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086B1 -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포함하는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포함하는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086B1
KR102359086B1 KR1020200115139A KR20200115139A KR102359086B1 KR 102359086 B1 KR102359086 B1 KR 102359086B1 KR 1020200115139 A KR1020200115139 A KR 1020200115139A KR 20200115139 A KR20200115139 A KR 20200115139A KR 102359086 B1 KR102359086 B1 KR 102359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archer
clutter
optical delay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홍운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13Means providing a modification of the radiation pattern for cancelling noise, clutter or interfering signals, e.g. side lobe suppression, side lobe blanking, null-steering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고, 표적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표적정보를 추출하는 탐색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지연시켜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광지연기 및 생성된 모의표적신호를 대기 중으로 전송하는 혼안테나를 포함함으로써, 탐색기와 점검 장비의 HRR 신호가 완벽하게 일치하게 되어 탐색기 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클러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고, 클러터 신호와 같은 외부인자 제거에 따른 거리구별 능력 시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기존의 장비만으로 클러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포함하는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Seeker Performance Testing Device having an Optical Delay for Clutter Cancell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의표적 신호를 탐색기로부터의 송신신호에 대한 광지연을 통해 사용하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탐색기와 모의신호생성기를 동기화신호(COHO)를 통해 동기화 후 모의신호생성기를 통해 생성된 모의표적 신호를 수신 받는 방식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혼안테나 신호와 필연적으로 발생한 클러터를 도시한 것으로서, 탐색기 HRR 모드 시 수신된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두 개의 근접신호인 중앙 혼 안테나 신호(10)와 우측 혼 안테나 신호(20) 외에 클러터 신호(30)가 발생하였다.
클러터(Clutter)는 레이다 신호 중 표적신호를 제외하고 표적 탐지를 방해하는 모든 반사 신호를 의미하는데, 클러터 신호는 표적간의 구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로 개선이 필요하다.
탐색기의 성능 시험 중 하나인 거리구별 능력 시험은 두 개의 근접 신호에 대해서 탐색기가 구별 할 수 있는지 확인 하는 시험으로, 신호에 클러터 발생 시 표적과 구분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개선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거리구별 능력 시험을 수행할 때, 모의신호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모의표적 신호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탐색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모의신호생성기에서 생성할 수 있도록 동기화 신호(COHO)를 통해 두 신호를 동기화 후 모의신호생성기를 통해 생성된 모의표적 신호를 혼안테나로 전달하고 혼안테나가 송신한 신호를 탐색기가 수신 받는 방식으로 시험을 진행 하였다.
이때 탐색기내에서 생성되는 신호와 모의신호생성기에서 생성되는 신호가 서로 완벽하게 일치할 수 없으므로 이 차이에 따라 탐색기에서 수신 시 클러터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 기술의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탐색기와 모의신호생성기의 HRR 파형을 완벽하게 일치하는 신호를 만들기는 불가능함에 따라 분해능이 우수한 HRR 모드 시험 시에는 클러터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은 표적 구분에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클러터 신호와 같은 외부인자 제거에 따른 거리구별 능력 시험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추가 장비 없이 기존 장비만으로 클러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고, 표적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표적정보를 추출하는 탐색기; 상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지연시켜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광지연기; 및 상기 생성된 모의표적신호를 대기 중으로 전송하는 혼안테나;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는 상기 광지연기에서 출력한 모의표적 신호의 전력을 왜곡 없이 증폭 및 감쇠하는 신호처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상기 광지연기는 상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는 제1 저잡음증폭기; 상기 제1 저잡음증폭기를 통하여 수신한 고주파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신호 및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포토다이오드; 상기 탐색기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의 특성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 수신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중앙제어처리기;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 및 상기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는 제2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광지연기는 입력신호에 따른 지연거리를 증가시키는 거리보상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광지연기는 입력신호의 특성에 따라 클러터와 혼안테나 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는 상기 혼안테나에서 전송된 표적신호를 상기 탐색기에서 수신하는 경우 외부 전자파를 완전히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 역시 내벽의 흡수체를 통해 흡수하는 무반향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은 탐색기에서 고주파 신호를 광지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광지연기에서 상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지연시켜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혼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모의표적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탐색기가 상기 모의표적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표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모의표적신호 전송단계에서는, 상기 광지연기에서 상기 고주파 신호의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모의표적신호 전송단계에서는, 상기 광지연기는 거리보상 섬유를 이용하여 입력 받는 신호에 따른 지연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은 상기 광지연기에서 출력한 모의표적 신호의 전력을 왜곡 없이 증폭 및 감쇠하는 신호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은 탐색기와 점검 장비의 HRR 신호가 완벽하게 일치하게 되어 탐색기 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클러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은 클러터 신호와 같은 외부인자 제거에 따른 거리구별 능력 시험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은 별도 추가되는 장비 없이 기존의 장비만으로 클러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혼안테나 신호와 필연적으로 발생한 클러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의 운영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탐색기 수신 신호(A)와 본 발명에 따른 탐색기 수신 신호(B)의 비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기존에는 탐색기와 모의신호생성기를 동기화신호(COHO)를 통해 동기화 후 모의신호생성기를 통해 생성된 모의표적 신호를 수신 받는 방식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자는 클러터 생성 방지를 위해 탐색기에서의 송신신호(FTCE)를 광지연기로 지연시키고, 그 신호를 모의표적 신호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표적신호 외 발생하던 클러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창안하였다. 기존에 모의신호생성기를 사용하여 모의표적 신호를 만들던 방식에서 탐색기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광지연장치로 지연시켜 사용하는 방식으로 개선함으로써 수신되는 신호에 불필요하게 발생할 수 있는 클러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으로써 사용될 수 있었다.
본 제안된 발명에서 탐색기는 목표 표적을 탐지하기 위해 안테나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표적에 대한 정보를 추출해낸다. 해당 시험은 탐색기의 실제 동작 환경을 모의하여 탐색기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지 확인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고, 본 발명의 특징부를 세부적으로 설명한 상세도면으로서 거리구별 능력 시험 시 시스템 구성도 및 개선 결과를 도시하였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탐색기 수신 신호(A)와 본 발명에 따른 탐색기 수신 신호(B)의 비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100)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고, 표적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표적정보를 추출하는 탐색기(110), 탐색기(110)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지연시켜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광지연기(120) 및 상기 생성된 모의표적신호를 대기 중으로 전송하는 혼안테나(140)를 포함한다.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100)는 광지연기(120)에서 출력한 모의표적 신호의 전력을 왜곡 없이 증폭 및 감쇠하는 신호처리기(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지연기(120)는 상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는 제1 저잡음증폭기(121), 제1 저잡음증폭기(121)를 통하여 수신한 고주파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122), 발광다이오드(122)의 발광 신호 및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포토다이오드(125), 탐색기(110)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의 특성에 따라 발광다이오드(122)와 포토다이오드(125)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 수신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중앙제어처리기(123), 포토다이오드(125)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126) 및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126)의 출력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는 제2 저잡음 증폭기(127)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지연기(120)는 입력신호에 따른 지연거리를 증가시키는 거리보상 섬유(123)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력신호의 특성에 따라 클러터와 혼안테나 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100)는 혼안테나(140)에서 전송된 표적신호를 상기 탐색기에서 수신하는 경우 외부 전자파를 완전히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 역시 내벽의 흡수체를 통해 흡수하는 무반향 챔버(1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지연기(120)는 제1 저잡음 증폭기(제1 LNA)(121), 발광 다이오드(LD)(122), 중앙제어처리기(MCU)(123), 포토다이오드(PD)(125),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TIA)(126), 및 제2 저잡음 증폭기(제2 LNA)(126)로 구성되며, 지연거리에 따라 거리보상 섬유(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지연기(120)는 2개의 제1 LNA(121) 및 제2 LNA(127)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RF 수신단에서 수신된 전력은 감쇄 및 잡음의 영향으로 인해 매우 낮은 전력레벨을 갖고 있어 반드시 증폭이 필요한데, 이미 외부에서 많은 잡음을 포함해서 날아온 신호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잡음을 최소화하는 증폭기능이 필요하다.
제1 LNA(121)는 탐색기(110)에서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고, 제2 LNA(127)는 혼안나테나(140)로 전송할 모의표적 신호의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한다.
LNA는 NF(잡음지수)가 낮도록 동작점과 매칭 포인트를 잡아서 설계된 증폭기로서, 보통 1.5~2.5 사이의 NF값이 요구되게 된다. 저잡음 특성을 좋게 하려면 낮은 잡음지수를 가지는 트랜지스터와 열잡음소자를 적게 사용하면서 전류 역시 작게 사용해야 한다.
LD(122)는 제1 LNA(121)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빛을 발광하고, PD(125)는 LD)(122)에서 발광하는 빛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서로 커플되어 있다. MCU(123)은 LD 측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PD 측을 활성시키는 시간 간격을 제어한다. 즉, MCU(123)은 탐색기(110)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며, 이 지연시간은 신호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시간일 수도 있다.
거리보상 광섬유(124)는 광지연기(120) 자체의 고유 지연보다 더 긴 지연을 얻기 위하여 별도의 거리 지연을 얻는다. 일 예를 들면, 광지연기(120)는 고고도의 모의 시 전파를 광섬유를 통해 지연시키는데, 특히 10m 이상에서의 전파 지연 시 사용된다. 이 경우 오프셋 값인 10m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회로 시스템 자체의 고유 지연은 약 3m임을 고려할 때, 7m의 거리 보상을 위하여 별도의 거리보상 광섬유(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A(126)는 광수신소자인 PD(125)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 및 증폭한다. TIA(126)에서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따라 R-TIA(resistive-feedback TIA) 및 C-TIA(capacitive-feedback TIA)로 구분할 수 있다. R-TIA는 부궤환(negative feedback) 소자로 저항을 이용하고, 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저항성 부궤환(resistive negative feedback) 방법을 이용한다. 또한, C-TIA는 부궤환 소자로 커패시터를 이용하고, 전하량 공식에 따라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고대역폭을 갖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TIA) 포트폴리오에는 다양한 게인 설정, 빠른 복구 시간, 내부 입력 보호 및 광범위한 포토다이오드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완전 차동 출력을 갖춘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신호처리기(130)는 제1 증폭기(제1 AMP)(131) 및 제2 증폭기(제2 AMP)(133)과, 제1 감쇠기(제1 ATT)(132) 및 제2 감쇠기(제2 ATT)(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처리기(130)는 2개의 AMP(131,133) 및 2개의 ATT(132,134)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입력된 신호의 증폭 및 감쇠가 큰 소자를 하나씩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증폭 및 감쇠를 통하여 발생할 수 있는 왜곡 정도를 줄이고 동일하거나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은 탐색기(110)에서 고주파 신호를 광지연기(120)로 전송하는 단계(S110), 광지연기(120)에서 탐색기(110)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지연시켜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S120) 및 혼안테나(140)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모의표적신호를 전송하고(S130), 탐색기(110)가 상기 모의표적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표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150)를 포함한다.
상기 모의표적신호 전송단계에서는, 광지연기(120)에서 상기 고주파 신호의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고, 광지연기(120)는 거리보상 섬유를 이용하여 입력 받는 신호에 따른 지연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은 상기 광지연기에서 출력한 모의표적 신호의 전력을 왜곡 없이 증폭 및 감쇠하는 신호처리 단계(S1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선후의 경우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탐색기내에서 생성하여 송신하는 신호를 광지연장치로 전달하고 이 신호를 실제 환경과 유사하도록 지연시켜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고 혼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렇게 시험한 결과 클러터 신호가 생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결과에 따라 탐색기의 HRR 모드를 이용한 시험 항목 중 클러터에 영향을 받는 거리 구별 능력 시험에서는 광지연장치를 사용하여 시험하도록 개선하여, 시험결과에 대한 신뢰 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은 탐색기와 점검장비의 HRR 신호가 완벽하게 일치하게 되어 탐색기 수신 시 발생할 수 있는 클러터 신호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클러터 신호와 같은 외부 요인 제거에 따른 거리구별 능력시험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별도의 추가 장비가 없어도 클러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와 도 5의 (b)의 측정 결과 그래프를 비교하면 우측 혼 안테나 신호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3개가 뜨던 신호가 2개로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중앙 혼 안테나가 이동 후 우측 혼 안테나 신호가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개선에 따라 클러터 신호가 포함된 3개의 신호가 아닌 송신 안테나 2개의 신호만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안테나는 혼 안테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같은 개선사항 바탕으로 미래에는 모의 신호가 아닌 실제 탐색기의 안테나에서 송신한 신호를 안테나가 수신 후 광지연장비를 통해 지연한 뒤 그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방법으로 개선하여 더욱더 실제 탐색기 운용 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려고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탐색기
120: 광지연기
121: 제1 저잡음증폭기
122: 발광다이오드
123: 중앙제어처리기
124: 거리보상 섬유
125: 포토다이오드
126: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
127: 제2 저잡음 증폭기
130: 신호처리기
131: 제1 증폭기
132: 제2 증폭기
133: 제1 감쇠기
134: 제2 감쇠기
140: 혼안테나
150: 무반향 챔버

Claims (10)

  1.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고, 표적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표적정보를 추출하는 탐색기;
    상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지연시켜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광지연기; 및
    상기 생성된 모의표적신호를 대기 중으로 전송하는 혼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광지연기는,
    상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는 제1 저잡음증폭기; 상기 제1 저잡음증폭기를 통하여 수신한 고주파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신호 및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포토다이오드; 상기 탐색기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의 특성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수신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중앙제어처리기;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 상기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여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고주파 신호의 특성에 따라 클러터와 혼안테나의 신호를 구분하도록 지연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구비되는 거리보상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처리기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신호에 의해 상기 포토다이오드를 활성시키는 시간 간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지연기에서 출력한 모의표적 신호의 전력을 왜곡 없이 증폭 및 감쇠하는 신호처리기를 더 포함하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지연기는,
    입력신호의 특성에 따라 클러터와 혼안테나 신호를 구분하기 위하여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안테나에서 전송된 표적신호를 상기 탐색기에서 수신하는 경우 외부 전자파를 완전히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한 전자파 역시 내벽의 흡수체를 통해 흡수하는 무반향 챔버를 더 포함하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7.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에 의한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에 있어서,
    탐색기에서 고주파 신호를 광지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광지연기에서 상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지연시켜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혼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모의표적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탐색기가 상기 모의표적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표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의표적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제1 저잡음증폭기가, 상기 탐색기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는 단계; 발광다이오드가, 상기 제1 저잡음증폭기를 통하여 수신한 고주파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하는 단계; 중앙제어처리기가, 상기 탐색기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의 특성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포토다이오드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 수신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신호에 의해 상기 포토다이오드를 활성시키는 시간 간격을 제어하는 단계; 거리보상 섬유가, 상기 고주파 신호에 따른 지연거리를 증가시키는 단계; 포토다이오드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신호 및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 및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가,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는 단계; 제2 저잡음 증폭기가, 상기 트랜스임피던스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증폭 시 잡음비를 개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보상 섬유는 상기 고주파 신호의 특성에 따라 클러터와 혼안테나의 신호를 구분하도록 지연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표적신호 전송단계에서는,
    상기 광지연기에서 상기 고주파 신호의 특성을 기반으로 상기 고주파 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지연기에서 출력한 모의표적 신호의 전력을 왜곡 없이 증폭 및 감쇠하는 신호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구비한 탐색기 성능 시험 방법.
KR1020200115139A 2020-09-09 2020-09-09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포함하는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2359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39A KR102359086B1 (ko) 2020-09-09 2020-09-09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포함하는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139A KR102359086B1 (ko) 2020-09-09 2020-09-09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포함하는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086B1 true KR102359086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139A KR102359086B1 (ko) 2020-09-09 2020-09-09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포함하는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0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70B1 (ko) * 1995-03-30 1998-07-15 김광호 에스밴드 펄스 도플러 레이다 모의 표적발생 장치
KR100971766B1 (ko) * 2009-06-09 2010-07-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가변 고도 모의 장치 및 전파 지연 방법
KR101134118B1 (ko) * 2012-01-05 2012-04-0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혼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성능을 검증하는 hils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570B1 (ko) * 1995-03-30 1998-07-15 김광호 에스밴드 펄스 도플러 레이다 모의 표적발생 장치
KR100971766B1 (ko) * 2009-06-09 2010-07-2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가변 고도 모의 장치 및 전파 지연 방법
KR101134118B1 (ko) * 2012-01-05 2012-04-0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혼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성능을 검증하는 hils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687B2 (en) Multiple interferer cancellation for communications systems
CN105403877A (zh) 大动态范围光学分视场探测激光雷达
CN104678365A (zh) 一种雷达干扰器自适应干扰对消方法
CN105765871B (zh) 前馈抵消器
CA2566642A1 (en) Processor-controlled variable gain cellular network amplifiers with oscillation detection circuit
CN114720997B (zh) 一种对高速运动目标的大动态激光相干探测装置及方法
CN105891799B (zh) 适用于机械扫描雷达的有源干扰侦察方法
KR102359086B1 (ko) 클러터 제거용 광지연기를 포함하는 탐색기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US6067448A (en) System and method for isolating radio frequency signals
CN114900144A (zh) 一种限幅电路
Martorell et al. Compact intermodulation radar for finding RF receivers
CN106989646B (zh) 抗阻塞式电磁干扰的近炸引信量子近程探测系统和方法
JP2013090263A (ja) フェーズドアレーレーダ用受信回路およびフェーズドアレーレーダ用送受信モジュール
KR101502399B1 (ko) 모의 레이더 신호를 이용한 전자전 기만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Gao et al.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HPM on UAV
CN113917496A (zh) 一种导航的抗干扰测试方法及装置
KR102463539B1 (ko) 레이더, 신호 처리 회로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1118653B1 (ko) 송신기의 pin 다이오드 리미터 회로
CN111142076B (zh) 提高雷达低截获性能的功率控制方法
CN104034408A (zh) 一种基于相关检测技术的激光侦听装置
KR101895727B1 (ko) 레이더의 증폭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050666B2 (en) Devices for detecting ultra-wide band signals
WO20230434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detection in a radiofrequency transmitter
CN203840290U (zh) 多脉冲调制微波大功率放大器
Kumar et al.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Multi-stage Leakage Mitigation techniques in Ku-band CW Ra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