이 소정 상향 경사지게 이동한다. 즉, 인출할 화물(C)과 케이지(1) 내부바닥(11) 사이를 벌려서 캐리어의 받침대를 끼워넣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부로 적재된 화물(C)을 하나하나 캐리어로 직접 옮기지 않고도 화물(C)을 캐리어에 손쉽게 실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1)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화물(C)을 이송할 경우에는 위 방법대로 수행하면 화물(C)을 손쉽게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박스에 표기된 화물(C)을 확인해야 할 경우에는 컨트롤러(6)를 통해 이송수단(2)을 회전모드로 변경할 수 있고, 회전모드로 변경한 후 이송수단(2)을 작동시키면 화물(C)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물(C)의 정보를 작업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물(C)을 회전시킨 후 캐리어에 적재하여 이송할 수도 있다.When the rod 31 of the elevating means 3 disposed in the front protrudes higher, the front of the cargo C to be taken out is lifted. In this state, when the transport means 2 is operated, the cargo C to be withdrawn moves upward by a predetermined slope. That is,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pedestal of the carrier by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cargo C to be withdrawn and the inner bottom 11 of the cage 1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easily load the cargo (C) on the carrier without directly moving the cargo (C) loaded on top one by one to the carrier. Therefore, in the case of transporting the cargo (C) in a state in which the cage (1) is stopped, the cargo (C) can be easily transported by performing the above method. Here,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cargo (C) marked on the box, the transfer means (2) can be changed to the rotation mode through the controller (6), and when the transfer means (2) is operated after changing to the rotation mode, the cargo ( C) can be rotated. Therefore, after rotating the cargo (C)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cargo (C), it may be loaded and transported on a carrier.

만약, 인출할 화물(C)을 케이지(1)로부터 완전히 인출할 경우 즉, 층간마다 화물(C)을 인출할 경우에는 화물(C)의 이동경로에 해당하는 장공(12)을 선택하고, 선택한 장공(12)에 대응하는 승강수단(3) 및 이송수단(2)을 작동시키면 케이지(1)로부터 화물(C)을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If the cargo (C) to be withdrawn is completely withdrawn from the cage (1), that is, when the cargo (C) is withdrawn from floor to floor, the long hole 12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cargo (C) is selected, and the selected When the elevating means 3 and the transfer means 2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12 are operated, the cargo C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cage 1 .

따라서, 본 발명은 화물(C)을 하나씩 옮길 필요가 없고, 상부로 적재된 화물(C)을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으며, 캐리어에 손쉽게 실을 수 있어서 화물(C)을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게다가. 케이지(1)의 내부에서 화물(C)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화물(C)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화물(C)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케이지(1)의 내부바닥(1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move the cargo (C) one by one, the cargo (C) loaded on the upper part can be transferred at once, and the cargo (C) can be transferred quickly because it can be easily loaded on the carrier. Furthermore. The cargo (C) can be moved to the front or rear inside the cage (1), and the cargo (C) can be rotated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cargo (C) can be easily check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ner bottom 11 of the cage (1).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f the embodiments are differ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if necessa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caus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Therefore,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forms within the same scope as the above embodiment only by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the invention in an area equivalent to

1; 케이지
11; 내부바닥
12; 장공
2; 이송수단
21; 본체
22; 이송롤러
221; 제1이송 롤러
222; 제2이송 롤러
23; 이송벨트
24; 구동모터
3; 승강수단
31; 로드
4; 개폐수단
41; 도어
411; 관통공
42; 구동부
5; 스캔부
6; 컨트롤러
61; 버튼
62; 디스플레이부
C; 화물
One; cage
11; inner floor
12; long shot
2; means of transport
21; main body
22; feed roller
221; 1st transfer roller
222; 2nd transfer roller
23; conveying belt
24; drive motor
3; means of elevating
31; road
4; opening and closing means
41; door
411; through hole
42; drive part
5; scan unit
6; controller
61; button
62; display unit
C; freight

Claims (8)

케이지의 내부 바닥에 다수의 장공이 형성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 대응하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다수의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승강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화물이 놓인 후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서 상기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이송수단을 상승시키면 상기 화물이 소정 상승하고, 상기 화물이 소정 상승하면 상기 이송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화물을 이송시키되,
상기 이송수단은,
복수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이송롤러에 끼워지고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
In the cargo elevator provided with a transport means in which a plurality of long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floor of the cage,
a plurality of convey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and protruding or drawn in from the long hole;
a plurality of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conveying mean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means and the elevating means; including,
After the cargo is placed inside the cage, when the lifting means is operated through the controller to raise the transfer means, the cargo rises by a predetermined amount, and when the cargo rises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transfer means is operated to transfer the cargo,
The transport means,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conveying roller; and
and a conveying belt fitted to the conveying roller and operated by rotation of the conveying roller.
Cargo elevator with means of transpor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을 개폐하고 상기 장공으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
According to claim 1,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ng hole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lo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rgo elevator with means of trans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 상기 케이지의 내부에 실린 화물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
According to claim 1,
A scanning unit for generating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argo loaded inside the cage on the upper part of the c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rgo elevator with means of trans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승강수단 및 상기 스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ler is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conveying unit, the elevating unit, and the scanning unit.
Cargo elevator with means of transpo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캔부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화물의 위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이송수단 및 승강수단을 선택하며, 선택된 이송수단 및 승강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화물 중 이송할 화물을 선택하여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ler is
It receives th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can unit, outputs the position of the cargo to the display unit, selects the transport means and the elevating mean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operates the selected transport means and elevating means to transport the cargo.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go is selected and transported
Cargo elevator with means of transpo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장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 door in which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long hole is formed; and
and a driving unit for operating the door.
Cargo elevator with means of trans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은,
홀수 열과 짝수 열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수단이 구비된 화물용 승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ng hole,
Odd-numbered columns and even-numbered column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alternately arranged
Cargo elevator with means of transport.
KR1020200053102A 2020-05-04 2020-05-04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 KR102359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102A KR102359448B1 (en) 2020-05-04 2020-05-04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102A KR102359448B1 (en) 2020-05-04 2020-05-04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16A KR20210135016A (en) 2021-11-12
KR102359448B1 true KR102359448B1 (en) 2022-02-07

Family

ID=7848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102A KR102359448B1 (en) 2020-05-04 2020-05-04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4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4773B (en) * 2023-03-29 2023-11-03 江苏中宝龙工程机械有限公司 Construction elevator for cargo carry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008Y1 (en) * 1993-09-25 1999-11-15 윤종용 Sputtering system
KR100261117B1 (en) * 1997-12-08 2000-07-01 정몽규 A moving device for cargo a deck of a truck
EP2336070B1 (en) 2009-12-18 2016-08-03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Method for remote diagnosis of a lift assembly and lift assembly for execut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016A (en)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5572B2 (en) Mechanical parking lot
KR102359448B1 (en)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means of transportation
JP2008201534A (en) Small baggage lifter
JP2009084986A (en) Transverse mechanism for parking tower
JP5483596B2 (en) Elevator motorcycle lifting equipment
KR100766227B1 (en) Reciprocating Multi-Layer Parking Device
KR102471610B1 (en) Cargo carrying aids in elevators
JP7229048B2 (en) Elevator type parking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JP2006207359A (en) Traverse device for drive-in port
KR20050025941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JPH04281969A (en) Elevator device for multi-level parking equipment
KR20050029720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KR101011056B1 (en) Elevating Parking System with Lifting and Rotating Function of Rotating Plate
KR102253061B1 (en) Automatic warehouse system with drum anti-fall function
JP4058684B2 (en) High-rise multilevel parking system
KR102600223B1 (en) Sequential bidirectional circulation vertical lifter
JP4329104B2 (en) Lifting lift structure of parking device
JP5653134B2 (en) Simultaneous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JP5750008B2 (en) Carrying device holding device and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provided with the same
JPH0224459A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parking
JP4341567B2 (en) Boarding floor of parking equipment
KR20230121307A (en) Parking system with multiple entrance and exit system applied
KR10057970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assette of display device
JP3912710B2 (en) 3 column intermediate entry type lift parking system
KR20230102219A (en) Auto par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